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eo-wing Pile의 연약지반 현장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Geo-wing Pile의 연약지반 현장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Geo-wing Pile의 연약지반 현장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최진호*, 백계문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Evaluation of Soft Ground of Geo-wing Pile

Jin-Ho Choi

*

, Kye-Moon Beak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Received :Aug. 20, 2017, Revised : Sep. 16, 2017, Accepted : Sep. 23, 2017)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field application with soft ground by Geo-wing pile. Effect of Geo-wing pile is confirmed from the static load, pull-out and horizontal loading tests.

Keyword : Field application, Soft ground, Geo-wing pile, static load test, horizontal loading test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1)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국으로서 에너지 자급도 향 상이 필요하며,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목 표에 관한 의정서인“교토의정서”가 2005년 2월 16일 에 발효됨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 다. 대체에너지는 크게 태양, 지열, 수력 또는 조력, 풍력, 바이오에너지 등이 있으며 이중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형적 여건상 바람이 풍부하여 풍력발전 의 이용이 유리하다. 풍력발전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 환경보호규제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대처 방안으로 공해의 배출이 없어서 청정성, 환경친화성을 가진다.현재까지 개발된 풍력발전기는 대부분 육상에 설치 되어 운전되고 있다. 해상풍력의 경우 육상풍력발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방대한 설치 장소의 확보가 양호해 대규모 풍력발전단 지 조성이 가능하고, 주기적인 강한 바람이 지속되기

Corresponding Author 성 명 : 백 계 문

소 속 :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주 소 : 광주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학교 전 화 : 062-230-7083

E-mail : soil-rock@hanmail.net

때문에 약 1.5~2배의 높은 발전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해안에서 1.5km 내외로 떨어져 설치되기 때문 에 소음과 시각적인 위압감 해소를 할 수 있고, 관광 지역으로써의 부가가치 창출과 어류와 해저 생물의 서 식지 및 철새들의 쉼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된 다. 반면에, 풍력이 강력하여 풍력과 조력에 의한 부 식과 과다한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고 신뢰성 있는 설계 제작이 요구된다.

해상풍력기초는 내륙에 시공되는 교량 및 대형 건축 물들을 지지하는 일반적인 기초와는 달리 파도, 파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파랑하중, 해류하중의 수평하 중(Horizontal load)과 모멘트(Moment)를 축하중 (Axial Load)보다 크게 받는다.

풍력 기초는 유럽에서 지난 20여 년간 활발하게 건 설되어 이용되어 이에 대한 풍력 말뚝기초 부분의 연 구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시공 및 연구가 전무한 관계로 수평하중에 충분 한 수평저항력을 갖는 말뚝기초를 개발을 하고자 한다 (KEITI [1]).

기존 파일의 경우 지중에 파일 부재를 근입하고, 파 일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한 후 기둥부재 하부 의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기초 상부에 결합하는 방식으 로 기둥부재를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파일부재와 기둥부재의 연결방식은 기둥부재가 파일부재 상단에만 고정되므로 풍하중이나 지진하중 등으로 인한 횡하중 에 취약하다. 또한 횡하중에 의해 파일부재가 기둥부 재의 비틀림을 제대로 지지할 수 없어 기둥부재의 변

(2)

형 및 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둥부재 가 지지하고 있는 상부 구조물을 제대로 지지할 수 없 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일부재와 기둥부재가 일정부분 겹치도록 결합하여 횡하중을 기둥부재 뿐만 아니라 파일부재까지 지지하 도록 하는 Geo-wing pile을 개발하였으며, 부안지역 의 연약지반에 현장시험시공과 재하시험을 통하여 지 지력과 수평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1.2 선행연구 분석

현재까지 수직하중을 받는 말뚝기초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수평하중에 관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Paik[2]는 모 래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항타 말뚝의 수평거 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극한수평지지력은 하중의 반복횟수가 많아질수록 감소하였고, 반복수평 하중의 재하 횟수가 증가할수록 최대 휨모멘트는 감소 하였다.Kwon 등[3]은 무리 콘크리트 말뚝의 수평거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말뚝 직경에 대한 길이 의 비(L/D)가 작아질수록 항복하중이 커졌고, 항복하 중에서의 수평변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Hong과 Yun[4]는 매입말뚝의 수평저항력에 대하 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멘트 밀크의 주입비가 증 가할수록 매입말뚝의 수평변위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위치는 지표면에 가까워졌으며, 말뚝의 수평변위는 감 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Lee 등[5]는 해상풍력단지의 말뚝 직경에 따른 횡 방향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FLAC3D 해 석의 결과가 p-y해석의 결과보다 30% 이상 작은 값 을 도출하였고, FLAC3D 해석을 통하여 말뚝의 직경 에 따른 지반의 p-y곡선 산정 결과, 극한지반반력 (Pu)이나 p-y곡선의 강성이 말뚝의 직경에 따라 증가 함을 확인하였다.

국외 문헌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평하중을 받는 단일말뚝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Chang[6]은 지반을 후크법칙에 따른 탄성체로 가정 하고 지반반력계수가 심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고 제 시하였고, Matlock과 Reese[7]은 지표면에서 횡하중 과 모멘트를 받는 단일말뚝에 발생하는 모멘트와 변위 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해를 제시하였다. Broms[8]은 수평력을 받는 말뚝과 지반의 파괴형태를 고찰하여, 말뚝의 휨 강성과 근입깊이 및 지반강성에 의해 말뚝 을 분류하고, 점성토와 사질토로 나누어 말뚝의 극한 수평저항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Matlock[9]는 실제 발생하는 말뚝의 변위형상에 대하여 임의 지점의 지반반력은 반드시 그 지점의 말뚝 변위에만 의존한다 는 가정 하에 지반의 하중과 변위 특성을 탄소성 스프 링으로 대체하여 말뚝 해석법을 제안하였다.

Poulos[10]은 반무한 탄성체의 해석법을 사용해 말뚝 의 수평거동 연구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수평력이 작 용하는 무리말뚝에서 말뚝의 개수보다는 말뚝 간격이

무리말뚝의 거동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 다. Randolph[11]은 수평방향으로 재하된 인접말뚝 사이의 상관계수에 대한 식을 제공하였다. Shintaro 와 Toyoaki[12]는 지반반력 매체를 점탄성 Winkler 모델에 기초하여 수평 반복하중에 의한 단일말뚝의 거 동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Michale 등[13]은 3×3 정 방형배열의 무리말뚝에 원심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말 뚝간격과 상대밀도 변화에 따른 효율 값을 제시하였 다. Lin과 Liao[14]는 20개의 실물크기 말뚝실험을 통하여 사질지반에 반복수평하중이 작용할 경우 말뚝 거동양상을 말뚝의 매설형태와 매입길이, 지반의 상대 밀도와 반복재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Rollins 등 [15]는 점성토 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이 말뚝에 작용 함에 따라 말뚝의 수평저항력은 감소하였다.

Rosqueot 등[16]은 원심모형실험을 통해서 반복수평 하중의 크기와 반복횟수가 말뚝의 수평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처럼 말뚝의 수평거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의 대부분은 반복하중의 작용횟수가 말뚝의 수평 변위와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거나 특정한 하 중조건하에서 지반 반력계수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러나 말뚝의 형상 변화와 현장시험시공을 통한 재하시 험 방법 등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2. 현장시험시공 계획

현장시험 시공된 말뚝들에 대한 압축재하시험, 인발 재하시험, 수평재하시험을 실시하고, 재하시험 분석을 통해 연약지반에 시공된 말뚝의 하중-침하 거동 및 지 지력을 분석하여 향후 기초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 한 공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1 시험말뚝의 제원

Fig. 1 (a)에서 ①은 하부기초로 일반적으로 시공 되는 파일이며, 상부 고정말뚝인 Geo-wing pile의 체 결을 용이하도록 사각형(90x90x3.2t) 강관말뚝을 사 용하였다. ②는 파일 고정형 지지 말뚝으로 Wing을 가지고 있는 Geo-wing pile이며, Wing의 크기는 말 뚝의 중심부에서 끝단까지 150mm, 3000mm의 2종 류를 제작하였다. Wing의 높이는 450mm로 고정하 였다. 추후 현장적용 시  심도에 따라 높이는 변경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③은 하부기초와 상부 파 일 고정형 지지말뚝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이며, ④는 상부기초를 하부기초에 볼트체결 후 압입하여 마무리 되는 과정이다.

(3)

(a) Schematic figures

(b) Lower part of pile (c) Upper part of pile Figure 1. Part of pile

Data of piles(mm)

Quantity Down pile Up pile Wing

90x90x3.2t L=3,050

L=580 300x450 6 L=1,450 300x450 1 L=580 150x450 5 L=1,450 150x450 1

- - 4

Table 1. Data of test piles

2.2 현장시험계획 및 시공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전북 부안지역의 도로공 사 현장에서 시추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시추조사 결과 상부에서 20m 깊이까지 N치 1~5사이에 이루어지는 연약지반으로 구성된 지반을 선정하였다.

Table 1의 재원을 가지는 말뚝 17본의 말뚝 중 2본 의 Moment를 검토한 말뚝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No.1에서 Down1(W150)로 표현된 부분을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자의 Down은 하중이 재 하되는 방향으로 문자를 표시한 것으로, Up은 인발시 험, Down은 압축시험, Horizon은 수평하중시험을 나타내었다. Down 이후에 제시된 숫자 1, 2는 재하 시험 중 1은 5.0kN씩, 2는 2.5kN씩 재하하중을 올 리는 것으로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W150, W300 문자는 Wing 날개의 크기를 표시하여 구분하 였고, Pile로 표시된 것은 일반적인 무보강 말뚝이며, 이는 Geo-wing pile인 상부파일고정 지지말뚝을 사 용한 말뚝과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다. Model명을 확 인하기 쉽도록 다음과 같이 No. 1 ~ No. 17로 말뚝 번호를 표현하였다(Table 2 참조).

Classification Models No. 1 Down1(W150) No. 2 Down1(W300) No. 3 Down1(Pile) No. 4 Up2(W150) No. 5 Up2(W300) No. 6 Up1(Pile) No. 7 Horizon1(W150) No. 8 Horizon1(W300) No. 9 Horizon1(Pile) No. 10 Horizon2(W150) No. 11 Horizon2(W300) No. 13 Up1(W150) No. 14 Up1(W300) No. 16 Down2(W150) No. 17 Down2(W300)

Table 2. Models of test piles

(4)

본 연구에 적용된 시험말뚝은 Fig. 2와 같이 Geo-wing pile로 전답토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에 02 B/H로 압입(타입)시공을 하였으며, 시공이 완료되면 말뚝 상부에 Pile cap을 씌어 인발, 압축, 수평재하시 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시험시공을 진행하였다.

Figure 2. Site view 2.3 현장재하시험

재하시험은 국내․외 규정에 따라 압축재하시험 시 KS F 2445[17], ASTM D 1143[18] 기준을 참고 하였으며, 인발재하시험 시 ASTM D 3689[19], 수 평재하시험 시 ASTM D 3966[20] 기준을 참고하였 다. 시험에서 사용된 재하시험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 중 급속재하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상재하중을 이용하 는 방식으로 목표 시험하중까지 현장재하시험을 계획 하였다.말뚝의 설계하중을 결정하는 것은 지반의 지지력과 말뚝재료의 구조재로서의 강도 및 구조물의 허용침하 량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말뚝재하시험으로 확인 된 극한지지력으로부터 허용하중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안전율이라는 개념이 도입되는데, 말뚝의 설계지지력 을 산정하는 안전율은 재하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3.0으로 사용하나, 국내의 경우 재하시험 이 일반화 되어있지 않아 재하시험에 대한 안전율 적 용에는 명백한 기준이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 에서는 건설부 제정 구조물기초설계기준[21]에서 정 한 극한하중에 3.0의 안전율을 적용하였다.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일반적으로 설계자가 하중조 건, 침하조건, 현지여건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 단하여 결정하는데 재하시험 결과에 의해서 허용지지 력을 구할 때에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최솟값을 선 택하게 된다.

① 항복하중 × 1/2 이하

② 극한하중 × 1/3 이하

③ 상부구조물에 따라 정한 허용침하량에 상당하는 하중 이하

④ 침하량 기준치에 의해 구한 하중의 1/2

본 시험에서는 상기의 분석기준에 대하여 검토한 후 침하양상, 침하량 등을 분석하여 허용지지력을 평가하 였다.

3. 현장시험시공 결과 3.1 압축재하시험 결과

Fig. 3과 같이 압축재하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 내었다. No. 1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3 단계 재하하중인 15.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 에 따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나, 20.0kN 재하부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24.5kN 재하까지 급격한 침하량의 증가가 관찰되었 으며, 하중의 큰 증가 없이 침하량만 지속되는 이론적 인 극한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 확인된 침하량은 52.86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 침하량은 44.82mm로 대부분의 침하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하중은 최대재하하중인 24.5kN로 추정할 수 있 으며, 안전율(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8.2kN/본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국외의 설계기준 Terzaghi and Peck[22]의 전침하량 기준(25.4mm, F.S=2.0)에 의하여 적용해 본 결과, 허용지지력은 11.6kN/본으로 나타났다.

No. 2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3단계 재하중인 15.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나, 4단계 재하하중인 20.0kN 재하 시 급격한 침하량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5단계 재하하중인 25.0kN 재 하 시 하중의 증가 없이 침하량만 증가하는 이론적인 극한 상태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하중은 최대재하하중인 23.0kN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안전율(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7.7kN/본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전침하량 기준에 의 한 결과, 허용지지력은 10.3kN/본으로 나타났다.

No. 3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3단계 재하하중인 1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 나, 15.0kN 재하 시 급격한 침하량의 증가를 보이며, 이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 인 15.0kN 재하 시 측정된 침하량은 82.08mm를 나 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침하량은 79.03mm로 대 부분의 침하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하중은 최대재하하중인 15.0kN 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안전율(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5.0kN/본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전침하 량 기준에 의한 결과, 허용지지력은 5.8kN/본으로 나 타났다.No. 16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3단계 재하하중인 17.5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 나, 20.0kN 재하부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24.5kN 재하까지 급격한 침하량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하중 의 큰 증가 없이 침하량만 지속되는 이론적인 극한상 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종 확인된 침하량 은 25.0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침하량은 58.36mm로 대부분의 침하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하중은

(5)

최대재하하중인 25.0kN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안전 율(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8.3kN/본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전침하량 기준에 의한 결과, 허용지 지력은 11.5kN/본으로 나타났다.

No. 17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12단계 재하하중인 3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 나, 40.0kN 재하부터 하중 대비 침하량의 증가가 급 격히 증가하는 포물선형태의 거동을 보이다 최대시험 하중 단계인 60.0kN 재하 시 이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하중은 최대재하하중인 6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 (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20.0kN/본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전침하량 기준에 의한 결과, 허용지 지력은 27.1kN/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외 설계기준의 경우 분석자에 따른 주관적 오차는 적으나, 제안자 혹은 제안국가에 따라 기준치 가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Figure 3. Results of static load test 압축재하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Table 3과 같다.

No. 16에서 가장 큰 압축지지력을 나타내었으며, 무보강인 No. 3에서 가장 작은 지지력을 확인하였다.

이는 Geo-wing pile인 상부 고정지지 말뚝의 날개부 분이 압축재하시험 시 주면마찰력으로 인해 지반침하 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무보강 말뚝인 No.

3의 지지력에 비하여 Geo-wing pile로 보강된 W150에서는 약 1.6배, W300에서 약 1.5~4.0배 정도의 높은 지지력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Type Load (kN)

Total settlement

(mm) Net settlemen

t(mm)

Ultimate load(FS=3.0)

Settlement (FS=2.0) Ultimate

bearing capacity

Allowable bearing capacity

Ultimate bearing capacity

Allowable bearing capacity

No.1 24.5 52.86 44.82 24.5 8.2 23.2 11.6

No.2 23.0 67.32 65.75 23.0 7.7 20.6 10.3

No.3 15.0 82.08 79.03 15.0 5.0 11.5 5.8

No.16 25.0 59.36 58.36 25.0 8.3 22.9 11.5

No.17 60.0 59.07 55.94 60.0 20.0 54.2 27.1

Table 3. Results of static load test

3.2 인발재하시험 결과

Fig. 4와 같이 인발재하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 내었다. No. 4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4 단계 재하하중인 1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 에 따라 인발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나, 5단계 재하단계인 12.5kN 재하부터 최대시 험하중단계인 15.0kN 재하까지 급격한 인발량의 증 가를 보이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15.0kN 에서 이론 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15.0kN 재하 시 측정된 인발량은 56.05mm를 나타 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인발량은 47.82mm로 대부 분의 인발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 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인발하중은 최대재하하 중인 15.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F.S=3.0) 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5.0kN/본으로 판정하였다.

No. 5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4단계 재하하중인 1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인발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 나, 5단계 재하단계인 12.5kN 재하부터 최대시험하 중단계인 20.0kN 재하까지 급격한 인발량의 증가를 보이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20.0kN에서 이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20.0kN 재하 시 측정된 인발량은 55.63mm를 나타냈으며, 하 중제거 후 잔류인발량은 48.77mm로 대부분의 인발 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 험말뚝의 경우 극한인발하중은 최대재하하중인 2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F.S=3.0)을 고 려한 허용지지력은 6.7kN/본으로 판정하였다.

No. 6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7단계 재하하중인 17.5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인발거동을 보이나, 20.0kN 재하 시 급격한 인발량의 증가를 보 이며, 이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20.0kN 재하 시 측정된 인발량은 51.68mm 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인발량은 42.18mm 로 대부분의 인발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 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인발하중은 최대 재하하중인 2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 (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6.7kN/본으로 판 정하였다.

(6)

No. 13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2단계 재하하중인 1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인발거동을 보이나, 15.0kN 재하 시 급격한 인발량의 증가를 보 이며, 최종 시험하중인 16.5kN 재하 시 이론적인 극 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16.5kN 재하 시 측정된 인발량은 59.53mm를 나타냈으며, 하 중제거 후 잔류인발량은 45.84mm로 대부분의 인발 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 험말뚝의 경우 극한인발하중은 최대재하하중인 16.5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F.S=3.0)을 고 려한 허용지지력은 5.5kN/본으로 판정하였다.

No. 14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3단계 재하하중인 15.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침하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완만한 포물선 형태의 거동을 보이나, 15.0kN 재하 시 급격한 인발량의 증 가를 보이며, 이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 시험하중 단계인 16.0kN 재하 시 측정된 인발량은 64.72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인발량은 48.97mm로 대부분의 인발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인발하 중은 최대재하하중인 16.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 율(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5.3kN/본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4. Results of pull-out test 인발재하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Table 4와 같다.

No. 5와 무보강인 No. 6에서 가장 큰 인발력을 나 타내었으나, 나머지 인발 말뚝과 비교하였을 때 지지 력의 차이는 미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Geo-wing pile인 상부 고정지지 말뚝의 날개부분이 지표면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인발력에 대하여 큰 저항력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ype Load (kN)

Total settlement

(mm) Net settlemen

t(mm)

Ultimate load(FS=3.0)

Settlement (FS=2.0) Ultimate

bearing capacity

Allowable bearing capacity

Ultimate bearing capacity

Allowable bearing capacity

No.4 15.0 56.05 47.82 15.0 5.0 13.0 6.5

No.5 20.0 55.63 48.77 20.0 6.7 17.9 9.0

No.6 20.0 51.68 42.18 20.0 6.7 17.6 8.8

No.13 16.5 59.53 45.84 16.5 5.5 12.8 6.4

No.14 16.0 64.72 48.97 16.0 5.3 12.8 6.4

Table 4. Results of pull-out test

3.3 수평재하시험 결과

Fig. 5와 같이 인발재하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 내었다. No. 7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최 대시험하중단계인 30.0kN 재하까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수평변위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 을 보였으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30.0kN에서 이론 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30.0kN 재하 시 측정된 수평변위량은 43.73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변위량은 30.45mm로 대부분의 수평변위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수평하중은 최 대재하하중인 3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 (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10.0kN/본으로 판정하였다.

No. 8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4단계 재하하중인 2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수평변위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나, 5단계 재하단계인 25.0kN 재하부터 최대시 험하중단계인 40.0kN 재하까지 급격한 수평변위량의 증가를 보이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40.0kN에서 이 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40.0kN 재하 시 측정된 수평변위량은 51.10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변위량은 32.10mm로 대부분의 수평변위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수평하중은 최 대재하하중인 4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 (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13.3kN/본으로 판정하였다.

No. 9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2단계 재하하중인 5.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수평변위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 이나, 3단계 재하단계인 7.5kN 재하부터 최대시험하 중단계인 10.0kN 재하까지 급격한 수평변위량의 증 가를 보이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10.0kN에서 이론 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10.0kN 재하 시 측정된 수평변위량은 62.89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변위량은 42.80mm로 대부분의 수평변위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수평하중은 최

(7)

대재하하중인 1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 (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3.3kN/본으로 판 정하였다.

No. 10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최대시 험하중단계인 30.0kN 재하까지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수평변위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30.0kN에서 이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30.0kN 재하 시 측정된 수평변위량은 35.42mm를 나타냈으 며, 하중제거 후 잔류변위량은 23.23mm로 대부분의 수평변위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다. 따라 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수평하중은 최대재하하중 인 30.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10.0kN/본으로 판정하였다.

No. 11 말뚝의 경우 초기하중재하단계에서 6단계 재하하중인 30.0kN 재하까지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 라 수평변위량도 일정하게 증가하는 선형적인 거동을 보이나, 7단계 재하단계인 35.0kN 재하부터 최대시 험하중단계인 45.0kN 재하까지 급격한 수평변위량의 증가를 보이며,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45.0kN에서 이 론적인 극한상태에 도달하였다. 최대시험하중 단계인 45.0kN 재하 시 측정된 수평변위량은 52.76mm를 나타냈으며, 하중제거 후 잔류변위량은 34.5mm로 대 부분의 수평변위량이 잔류되는 소성거동을 보이고 있 다. 따라서 본 시험말뚝의 경우 극한수평하중은 최대 재하하중인 45.0kN으로 추정되었으며, 안전율 (F.S=3.0)을 고려한 허용지지력은 15.0kN/본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5. Results of horizontal loading test 수평재하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Table 5와 같다.

No. 10에서 가장 큰 수평저항력을 나타내었으며, 무보강인 No. 9에서 가장 작은 수평저항력을 확인하 였다. 이는 Geo-wing pile인 상부 고정지지 말뚝의 날개부분의 면적만큼 수평력에 대한 저항이 나타남에 따라 수평저항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으며, 무보강 말 뚝인 No. 9의 수평저항력에 비하여 Geo-wing pile 로 보강된 W150에서 약 3.3배, W300에서 약 4~4.5배 정도의 높은 수평저항력를 나타내었다.

Type Load (kN)

Total settlement

(mm) Net settlemen

t(mm)

Ultimate load(FS=3.0)

Settlement (FS=2.0) Ultimate

bearing capacity

Allowable bearing capacity

Ultimate bearing capacity

Allowable bearing capacity No.7 30.0 43.73 30.45 30.0 10.0 22.7 11.35

No.8 40.0 48.39 32.1 40.0 13.3 29.2 14.6

No.9 10.0 62.89 47.8 10.0 3.3 6.9 3.45

No.10 30 35.42 23.23 30.0 10.0 22.4 11.2

No.11 45.0 52.76 34.5 45.0 15.0 35.8 17.9

Table 5. Results of horizontal loading test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Geo-wing pile을 개발하여 상부 고 정지지 말뚝으로 기존 말뚝을 보강하였으며, 연약지반 에 무보강 말뚝과 Geo-wing pile 등 총 15본을 압입 (타입)하여 현장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말뚝에 압축, 인발, 수평재하시험을 수행하였고, 무보 강 말뚝과 Geo-wing pile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압축재하시험 결과, 무보강 말뚝보다 Geo-wing pile로 보강되었을 경우 W150에서는 약 1.6배, W300에서는 약 1.5~4배 정도의 높은 지지력 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부 고정지지 말뚝의 날개 부분의 면적만큼 주면마찰력이 작용하여 압축재 하시험 시 지반침하를 감소시키고 지지력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인발재하시험 결과, 무보강 말뚝과 Geo-wing pile 인발력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는 상부 고정지지 말뚝이 상부지반에 설치되기 때문에 인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수평재하시험 결과, 무보강 말뚝보다 Geo-wing pile로 보강되었을 경우 W150에서는 약 3.3배, W300에서는 약 4~4.5배 정도의 높은 수평저 항력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부 고정지지 말뚝의 날개부분의 면적만큼 수평력에 대하여 저항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Wing의 날개 크기만큼 저항력은 커질 것으로 판단되나, 타입 및 압입의 시공성 등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지반조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 로 판단되며, 수평력에 대하여 적정한 심도까지 보강하기 위해서는 심도를 고려해야 되며 이 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8)

사용 기호 t thickness

그리스 문자

 depth of horizontal resistivity

참고문헌

01. KEITI, Konetic Report, No. 2016-041, 1-11 (2016).

02. Paik, K. H.,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6, No. 12, 41-50 (2010).

03. Kwon, O. K., Park, J. U., Kim, J. B. and Lim, D.

H.,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3, No. 8, 57-64 (2012).

04. Hong, W. P. and Yun, J. M.,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12, No. 4, 99-107 (2013).

05. Lee, I., Choi, Y. G., Kim, H. L., Kwon, O. S. and Youn, H. J.,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4, No. 5, 23-32 (2013).

06. Chang, Y. L.,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SCE, Vol. 91, 272-278 (1937).

07. Matlock, H. and Reese, L. C.,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SCE, Vol. 86, No. 5, 63-91 (1960).

08. Broms, B. B.,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SCE, Vol. 90, No. 3, 123-156, (1964).

09. Matlock, H., Preceeding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 Texas, 1204-1222 (1970).

10. Poulos, H. G.,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SCE, Vol. 97, No. 5, 733-751 (1971).

11. Randolph, M. F., Geotechnique, Vol. 31, No. 2, 247-259 (1981).

12. Shintaro, Y. and Toyoaki, N.,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Vol. 120, No. 4, 758-775 (1994).

13. Michale, M., Robert, C. and Shang, T. I.,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SCE, Vol. 121, No. 5, 436-441 (1995).

14. Lin, S. S. and Liao, J. C.,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25, No. 9, 798-802 (1999).

15. Rollins, K. M., Olsen, R. J., Egbert, J. J., Jensen, D.

H., Olsen, K. G. and Gattett, B. H.,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ASCE, Vol. 132, No. 10, 1262-1271 (2006).

16. Rosqueot, F., Thorel, L., Gapnier, J. and Canepa, Y., Soils and Foundations, Vol. 47, No. 5, 821-832 (2007).

17. KS F 2445, Standard Method of Testing Piles Under Axial Compressive Load, 1-12 (2016).

18. ASTM D 1143,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s Under Static Axial Compressive Load, 1-15 (2007).

19. ASTM D 3689,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s Under Static Axial Tensile Load, 1-13 (2010).

20. ASTM D 3966, Standard Test Methods for Deep Foundations Under Lateral Load, 1-18 (2011).

21. Korean Geotechnical Society, Design Standard of Structure Foundation, 45-52 (2016).

22. Terzaghi K. and Peck, R. B., John Wiley & Sons, 1-729 (1967).

참조

관련 문서

HDPE 와 비교할 때 HDPE/Kenaf/EMC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Kenaf 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신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Kenaf 섬유의 길이가 1, 3 mm

PAN 용액 으로부터 제조된 활성나노탄소섬유는 KOH 활성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섬유 직경이 감소하였으며, 표면의 산소 관능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흡착에

14 운동하던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면 등속 직선 운동 을 하며, 물체의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알짜힘이 작용하면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을

이후 물통에 물이 가득 찰 때까지 높이가 다시 일정하게 증가하는 데 처음보다 서서히 오른다.. 따라서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로

정부조직의 균형성과측정에 관한 시론적 연구: Stakeholder-Based Approach 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미국의 경우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지 않지만 공정가치 평가에 있어 SFAS(Statement of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157이 공정가치 측정(fair value

사회봉사활동의 기본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사회봉사활동

Recently, preparing countermeasures about energy depletion and CO 2 emission progressing rapidly is considered as an urgent problem not only in domestic country but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