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림에 발생하는 해충을 설명하고 산림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산림에 발생하는 해충을 설명하고 산림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생각톡톡

송충이 잡던 추억이 있습니까?

본 저작물의 저작권은 담당 교수자에게 있음

(2)

식물 재배와 보호

산림에 발생하는 해충을 설명하고 산림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산림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와 방제법

학습목표

(3)

수목류 해충의 분류(종합1)

해충명 분류 가해

양식 발생 월동형태

(장소) 특징

솔나방 나비목 솔나방과

(식엽성) 1회/년

5령유충 (지피물, 나무껍질)

후식의 피해가 큼, 천적은 송충알좀벌(알).

고치벌.맵시벌(유충.번데기) 집시나방

(매미나방)

나비목 독나방과

(식엽성) 1회/년 (나무줄기)

잡식성 해충으로 유충이 잎을 식해, 난괴로 산란, 암컷은 황색털로 덮여 있음 미국

흰불나방 나비목

불나방과

(식엽성) 2회/년 번데기

(나무껍질) 잡식성해충으로 제1화기보다 제2화기의 피해가 심함

(4)

수목류 해충의 분류(종합1)

해충명 분류 가해

양식 발생 월동형태

(장소) 특징

텐트나방 (천막벌레

나방)

나비목 솔나방과

(식엽성) 1회/년 유충이 천막을 치고 모여 살 며 낮에는 쉬고 밤에만 가해

오리나무 잎벌레

딱정벌레목 잎벌레과

(식엽성) 1회/년 성충 (지피물,

흙속)

성충과 유충이 동시에 오리나 무잎을 식해, 유충은 엽육만 먹어 잎이 붉게 변색

잣나무

넓적일벌 벌목

납작일벌과

(식엽성) 1회/년 노숙유충

(땅속) 주로 20년생 이상된 밀생지 에서 발생

(5)

수목류 해충의 분류(종합2)

해충명 분류 가해

양식 발생 월동형태

(장소) 특징

버즙나무 방패벌레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흡즙성) 2회/년 성충 (수피틈)

외래해충으로 약충이 버즘나무(플라타너스)류의 잎뒷면을 흡즙 가해

진달래 방패벌레

노린재목 방패벌레과

(흡즙성)

4~5회 /년

성충 (낙엽,지피물)

잎뒷면을 흡즙 및 가해, 성충과 약충이 동시에 출현 솔껍질

깍지벌레

매미목 깍지벌레과

줄기

(흡즙성) 1회/년 후약충 부화약충이 이동 확산, 님부 해안지대의 해송(곰솔) 피해

(6)

수목류 해충의 분류(종합2)

해충명 분류 가해

양식 발생 월동형태

(장소) 특징

솔잎 혹파리

파리목 혹파리과

(충영성) 1회/년 유충 (지피물,땅속)

유충이 건조에 약하고 먹좀벌류가 천적

밤나무 혹벌

벌목 혹벌과

(충영성) 1회/년 유충 (잎눈내충영)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성생식

소나무좀 딱정벌레목 나무좀과

분열 조직

(천공성) 1회/년 성충 (수피틈)

2차해충으로 유충피해 및 성충의 후식 피해,

먹이나무로 성충유인 방제

(7)

수목류 해충의 분류(종합3)

해충명 분류 가해

양식 발생 월동형태

(장소) 특징

박쥐나방 나비목 박쥐나방과

분열조직

(천공성) 1회/년 줄기를 고리모양으로 가해, 똥을 배출하고 실을 토함 향나무

(측백) 하늘소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분열조직

(천공성) 1회/년 성충 (피해목)

형성층을 갉아 먹고 갱도에 똥을 채워 놓아 외부에서 피해를 발견하기 어려움

밤바구미 딱정벌레목

바구미과 종실

(밤) 1회/년 노숙유충 (땅속)

유충이 배설물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음, 인화늄정제 로 훈증

(8)

수목류 해충의 분류(종합3)

해충명 분류 가해

양식 발생 월동형태

(장소) 특징

솔알락명 나방

나비목 명나방과

종실 (잣나무

구과) 1회/년 노숙유충,알 (땅속, 구과)

잣송이를 가해하여 잣 수확을 감소

도토리 거위벌레

딱정벌레목 거위벌레과

종실 (참나무

구과)

1~2회/

노숙유충 (땅속)

성충은 도토리가 달린 참나무류 가지를 자르고 유충은 도토리 과육 식해

(9)

솔나방

기주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방제 : 유충포살, 살충제, 유아등유살, 잠복소설치로 월동유충방제

천적 (송충알좀벌이, 고치벌, 맵시벌)

발생 : 1회/년(5령 유충형태로 지피물이나

나무껍질사이에서 월동)

피해양상 : 64m 솔잎을 먹는다/일생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0)

미국흰불나방

기주 : 포플러, 버즘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등(활엽수 160여종 가해)

방제 : 가해초기 피해엽 채취 및 소각으로 집단유충방제, 살충제(5 ~ 10월),

발생 : 2회/년( 지피물이나

나무껍질사이에서고치를 짓고 월동)

피해양상 : 100 ~150㎠ 잎을 먹는다/1마리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1)

텐트나방

기주 : 참나무류, 벚나무, 장미, 살구, 포플러 등 활엽수 다수

방제 : 가지에 붙어 월동중인 알덩어리를 채취 소각, 살충제(10일간격 2회정도)

발생 : 1회/년( 알로 월동)

피해양상 : 천막치고 모여 살며 낮에는 쉬고 밤에만 가해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2)

솔껍질깍지벌레

발생 : 1회/년( 후약충의 형태로 월동) 기주 : 소나무, 해송(곰솔), 적송

방제 : 수간주사(포스파미돈액제 50%), 피해목 벌채, 항공방제(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40%)

피해양상 : 유충이 가늘고 긴 입을 나무에 꽂고 수액을 흡수 가해

성충(♀) 성충(♂)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3)

솔잎혹파리

발생 : 1회/년( 유충 형태로 지피물밑이나 땅속에서 월동) 기주 : 소나무, 해송(곰솔)

방제 : 지피물제거로 임지를 건조(유충), 부화유충 구제(약제) 천적(솔잎혹파리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피해양상 : 유충이 솔잎 밑부분에 벌레혹(충영)을 만들고 흡즙

성충 벌레혹과 유충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4)

잣나무 넓적잎벌

발생 : 1회/년 혹은 1회/2년( 노숙유충 형태로 땅속에서 월동) 기주 : 잣나무

방제 : 유충기 살충제 지상 또는 항공방제 땅속의 유충을 굴취하여 소각

피해양상 : 수관 상부부터 앙상하게되여 고사(주로 20년이상 나무)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5)

소나무좀

발생 : 1회/년(성충형태로 수간의 지면 가까운 부분이나 뿌리근처의 수피틈에서 월동)

기주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방제 : 수세가 약한 나무 제거, 먹이나무(이목)배치하여 월동성충 소각 피해양상 : 월동한 성충이 줄기나 가지 가해, 3개 이상 새순가해/마리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6)

아까시아잎혹파리

발생 : 5 ~6회/년(번데기로 월동) 기주 : 아까시아

방제 : 천적(아까시아잎혹파리납작먹좀벌), 적용 살충제 살포(꿀채취시기에는 지양)

피해 : 유충이 새순전체를 말아 가해, 흰가루병과 그을음병 동반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7)

밤바구미

발생 : 1회/년(노숙유충으로 땅속 15cm이내의 깊이에서 월동) 기주 : 밤나무, 참나무의 종실

방제 : 성충을 대상으로 9월상순부터 적용약제 10일간격 2회살포 훈증소독후 물에 12시간 침지하여 저장고 보관

피해 : 유충이 배설물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아 피해식별이 어려움

본 저작물은 국립산립과학원 (http://www.forest.go.kr )의 동의를 얻어 이용하였음

(18)

식물 재배와 보호

산림(수목)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 정리

학습정리

참조

관련 문서

셋째, 신앙적 전설mythic, religious legend은 민간신앙을

이것은 건국신화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화에서

[r]

기업 레버러지 분석.. 1) 기업은 매출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고정비로 인해 최소한 의 매출액이 발생해야 손실을 면할 수 있다.. 2) 손익분기점이 되는 매출량과 매출액을

간이식 후 발생하는 이식편대 숙 주병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이식 후 발생하는 이식편대 숙주병은 사망률이 높고, 아직 효과적인

의료기관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확인하기에서는 직관적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로 서 그림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확인하기 문제는 모든 학생에게

직렬 저항 중 하나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안다면, 옴의 법칙을 이용 하여 전체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은 저항의 양극에서 음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