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of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of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의학 석사학위 논문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

의학전공

(3)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지도교수 한 경 진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1년 8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

의학전공

(4)

조 준의 의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1년 6월 23일

(5)

감사의 글

벌써 2011년의 봄이 지나가고 여름이 다가오는 날에 임상 분야의 의학자로서 첫 걸음을 떼는 의미있는 논문을 쓰는데 도움을 주신 여러 선생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본 논문의 주제와 진행 방향에 대해 조언을 아끼지 않으시고 면밀한 지도를 하여 주신 한경진 교수님께 먼저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논문의 체제 및 내 용의 오류 등을 바로 잡아주시고 토의해 주신 한승환 교수님과 영상의학과 곽규성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정형외과 생활을 하면서 큰 도움과 마음의 의지가 되어 준 손광현 선 생님과 이유상 선생님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또한 논문을 위해 바쁜 시간에도 많은 도움을 주신 후배 김준호 선생님과 정형외과 의국원 선생님 여러분 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항상 저를 보살펴 주시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보듬아 주신 지금까지의 저를 있게 물심양면으로 애쓰고 애정어린 시선으로 바라봐 주신 저의 부모님과 두 누님 에게 그리고 저를 사랑하고 항상 큰 힘이 되어 준 저의 소중하며 아름다운 아내 송 인영 선생에게 감사와 사랑한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매순간 발전하는 사람이 되겠습

(6)

-국문요약-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 금속판 내고정술을 이용한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 치료 와의

비교-연구목적 :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치료에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 정술의 치료 결과를 금속판 내고정술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9년 12월 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4례와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해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 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38례이고,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 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를 기준으로 기능적 평가를 하였고 visual analoue scales 에 따라 통증의 강도 (zero: no pain - 10: extreme pain) 를 평가하였다.

결과 : 골절 유합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14례중 12례(85.7%)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골 유합 시기는 평균 13.2주 이었다.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38례중 35례(92.1%)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4.4주 이었다.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Total 52 points) 에 따른 기능적 점수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44점,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47점 이었다. visual analoue scales 에 따라 통증의 정 도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1.8,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1.4 이었다. 결론 :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경 고하고 정확한 골절의 정복이 가능하고 술후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가 다른 수술방법에 비해 나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핵심어 :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 관혈적 정복,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적 고정술, 금속판 내

(7)

차 례

국문요약 ··· i 차례 ··· ii 사진차례 ··· iii 표차례 ··· iv I. 서론 ··· 1 II. 본론 ··· 2 A. 연구대상 및 방법 ··· 2 B. 수술 방법 및 술후 치료 ··· 4 C. 결과 ··· 4 III. 고찰 ··· 8 IV. 결론 ··· 11 참고문헌 ··· 12 ABSTRACT ··· 16

(8)

사진 차례

Fig. 1. X-ray of DCP plate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 5 Fig. 2. X-ray of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 5 Fig. 3. X-ray of Non-union after the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 7

(9)

표차례

Table 1. Patient profile ··· 3

Table 2. Details of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3 Table 3. Functional Results ··· 6 Table 4. Bone Union ‥··· 6

(10)

I. 서론

상완골 간부 골절은 비교적 흔한 골절로 전체 골절의 약 3%를 차지한다. 단순 골절의 경우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최근에는 견고한 내고정과 조기 관 절 운동, 골절의 유합 및 기능회복을 중요시하고 있다 (Balfour 등, 1982; Brumback 등, 1986; Mast 등, 1975; Sarmiento 등, 1977; Zagorski 등, 1988). 특히 외력에 의해 골절 의 양상이 복잡할 경우, 개방성 골절, 병적 골절, 신경 혈관 손상 및 다발성 외상 등의 경우 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골절의 정복 및 유지가 어려우므로 수술적 치료를 요하며 (Bell 등, 1985; Brumback 등, 1986; Mast 등, 1975; Robinson 등, 1992) 수술적 치료시 금속 판 내고정술이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Bell 등, 1985; Dabezies 등, 1992; Heim 등, 1993) 요골 신경 마비, 광범위한 연부 조직과 골막의 박리, 감염, 술 후 조기 운동의 어려 움 및 내고정술 제거를 위한 이차 수술, 그리고 이차 수술로 인한 요골 신경 손상 등의 문 제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완골 간부골절의 치료로 골수강 내 금속 정 삽입술를 실시하나 이것만으로는 최적의 골절 정복과 고정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저 자들은 골절부위의 관혈적 정복 후 금속판 내고정술의 단점을 피하고 조기운동이 가능한 골 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이의 결과를 금속판 내고정술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11)

II. 본론

A. 연구 대상 및 방법

1997 년 3 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4례와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해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3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하였고 술 후 임 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완골 간부 골절은 surgical neck에서 3cm 하방 과 olecranon fossa에서 5cm 상방 사이로 정하였다. 성별과 연령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 우 남녀비가 11:3이고 평균 연령은 40.6세 (21-62세) 이며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술의 경우 남녀비가 20:18이고 평균 연령은 38.7세(18-86세) 이었다. 손상 원인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교통사고 9례, 실족 및 추락사고 4례 및 기계사고 (절단) 1례였고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의 경우 교통사고 18례, 실족 및 추락사고 16례, 기계사고(절단) 2 례 이었다. 동반 손상으로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4례에서 요골 신경 손상이 있었고 교 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의 경우 4례에서 요골 신경의 손상이 있었다. 골절의 양상과 분포는 횡형골절 6례, 사형골절 7례, 분쇄골절 39례 이었고 이들 중 개방성 골절은 5례 이었다(Table 1). 수술 방법의 선택은 상기간의 전반기에는 분쇄골절의 수술에 금속판 내고 정술을 시행하였고 후반기에는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였 다. 최종 추시에서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Table 2) 를 기준으로 기능적 평가를 하였고 visual analoue scales 에 따라 통증의 강도 (zero: no pain - 10: extreme pain) 를 평가하였다.

(12)

Nail Plate Number 38 14 Open Fracture 3/38 2/14 Comminuted Fracture 34/38 5/14 Oblique Fracture 2/38 5/14 Transverse Fracture 2/38 4/14

Age Average (years) 38.7 40.6

Sex(male : female) 20 : 18 11 : 3

Combined radial N injury 4 4

Back pocket Perineal care

Wash opposite axilla Eat with utensil

Comb hair Use arm at shoulder level

Carry 10 Ib at side Dress

Sleep on affected side Pull

Use hand overhead Throw

Table 1. Patient profile

Table 2. Details of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13)

B. 수술 방법 및 술 후 치료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상완부의 전측부 종절개를 통하여 접근하였고 Titanium 재질의 LC-DCP 를 사용하였다. 요골신경이 손상이 동반되었던 경우는 모두 탐 색하였고 육안적 연속성이 유지되고 있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약 92분 이었다. 술 후 약 3 주간 장상지 석고 고정하였고 이후 상완보조기(coaptation brace) 를 착용하였고 능동적 주 관절 및 견관절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영상의학적 골유합 이후 보조기 없이 저항 운동을 시 작하였다.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의 경우, 앙와위에서 상완부의 전측부 종절개를 통하여 접근하였고 Titanium 재질의 AO-비확공성 상완골 금속정(AO unreamed humeral nail)을 사용하였다. 요골신경이 있는 경우 모두 탐색하였다. 육안으로 골절부를 확 인하고 감입된 연부조직을 모두 제거한 후 골절주변 연부조직 손상을 피하면서 bone clamp 와 towel clip으로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하고 적절한 위치에 1-2개 의 cable wire 를 둘러 고정하였다. 견봉 외측, 대결절 상부의 피부에 약 1 cm 정도의 절개를 가한 후 영 상 증폭 장치 하에 적절한 크기의 금속정을 삽입하고 근위부 및 원위부 고정 나사못을 각각 1-2개씩 삽입하였으며 금속정 삽입 시 금속정의 근위단이 대결절 상단위로 돌출되지 않도 록 주의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96분 이었다. 술 후 약 1 주간 Velpeau sling으로 고정 후 능동적 주관절 및 견관절 운동을 시작하였고 술 후 3주부터 저항 운동을 시작하였다.

C. 결 과

골절 유합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14 례 중 12 례(85.7%)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골 유합 시기는 임상적으로 평균 7.6 주이고 방사선적으로는 평균 13.2 주 이었다(Fig. 1). 관

(14)

shoulder score(Total 52 points)에 따른 기능적 점수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44 점,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47점 이었다. visual analoue scales 에 따라 통증의 정도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1.8,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1.4 이었다(Table 4).

Fig. 1. X-ray of DCP plate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Fig. 2. X-ray of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15)

Nail Plate

Clinical Union(weeks) 7.3 7.6

Radiological Union(weeks) 14.4 13.2

Union Rate 35/38 (92.1%) 12/14 (85.7%)

Nail Plate

ASES Score (52points) 47 44

Pain Scale (0 to 10) 1.4 1.8

Recovery of Radial nerve fuction 4/4 2/4

Table 3. Bone Union

Table 4. Functional Results

술 후 요골신경 손상이나 수술 부위의 감염 소견은 없었다.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 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하고 불유합 된 1 례에서는 요골신경 손상이 동반되었던 경 우이었으며 불유합의 원인은 골절부위가 상완골의 원위부에서 치우쳐 있었으므로 원위 고 정 나사못의 안정성이 낮았고 골절간격이 신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며 자가골 이식 술 시에 원위 고정 나사못을 하나 더 추가하였다(Fig. 3). 자가골 이식 14 주후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골절시 요골신경 손상이 동반되었던 8 례중 6례는 술 후 4개월 이후 신경기능

(16)

Fig. 3. X-ray of Non-union after the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17)

III. 고 찰

상완골 간부의 골절은 대부분 보존적 치료에 의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골절의 형태, 해부학적 위치, 골절의 정도와 전위정도 골절선의 방향 및 특징, 동반손상, 환자의 연 령 및 협조 정도를 고려하여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수술적 치료 를 하는 경우는 보존적 치료를 실패한 경우, 분절 골절, 병적 골절, 동반된 관절 내 골절이 있는 경우, 개방골절, 신경 및 혈관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 floating elbow, 양측 상완골 골절, 다발성 골절의 경우이다. 극히 제한된 경우를 제외하면 수술적 치료방법은 크게 두가 지로 금속판 내고정과 골수정내 금속정 삽입으로 대별 된다 (Kim 등, 1992; Robinson 등, 1992; Stern 등 , 1984; Stewart 와 Hundley, 1983; Ward 와 Whits, 1989). 금속판 내고 정술을 이용한 상완골 간부 골절의 치료는 정확한 골절 부위의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으로 골절의 치유가 빠르고 각 변형이나 회전 변형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골막과 연부 조직의 광범위한 박리를 요하므로 불유합의 가능성이 높으며 혈액 손실이 많고 수술 시간이 길어 감염의 빈도가 높으며 골유합 후 금속판의 제거술을 요할 수 있고, 수술시 의인성 신경 손 상의 가능성이 있으며 술후 어느 정도의 고정을 요하는 단점이 있다 (Kim 등, 1992; Stern 등 , 1984; Stewart 와 Hundley, 1983). 또한 주관절 동통 및 관절 구축의 발생이 높다는 보고도 있다 (Chapman 등, 2000). 골수강 내 금속정 삽입술은 수술 시간이 짧고 피부의 절개가 작으며 골막이나 연부 조직의 손상이 적고 관절의 조기 운동이 가능하고 협조가 잘 되지 않는 환자의 골절 정복 유지에 좋으며 골절의 회전 및 굴곡에 대해 금속판 보다 생역 학적으로 우수하고 안정성이 있어 골의 길이 유지와 골편 정복 유지가 우수하고 심한 분쇄 골절, 긴 나선형 골절, 불유합 및 병적 골절에도 적응이 가능하나 도수 정복시 연부 조직, 신경 혈관 손상이 동반될 수 있고 금속정의 종류에 따라 술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합병증으 로 견관절 충돌 증후군이 많이 발생한다는 점이 있다 (Crolla 등, 1993; Havernek 과 Orthner, 1991; Robinson 등, 1992; Rommens 등, 1995; Ward 등, 1992; Zuckerman 과

(18)

부학적 골절 정복의 부족에 그 원인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 수강 내 혈행 유지의 개념에서 생각할 때에는 비합리적인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골절의 분쇄정도가 심하고 도수정복이 어려울 경우, 대부분 관혈적 정복과 금속판 고정을 위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는 것과, 골절의 정확한 정복 없이 폐쇄성 금속정 삽입술을 시 행하는 것 등과 비교하면 골절의 정확한 정복과 함께 견고한 내고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의 방법에서는 무리한 도수정복에 따를 수 있는 연부조직, 신경 혈관 손상을 처음부터 배제하고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시 피하 절개 후 골절 정복 과정에서 최소 연부조직 박리로 골절 부위만 노출시키고 towel clip 과 bone clamp 로 만 정복하여 골막 및 근육의 부착을 최대한 보존하였고 골편을 최대한 접근시켜 해부학 적 정복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과정까지는 금속판 내고정을 위한 수술 과정과 유사하나 금속판을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골절부의 원위 및 근위부를 연장하는 연부조직 박리가 불가피하며 금속판이 접촉 하는 부위의 상완골의 혈행 장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관혈적 정복 및 골수강 내 삽입할 경 우 추가로 골수강 내 혈행을 손상시킬 수 있으나 금속판 내고정시 필요한 보다 광범위한 연 부조직 박리를 피할 수 있어 골수강 내 금속정 삽입술은 또하나의 유용한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수술적 치료시 금속판 내고정을 시도하지 않고 관혈적 정복 및 골수강 내 금속정을 삽입술을 시행하였고 여러 보고와 다른 좋은 결과를 얻었다. 저자들은 수술 과정에서 골절 정복 후 이의 유지를 위해 cable wire 를 사용하였고 전체 상완골의 각변형과 회전변형 및 길이 단축을 방지하기 위해 교합성 금 속정을 삽입하였다.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후 금속정의 근위부 돌출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저자들의 경우 1례(2.6%)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골수강 내 금속정 삽입술시 상완골 대결절부에서 금속정 의 근위단이 상완골두 속으로 들어가도록 해야 하고 수술시 정확한 금속정 크기 선정 및 수 술 수기가 견봉하 압박증후군을 막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하고 할 수 있고 또한 기존에 견 관절 질환이 있는 자에게는 금속판 내고정술을 실시하는 것이 견관절 기능 장해를 막는 방 법일 수 있다 (Hems 와 Bhullar, 1996; Ingman 과 Waters, 1994; Robinson 등, 1992; Rommens 등, 1995).

(19)

부만 절개하면 되므로 이차적인 광범위 연부조직 박리와 의인성 요골신경 손상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

IV. 결 론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선택할 경우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이 금속판 내고정술에 비해 수술 시간, 요골신경 손상, 불유합, 술 후 상지 기능 및 이차적 내고정술 제거 등의 요소에서 대등한 정도 이상의 좋은 결과를 보 였다. 저자들은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치료시 기존의 결과를 고려하여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21)

참고 문헌

1. Ajmal M, O'Sullivan M, McCabe J and Curtin W : Antegrade locked intramedullary nailing in humeral shaft fracture.

Injury 32:692-694,

2001

2. Balfour GW, Mooney V and Ashby ME : Diaphyseal fractures of the humerus treated with a ready-made fracture brace.

J Bone Joint Surg,

64-A:11-13,

1982

3. Bell MJ, Beauchamp CG, Kellam JK and MCMurty RY : The results of plating humeral shaft fractures in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 the Sunnybrook experience.

J Bone Joint Surg, 67-B:293-6,

1985

4. Brumback RJ, Bosse MJ, Poka A and Burgess AR : Intramedullary stabilisation of humerus shaft fractures in patients with multiple trauma.

J

Bone Joint Surg, 68-A:960-70,

1986

5. Crolla RMPH, de Vries LS and Clevers GJ : Locked intramedullary nailing of humeral fracture.

Injury 24:403-55,

1993

6. Dabezies EJ, Banta CJ, Murphy CP and d'Ambrosia RD : Plate fixation of the humeral shaft for acute fractures with and without radial nerve

(22)

8. Heim D, Herkert F, Hess P and Regazzoni P : Surgical treat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 : the basel experience.

J Trauma, 35:226-32,

1993

9. Hems TE and Bhullar TP : Interlocking nailing of humeral shaft fractures : the Oxford experience 1991 to 1994.

Injury, 27:485-9,

1996

10. Ingman AM and Waters DA : Locked intramedullary nailing of humeral shaft fracturs.

J Bone joint Surg, 76-B:23-4,

1994

11. Kim SJ, Kim TS, Lee KH, Lee DG and Kim BS : A clinical study of the radial nerve palsy associated with humeral shaft fractures.

J Korean

Ortho Assoc, 27:181-187,

1992

12. Mast JW, Spiegel PG, Harvey JP and Harrison C : Fractures of the humeral shaft.

Clin Ortho, 12:254-62,

1975

13. McCormack RG, Brien D, Buckly RE and MD :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shaft of the humerus by dynamic compression plate or intramedullary nail.

J Bone Joint Surg,82-B:336-339,

2000

14. Mckee MD, Pedlow FX, Cheney PJ and Schemitsch EH : Fractures below the end of locking humeral nails : a report of three cases.

J Orth

Trauma, 10:500-13,

1996

15. Robinson CM, Bell KM, Court-Brown CM and McQueen MM : Locked nailing of humeral shaft fractures. Experience in Edinburgh over a two-year

(23)

16. Rockwood CA and Matsen FA III : The Shoulder. Philadelphia:

WB

Saunders, 161,

1990

17. Rommens PM, Verbruggen J and Broos PL : Retrograde locked nailing of humeral shaft fractures : a review of 39 patients.

J Bone Joint

Surg,77-B:84-9,

1995

18. Sarmiento A, Kinman PB, Galvin EG, Schmitt RH and Phillips JG : Functional bracing of fractures of the shaft of the humerus.

J Bone Joint

Surg, 59-A:596-601,

1997

19. Scheerlinck T and Handelberg F : Functional outcome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of humeral shaft fractures : Comparison between retrograde Marchetti-Vincenzi and unreamed AO antegrade nailing.

Trauma

52:60-71,

2002

20. Stern PJ, Mattingly DA, Pomeroy DL, Zenni EJ Jr and Kreig JK : Intramedullary fixation of humeral shaft fractures.

J Bone Joint Surg,

66-A:639-646,

1984

21. Stewart MJ and Hundley JM : Fractures of the humerus, a comparative study in method of treatment. J Bone Joint Surg, 37-A:681-692,1995.,

World

(24)

23. Ward EF and White JL : Interlocked intramedullry nailing of the humerus.

Orthopedics, 12(1):135-41,

1989

24. Zagorski JB, Latta LL, Zych GA and Finnieston AR : Diaphyseal fractures of the humerus: treatment with prefabricated braces.

J Bone Joint

Surg, 70-A:607-610,

1988

25. Zuckerman JD and Koval KJ : Fractures of the shaft of the humerus. In: Rockwood CA Jr, Bucholz RW, Green DP, Heckman JD, eds,

Rockwood

and Greens's fractures in adults. Fourth ed. Vol. 1. Philadelphia, etc:

Lippincott-Raven, 1025-37,

1996

26. Chapman JR, Henley MB, Agel J, Benca PJ. :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of humeral shaft fracture fixation: intramedullary nails versus plates.

J

Orthop Trauma. Mar-Apr;14(3):162-6,

2000

(25)

-ABSTRACT-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of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 Comparison between Plate Fixation

Jo Joon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Associate Professor Han Kyeong Jin, M.D)

Purpose : We compar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he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and DCP plate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 Fourteen plates(LC-DCP) and the thirty eight interlocking IM nail(AO unreamed IM nail) were applied after open reduction for 52 comminuted fractures of the humeral shaft between March 1997 and Desember 2009.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12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red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26)

respectively.

Conclusion :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is better method with good fu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than plate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Key Words : Humerus, Comminuted shaft fracture, Open reduction, Interlocking IM nail, Plate fixation

수치

Fig.  1.  X-ray  of  DCP  plate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  5 Fig
Table  1.  Patient  profile  ·················································································  3
Table  1.    Patient  profile
Fig.  1.  X-ray  of  DCP  plate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3

참조

관련 문서

Micro- and nano-sized por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loy using PEO and anodization methods, and the pore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Zr

 limit the crack growth by increasing # of site of crazing or

contralateral extremity except 3 patients who had comminuted fracture at the last follow-up. These three cases showed an angular deformity of less than 5 degrees and

[r]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반응수정계수) : decrease of earthquake load when ductility of the structure is good.

The clinical outcome and complication for treating proximal femoral shaft frac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group treated with clos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In this study, it is shows that the stream of CO 2 is more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unreacted TEGDMA and the increase of surface microhardness than that of N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