•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김복남

1

·김순옥

2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1, 신한대학교 간호학과2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ed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Kim, Bok Nam1 · Kim, Soon Ok2

1Department of Nursing, Daegu Health College

2Department of Nursing, Shinhan University

Purpose: The core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graduates through a CQI system based on outcomes. For program outcomes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assessment, objective and curriculum. Method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program outcomes and the assessment. First measures for improving the general problems of program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assessment system were stated. Detailed measure for practicing program outcomes,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assessment tool using Rubrics were discussed. Results: Detailed measure were established for practicing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tool, which makes use of rubrics, program outcome No 3 of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nclus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allow universities to conduct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

Key Words: Nursing education, Nursing accreditation, Rubrics, Assessment system, Program outcomes

주요어: 간호교육, 간호인증, 채점기준, 평가도구, 프로그램 학습성과 Corresponding author: Kim, Soon Ok

Department of Nursing, Shinhan University, 95 Hoam-Ro, Uijeongbu-si, Gyeonggi 480-701, Korea.

Tel: +82-10-7793-6912, Fax: +82-31-870-3942, E-mail: kso6210@nate.com Received: Jul 19, 2013 | Revised: Feb 20, 2014 | Accepted: Feb 25, 201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2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통하여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체계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즉, 간호학 학사학위 교육기관은 학생들이 '일반간호사의 직접간호 수행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반드시 갖추어야 할 7가지의 핵심역량

과,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학생이 졸업 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의미하는 교육의 직접적 목표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Program Outcome, PO) 12가지를 달성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학습성과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체계를 갖추어야 한다[1].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는 학습자가 학생들이 무엇을 아는 가의 문제보다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실 제 삶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념을 분석하여 실천 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2]. 교육과정 구성방향

(2)

이 "실무능력 강화"로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학문중심 교육과 정에서 배제되었던 실천, 일, 경험, 실천지 등을 주요개념으로 하는 역량기반교육으로 전환하고[3], 교육받은 결과로서 실제 로 무엇을 행할 수 있는 능력에 관심을 두고, 수행을 강조함으 로써 교육평가 방식 또한 그러한 역량을 평가하는 수행평가 (performace assessment)가 정착되고 있다[4].

수행평가는 평가자가 학습자들의 학습과제 수행과정 및 결 과를 직접 관찰하고, 그 관찰결과를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 가방식[5]을 말한다. 수행평가는 학생들의 수행능력 및 자질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서술형검사, 논술형검사, 포트폴리오, 연구보고서 혹은 토론 등의 수행과제를 평가하며[6], 수행과 제의 성취기준은 내용기준(Content Standard)과 수행기준 (Performance Standard)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내용기준은 학생들이 무엇을 알아야 하고, 이해하며, 할 수 있는, 즉 획득 해야 하는 지식과 기술을 말하며, 수행기준은 내용기준의 획 득 정도를 실증적으로 나타내 보이는 숙달 수준을 의미한다 [7]. 수행과제의 채점은 채점요소에 따라 분석적 채점기법 (analytic rubric)과 총체적 채점기법(holistic rubric)으로 수 행수준(performance level)을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 도구의 채점기준(rubric)은 교수-학습 이전 단계에서 학생에 게 공개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고 학습성과의 계 량적 측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속적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개선 활동(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도 용 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교육기관이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였을 때에는 프로그 램 실행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 계획 단계에서 기대하고 결정 한 사항이 어느 정도 충족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프 로그램 단계별로 달성해야 하는 목표는 재학 중에는 교과과정 과 외국어능력, 체험활동, 봉사활동 등의 비교과과정별 목표 를 달성하고, 졸업 시에는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고, 졸 업 후에는 프로그램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때 PO의 달성 여부를 학생의 교과목 학점 취득 및 이수여부 만으로 평 가하기는 곤란하며, PO의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체계 와 평가방법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학습 성과 평가를 위한 논리적인 개념의 정립과 그에 따른 전반적 인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평가체계를 개발한 사례 연구는 국내에서는 2000 년부터 한국공학교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 neering Education of Korea [ABEEK])에서 인증평가를 시 행한 이후 2013년 1월 현재 국내 101개 대학의 604개 프로그 램이 인증을 받았고, 평가체계 개발 사례는 다수가 보고되었

으나[8-10], 간호학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평가체계에 대 한 선행연구가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연구대회 등에서 발표된 사례는 있으나[1] 학술지에 게재된 사례는 없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의 구축은 표준화되고 정형화 된 평가체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상황 및 맥락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수립 운영[11]되어야 하기에 평 가를 준비하는 많은 대학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 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의 구축이 어려운 이유는 프 로그램 학습성과 의미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평가도구 개발 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평가도구의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간호교육기관은 2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2013년에서 2015년까지 받고 있다. 즉, 평가문항 ‘(6.1.1)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항목의 경우는 졸 업생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가체계를 수립하여 인증평 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학습성과의 수행준거(Per- formance Criterion, PC)별 수행수준과 평가도구별 채점기 준의 적용 경험이 없기에 그에 대한 연구는 시급하다 할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구하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구성 및 운영하고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개발하여 적용하기 위해 먼저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 을 분명히 하고,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성과에 따른 학습자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y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탐구 한다.

y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PO3번 “언어적, 비언 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할 수 있 다”의 평가체계 및 평가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3. 이론적 배경

프로그램 평가체계(Assessment system) 구축 방법에는 규준을 지향하는 평가(norm-referenced) 체계와 준거를 지 향하는 평가(criterion-referenced) 체계가 있다[6]. 이는 평 가를 수행하는 평가기준에 의한 분류로, 선발주의적 관점에서 상대평가 기준을 활용할 때에는 규준을 지향하는 평가(norm- referenced) 체계를 따르고, 발달주의적 관점에서 절대평가

(3)

Program outcomes

Meaning analysis and Implementation level (base (L1), advance (L2), improve (L3)) Education curriculum organization for attaining Program Outcomes

Performance criteria

Performance level (high, medium, low): Holistic Rubrics Attainment goal establishment

Evaluation method Direct evaluation Indirect evaluation

Evaluation instrument Direct evaluation instrument Indirect evaluation instrument

Score card & rubrics Analytic Rubrics Analytic Rubrics

Implement-assessment-analysis-feedback-Improved outcomes

Figure 1.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기준을 활용할 때에는 준거를 지향하는 평가(criterion-refe- renced) 체계를 따르게 된다. 역량 개념의 수행평가에는 절대 평가 기준을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따라서 준거지향평가체 계 모델을 활용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한 국내 선행연구로 는 Kim과 Park[2]의 핵심역량 달성을 위한 PO의 수행평가체 계 연구에 따르면, 그 평가체계는 의미분석 및 이행수준, 교육 과정 편성, 수행준거, 수행수준, 평가도구 및 자율개선구조로 구성되어 있다(Figure 1).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PO3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한다”의 의미 (meaning analysis)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 하도록 돕기 위해 간호사와 대상자간 상호관계가 치료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대상자와의 치료 적관계 성립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간호사가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 수립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 사소통능력이 중요하므로 간호학생은 대상자와 상호작용 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하는 능력을 보유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행수준(implementation level)은 학생들에 의해 제시되 는 능력(학습성과), 즉 일종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도록 측정 가 능한 구체적인 내용과 수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학습성과 수준은 달성 가능성을 고려하여 공통적인 수 준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대체로 Bloom and Krath-wohl de- finition의 평가모형에 근거하여[13] 6단계 수준(지식, 이해, 응용, 해석, 종합, 평가)이나 3단계 수준(기본적, 일반적, 전문 적 또는 기초, 발전, 심화) 등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 행수준을 토대로 교육과정(교과과정 및 비교과과정)이 제공

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기초(지식), 이해, 심화(적용, 분석, 종 합, 평가)의 이행수준 단계를 거쳐 제시된 능력(학습성과)의 순차적인 습득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성과는 이 행수준의 최종단계를 적용하여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

교육과정(education curriculum organization to attain program outcomes)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 ‧ 조직한 계획이다.

좁게는 단순히 교과과정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비교과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9].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교과과정 확산분포표 및 비교과과정 연계 활동의 제시를 통하여 학생에게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되고 있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은 교과과정 확산분포표 및 비교과과정 연계 활동을 정의하여 수립한 교육 과정을 제시해야 한다[1].

수행준거(performance criteria)는 학습성과의 핵심내용 과 교육수준을 결정하는(성과요소와) 행위동사(action verb) 로 표현되는 측정 가능한 고유의 내용과 수준을 가리킨다. 준 거(criterion)란 학습자가 어떤 일을 수행할 수 있다고 대중 (public)이 확신하는 지식 혹은 기술 수준을 의미한다[14]. 이 는 발달주의적 관점에서 Bloom[15]의 완전학습이론을 뒷받 침하는 평가 방식으로, ‘목표 참조 혹은 목표지향 평가’라고 부르는 절대평가의 개념이다. PC란 PO 달성을 입증할 수 있 는 구체적인 목표이다. PC는 이행수준에서 최종 수준을 중심 으로 적절한 논리적인 근거의 제시를 통하여 포괄적인 학습성 과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졸업생들이 졸업시점에 달성되었으 면 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1]. 즉, 다른 학생

(4)

들과 비교하는데 관심을 두기보다는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느냐를 알고자 학습자가 숙달해야 하거나 성취해야 할 객관 적 기준을 정해두는 것이다. 따라서 PO별로 다수의 PC를 수 립하는 경우, PO 달성을 위한 노력의 선택과 집중이 어렵고, 달성여부의 측정 및 개선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따 른다.

수행수준(performance level)은 프로그램 학습성과 달성 을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를 말한다. 수행준거라는 일 종의 목표를 최상의 수준에서 최하의 수준까지 단계별로 정의 한 것이다. 수행수준은 다양한 단계 혹은 수준으로 설정이 가 능하지만, 대개 3단계(상, 중, 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수행수준은 평가체계에서 평가도구의 채점기준(rubrics)과 논리적으로 연계되도록 구체적이어야 하며[9], 전체적인 평가 체계도 고려해야 한다. 또 수행수준을 진술할 때에는 부정적 인 기대 수준, 예를 들어 ‘~하지 못한다,~하지 않다’와 같은 표 현보다는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식으로 긍정적으로 표현 하는 것을 권장한다[16].

달성목표(attainment goal establishment)는 설정한 수행 수준에서 보통 중간 수준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즉 교육과정을 편성 혹은 계획한다.

프로그램 학습성과는 학생이 졸업하는 시점에 성취하기를 기 대하는 능력이므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4학년 최종학기에 평가되어야 한다[16].

수행평가도구(evaluation instrument)는 학생이 교육과정 을 이수한 시점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가 달성되었는지를 측 정하기 위해 적절한 평가방법 및 도구를 선정하는 것이다[1].

수행수준을 정의할 때 언급하였던 “행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 해 우선 활용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평가도구를 생각해 내고, 이들 중 가장 이상적인 평가도구, 즉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에 가장 부합하고 교육과정 운영 중에서 시행할 수 있는 도구를 선정하여야 한다[16]. 평가도구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 상의 직접 평가도구와 간접 평가도구를 활용한다.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는 평가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졸업시점에서 학생의 능력과 자질을 평가하는 직접 평가 도구와 졸업예정자 설문조사 등의 간접 평가도구를 활용 한다. 직접평가도구는 필수 사항으로 학생의 실력과 지식을 직접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물 평가(보고서 등 포함), 구 두발표 등/ 에세이 작성, 자체시행 졸업시험, 표준화된 외부시 험, 글쓰기 등/ 학생포트폴리오, 결과물 포트폴리오, 구술시험 등이며, 간접평가도구는 학생들의 의견, 설문 그리고 자신이 습득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청취로 설문조사,

출구조사, 초점그룹면담 등을 들 수 있다[17]. 평가도구가 설 정되면, 그에 따른 루브릭(rubric)을 만들어야 한다[16].

루브릭(채점기준, Score card & rubrics)은 다양한 수준의 수행을 기술한 양식으로 수행 활동들을 기준에 의거하여 목록 화하여 그 수준을 결정하고 점수화하는 도구이며[18], 주관적 으로 평가되는 대상에 대해 가치의 정도를 부여하는데 유용하 게 사용하는 측정기준을 의미한다. 또 고정된 척도(scale)와 척도의 성취수준을 설명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9], 수행준거를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수준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루브릭은 평가도구 선정보다 훨씬 중요하 며, 목표에 따라 적절히 구축되어야 한다. Arter와 McTighe [20]은 루브릭을 크게 총체적 루브릭(holistic rubric)과 분석 적 루브릭(analytic rubric)으로 나누었는데, 총체적 루브릭 은 평가하고자 하는 여러 자질 및 능력을 한꺼번에 평가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분석적 루브릭은 평가하고자 하는 자질 및 능력을 구체적으로 분류한 채점 항목을 만들어 평가하는 것이 다[1]. 평가항목을 세분화하여 각 항목별로 점수를 매길 수 있 도록 만들어진 분석적 루브릭의 사용이 더욱더 적절하다. 분 석적 루브릭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평가항목을 결정해야 한 다. 평가항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수행준거를 설정할 때 사 용하였던 핵심 개념을 활용한다. 또 각 평가도구의 평가항목 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합리적인 수행수준을 수립 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평가체계의 지속적 품질개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16].

자율개선 순환체계(self-improvement circular system) 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평가의 주요목적은 교수학습의 개선 과 이를 통한 학습효과의 극대화라 할 수 있다[9]. 프로그램 학 습성과 평가 역시 프로그램의 개선과 이를 통한 졸업생의 능 력 및 자질(품질)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개선 은 학습성과(교육의 직접적 수행 목표), 교육과정, 교육평가 의 개선을 의미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 향상을 의미한다. 즉, 학습성과의 달성여부에 대해 측정(교육 평가)후 이를 교육목표, 교육과정, 평가도구, 평가방법에 피 드백(feedback)하여 자율개선 순환구조(self-improvement circular system)를 통하여 지속적 품질개선(continuous qual- ity improvement, CQI)을 실현하는 것이다[1]. 다시 말하면 교육과정의 실행 - 측정 - 평가결과의 분석- 문제점 파악 - 피 드백(feedback) - 개선결과 - 평가체계 및 결과의 공개과정을

“순환루프(Close-the-loop)” 라고 한다. 평가는 학기별 또는 연도별로 각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성과 평가자료를 수 집하여 측정평가(assessment)를 실행한다. 분석평가(evalu-

(5)

ation)는 학습성과 평가주기(예를 들면, 3년)에 따라 각 학습 성과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한다. 그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달성목표를 상향조정 한다든지 또는 미달성 시 문제점 등을 찾아내어 교육과정의 개선 등에 반영되는 피드백 규정이 뒤따 른다. 문제점 분석은 평가도구별 채점기준표 등을 활용하면 체계적일 수 있다[9]. 일반적으로 개선결과는 목표달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에 집중되며, 만일 목표를 달성한 경우에는 달성목표를 상향 조정하는 것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개편 등도 개선 사항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개선 결 과(주로 교육과정 개선)는 연차보고서 및 홈페이지 등에 게시 되어 프로그램 구성원에게 보고되어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 및 평가 주기는 평가체 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해 2년을 주기로 시행하 고, 주기적인 인증평가 및 개선을 통해 안정작인 평가체계가 수립되었다고 판단되면 3년 혹은 4년 주기로 개선한다. 결론 적으로 학습성과 평가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부분을 계량화 하는 논리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1].

연 구 방 법

본 연구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평가하 기 위한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관련 지식과 정보를 탐구하고 평가체계 개발 사례를 제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단계로 수행되었다. 첫째, 간호학 학사학위 PO평가체계 구축을 위하여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자 료, 간호대학의 교육과정, 기타 교육학 이론 및 타 학문분야의 교육평가체계 등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PO평가체계 구축 방법론을 선정하였다. 둘째, 평가체계 구축 을 위한 관련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주요내용으로는 간호학 학사학위 PO를 탐구하고, 간호학 학사학위 PO 달성 을 위한 교육과정을 편성하였으며,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방 안을 수립하고, PO평가체계 모델(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평 가체계 모델에 따라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졸업시점의 학 생들이 달성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PO3에 대한 평가체계 구축 사례를 제시하였다. 넷째, 사례로 제시한 PO3의 평가체계가 실제 운영가능한지, 평가 결과가 프로그램 개선에 반영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간호학과 교수 2인에게 제공하고 검증하였 다. 검증 결과,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모델 구축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절차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의사소통에 대 한 이론적 타당성을 확보토록 지적되었다. 이에 평가체계 모 델 구축 연구절차 및 PO3의 평가체계를 수정 및 보완 후 최종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완성하고 사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이론적 탐 구’ 의 세 가지 단계에서 사용되었다. 첫째, 평가체계 구축 단 계에서는 평가체계 구축방법 중 역량 개념의 수행평가에 적합 한 준거지향(criterion-referenced)평가체계 모델[6]을 기반 으로 한 선행연구[1]의 교육평가체계를 사용하였다. 교육평가 는 평가기준에 의해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로 나눈다. 상대평가 는 선발주의적 관점에서 규준을 지향하는 평가(norm-refe- renced)이며, 절대평가는 발달주의적 관점에서 준거를 지향 하는 평가(criterion-referenced)이다[6]. 본 연구에서는 간호 학 학사학위 핵심역량 달성을 위한 PO의 수행평가를 위하여 이행수준, PC의 수행수준, 평가 도구 및 자율개선구조 등으로 구성한 준거지향 평가체계 모델을 구성하였다.

둘째, 간호학 학사학위 PO는 Mager의 행동목표 진술용어 를 중심으로 한 McBreath action verbs 분류와 Bloom와 Krathwohl definition[13]을 사용하였다. Bloom[15]은 교육 목표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를 통하여 학습목표의 영역을 인지적(cognitive domain), 정의적(af- fective domain), 신체운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 으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인지적 영역의 학습성과를 세분화하 여 위계적으로 표현한 가장 대표적인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인지적 영역은 지능, 학업성취, 학업적성, 창의성, 문 제해결 및 고차적 사고 능력이 해당되며, 학습목표는 지식, 이 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등의 6가지 수준으로 분류된다. 정 의적 영역은 학습자 자신의 인성, 태도, 흥미, 가치, 자아존중 감, 통재소재 등의 상태를 근거로 특정한 태도 혹은 행동양식 을 선택하게 되는 능력으로,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으로 내면 화하는 정도에 따라 그 수준이 구분된다[21]. 신체운동 영역은 신체, 체력, 건강, 위생 등의 평가를 포괄하는 영역이다[1].

연 구 결 과

1.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평가체계 구축

문헌고찰과 사례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 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는 현재 한국공학교 육인증원(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ABEEK) 인증평가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Kim과 Park[2]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모형을 활용하 였다(Figure 1).

(6)

2. 의미분석과 이행수준

본 연구에서는 4년제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12개 중 PO3의 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12개 학습성과 중 PO3 의사소통능력을 선정한 이유는 인간인 간호대상자를 돌보는 간호활동의 특수성으로 인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은 모든 간호상황에서 필수적인 도구[22]이다. 또한 의사소통 은 개인 상호간, 집단 상호간 또는 개인과 집단 상호간에 정보 또는 의미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 이에 생각, 의견 또는 감정의 교환을 통하여 공통적인 이해를 이룩하고 상대방의 의식이나 태도 또는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 게 하는 일련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으로, 간호 관리자들은 업무시간의 80%를 각종 의사소통을 위해 소비하는 상황이며 [23], 간호관리학 교육내용 중에서도 지휘 영역에서 한 장을 구성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간호관리학에 있어 의사소통 능 력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중요한 역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PO3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 용한다)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간호사 와 대상자간 상호관계가 치료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치료적 상호관계 시[24],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라는 의미분석을 토대로, 선행연구 [1]에서 제시한 이행수준의 개념을 근거로 PO3의 이행수준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Table 1).

따라서 간호학생이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기초(L1) 에서는 “치료적 상호관계와 의사소통술(언어적, 비언어적)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치료적 상호관계 및 의사소통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발 전(L2)에서는 “의사소통술(언어적, 비언어적)의 기법을 습득 하여, 대상자와 치료적 상호관계시 상호작용 상황에 맞는(적 절한) 의사소통술을 선정하여 적용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 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심화(L3)에서는 “대상자와 치료적 상호관계시 적용한 의사소통술이 적절하게 활용되었는지 분 석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개선하여 다른 대상자에 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Table 1).

3. 교육과정 편성

PO3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은 선택된 교육내용과 학습 활동을 체계적으로 편성 ‧ 조직한 계획으로 교과과정뿐만 아 니라 비교과과정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3

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의 편성은 교과과정은 교양 또는 전공기 초 과목으로 인간의 성장과 발달, 인간심리의 이해, 인간관계 론을, 또 간호관리학, 정신간호학, 성인간호학, 아동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등 전공과목을 통해 PO3의 보고서 작성과 의 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한다. 또 치료적 관계형성 및 의 사소통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한다.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을 통해 대상자와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비교과과정에서는 의사소통 기술을 익 힐 수 있도록 강연 및 세미나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Table 1).

4. PC와 수행수준

수행준거 및 수행수준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서 PO3의 PC와 수행수준을 예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Table 1).

수행준거는 학습성과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졸업생들이 졸 업시점에 달성되어야 할 목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PO3은 “다 양한 간호상황에서 대상자와 치료적 상호관계 시(언어적, 비 언어적) 의사소통술을 활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라고 설정하 였다. 수행수준은 3단계 수준인 상, 중, 하를 활용하여 Table 1과 같이 수행수준을 정립하였다.

5. 달성목표 수립

본 연구에서 PO3의 달성목표는 일반적으로 달성목표를 설 정한 수행수준에서 보통 중간 수준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원리 에 따라 전체 졸업생의 60% 이상이 ‘중’ 등급 이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수립하였다(Table 1).

6. 평가도구 및 루브릭

본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는 평가 후 결과에 대한 분 석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 품질개선이 필요로 되는 점을 감안하여, 구체적인 채점 항목을 구축하여 평가가 가능 한[1], 분석적 루브릭(analytic rubrics)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적 루브릭을 작성하기 위해 먼저 평가항목 을 결정하기 위해 PO3의 수행준거 인 “다양한 간호상황에서 대상자와 치료적 상호관계 시(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기 법을 활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에서 핵심 개념인 “치료적 상

(7)

호작용 실행”과 “의사소통기법 활용”을 도출하였다.

간호는 대상자와의 상호성을 전제로 하는 학문 영역으로, 간호사-대상자 관계는 단순한 인간 상호간의 관계가 아니라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주는 돌봄제공자로서 역할 수행을 하면서,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은 치료적관계 성립에 필수적인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25]. 특 히 간호대상자와 면대면 돌봄을 하는 간호활동의 특수성으로 인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모든 간호상황에서 필수적인 치료적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22]. 즉,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돌봄제공 시 상호작용을 위한 의사소통으로 대상자를 이해하 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의사소통을 원활히 유지하고,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올바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의 사소통을 하면 대상자와 치료적인 상호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는 것이다[26]. 다시 말하면 치료적 의사소통은 치료적 관계를 전제하며, 치료적 관계란 간호사-대상자 관계에서 요구되는 것으로 치료적 관계의 맥락에서 행위, 사고, 느낌을 공유하고, 간호사가 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대처기술을 획득하도록 돕는 것이다[24]. 따라서 치료적 의사 소통을 사용하면 대상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정확하고도 적절한 자료를 수집하게 되며, 간호과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어 치료적인 상호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 사소통(communication)은 언어적(verbal), 비언어적(non- verbal) 의사소통으로 구성되고, 언어적 의사소통에는 음성 언어나 문자언어가 해당되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에는 목소리 톤, 한숨, 고함, 성량, 피치, 제스처, 움직임, 외양, 얼굴 표정, 신체접촉 등이 해당된다[16]. Hwang[27]은 효과적인 의사소 통을 위해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언어적 의사소 통의 메시지를 보완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 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Kim 등[16]은 언 어적 정보인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그리고 비언어적 정보들이 적절히 혼합되어 전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문자언어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평가를 위해 “발표용 보고서”에 대한 평가 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치료적 의사소통기법을 활용하여 치료적 상호작용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문서”와 “발표”를 모두 평가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언어적, 비 언어적)을 통해 간호사-대상자관계가 치료적 상호작용이 이 루어졌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문서”와 “발표”를 평가하기 위한 직접평가도구는 “치료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치료적 상호관계”에 대한 결과보고서를, 간접평가도구로는

간호학생 자신이 실제적으로 “치료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치 료적 상호관계”에 대한 경험을 물어보는 설문조사를 실시하 기로 하였다.

“치료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치료적 상호관계”에 대한 결과 보고서의 평가항목은 “문서”에 대한 항목으로 일반적으로 요 구되고 있는 “주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근거 혹은 결과)의 정확성, 보고서로서 갖춰야 할 체계, 가독 성”[16]을 토대로 치료적 의사소통 및 치료적 상호작용에 대 한 이해력,(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술 적용의 정확성, 보 고서의 체계 및 가독성”으로 설정하였다. 보고서 발표에 대한 평가항목은 “발표에 임하는 자세, 청중의 집중력 유도, 발표 내용의 적절성, 제한시간, 질의응답”[16]을 토대로 발표태도 와 제한시간 엄수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Ju[28]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연구”에서 활용한 Choi[29]의 의사소통능력 척 도, Ju[28]의 인간관계 척도를 활용하여 평가한다.

평가항목에 대한 판정기준은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수행수 준의 중 등급에 대한 기준을 판정기준의 “중” 등급으로 설정 하여 정리한다(Table 1).

7. 학습성과의 개선

본 연구에서 PO3 대한 교육과정의 실행-측정-평가결과의 분석-문제점 파악-피드백(feedback)-개선결과-평가체계 및 결과의 공개과정인 “순환루프(Close-the-loop)”를 완성하였 다(Table 1).

논 의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 구하고,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체계 모델(안)과 PO3의 평 가체계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한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평가체계 구 축 모델(안)은 평가체계가 수행준거부터 공개까지 논리적인 순환루프(close-the-loop) 형태이고, 평가체계 개발에 있어 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단계적으로 정리해 놓음으로써 논리 적인 연계성을 확보하였다. 본 모델(안)을 근거로 한 국내 선 행연구[1] 체계는 ABEEK 교육평가센터가 주최한 제1회 E3 (Empowering Engineering Education) CAMP에서 평가체 계에 대한 이해 자료로 사용됨으로써 캠프에 참가한 다수의 교수와 연구원 등을 통해 각 대학에서 학습성과 평가체계 모형

(8)

Table 1. Program Outcomes 3 Evaluation System Model PO3Therapeutic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when it comes to interaction with recipients Meaning analysisTo help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client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 and the client should be therapeutic, because nurses' communication ability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establish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clients, it refers that to establish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client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re important so nurse students must hav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know how to apply them when they interact with clients. Implementation levelL1Refers to hav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therapeutic interrel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verbal and nonverbal) and to recognize the concepts and necessity of the therapeutic interrelation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 L2Refers to having the ability to by learning the communication(verbal and nonverbal) techniques, select and apply the communication technique which is appropriate to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the context of reciprocal activity during interrelation. L3Refers to having the ability not only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roper use of the communication techniques which are applied during therapeutic interrelation with clients but also to use improved results with the other person. Education curriculum1. Educate to equip students with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mmunicate and write reports through liberal arts, major foundations, major core academic subjects. 2. To equip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ies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through education with the simulation training. 3. To equip students with therapeutic communication abilities through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in clinical practice. 4. Open guest lectures and seminars to learn communication skills. P CTherapeutic communication techniques(verbal, non-verbal) can be applied when it comes to the interaction with recipients in various nursing situations. Level of performanceHighTherapeutic communication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a superior level when it comes to the interaction with recipients in various nursing situations. MediumTherapeutic communication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a usual level when it comes to the interaction with recipients in various nursing situations. LowTherapeutic communication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a insufficiency level when it comes to the interaction with recipients in various nursing situations. Goal achievementMore than 60% of all graduates gain medium grade Evaluation methodDirect evaluationIndirect evaluation Case studySurvey

수치

Figure 1.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Table 1. Program Outcomes 3 Evaluation System Model PO3Therapeutic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when it comes to interaction with recipients Meaning analysisTo help solve the health problems of client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 and the clie
Table 1. Program Outcomes 3 Evaluation System Model (Continued) Score card & rubrics ClassificationEvaluation itemsPerformance levelWeightingER*("v" check) EGI|| HighMediumLowH†M‡L§ Therapeutic  interaction &  case study on application  com
표 1. 학습성과 3 평가체계 모델 학습성과 3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한다. 의미분석간호사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간호사와 대상자간 상호관계가 치료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대상자와의 치료적관계 성립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간호사가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 수립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하므로 간호학생은 대상자와 상호작용 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
+2

참조

관련 문서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Korean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with the help of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Learning Method, apply the method to the evaluation

From these results, a conclusion can be drawn that whe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delay of gratification is provided to children addicted to smartphone,

The Korean Financial ADR system can be judged as "administrative model integrated model consensual model quasi-judicial model non-prepositive Internal Dispute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estimation of results by cross-section model, the Korean trade of fishery products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The ability to visualize simulated construction operations in 3D augmented reality can be of significant help in alleviating model engineering problems that

▪ Local temperature of PMSM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rmal resistance model and heat generation model, presenting the cooling performance thermal

• Principle of work and energy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system by adding the kinetic energies of all particles and considering the work done by all external and

→ Bernoulli equation can be applied to any streamline.. The concepts of the stream function and the velocity potential can be used for developing of differ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