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존적으로 치료한 원위 요골 골절의 방사선학적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보존적으로 치료한 원위 요골 골절의 방사선학적 변화"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 Korean Soc Surg Hand 2011;16(4):185-190.

THE HAND

서론

원위 요골 골절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접하게 되는 가장 흔 한 골절의 하나로, 과거에는 불안정성이 심한 경우를 제외하 고는 도수 정복 후 석고 붕대 고정의 비수술적 치료를 주로 시 행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노년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복지

및 활동영역의 확대로 기능적 결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료의 방향이 좀 더 해부학적 정복에 가깝도록 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수 정복 후 해부학적 정복을 얻은 단순 형 골절이나, 고령의 환자들에서 고혈압, 당뇨, 만성신부전, 만성폐질환 등의 전신 질환으로 인한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경우 및 활동력의 저하로 수술적 치료를 거부하는 환자들에서

보존적으로 치료한 원위 요골 골절의 방사선학적 변화

Radiographic Changes in Conservatively Treated Distal Radius Fractures

윤홍기∙김명회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접수일2011년 7월 12일 수정일2011년 10월 28일 게재확정일2011년 11월 8일 교신저자윤홍기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657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병원 정형외과 TEL02-709-9275 FAX02-796-3682 E-mailhonzi@hanmail.net

* 본 논문은 2009년 대한정형외과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연구 내용임.

목적:보존적으로 치료한 원위 요골 골절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골절 전위나 함몰 등 의 방사선적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2007년 3월부터 2년간 보존적 치료를 받은 원위 요골 골절 환자 55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7.6세였으며, AO 분류상 A2가 17예, A3가 3예, B1가 6예, C1가 13예, C2가 9예, C3가 7예였다. 최초 방문 시 도수 정복 및 U형 석고 부목 고정을 시행하였다. 관절내 골절이 있거나 골간단 분쇄가 있는 경우 장상지 석 고붕대 고정 및 단상지 석고붕대 고정을 순차적으로 시행하였고, 관절외 골절이면서 골간단 분쇄가 없는 경우 단상지 석고붕대 고정으로 유지하였다. 정복 직후, 석고붕 대로 교체후, 석고붕대 제거후 및 최종 추시 시 시행한 방사선 사진에서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을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연령, 골간단 분쇄 유무 및 골절유형에 따른 방사선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은 정복 직후 각각 22.8�, 12.0 mm, 8.5�, 석고붕대로 교체 후 각각 22.1�, 10.5 mm, 7.7�, 석고붕대 제거 후 각각 20.1�, 8.7 mm, 4.5�로 변하였고, 최종 추시 시 각각 18.7�, 7.4 mm, 4.1�였다. 이 중 석고붕대 교체시점에서 석고붕대 제거 시 사이에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 모두에 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p<0.001, p=0.002). 또한 60세 이상군에서 60세 이하군에 비해 석고붕대 교체시점에서 석고붕대 제거 시 사이에서 요골 경사각 및 요골 길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37, p=0.045).

결론:원위 요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시 약 3주에서 약 6주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정복의 소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60세 이상의 고연령군에서 정복의 소실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색인단어:원위 요골, 골절, 보존적 치료, 방사선적 변화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 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

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 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는 아직도 보존적 치료가 주된 치료방법이 되고 있다.

원위 요골 골절 시 일차적 치료로 도수 정복 후 방사선 사진 상 허용범위 이내의 정복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방 사선적 측정치가 불량하게 변화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이 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경우를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골절 전위나 붕괴 등의 방사선적 변화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고 보고하고자 하였 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원위 요골 골절로 본원에 서 석고붕대 고정을 통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받은 235예 중 6 개월 이상 외래 추시 및 방사선학적 추시가 가능하였던 55명 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추시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 우, 도수 정복 후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 였으나 환자 요인으로 보존적 치료를 지속한 경우는 연구 대 상에서 제외하였다. 보존적 치료중 골절 전위가 발생하여 수 술적 치료로 전환한 경우에는 본 연구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 다. 남자가 17명, 여자가 38명이었고,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96세까지로 평균 57.6세였다. 수상원인은 보행 중 실족이 49 예(89.1%)로 가장 많았고, 낙상이 3예(5.4%), 운동중 수상이 2 예(3.6%), 기타 손상이 1예(1.9%)였다. 추시 기간은 6개월부터 15개월까지로 평균 7.2개월이었다. 초기 수상 당시 및 도수 정 복 후의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골절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골 절의 분류는 AO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A2형이 17예로 가장 많았고, A3형이 3예, B1형이 6예, C1형이 13예, C2형이 9예, C3형이 7예였다.

초기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후 견인, 척측 변위, 회내전 및 굴곡을 통한 도수 정복을 시행하였으며 전완부를 U형 석고부 목으로 고정하였다. 정복 후 손목관절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요골 경사각이 20�이상, 요골 길이가 10 mm 이상 및 전방 경사각이 5�이상인 경우 보존적 치료의 허용범위로 판단하여 1주 간격으로 방사선 추시 검사를 시행하였다. 관절 내 골절이거나 골간단 분쇄가 있는 경우 도수 정복 후 2-3주 에 장상지 석고붕대 고정을 시행하였고, 4-5주에 단상지 석고 붕대로 교체하였으며, 6-7주에 석고 붕대를 제거하고 물리치 료를 시작하였다. 관절외 골절이면서 골간단 분쇄가 경미한 골절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얻은 예에서는 수상 후 3주에 단상 지 석고붕대로 교체 후 6주째 제거하였다.

정복 직후, 석고붕대로 교체(수상 후 평균 2.7주), 석고붕대

를 제거(수상 후 평균 6.2주) 및 최종 추시 시 시행한 방사선 사진에서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및 전방 경사각을 측정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연령, 골간단 분쇄 유무, 골절 유형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령은 60세를 기준으로 60세 이하(30예)와 60 세 이상(25예)의 두 군에서 각 군의 인접한 측정값의 변화정도 를 두 군 간에 비교하였고, 골간단 분쇄 유무는 골간단의 분쇄 가 없는 골절(19예)과 분쇄가 있는 골절(36예)의 두 군으로 나 누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값의 변화정도를 비교하였다. 골절 유형은 AO 분류법에 따라 A, B, C형 세 군으로 나누어 각 측 정값의 변화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은 정복 직후 각각 평균 22.8�, 12.0 mm, 8.5�였고, 석고붕대로 교체(수상 후 평균 2.7 주)후에는 각각 평균 22.1�, 10.5 mm, 7.7�였으며, 석고붕대를 제거(수상 후 평균 6.2주)후에는 각각 평균 20.1�, 8.7 mm, 4.5�로 변하였고, 최종 추시 시에는 각각 평균 18.7�, 7.4 mm, 4.1�였다(Table 1). 최초 정복 직후, 석고붕대로 교체, 석고붕대 제거 및 최종 추시상 각각의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 각의 평균값 비교에서 석고붕대로 교체한 시점에서 석고붕대를 제거한 시점 사이에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의 측 정값이 다른 기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p<0.001, p=0.002) (Fig. 1). 또한 60세를 기준으로 두 군 간의 비교에서 60세 이상군(25예)에서 60세 이하군(30 예)에 비해 석고붕대로 교체한 시점에서 석고붕대를 제거한 시 점 사이에 요골 경사각과 요골 길이의 값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37, p=0.045) (Fig. 2). 그러나 전방 경사각은 같은 기간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적었다 (p=0.61). AO분류에 따른 A, B, C형 간의 비교에서 요골 경사 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의 측정값 모두 각 시기별로 세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골간단의 분쇄 유무에 따른 방 사선적 변화를 비교한 결과 역시 골간단의 분쇄가 없는 19예 (AO분류 B1, C1형)와 분쇄가 있는 36예(A2, A3, C2, C3형)간 에 각 시기에 따른 측정치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고찰

원위 요골 골절은 정형외과의사가 치료하는 가장 흔한 골절

(3)

중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치료방법은 다양하며 서 로 다른 결과를 보여 왔다.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방법을 결 정하는 기준은 주로 방사선 사진에 의한다1-4. 원위 요골 골절 의 치료후 최종 기능적 결과는 주로 방사선 결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 연구가 있는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최 종 기능적 결과와 방사선 결과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 고하기도 한다5,6.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위 요골 골절을 치료하 는데 있어서 방사선 사진의 결과를 무시할 수는 없으며, 대부

분의 정형외과 의사는 이를 기준으로 치료를 하고 있다. 치료 방법에 있어서도 금속판 고정술, 핀 고정술, 외고정술 등 다양 한 수술적 치료 방법이 있으나, 아직도 많은 수의 원위 요골 골절에서 보존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다1.

Earnshaw 등7은 원위 요골 골절에서 도수 정복 후 73%에 서 전위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고, Roumen 등8은 수상 후 초 기 도수 정복 및 석고 부목 고정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2주후 추시 결과 43%의 환자에서 골절 전위가 발생하였고 10�이상 Table 1.

Summary of the results

Total (n=55) 22.8 22.1 20.1 18.7 12.0 10.5 8.7 7.4 8.5 7.7 4.5 4.1

Age <60 (n=30) 22.4 22.0 21.5 21.0 12.0 10.9 9.9 8.7 9.4 7.3 5.8 5.4

>60 (n=25) 23.2 21.5 18.5 15.8 12.0 10.0 7.2 5.8 7.5 6.2 2.9 2.7

Metaphysis Simple (n=19) 23.2 22.3 20.3 19.1 12.3 10.7 8.9 8.3 8.8 8.3 4.6 4.2

fracture Comminution 21.9 21.8 19.9 17.8 11.8 10.4 8.5 6.8 8.4 7.2 4.3 4.0

(n=36)

AO type A (n=20) 23.5 22.8 20.6 19.2 12.6 10.9 8.5 7.0 8.3 7.6 3.8 3.6

B (n=6) 23.0 21.9 20.3 17.1 13.6 12.6 9.9 9.2 9.8 6.8 4.7 4.6

C (n=29) 22.3 21.6 19.8 18.6 11.3 9.8 8.5 7.5 8.4 8.0 5.0 4.4

Radial inclination (°) Radial length (mm) Volar tilt (°)

Initial Cast cast off Final Initial Cast Cast off Final Initial Cast Cast off Final

FFFFiiiigggg.... 1111.... Significant changes in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shown between ‘cast’ and ‘cast off’. ((((AAAA)))) Radial inclination. ((((BBBB)))) Radial length.

((((CCCC)))) Volar tilt. CR: closed reduction, F/U: follow-up.

FFFFiiiigggg.... 2222.... The changes of radial inclination and radial length were obvious in patient group over 60 years. ((((AAAA)))) Radial inclination, ((((BBBB)))) Radial

length, ((((CCCC)))) Volar tilt. CR: closed reduction, F/U: follow-up.

(4)

의 후방 각 형성 및 5 mm 이상의 요골 길이의 단축이 발생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Makhni 등9은 원위 요골 골절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의 78% 이상에서 이차 전위가 발생하 며, 초기 도수 정복을 시행 받은 군에서 최대 89%의 정복소실 이 발생하였고, 특히 60세 이상의 고령은 정복 후 2차 소실의 높은 유발요인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군에 서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는 60세 이하군과 비교하여 수상 후 약 3주에서 6주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나 전방 경사각은 유의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Leone 등10은 성인에서 정복 직후 6주안에 1/3 이상에서 정 복 소실이 온다고 보고하였고, Jenkins3는 첫 1주에 정복 소실 이 일어나는 경우는 5%에 불과하고, 나머지 환자들은 모두 나 중에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Fo¨ldhazy 등11은 고령의 환자에 서 초기 골절에 대한 도수 정복 후 추시결과 수상 2주에서 4주 사이에 후방 각형성이 가장 많이 재발한다고 보고하였다.

Kim 등12은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에서 요골 경사각, 전방 경사각, 요골 길이가 수상 후 2주째 가 장 많은 정복 소실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는 석고붕대 교체시점에서 석고붕대 제거 시 사이인 수상 후 약 3-6주 사이에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및 전방 경사각의 측정값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 이전의 연구와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Altissimi 등1은 원위 요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시 Frykman 분류체계에 따른 골절의 유형과 정복 소실간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였다. 또한 Fo¨ldhazy 등11은 AO 의 분류체계에 따른 골절 유형과 방사선 사진 상의 정복 소실 간에 관련이 없다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AO의 분류체 계에 따른 골절 유형과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골간단부의 분쇄유무에 따른 정복 소실과의 비교에서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Young과 Rayan5그리고 Jaremko 등6은 고령의 환자들에 서 불만족스러운 방사선적 결과가 반드시 불만족스러운 기능 적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존 적 치료 시 시간에 따른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기에 기능 적 평가를 같이 시행하지 않아 정복 소실과 기능적 결과와의 연관성을 언급할 수는 없으나, 정복 소실로 인한 척골 양성 변 위가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이로 인한 증상 유무에 대해 알아보았으나 일상생활에 제한을 호소하는 환자는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추가 연구 분석이 필 요할 것이다.

Rodriguez-Mercha′n13는 원위 요골 골절의 가장 흔한 합병

증으로 부정유합, 손목 관절통증, 손목 불안정성, 신경 압박 증후군, 손목 관절염 등을 설명하였다. Fitoussi 등14은 수상 후 관절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이를 위해서는 요측 길이와 전방 경 사각의 해부학적 정복이 유지가 필요하고 하였다. 저자들은 원위 요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시 수상 초기뿐만 아니라 골유 합이 진행되는 시기에도 방사선학적 지표가 변화하는 것을 경 험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약 3-6주 사이에 골절 전위가 더 많이 발생하였으며, 이 는 가골 형성이 시작되면서 골절의 안정성이 커진다는 기존 개념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Perren15은 쥐 대퇴골 실험을 통해 가골의 무기질 함량이 약 4주에 최고치를 보이며 이후 차 츰 감소하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는 쥐가 인체보다 골치유 가 빨리 진행되는 것을 감안하면 원위 요골 골절에서 석고붕 대를 제거하는 일반적인 시점이 수상후 6주경에도 골절부의 가골내 직골이 성숙한 층판골로 완전히 대치되지 않았음을 예 상할 수 있고, 따라서 골절부의 완전한 안정화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와 같이 지연성 전위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예 상된다. 특히 6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는 이러한 골유합 시 성 숙화 과정이 지연되므로 시간에 따른 방사선학적 변화의 정도 가 60세 이하군에 비해 더 뚜렷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치 료 초기에 경도의 골절 전위가 발생하더라도 진행되는 양상인 경우에는,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추후 골절 전위의 정도가 더 증가되는 것을 감안하여 수술적 치료 등의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전체적인 환자군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고, 연령, 골간부 분쇄 유무 및 골절형에 따른 분석에서 각 군의 증례수 가 비교적 적어 추후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결과 분석에서도 방사선적 변화에 중 점을 두었으므로 임상적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시행한다면 보 다 유용한 연구 결과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 시 수상 후 평균 2.7주(석고 붕대로 교체한 시점)에서 6.2주(석고붕대를 제거한 시점) 사이 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보존적 치료과정에서 석고붕대 제거 시까지 정복소실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 깊은 관찰을 요하며, 보존적 치료 초기에 허용 범위 이상의 정복 소실이 발생하는 경우 추후 정복소실의 정 도가 더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수술적 치료로의 전환 등 보 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60세 이상

(5)

의 고연령군에서 더 많은 정복 소실이 관찰된 바보다 엄격한 치료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추후 부정유합 등의 합병증을 최 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Altissimi M, Antenucci R, Fiacca C, Mancini GB. Long- term results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Clin Orthop Relat Res. 1986;(206):202-10.

2. Field J, Warwick D, Bannister GC, Gibson AG. Long- term prognosis of displaced Colles' fracture: a 10-year prospective review. Injury. 1992;23:529-32.

3. Jenkins NH. The unstable Colles' fracture. J Hand Surg Br. 1989;14:149-54.

4. Jenkins NH, Mintowt-Czyz WJ. Mal-union and dysfunc- tion in Colles’ fracture. J Hand Surg Br. 1988;13:291-3.

5. Young BT, Rayan GM. Outcome following nonoperative treatment of displaced distal radius fractures in low- demand patients older than 60 years. J Hand Surg Am.

2000;25:19-28.

6. Jaremko JL, Lambert RG, Rowe BH, Johnson JA, Majumdar SR. Do radiographic indices of distal radius fracture reduction predict outcomes in older adults receiving conservative treatment? Clin Radiol. 2007;62:

65-72.

7. Earnshaw SA, Aladin A, Surendran S, Moran CG. Closed reduction of colles fractures: comparison of manual manipulation and finger-trap trac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 Bone Joint Surg Am. 2002;84:354-8.

8. Roumen RM, Hesp WL, Bruggink ED. Unstable Colles'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A randomised trial of external fixation for redisplacement. J Bone Joint Surg Br. 1991;73:307-11.

9. Makhni EC, Ewald TJ, Kelly S, Day CS. Effect of patient age on the radiographic outcomes of distal radius frac- tures subject to nonoperative treatment. J Hand Surg Am. 2008;33:1301-8.

10. Leone J, Bhandari M, Adili A, McKenzie S, Moro JK, Dunlop RB. Predictors of early and late instability fol- lowing conservative treatment of extra-articular distal radius fractures. Arch Orthop Trauma Surg. 2004;124:

38-41.

11. Fo¨ldhazy Z, To¨rnkvist H, Elmstedt E, Andersson G, Hagsten B, Ahrengart L. Long-term outcome of nonsur- gically treated distal radius fractures. J Hand Surg Am.

2007;32:1374-84.

12. Kim JO, Yun YH, Kim DW, Koh YD, Yoo JD, Chang J.

Evaluation of radiological results after closed reduction in Colles’fracture. J Korean Fracture Soc. 2001;14:113-20.

13. Rodriguez-Mercha′n EC. Manage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in the adult. Conservative or surgical? Clin Orthop Relat Res. 1998;(353):53-62.

14. Fitoussi F, Ip WY, Chow SP. Treatment of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with plates. J Bone Joint Surg Am. 1997;79:1303-12.

15. Perren SM. Phys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fracture heal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internal fixation. Clin Orthop Relat Res. 1979;(138):175-96.

(6)

Radiographic Changes in Conservatively Treated Distal Radius Fractures

Hong-Kee Yoon, MD, Myoung-Hoe Kim,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To evaluate the radiographic changes in distal radius fractures treated conservatively.

Materials and Methods:We reviewed 55 patients with a distal radius fracture treated by conservative treatment.

Average age was 57.6 years.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17 were A2 fractures followed by C1 (13 cases), C2 (9 cases), C3 (7 cases), B1 (6 cases) and A3 (3 cases). Closed reduction and U-shaped splint were applied as initial treat- ment. Long arm cast followed by short arm cast were applied for intraarticular or metaphyseal comminuted frac- tures. Radial inclination angle, radial length and volar tilt angle in each radiograph were measured and evaluated by statistic analysis. Radiographic changes according to ages, comminution of metaphysis and fracture type were also evaluated.

Results: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and volar tilt were 22.8°, 12.0 mm and 8.5° after closed reduction, 22.1°, 10.5 mm and 7.7° at casting, 20.1°, 8.7 mm and 4.5° at cast off, and 18.7°, 7.4 mm and 4.1° at last follow-up. All three value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s between casting and removal of cast (p<0.001, p<0.001, p=0.002). Radial inclination angle and radial length in the group over 60 year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s between casting and removal of cast, com- paring with the group under 60 years (p=0.037, p=0.045).

Conclusion:Loss of reduction was more prominent between 3 to 6 weeks after injury, especially in the group 60 years or older.

Keywords:Distal radius, Fracture, Conservative treatment, Radiographic changes

Received:July 12, 2011 Revised:October 28, 2011 Accepted:November 8, 2011

Correspondence to:Hong-Kee Yoo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657 Hannam-dong, Yongsan-gu, Seoul 140-743, Korea

TEL:+82-2-709-9275 FAX:+82-2-796-3682 E-mail:honzi@hanmail.net

참조

관련 문서

STEAM 수업 시간에 우리나라의 기후 변화에 대해 서로 탐구한 내용을 소그룹 발표를 통해 공유하면서 기후 변화에 대해 다양한 관점과 폭 넓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꿀벌 드론 영상을 통해 꿀벌 드론의 연구 개발 진행 상황과 꿀벌이 사라진 후 발생할 문제점에 대해 관심을 갖고 결과를 예측해보는 과정을 통해서 군집 붕괴

종 펌핑된 Er:Yb:Glass 디스크 매질의 온도 변화 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펌프광 크기와 반복률, 펌프 펄스폭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펌프 에너지에 대한

어린 연어는 배에 붙어 있는 난황낭에서 양분을 섭취하며 몇 주 동안 자갈 사이에 숨어 지내요... 하지만 무하메드 왕자를 만난 후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는 전통적으로 보존적 치료가 일차적 치료이다. 대부분 골절부의 혈행이 좋고 골절부의 신연보다는 단축 소견이 많기 때문에 골 접촉면이 넓어져

본 연구는 미생물에 의한 자류철석과 티탄철석의 물성 변화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서 최적의 성장조건에서 배양한 미생물이 자류철석의 물성 변화에 미

이에 저자는 Mul ti l ock대퇴스템을 이용하여 무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중 최소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의 임상적,방사선학적 추시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한 질식 자궁절제술 및 복강경 보조 질식 천골질 고정술이 본 연구를 바탕으로 완전 자궁탈출증이 있는 환자를 교정하는 술식 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