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T of temporal bone: IV. inner ea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T of temporal bone: IV. inner ear"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射 線 톨§ 學 會 誌 第26卷 第3號pp. 509-516, 1990 Journal 01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6(3) 509-516, 1990

- Abstract-

측두골 CT

-제 4 보:내이-

고려병원 방사선과

권 재 윤·성 규보·윤은경·박윤경·이 영 욱

CT of Temporal Bone - IV. Inner Ear-

Jae Yoon Kwon

,

M.D.

,

Kyu Bo Sung

,

M.D.

,

Eun Kyoung Youn

,

M.D.

,

Youn Kyeung Park

,

M.D.

,

Young Uk Lee

,

M.D.

Department o[ RadioJogy, Koryo GeneraJ HospitaJ

Temporal bone CT was done in 697 patients from April 1985 to October 1989. The abnormal findings were seen in 453 patients, which were chronic otitis media in 355 patients, fracture in 49 patients and congenital anomaly in 44 patients, etc. The abnor- mal findings of inner ear were observed on 46 patient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inner ear involvement by chronic otitis media was 7.3 % (261355:

labyrinthine fistula in 17 patients, labyrinthitis ossificans in 9 patients). labyrinthine fistula was most commonly located on lateral semicircular cana!( 15117, 88.2 %).

2. Fusion of vestibule with lateral semicircular canal and formation of common cavity was demonstrated incidentally in 5 patients(O.7 % of total number of temporal bone CT), and bilateral in 3 patients

3. The incidence of inner ear anomaly in congenital ear anomaly was 11.4 % (Eν<1,4). All cases were bilateral and three patients showed associated middle ear anomaly.

4. The incidence of involvement of bony labyrinth in temporal bone fracture was 10.2

%(Eν<1, 9). Labyrinthine fracture was seen all patients of transverse (3) and mixed fracture( 1). In longitudinal fracture, labyrinthine fracture was seen in 2.2 %( V45).

5. Orthers were traumatic labyrinthitis ossificans( 1), intracanalicular acoustic neuroma(3) and facial nerve neuroma(l).

Index Words: Temporal bone, CT, 213.1211

Tempor외 bone, abnomalities, 213.14 Temporal bone, fractures, 213.41 Temporal bone, neoplasms, 213.36

이 논문은 1990 년 2 월 12 일 접수하여 1990 년 5월 28 일에 채었음

- 509 -

(2)

- 大韓放射線뚫쩔會註‘ : 第26 환 第3 號 1990 -

는 상반규관의 상부까지, 관상주사는 횡단주사에 가 능한 한 직 각으로 하여 앞쪽으로는 와우각이 , 뒤 쪽으 로는 후반규관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각 편의 두께

I

흐료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발달로 인하여 측두골질환의 진단에 있어서도 전산화단층촬영(이하 CT로 약함)과 상호 보왼적인 관계에 있으나, 국외에서는 물론 국내 에서도 발표되어 있듯이1-31 CT 가 아직도 골자체의 이상(골경화증 선찬성기형, 골절 및 연부조직 종괴 로 인한 골변화등)을 보는 데는 가장 좋은 진단방법이 며 특히 골성미로의 세부구조를 관찰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1 ,:')

내이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기관이며, 특히 와우각 삽입울(Cochlear 1 m plantation)등 이비인후과 수술방 법의 발달로 인하여, 내이파급의 수술전 진단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측두골 CT 상 내이에 이상소견이 관찰된 예를 모아 문헌고찰 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I.

대상 및 방법

1985 년 4 월부터 1989년 10 월까지 4 년반 동안 고려병 원에서 697례의 측두골CT를 시 행하여 453 례에서 이 상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내이의 이상소견을 보 인 4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남자가 26 명, 여자가 21 명 이었으며 연 령분포는 8세에서 65 세로 다양하였다.

CT는

GE

CT / T9800 을 사용하여 횡 단 및 관상주 사를 하였으며, 횡단주사는 비근점-외이도선에 평행 하게하여 아래쪽으로는 외이도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와 간격은 1. 5 mm로 하였다.

촬영조건은 120KVP.120mA, 주사시 간 4초, 512 X512 matrix 를 사용하였고 bone algorithm 으로 촬영 하였다.

조영제증강은 일반적으로 하지않았으며, 임상적으 로 소뇌-뇌교각종양이 강하게 의심되지만 측두골 CT 상 이상소견이 없거나 내이도의 경미한 확장의 소견만 있는 경우에는 조영제증강을 하여 후두와 부위에 종양 의 유무를 확인하고, 종양의 소견이 그후에도 뚜릿하 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뇌조조영 CT(air CT cisterno- gram)를 시행하여 내이도내의 종양 유무를 확인하

였다.

m. 결 과

이상 소견을 보인 측두골 CT 453 례중 내이의 이사 상은 46 례에서 관찰되었으며, 원인별로 보면 종이염 환자 355례중 합병증으로 발생한 미로루 17례와 화골 성미로염이 9 례였으며, 측두골골절 49 례중 5 례에서 내이를 지나는 골절선을 관찰할 수 있었고, 내이의 선 천성기형 10 례 외에 외상으로 인한 화골성미로염 1례 및 종양이 4 례였다.

1. 미로루

전체 중이염환자중 발생빈도는 4.8% (17/355) 였으며 미로루 형성부위는 외반규관에 14 례, 외 및 후 반규관에 1 례, 후 및 상반규관에 l 례, 상반규관에 1 례

a b C d

Fig. 1. Labyrinthlne fistu1a at lateral semicircular canal(a). lateral and posterior semiclrcular canals(b) and

여lperior semicircular canal(c.d)

m

ω

(3)

- 윤 외 측두골 CT

씩 관찰되어 외반규관에 형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 며(1 5/17 , 88.2%), 전례에서 중이강 및 유양동에 진주종으로 생각되는 병변이 관찰되었다(Fig 1)

2. 화골성미로염

중이염환자의 2. 5 % (9 / 355) 에서 합병층으로 발 생하였으며, 1 례는 7 년전에 외상후 청력이 상실된 환 자에서 관찰되었다.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화골성미로염에서는 골성미로가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경화성 글로 교체 되어 있었고, 5 례에서 중이강 및 유양동에 진주종으로 생각되는 연조직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4 례에서는 유 양돌기절제술을 받은 소견이 관찰되었다.

외상성 화골성미로염도 골성미로 부위에 같은 소견 을 보였으며 골절션이나 중이염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 았다(Fig. 2).

3. 골성미로 을절

콜성마로 골절의 발생빈도는 전체 측두골 골절중 10.2 % (5/49) 였으며, 종위골절 45례중 1례(2.2 %)

에서, 횡위골절 3 례와 혼합골절 1 례는 전례에서 관찰 되었다.

종위골절에 동반된 1례는 와우각과 반규관을 지나 중이강과 유양동으로 띤장되는 골절선이 관찰되었으 며, 횡위골칠 3 례는 전정부위를 지나는 골절선이 관찰 되었고 기타부위의 골절선이나 출혈로 인한 흔탁 등의 이 상 소견은 없었다. 흔합골절에 서 는 유양동과 고실 을 지나는 종위골절과 전정부위를 지나는 횡위골절이 동반되었으며, 중이강과 유양동 및 유폴봉소( mastoid air cells)에 출혈로 인한 혼탁과 추침골관절 탈구 (in.

cudomalleolar dislocation)가 관찰되 었다(Fig. 3).

4. 전정과 외반규관의 동공형성

내이 기능의 이상 소견없이 중이염 또는 골절등의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되어 전체 측두골CT중0.7

%

(5

/69 7)에서 관찰되었으며, 5 례중 양측성이 3 례, 편측 성이 2 례였다.

횡단주사상 동공형성은 4 례에서 외반규관과 전정을 합한 것과 같은 범위에서 관찰되었으며, 1례에서는 다 소 작은 범위에서 관찰되었다(Fig 4).

5. 감각신경성 난점을 동반한 내이기형

선천성 이기형 환자중 11. 4 % (5 / 44) 에서 관찰되 었으며 전례에서 양측성 이었고 3례에서는 중이의 기 형과 동반되었다. 와우각의 기저부를 제외한 중간부

b

Fig. 2. a. 1γmpanogenic Iabyrinthitis ossificans FocaI bony replacement of bony Iabyrinth and cholesteatoma of middle ear.

b. Post-traumatic Iabyrinthitis ossificans: totaI bony replacement of bony Iabyrinth in the patient of hearing Ioss after trauma(left side).

데 씨

(4)

大함放射線훨쩔영註 : 26 환 第3 號 1990

b c

Fig. 3. Labyrinthine involvement is noted In trans- verse(al, mixed(bl, and longitudinal temporal bone fracture(c).

와 첨부가 하나의 동공을 이루는 기형이 4 례에서 관찰 되었으며 모두에서 전정과 반규관의 형성부전 혹은 확 장이 동반되었다(Fig 5).

기타 1례에서는 와우각의 명확한 이상소견 없이 전 정과 반규관의 형성부전이 관찰 되었다.

6. 조。 t 0 0

내이도에 국한되어 발생한 청신경종 3례와 안면신 경의 슬신경절에서 발생한 신경종이 1 예였다.

청신경종 3례에서는 보통의 측두골CT 상 환측의 내

Fig. 4. Common cavity of vestibule and lateral semicircular can외.

이도가 확장된 소견만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후 회 당주사상 후두와에 종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공기 뇌 조조영 Cτ상 내이도에 연조직 종괴가 발견되었다

(Fig 6)

슬신경절애 발생한 안면신경종은 연조직종괴 및 주 변부 골파괴의 소견과 함께 중이강 내로 연장된 연조 직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이로인한 이소골 파괴 및 만 성유양돌기염의 소견을 보였t:j-(Fig 7).

N.

고 잘

내이는 평형감각과 청각을 관장하는 기관으로 골성 미로와 막성미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성미로는 전 정, 반규관, 와우각등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내림프 로 채워져 있는 막성미로는 난형낭, 구형냥, 반규관과 와우각관 등으로 이루어져있다6-9)

골성미로는 CT 상 세부구조를 관찰할 수 있으나 악 성 미 로는 CT 상 그 구조를 관찰하는 것 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측두골 CT 상 진단의 범위는 골성미로에 변화 가 온 경우에 국한된다4,9}

그러나 종양환자에서는 보통의 측두골 CT 또는 공 기뇌조조영 CT 의 방법으로 연조직종괴나 주위의 골변 화를 관찰할 수 있다

u

F

υ

(5)

- 권재 윤 외 : 측두끌 CT -

b

Fig. 5. Mondini anomaly(a: axial. b: coronal) : De- creased cochlear turn and single cavity of apic외 and middle turn of cochlea(arrow heads). Small lateral semicircular canal and widening of vestibule are also seen(arrows).

중이염에 의한 내이의 질환으로는 미로루와 화골성 미로염이 있다. 미로루는 중이염 환자에서 고실로 부 터의 골파괴로 인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정확한 수술전 진단은 수술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하떠, 안면신경마비 와 함께 진주종의 내이 합병증으로 가장 빈발하는 것

중 하나이다\0-12) 미로루 형성의 호발부위는 외반규

관으로 알려져 있으며13-\11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같 은 결과였다.

화골성미로염은 원인에 따라 중이염에 의한 고실 성 뇌막염에 의한 뇌막성 바이러스에 의한 혈행성 및 외상후 출헬과 골내막 증식에 의한 외상성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lSI 고실성의 경우에 중이의 염증은 정 원창(round window), 난원창(oval window) 및 미로 루를 통하여 내이로 파급할 수 있으며, 초기의 화농성

c

Fig. 6. Intracanalicular acoustic neuroma

a. Routin axial scan shows only widening of right internal auditory can외.

b. Postcontrast scan shows no definite enhancing mass on right cerebellopontine angle area.

c. bulging mass at right internal auditory can외 IS

well outlined in air cisternogram m

(6)

- 大韓放射線醫學會註: 第26 卷 第3 號 1990

미로염은 CT 에서 이싱 소견을 발견할 수 없으나, 염 증이 장기간 지속되면 골성미로염을 형성하여 CT 상 발견할 수 있게된다. 골성변화는 골내막, 와우각 및 기저막의 간엽세포 증식의 결과로서, 이 세포들이 섬 유아세포로 분화되고 다시 골아세포로 분화되어 미로 강 내의 비정상적인 골섬유주로 분화하게 된16.171

CT

소견은 전반적 혹은 국소적인 경화를 보이며 고실 성인 경우는 편측성으로, 뇌막성 및 혈행성인 경우는 양측성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 15) 골경화가 오면 CT상 골성미로의 구조가 관찰되지 않이 내이의 선천성기형 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선천성기형의 경우에는 정상 적인 와우각 융기가 없는 것과 중이염의 소견이 없느 것이 감별점이 된다181

측두골 골절은 부위에 따라 인부(squamous por- tion) 골절, 고실부(tympanic portion) 골절, 추체부 (petrous portion) 골절 등으로 나누어 추체부 골절을 다시 미로골절괴 미로외골절 둥으로 나누기도 하띠, 일반적으로 골절선의 주행빙향에 따라 종위골절, 횡 골절 흔합골절로 분류한다19.201

추체종축에 평행한 종위골절이 가장 빈번하게 관찰 되지만(70-90 %), 골절선이 내이를 지나는 것은 드 물며 감각신경성 청력소실이 오는 경우에도 내이를 침 범하는 골절보다는 미로진탕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201 ) 미로진탕은 압력파가 뼈를 통하여 와우각과 진정

에 전달되이 긴장지극과 출혈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긴J1

골젤선이 추체종축에 수직인 횡위골절은 전체 측두 골 골절의 10-30 %를 차지하며 종위골절에 비하여

Fig. 7. FaciaJ nerve neuroma of geniculate ganglion with bony erosion (a: axiaJ. b: coronal).

골성미로의 침범이 더 빈번하게 관찰되고 골성미로내 의 공기음영(pneumolabyrinth)이 보일 수도 있다21 221

혼합골절은 종위골절과 횡위골절이 함께 있는 것이 며 대부분 심한 외상의 경우에 관찰된다.

이상과 같은 골절의 분류에서 골성미로 골절의 빈도 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저자들의 예중 횡위골 절과 혼합골절에서는 전례에서 관찰되었고, 종위골절 에서는 2.2

%

(l! 45)에서 관찰되었다.

내이의 기형은 중이 또는 외이의 기형에 비하여 드 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중이의 기형과 15

%

정도 에서 동반된다23)

내이의 기형에서는 반규관의 기형이 가장 흔하며 그 중에서도 외반규관이 전정과 하나의 동공을 이루는 형 태가 가장 많다. 그외에 상반규관이나 후반규관이 전 정과 하나의 동공을 이루는 기형도 있으며 모두 임상 적인 의의는 없고 대부분 우연히 발견된다18, 231

그외 감각신경성 난청을 나타내는 내이기형으로는 Schiebe씨 기 형 , Alexander 씨 기 형 , Michel씨 기 형 및 Mondini씨기형이 있으며, 그 중 선천성 청각상실의 가장 많은 원 인 인 Schiebe씨 기 형 은 Alexander 씨 기 형과 더불어 막성미로에 국한된 기형이므로 CT 상으 로는 진단할 수 없다15.18.231 Miichel씨 기형은 아주 드 문 것으로서 상염색체 우생으로 유전된다고 알려져 있 으며 내이의 완전한 형성부전을 특정으로 하고 외이와 중이는 보통 정상이다15.231 Mondini 씨기형은 Michel 씨기형보다 흔하며 와우각의 기저부는 정상발달을 보 이나 첨부와 중간부가 하나의 동공을 형성하고 와우축 골성나선판이 없는 기형으로서 전정의 발달장애를

할 수 있15.18,2:11

중이와 내이의 기형이 동반될 수 있는 증후군으로는 Goldenhar씨증후군, Klippel- Feil 씨증후군, 골화석 증 및 Thalidomide에 의한 기형등이 있다191

저자들의 예중 특별한 증후군에 통반된 예는 없었으 며 4 례는 Mondini 씨 기형이며, 1 례는 특별히 어느 것 으로 분류할 수 없는 전정과 반규관의 기형이었다.

측두을 부위를 침범하는 종양에는 분리종(chor- istoma), 이구종(cerumino야 tumor), 평편상피세포 암, 조직구증식증, 골종, 수막종, 섬유성 이형성증, 파골세포종, 연골종, 연골육종, 횡문근육종, 신경종, 경정맥사구종, 전이암등이 있으며 내이도와 소뇌-뇌 교각의 종양으로는 청신경종, 수막종, 진주종, 신경

대 μ

(7)

- 권재 융 외 : 측두골 CT-

교종 혈관종퉁이 있다15,24)

청신경종은 제 8뇌신경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소뇌 -뇌교각의 내이도에서 발생하는 종양중 85-95 %나 되며, 두개강내 일차성 종양의 5-10 %를 차지한다25.

26) 내이도에서 발생한 경우 측두골 CT 상 내이도 확장

의 소견만이 관찰되며, 일반적인 조영증강촬영에서 종괴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뇌조조영 CT 가 진단에 이용되며 최근 자기공명영상으로도 진단할 수 있다.

안면선경종은 안면신경관 어느 곳애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안연신경관의 제3 부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현재에는 안면신경관의 제 l 부 와 슬신경절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다2ï)

안면신경관 파급의 정도는 CT 상으로 연조직종괴와 주변부 골파괴로 알 수 있으며, 경미한 경우 안면신경 관이 확장된 소견만을 보이나 이러한 소견은 중이염이 동반되어 유양돌기염으로 인한 안면신경관의 확장괴 감별이 문제가 되었다.

기타 Paget 씨병에서 골성미로의 광물질탈실(demi.

neralization) 을 보일 수 있고, 이경화증에서 미로의

외벽, 와우각융기, 정원창함요, 남원창함요 또는 와 우각등의 골경화를 CT 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앤

V

트료

1985 년 4 월부터 1989 년 10 월까지 약4 년반 동안 고려 병원에서 697례의 측두골 CT시행하였으며, 453 예 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원인질환 별로 보면 중이염 355 예, 골절 49 예, 선천 성기형 44 예퉁이 있었으며, 그중 내이에 이상 소견 을 보인 46 예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 었다.

1. 중이염에 의한 내이의 합병증은 7.3 %(26/ 355)에서 관찰되었으며, 미로루 17 례와 화골성미로염 9 례였고, 미로루는 외반규관에 가장 빈번하게 형성되 었다(1 5 /1 7, 88.2 %).

2 전정과 외반규관이 하나의 동공을 이루는 기형은 전체 측두골CT 중 0.7 %(5/69 7)에서 우연히 발견 되었다.

3. 감각신경성 난청을 보이는 내이기형은 산찬성 이 기 형 환자의 11. 4 % (5/44) 에 서 관찰되 었으며 3

예는 중이의 기형과 동반되었다.

4. 측두골 을절 환자중 10.2 %(5/49) 에서 미로골 절이 관찰되었으며, 횡위골절 (3례)과 혼합골절 o 례) 은전례에서, 종위골절은 2.2%0/45)에서 발생하 였다.

5. 기타 외상성 화골성미로염 1 예, 내이도 청신경종 3 례와 슬신경절 부위의 안면신경종 l 례가 있었다

REFERENCES

L 윤은경 측두외상 환자의 고해상력 전산화 단충촬 영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6 22 : 683-688 2. 함소희, 안정숙, 성규보 동- 중이염 환자에서의 측두

골 CT 이용(제 2 보). 대한 방사선의 학회지 1987; 23 : 669-677

3. 황정원, 문민주, 성규보. 선천성이기형의 CT 소견 (측두골 CT 제 3 보).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8 24

: 731-738

4. Swartz JD. Listening for some thing New: The latest in Imaging the Temporal Bone. Seminars in Ultrasound, CT, MR 1989; 10: 177-177 5. H이 liday RA, Reede DL. MRI of mastoid and

Middle Ear Disease. Radiologic Clin N Am 1989: 27:283-299

6. Warwick R, Williams PL. Grays Anatomy. 35th Ed. Great Britain: Longman, 1973 1146-1158 7. Schuknecht HF. Gulya AJ. Anatomy of the Temporal bone with Surgical Implications. Phi.

ladelphia Lea & Febiger, 1986: 129- 135 8. Donaldsom JA, Miller JM. Otolaryngology Phi-

ladelphia: W. B. Saunders. 1980:26-62 9. Brogan M. Chekers DW. CT and MRI of the

normal Anatomy of the Temporal Bone. Semi nars in Ultrasound, CT, and MR 1989:

10:178-194

10. Holliday RA. Inf1ammatory Disease of the Tem poral Bone Seminars in Ultrasound. CT. and MR 1989; 10:213-235

11. Johnson DW. Hinshaw DB. Hasso AN et al.

Computed Tomography of local complications of temporal bone cholesteatomas. J comput Assist Tomogr 1985: 9:519-523

12. Silver AJ. Jonecka 1. Wazen J et al. Complicated cholesteatomas: CT finding in inner ear com.

π ω υ

(8)

- 大韓放射線훌훌텔會픔‘ · 第26 卷 第3 號 1990 -

plications of middle ear cholesteatomas. Radiol- in Ultrasound. CT. and MR 1989; 10:262-279 ogy 1985; 164: 47-51 22. Lipkin AF. Bryan RN. Jenkins HA. Pneumolaby- 13. Swartz JD. Imaging of the Temporal Bone. New rinth after temporal bone fracture: Documanta- York: Thieme. 1986; 33-95 tion by high resolution CT AJNR 1985; 6:294 14. Valvassori GE. Buchingham RA. Cholesteatoma -295

of the middle ear & mastoid. In: Valvassori GE. 23. Kaseff LG. Jardin C. The radiologic examination ed: Head and Neck Imaging. New York: Thieme. of ear malformations. In: Viignaud J. ed: The

1988; 90-114 ear diagnostic Imaging. New york: Masson.

15. Swartz JD. Imaging of the Temporal bone. New 1986; 104-123

York: Thieme. 1986; 117-160 24. Scanlan R. ‘Jardin C. Vignaud J. Tumors of the 16. PapareJla MM. Otolaryngology. 2nd Ed Vol 2. ear. In: Vignaud J. ed: The ear Diagnostic Imag-

Phialdelphia: W.B.Saunders. 1980; 1735-1736 ing. New York: Masson. 1986; 210-229 17. Suga F. Lindsay JR. Labyrinthitis ossificans 25. Valvassori GE. The abnormal internal auditory

due to chronic otitis media. Ann Otol Ryinol canal The idagnosis of acoustic neuroma

Lsπngol 1975 84:7-44 Radiology 1965; 92:449-459

18. Eelkema EA. Cutin HD. Congenital Anomalies of 26. Hasso AN. Vignaud J. Bird CR. Pathology of the the Temporal Bone. Semminars in Ultrasound. temporal bone and mastoid: Computed CT. and MR 1989; 10:195-212 tomography of the Head and Neck. new York:

19. Tennenbaum PH. Ear trauma. In: Vignaud J Raven. 1988:5.1-5.45

ed. The ear Diagnostic Imaging. New York: 27. Curtin HD. Facial nerve canaJ. In: Vignaud J.

Masson. 1986; 146-158 ed. The ear Diagnostic Imaging. New York 20. Swartz JD. Imaging of the Temporal Bone. New Masson. 1986:318-333

York: Thieme. 1986; 179-188 28. Swartz JD. Imaging of the Temporal Bone. New 21. Dolan KD. Temporal Bone Fractures. Seminars York: thieme. 1986;161-177

m

[h u

수치

Fig.  1.  Labyrinthlne fistu1a  at lateral semicircular canal(a).  lateral  and  posterior semiclrcular canals(b)  and
Fig.  2.  a .  1γmpanogeni c  Iabyrinth itis  ossi ficans  Foca I  bony  r eplaceme n t  of  b ony  Iabyr inth  and  cholesteatoma  of  middle  ea r
Fig.  3.  Labyrinthine  involvement  is  noted In  trans- trans-verse(a l,  mixed(b l,  and  longitudinal  temporal  bone  fracture(c)
Fig.  5.  Mondini  anomaly(a:  axial.  b:  coronal) :  De- De-creased cochlear turn and single cavity of  apic외  and  middle  turn  of  cochlea(arrow  heads)
+2

참조

관련 문서

Data sampled at the scan interval is recorded in the internal memory as measured data for each specified data type (display data and event data).. Measured value at

• The supply and demand curves cross at the equilibrium price and quantity.. • You can read off approximate equilibrium values

A tangential section of the common ivy, Hedera helix, shows some vasicentric tracheids to the left of the vessel, which is the white space at right.. A maceration of the wood

Rudders (number) (type) 。 (maximum angle) Time hard-over to hard-over (sec) Rudder angle for neutral effect 。 Propellers (numbers) Direction of turn

▣ 신경계 짂단과 검사.. 1) 컴퓨터 단층 촬영술(Computed Tomography Scan, CT scan) - 조 영젗를 주사하거나 조영젗 투여 없이 뇌의 3차원적읶 영상을 얻는

P.( Kidney

성공적인 모금을 위해 모금단체 의 구성원 중 가장 적합한(Right) 요청자가 적합한(Right) 잠재기부자에게 적절한 (Right) 기부액과 프로젝트를 적절한(Right)

Unique members represent the cumulative number of members that have borrowed on the SoFi platform or opened a financial services account through SoFi Money, SoFi Invest, So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