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R Predictors of Bone Cement Leakage in Patients Receiv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R Predictors of Bone Cement Leakage in Patients Receiv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경피적 척추 경화술(percutaneous vertebroplasty)은 초기 척추의 혈관종 치료를 위해 시도된 후 척추 전이 병변이나 다 발성골수종에 의한 척추 골절 및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 골절 의 치료에 유용한 최소 침습 치료로 많은 보고가 있으며 임상 적 시술도 증가 하고 있다(1-5). 척추 경화술은 임상적 보존

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골절에 대해 시도하는 치료로 통증 경 감과, 척추 압박 변형 진행 억제 또는 회복, 폐기능 감소 억제 및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6-10). 경피적 척추 경화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로 국소 마취를 통해 비교적 용이한 시술 이 가능하나 척추 경화술 치료에 이용되는 골 시멘트 (polymethylmethacrylate)의 누출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가 능성이 있는 점에 주의 하여야 한다. 골 시멘트의 국소적 누출 시 경화로 발생하는 열에 인한 주위 신경조직의 열상과 화학 적 자극에 의한 조직 손상 그리고 누출된 골 시멘트의 압박에

경피적 척추 경화술후 골 시멘트 누출과 관련된 시술전 자기공명영상 소견

1

고영환・한대희・최영호・차주희・전득수2・진 욱3・김형식3

목적: 시술전 시행한 척추 자기공명 영상에서 골 시멘트의 누출을 예측할 수 있는 영상 소견이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시술 직후 시행한 척추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과 후향적으로 비교하여 골 시멘트 누출에 영향을 주는MR 영상소견 및 관련된 위험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 압박 골절로 인한 요통으로 내원 환자 중 경피적 척추 경

화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척추 풍선 성형술(Kyphoplasty)이나 척추경외 접근 또는 한쪽 척추경을 통한 주사침 접근 방법을 사용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대상이 되 는 환자는 모두 척추 경화술 시행전 MR를 시행하여 병적 압박 골절이 아님을 확인하였고, 척 추 경화술 시행 직후 CT를 시행하여 골 시멘트 누출 유무를 확인 하였다. 환자는 모두 35명 으로 척추 45개(T7; 1개, T8; 2개, T10; 2개, T11; 2개, T12; 8개, L1; 15개, L2; 8개, L3;

5개, L4; 2개)에 대하여 경화술을 시행 하였다. 후향적으로 시술 전 시행한 척추 MR 영상에서 척추체 피질골 손상 여부와 척추내 진공변화(vacuum change) 또는 액체집적 유무, 척추 압박 골절율, 골 시멘트 주입량, 골 시멘트 주입량 대 척추 압박 골절율 의 상대 비율, 압박 골절된 척추체내 T1 강조영상에서 정상 골수 신호 소실 정도, T2, T1 강조영상에서 모두 저 신호 강 도를 보이는 선상 경화의 위치를 확인 하였다. 로지스틱 판별 모형의 스텝와이즈 선택법을 이 용한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 찾고 그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 하였다.

결과: 척추 경화술 직후 시행한 척추 단층 촬영에서 관찰할 수 있었던 골 시멘트의 누출은 골 시멘트를 주입하였던 45개의 척추체중 29개(64%)의 척추체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그 중 경 막외 공간과 신경공 주위로 골 시멘트의 유출은 11예(24%)였다. 그러나 골 시멘트 누출로 인 한 신경증상을 보이거나 수술이 필요한 누출은 없었다. 누출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곳은 anterior 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를 통한 누출로 22예였다. 척추체 종판의 피질골 손 상은 추간강 시멘트 누출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5), 척추내 골절과 같이 형성된 액체집적 또는 진공변화가 있을 때 유의하게 골 시멘트의 유출이 적었다(p<0.05). 그 외 골 시멘트 누출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인자는 없었다.

결론: 시술 전 시행한 자기공명 영상 소견에서 척추 종판의 피질골 손상이 보이면 척추사이 공 간으로 유의하게 높은 빈도의 골 시멘트 누출을 보였고, 척추내 골절과 같이 형성된 액체집적 또는 진공변화가 있을 때 유의하게 낮은 빈도의 골 시멘트의 누출을 보였다.

1보라매시립병원 진단방사선과

2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정형외과

3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진단방사선과

이 논문은 2005년 4월 16일 접수하여 2005년 6월 15일에 채택되었음.

(2)

의한 신경 손상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골 시멘트 누출에 의한 신경 손상과 골 시멘트 제거 수술의 보고가 있다(11- 14). 골 시멘트 누출에 의한 다른 합병증으로 골 시멘트 색전 에 의한 합병증이다. 골 시멘트의 색전은 폐동맥에 대한 보고 가 많고 다른 곳으로는 뇌혈관, 심장에 대한 색전이 보고된 바 있다(15-18). 이러한 골 시멘트 누출은 경피적 척추 경화술 의 가장 문제가 되는 부작용으로 보고된 바에 의하면 경화술 에 사용한 골 시멘트의 양, 척추 피질골의 골절 결손, 주사침 에 의한 척수강내 피질골 손상 등이 관련 되어 있을 것으로 생 각되고, 최근 주입된 골 시멘트의 양이 골 시멘트 누출에 중요 한 인자로 보고 되었다(19).

골 시멘트의 누출은 시술 중 예측할 수 없는 부작용으로 항 상 시술자가 주의를 기울이는 부작용이며 따라서 선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지침이 있다면 시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골 시멘트의 누출에 영향을 주는 시술 전 영 상학적 검사 소견에 대한 보고는 알려져 있지 않고, 그 외 시 술에 관련된 골 시멘트 누출에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한 보고 도 저자들의 검색에서 1예 외에 보고된 바가 없었다(19). 따 라서 저자들은 골 시멘트의 누출을 시술 전 시행한 척추 자기 공명 영상에서 예측할 수 있는 영상 소견이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시술 전 시행한 자기공명 영상과 시술 직후 시행한 척추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여 골 시멘트 누 출에 영향을 주는 MR 영상소견을 찾고 그 외 시술과 관련된 골 시멘트 누출 위험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 압박 골절로 인한 요통으로 내원 환자중 경피적 척추 경화술 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척추 풍선 성형술 (kyphoplasty)이나 척추경외 접근 또는 한쪽 척추경을 통한 주 사침 접근 방법을 사용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대상 이 되는 환자는 모두 척추 경화술 시행전 자기공명영상을 시 행하여 병적 압박 골절이 아님을 확인하였고, 척추 경화술 시 행 직후 CT를 시행하여 골 시멘트의 누출 유무를 확인 하였 다.

환자는 모두 35명으로 45개(T7; 1개, T8; 2개, T10; 2개, T11; 2개, T12;8개, L1;15개, L2;8개, L3;5개, L4;2개)의 척 추에 대하여 경화술을 시행 하였다. 대상이 되는 환자는 남성 은 5명, 여성은 30명으로 연령은 52세부터 83세로 평균 71세 였다. 골경화술은 DSA(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장 비의 고 해상도 투시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혈관 촬영실에서 시 행 하였다. 환자는 시술 전 demerol를 주사하고 시술 중 자동 혈압계, Pulse oximeter, EKG 모니터 관찰 하에 시술을 진행 하였다. 국소 마취 후 11 게이지 12 cm 길이의 Jamshidi needle 을 사용 하여 양쪽 척추경을 통한 주사침 접근을 하였다.

Jamshidi needle 의 끝을 되도록이면 측면 영상에서 척추체의 전방 1/3, 척추체의 아랫쪽 1/3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골 시멘 트 주입 전 척추 정맥 조영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척추내 주사

침 의 위 치 를 전 후 면 과 측 면 상 에 서 확 인 후 polymethylmethacrylate(PMMA)의 polymer 가루 15 CC와 PMMA monomer 용액 5 CC 그리고 소량의 바륨 혼합물을 도 자기 그릇에 혼합하여 10 CC 주사기 옮겨 담은 후 1 CC 주 사기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1 CC씩 담아 준비 하였다. 골 시멘트 혼합물에 항생제를 추가 하지는 않았다. 골 시멘트의 유동성이 치약 정도의 유동성을 보일 때 인젝터를 사용하지 않 고 압력 관찰 없이 손의 압력만을 이용하여 주사 하였다. 골 시멘트 주입은 전체 척추체 부피의 50% 이상을 채울 때까지 계속 주입하였다. 주입 중 척추체외로 골 시멘트 누출이 발견 되면 즉시 주입을 멈추고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정맥을 통한 색전 유무, 척수강 또는 신경공에 누출 유무를 확인하였다. 정 맥을 통한 색전, 척수강 또는 신경공에 누출이 없을 때는 멈추 었다가 다시 누출 유무를 확인 하면서 골 시멘트 누출이 없을 때는 계속 주입을 시도하였다. 골 시멘트 주입 중 골 시멘트의 음영이 척추체 피질골 후면에 닫기 전 주입을 멈추었다. 이후 주사침을 척추체 후방으로 후퇴 시킨 후 주사침 내에 남아 있 는 골 시멘트를 Jamshidi needle stylet을 사용하여 밀어 넣었 다. 이후 밖에 남아 있는 골 시멘트가 중합 반응에 의한 발열 후 경화를 확인하고 주사침을 제거 하였다.

후향적으로 시술 전 시행한 척추 MR 영상에서 척추체 피질 골 손상 여부와 척추내 골절과 동반된 진공변화 또는 액체집 적 유무, 척추 압박 골절율, 골 시멘트 주입량, 골 시멘트 주입 량 대 척추 압박 골절율 의 상대 비율, 압박 골절된 척추체내 T1 강조영상 에서 정상 골수 신호 소실 정도, T2 강조영상과 T1 강조영상에서 모두 저 신호 강도를 보이는 선상 경화의 위 치를 확인 하였다. 척추 압박 골절율은 근접부위 정상 척추체 를 기준으로 골절된 척추체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척추체 중

Fig. 1. The estimated severity of body compression ( propor- tion of abnormal to normal vertebral body volumes) was de- termined as ( A/a+B/b+C/c)/3.

(3)

간의 가장 압박골절이 심한 부위의 3 곳의 높이를 각각 정상 척추체의 대응 부위의 높이와 비교하여 그 감소율의 평균값으 로 정의하였다(Fig. 1). 척추내 T1 강조 영상에서의 정상 골 수 신호 감소 정도는 1/3 이하, 1/3-2/3 사이, 2/3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T2 강조 영상에서 보이는 저 신호 강도를 보이는 선상 경화의 위치는 압박 골절된 척추체를 위에서 아래로 삼 등분하여 상, 중, 하, 없음으로 구분하였다. 시술 직후 시행한 CT 영상에서 척추체 밖에 보이는 골 시멘트의 누출을 피질골 을 통한 누출과 척추 정맥계를 통한 누출로 분류하였다. 임상 적으로 중요한 경막외 공간과 신경공 주위로 골 시멘트의 유 출의 원인이 되는 척추체 후면의 골피질 손실을 통한 골 시멘 트 유출과 anterior in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posterior internal venous plexus, basivertebral veins, radicular vein을 통한 골 시멘트 유출 유무를 확인하였다. 골 시멘트 유출에 영 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를 찾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의 로지스 틱 판별 모형의 스텝와이즈 선택법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을 통 하여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 찾고 그 통계적 유의 성을 검정하였다.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6.12, U.S.A.)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P value 0.05 미만으로 하였다.

골경화술 시행 직후 시행한 척추 단층 촬영에서 관찰할 수 있었던 골 시멘트의 누출은 골 시멘트를 주입하였던 45개의 척 추체중 29개(64%)의 척추체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그 중 경 막외 공간과 신경공 주위로 골 시멘트의 유출은 11예 (24%)이

A B

Fig. 2. A. T2 weighted sagittal image shows cortical disruption at vertebral upper endplate (white arrow).

B. After bone cement injection, Fluoroscope image shows the leakage of bone cement at intervertebral space through same site (white arrow).

A B C

Fig. 3. A. T2 weighted sagittal image shows dark signal intensity line rimmed cystic area (white arrow) in vertebral body.

B. At T1 weighted image, cystic lesion and surround bone marrow is low signal intensity.

C. After bone cement injection, Fluoroscope image shows bone cement in vertebral body without leakage.

Table 1. The Distribution of Leakage Site

Leakage Site Number

AEVVP 10

AEVVP, AIVVP 02

AEVVP, Basivertebral vein 04

AEVVP, Disc space 04

AEVVP, Basivertebral vein, Disc space 01 AEVVP, Basivertebral vein, AIVVP 01

Disc space 04

AIVVP, Basivertebral vein 01

AIVVP, Radial vein 01

AEVVP: anterior external venous vertebral venous plexus, AIVVP: anterior in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4)

었다. 골 시멘트 누출로 인한 시술 후 신경증상을 보이거나 수 술이 필요 했던 누출은 없었다. 누출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곳은 anterior 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를 통한 누출 로 22예였다 (Table 1). 그 외 누출 부위로 basivertebral veins 7예, Disc space 7예, anterior in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3예, radial vein 3예 였다. 주입된 골 시멘트의 양은 2 CC부터 10 CC까지 평균 5.1 CC였다. 척추의 평균 압박 골절 율은 79%였다. 척추체 후면의 피질골 골절 중 후척추인대 손 상의 경우는 없었고 후면 피질골의 손상을 통한 골 시멘트가 누출된 경우는 없었다. 골절과 동반된 척추체 종판 피질골 손 상은 18예에서 관찰되었고 그 중7예에서 골절된 피질골을 통 한 추간강 시멘트 누출(Fig. 2)이 있었다. 척추체 종판 피질골 골절이 없는 경우에 추간강 시멘트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고, 척추체 종판 피질골 손상과 추간강 시멘트 누출 사이에 유의 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 < 0.05). 척추 내 골절과 같이 형성 된 액체집적 또는 진공변화(Fig. 3)가 있을 때 유의하게 골 시 멘트의 유출이 적었다(p < 0.05). 그 외 시술 전 MR 소견으 로 포함시켜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던 척추 압박 골절율, 압박 골절된 척추체내 T1 강조 영상에서 정상 골수 신호 소실 정 도, T2과 T1 강조 영상에서 모두 저 신호 강도를 보이는 선 상 경화의 위치는 통계적 검증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골 시멘트 주입량, 골 시멘트 주입량 대 척추 압박 골절율 의 상대 비율, 골절된 척추의 상대적 높이 비교에서도 골 시멘트 누출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척추 경화술에서 발생하는 골 시멘트의 누출은 피질골 손상 부위를 통한 누출과 척추 주의의 척추정맥 혈관계(vertebral venous system)를 통해 발생 하게 된다. 척추정맥 혈관계는 anterior in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posterior internal venous plexus, basivertebral veins, posterior 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anterior external venous vertebral venous plexus, intervertebral vein, radicular vein, ascending lumbar vein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20). 이러한 척추 정맥 혈 관계에서 특히 anterior in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posterior internal venous plexus, radicular vein을 통한 골 시 멘트의 누출이 척수와 신경근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의 가능성 이 커 보인다(21). 최근 척수강 앞쪽에는 peridural membrane 이 있어 basivertebral vein을 통한 골 시멘트 누출 시 직접적 으로 경박과 접촉을 막고 경막 외강 내로 골 시멘트가 흘러 나 오는 것을 막는 중요한 기능이 있음이 보고 되었고 이러한 구 조물이 소량의 골 시멘트가 전방 경막외 공간에 누출 되었을 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증상과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는 이 유에 대한 부분적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22). 척 추 경화술에서 골 시멘트의 누출은 척추골 내로 주입하는 골 시멘트의 양이 증가하면서 내부 압력이 증가 하고 이에 따라 압력이 해소 될 수 있는 골 시멘트의 누출이 척추 피질골의 손

상 부위를 따라 또는 열려 있는 밸브가 없는 척추골 정맥계를 따라 누출이 일어 나게 된다. 따라서 골 시멘트의 누출은 골 시멘트의 유동성과 골 시멘트 주입 중 척추내 압력 증가에 비 례 한다고 예상되고 척추내 압력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 인으로 골 시멘트의 주입양, 주입속도, 피질골 손상 여부, 척추 정맥계의 압력, 압박 골절된 척추체내 경화된 병변 등이 그 원 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23). 따라서 시술 전 또는 시술 중 척추 피질골 손상과, 골 시멘트 주입 중 급격한 척추 내 압력 상승에 따른 척추 정맥계를 통한 골 시멘트의 관류를 누출 기전으로 생각 하였다.

저자들은 골다공증에 의한 압박 골절 환자에서 시술 전 시 행한 MR 소견에서 골 시멘트 누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으로 생각되는 피질골 손상 여부, 골 시멘트 주사중 척추 내 압력을 증가 시키는 요인으로 생각되는 골 시멘트 주입량, 골 시멘트 양과 골절된 척추의 부피 비, 주입 중 골 시멘트 분포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압박 골절된 척추체내 경화된 변화나 골 수 내 부종 그리고 골 시멘트가 저류 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하여 골 시멘트 주입 중 척추 내 압력 증가를 감쇠 시킬 수 있 는 진공변화 와 액체 집적 등의 요인이 시술 후 골 시멘트 누 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이 될 수 있는지 알아 보려 하 였다. 이전의 보고에 척추에 에 주입한 골 시멘트의 양과 골 시멘트 누출에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고 하였으나(19) 저자들 의 경우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압박 골절된 척추체의 잔여 부비당 골 시멘트양의 지표로 생각되는 골 시멘트 주입량 대 척추 압박 골절율 의 상대 비율과도 유 의한 상관 관계를 확인 할 없었다. 뿐만 아니라 골 시멘트 주 사중 척추 내 압력을 증가 시키는 요인으로 생각되는 척추 압 박 골절율, 척추 내 골 시멘트 분포에 영향을 주는 압박 골절 된 척추체내 경화된 변화나 골수 내 부종도 골 시멘트의 누출 에 영향을 확인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저자들은 전 체 척추의 50%를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하여 주입하였고, 신경 공이나 경막외 공간에 누출이 임박하거나 소량의 누출이 발견 되었을 때도 주입을 중단했기 때문에 항상 일정량을 고정적으 로 주입하거나 또는 누출이 발견 될 때까지 계속 주입하는 방 법을 통한 바이어스를 줄이기 위한 조건들을 임상적인 상황에 서는 시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것 으로 생각된다.

척추 골경화술 후 보고된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화농성 척추 염, 척추 골경화술 후 척추 전방 피질골 손상을 통한 골 시멘 트 전방 전위, 골 시멘트의 국소적 누출에 의한 척수 및 신경 근 손상과 하지 마비 보고가 있고(11-14, 24, 25). 정맥 혈 관을 따라 누출된 골 시멘트 조각에 의해 폐동맥 색전, 난원공 을 통한 뇌동맥 색전, 심낭염 등의 보고가 있다(15-18). 기타 부작용으로 골 시멘트의 추간판 사이로 누출로 인한 인접 척 추의 압박 골절의 가능성이 증가 하고 척추 경화술 후 주위 인 접 척추의 압박 골절 가능성이 증가 하는 보고도 있다(26, 27).

드문 부작용으로 PMMA monomer 증기를 흡인 후 기관지 경 련이 발생한 보고도 있다(28). 이중 국소적으로 골 시멘트의 누출은 척수와 신경근에 압박과 화학적 또는 열 손상을 유발

(5)

할 수 있으며, 특히 국소적 누출에 있어 화학적 또는 열적 손 상이 골 시멘트에 의한 압박 기전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사체를 이용한 골 시멘트 경화시 국소적 열 발생에 대한 보고 에서 척추골 피골에서 44℃-113℃로 온도가 상승했고 척수강에서는 39℃-57℃의 온도 상승을 보고 하였다(29). 따 라서 척수강과 신경공으로 심각한 골 시멘트 누출이 보일 때 찬 생리식염수 주입을 통해 부작용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보 고도 있다(30). 이러한 골 시멘트 누출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 기 위해 kyphoplasty를 시행하거나 척추 경화술 시행전 척수 경막내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조기에 경막외 누출을 발견하려 는 시도 등이 있었다(31-35). 최근에는 정맥 조영술을 시행 하지 않고 척추 경화술을 시행하여도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이 없고 정맥조영술후 골 시멘트 누출의 관찰이 어려워 정맥 조 영술 시행 없이 척추 경화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시술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한쪽 척추경을 통한 주사침 접근 방법을 이용 하기도 한다(36, 37). 시술중 투시조영 영상에서 소량의 골 시 멘트 누출은 누출 여부와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시술 후 CT 촬영이 필요하다(21). 척추체에 예방적으로 척추체 부피 의 20% 이상의 골 시멘트만 채워도 압박 골절을 예방할 수 있 고, 일반적으로 압박 골절된 척추체에 약 2 CC의 골 시멘트 주입으로도 척추체의 강도가 회복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 무 리 하게 많은 양의 골 시멘트를 주입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생 각된다(38, 39). 저자들의 결과를 볼 때 척추 경화술전 시행 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추 종판의 피질골 손상은 골 시멘트의 추간강 누출을 유의하게 증가 시키고 이로 인한 인접 척추의 압박 골절의 가능성이 증가되는 보고가 있어 골 시멘트 주입 중에 미리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26).

그러나 척추체 후면의 피질골 골절을 통한 골 시멘트의 누출 은 저자들의 경우 한 예도 발견되지 않았다. 골절후 척추체내 에 발생한 진공 변화와 액체 집적은 오히려 골 시멘트 누출의 가능성을 감소 시키는 소견으로 시술에 방해되지 않는 소견으 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시술전 시행한 자기공명 영상 소견에서 척추 종 판의 피질골 손상이 보이면 추간강으로 유의하게 높은 빈도의 골 시멘트 누출을 보였고, 척추내 골절과 같이 형성된 액체 집 적 또는 진공변화 가 있을 때 유의하게 낮은 빈도의 골 시멘트 의 누출을 보였으며, 주입된 골 시멘트의 양이나 골절율 그리 고 골절된 척추체내의 신호강도 변화를 보이는 골수범위 및 T2 강조 영상에서 보이는 저 신호 강도를 보이는 선상 경화의 위 치 등은 골 시멘트 누출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참 고 문 헌

1. Dousset V, Mousselard H, de Monck d’User L, Bouvet R, Bernard P, Vital JM, et al. Asymptomatic cervical haemangioma treated by percutaneous vertebroplasty. Neuroradiology 1996;38:392-394 2. Cotten A, Dewatre F, Cortet B, Assaker R, Leblond D, Duquesnoy

B, et al.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osteolytic metastases and myeloma: effects of the percentage of lesion filling and the leakage of methyl methacrylate at clinical follow-up. Radiology 1996;200:

525-530

3. Mathis JM, Petri M, Naff 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treat- ment of steroid-induced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Arthritis Rheum 1998;41:171-175

4. Jensen ME, Evans AJ, Mathis JM, Kallmes DF, Cloft HJ, Dion JE.

Percutaneous poly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in the treat- ment of osteoporotic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techni- cal aspects. AJNR Am J Neuroradiol 1997;18:1897-1904

5. Jensen ME, Evans AJ, Mathis JM, Kallmes DF, Cloft HJ, Dion JE.

Percutaneous poly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in the treat- ment of osteoporotic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techni- cal aspects. AJNR Am J Neuroradiol 1997;18:1897-1904

6. Kallmes DF, Jensen ME. Percutaneous vertebroplasty. Radiology 2003 Oct;229:27-36

7. Gangi A, Guth S, Imbert JP, Marin H, Dietemann JL.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dications, technique, and results.

Radiographics 2003;23:e10

8. Peh WC, Gilula LA.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dications, con- traindications, and technique. Br J Radiol 2003;76:69-75

9. McKiernan F, Faciszewski T, Jensen R. Quality of life following vertebroplasty. J Bone Joint Surg Am 2004;86-A:2600-2606 10. Kaufmann TJ, Jensen ME, Schweickert PA, Marx WF, Kallmes

DF. Age of fracture and clinical outcomes of percutaneous verte- broplasty. AJNR Am J Neuroradiol 2001;22:1860-1863

11. Yu SW, Chen WJ, Lin WC, Chen YJ, Tu YK. Serious pyogenic spondylitis following vertebroplasty- a case report. Spine 2004;29:E209-E211

12. Appel NB, Gilula LA.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 patients with spinal canal compromise. AJR Am J Roentgenol 2004;182:947-951 13. Lee BJ, Lee SR, Yoo TY. Paraplegia as a complication of percuta-

neous vertebroplasty with polymethylmethacrylate: a case report.

Spine 2002;27:E419-E422

14. Ratliff J, Nguyen T, Heiss J. Root and spinal cord compression from 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Spine 2001;26:E300- E302

15. Hochegger M, Radl R, Leithner A, Windhager R. Images in cardio- vascular medicine. Acute pericarditis caused by acrylic bone ce- ment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Circulation 2005;111:e98 16. Choe du H, Marom EM, Ahrar K, Truong MT, Madewell JE.

Pulmonary embolism of polymethyl methacrylate during percuta- neous vertebroplasty and kyphoplasty. AJR Am J Roentgenol 2004;183:1097-1102

17. Yoo KY, Jeong SW, Yoon W, Lee J.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 drome associated with pulmonary cement embolism follow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with polymethylmethacrylate. Spine 2004;29:E294-E297

18. Scroop R, Eskridge J, Britz GW. Paradoxical cerebral arterial em- bolization of cement during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case re- port. AJNR Am J Neuroradiol 2002;23:868-870

19. Ryu KS, Park CK, Kim MC, Kang JK. Dose-dependent epidural leakage of polymethylmethacrylate after percutaneous vertebro- plasty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 tures. J Neurosurg Spine 2002;96:56-61

20. Groen RJ, du Toit DF, Phillips FM, Hoogland PV, Kuizenga K, Coppes MH, et al. Anatomical and pathological considerations i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kyphoplasty: a reappraisal of the vertebral venous system. Spine 2004;29:1465-1471

21. Yeom JS, Kim WJ, Choy WS, Lee CK, Chang BS, Kang JW.

Leakage of cement in percutaneous transpedicular vertebroplasty for painful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J Bone Joint Surg Br 2003;85:83-89

22. Hostin R, Carr J, Gupta MC, Hazelwood S, Dublin A. Importance

(6)

of the Peridural Membrane i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J Spinal Disord Tech 2005;18:34-39

23. Reidy D, Ahn H, Mousavi P, Finkelstein J, Whyne CM. A biome- chanical analysis of intravertebral pressures during vertebroplasty of cadaveric spines with and without simulated metastases. Spine 2003;28:1534-1539

24. Tsai TT, Chen WJ, Lai PL, Chen LH, Niu CC, Fu TS, et al.

Polymethylmethacrylate cement dislodgment following percuta- neous vertebroplasty: a case report. Spine 2003;28:E457-E460 25. Harrington KD. Major neurological complications following percu-

taneous vertebroplasty with polymethylmethacrylate: a case re- port. J Bone Joint Surg Am 2001;83-A:1070-1073

26. Lin EP, Ekholm S, Hiwatashi A, Westesson PL. Vertebroplasty: ce- ment leakage into the disc increases the risk of new fracture of ad- jacent vertebral body. AJNR Am J Neuroradiol 2004;25:175-180 27. Kim SH, Kang HS, Choi JA, Ahn JM. Risk factors of new compres-

sion fractures in adjacent vertebrae after percutaneous vertebro- plasty. Acta Radiol 2004;45:440-445

28. Kirby BS, Doyle A, Gilula LA. Acute bronchospasm due to expo- sure to polymethylmethacrylate vapors during percutaneous verte- broplasty. AJR Am J Roentgenol 2003;180:543-544

29. Belkoff SM, Molloy S. Temperature measurement during polymer- iza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 cement used for vertebroplasty.

Spine 2003;28:1555-1559

30. Kelekis AD, Martin JB, Somon T, Wetzel SG, Dietrich PY, Ruefenacht DA. Radicular pain after vertebroplasty: compression or irritation of the nerve root? Initial experience with the “cooling system”. Spine 2003;28:E265-E269

31. Sarzier JS, Evans AJ. Intrathecal injection of contrast medium to prevent polymethylmethacrylate leakage during percutaneous ver- tebroplasty. AJNR Am J Neuroradiol 2003;24:1001-1002

32. Mathis JM, Ortiz AO, Zoarski GH. Vertebroplasty versus kypho- plasty: a comparison and contrast. AJNR Am J Neuroradiol 2004;25:840-845

33. Mathis JM. Percutaneous vertebroplasty: complication avoidance and technique optimization. AJNR Am J Neuroradiol 2003;24:1697- 1706

34. Wenger M, Markwalder TM. Cement leakage and the need for prophylactic fenestration of the spinal canal during vertebroplasty.

J Bone Joint Surg Am 2002;84:689-690

35. Phillips FM, Todd Wetzel F, Lieberman I, Campbell-Hupp M. An in vivo comparison of the potential for extravertebral cement leak after vertebroplasty and kyphoplasty. Spine 2002;27:2173-8; dis- cussion 2178-2179

36. Vasconcelos C, Gailloud P, Beauchamp NJ, Heck DV, Murphy KJ.

Is percutaneous vertebroplasty without pretreatment venography safe? Evaluation of 205 consecutives procedures. AJNR Am J Neuroradiol 2002;23:913-917

37. Kim AK, Jensen ME, Dion JE, Schweickert PA, Kaufmann TJ, Kallmes DF. Unilateral transpedicular percutaneous vertebroplas- ty; initial experience. Radiology 2002;222:737-741

38. Sun K, Liebschner MA. Biomechanics of prophylactic vertebral re- inforcement. Spine 2004;29:1428-1435

39. Belkoff SM, Mathis JM, Jasper LE, Deramond H. The biomechan- ics of vertebroplasty; The effect of cement volume on mechanical behavior. Spine 2001;26:1537-1541

(7)

J Korean Radiol Soc 2005;53:41-47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Deuk Soo Ju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Medical School 1198 Kuweol-dong Namdong-ku Incheon City 405-760, Korea.

Tel. 82-32-460-3413 Fax. 82-32-460-3064

MR Predictors of Bone Cement Leakage in Patients Receiv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1

Young Hwan Koh, M.D., Dae Hee Han, M.D., Young Ho Choi, M.D., Joo Hee Cha, M.D., Deuk Soo Jun, M.D.2, Wook Jin, M.D.3, Hyung Sik Kim, M.D.3

1Department of Radiology, Boramae Hospital

2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achon Medical School

3Department of Radiology, Gachon Medical School

Purpose: To identify MR predictors of bone cement leakage in patients receiv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Percutaneous vertebroplasties were performed in 45 vertebras (T7; one, T8; two, T10;

two, T11; two, T12; eight, L1; fifteen, L2; eight, L3; five, L4; two) in 35 patients (age 52-83). The procedure was performed using an 11 G Jamshidi needle, which was inserted into the target by the bipedicular approach.

Kyphoplasty, unilateral pedicular approach and extrapedicular approach cases were excluded. Shortly after the procedure, all patients underwent a noncontrast CT covering the vertebroplasty site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cement leakage is related to any of following MR findings: pres- ence of cortical disruption of the vertebral body, severity of body compression (proportion of abnormal to nor- mal vertebral body volumes), bone cement amount, bone cement amount/severity of body compression ratio, proportion of low-signal area in a vertebral body on T1 weighted image, presence of either vacuum or cystic portion below a linear dark signal in a fractured vertebra, and the location of dark signal intensity line in a ver- tebral body. Logistic discrimination model stepwise method was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n post-vertebroplasty CT scan, bone cement leakage was detected in or around 29 vertebrae (64%), including 11 vertebrae (24%) where leakage was found in the epidural space or radial vein. No patients dis- played any neurological symptoms or signs. The most frequent site of bone cement leakage was the anterior external vertebral venous plexus (49%). Endplate cortical bone disruption was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of intervertebral bone cement leakage (p<0.05). Bone cement leakage tended to occur less frequently when there is a vacuum or cystic change below the dark linear signal intensity in a fractured vertebra (p<0.05). No other MR finding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ne cement leakage.

Conclusion: On pre-vertebroplasty MR imaging, vertebral endplate cortical bone disruption and vacuum or cystic change below dark linear signal intensity in fractured vertebra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ne cement leakage.

Index words :Spinal interventional procedures Vertebroplasty

Bone cements

Osteoporosis, spinal fractures

수치

Fig. 1. The estimated severity of body compression ( propor- propor-tion of abnormal to normal vertebral body volumes) was  de-termined as ( A/a+B/b+C/c)/3.
Fig. 3. A. T2 weighted sagittal image shows dark signal intensity line rimmed cystic area (white arrow) in vertebral body

참조

관련 문서

유는 표면에 Ti N이 산화물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며 가공결함이 제거됨으로써 부식 특히 공식될 수 있는 자리가 크게 감소되었기 때문이다.이러한 공식평 가는

Turkyl maz등 23) 의 연구에 의하면 젊은 연령층보다 나이든 연령층에서 골 흡수와 재생을 통해 하악 전치 기저부의 피질골 형성이 두드러지게 이루어져 높은 골밀도

무처리 티타늄 시편 및 아크릴산 플라즈마 표면개질 처리 된 티타늄 표면 과 아크릴산 표면개질 처리 후 BMP-2 고정화된 티타늄 시편을 각각 준비하여 60℃에서

The untreated surfaces and AA plasma treated with 3D-PCL surfaces were also examined for their in vitro pre-osteoblast (MC3T3-E1) cells proliferation and

관찰결과 6일에 비해 12일에서 더 뚜렷한 ALP 활성도를 관찰 할 수 있었고, 나노 수산화인회석이 코팅된 표면이 처리하지 않은 티타늄 표면과 카르복실산이 코팅된

따라서 골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표면처리에 대한 연구가 앞으 로 더욱더 활성화 되어야 하고,양극산화에 의한 표면처리에 있어서 기공의 크기와 표면

이 연구는 치조골 결손부를 갖는 환자에 대해 자가치아 뼈이식재를 이용하여 골 이식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시 자가치아 뼈이식재가 진료실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실험 1주군에서는 주로 골 결손부에서 새로 형성되는 신생골 주위와 내부의 골모세포 와 골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매식체 주위의 간질세포에서도 강한 발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