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각보이미지를 응용한 도제조명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조각보이미지를 응용한 도제조명연구"

Copied!
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각보이미지를 응용한 도제조명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공예미술학과 도자공예 전공

이 지 연

2002

(2)

조각보이미지를 응용한 도제조명연구

지도교수 박경순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7월 일

국민대학교 대학원

공예미술학과 도자공예 전공

이 지 연

2002

(3)

이지연의 석사학위 청구 논문을 인준함.

2002년 7월 일

심사위원장 ꂙ

심 사 위 원 ꂙ

심 사 위 원 ꂙ

국민대학교 대학원

(4)

논 문 개 요

오늘날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과 가치관에 의거한 인테리 어를 갖고자 하는 적극적인 성격을 보이고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조명을 선택하는 취향에 있어서도 같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조명은 현대에 이르러 실내디자인 요소로서 인테리어에서 고유한 분위기 를 형성시키는 커다란 역할을 하고있으며 개성있는 공간연출을 위해 조명 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게 되었다.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일차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기능성, 조형성, 인간의 심리상태까지 만족시키는 조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 생활 속에서 실내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장식적인 아름다움 과 전통적인 미의식이 잘 나타나 있는 일상 생활의 필수품인 보자기를 작 업의 소재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유의 소재인 조각보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색 과 면의 구성, 문양에 대한 조형성을 분석하고 작품제작을 통해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서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의 전통적 미의식과 현대적인 조형성을 지니고 있는 조각보를 모티 브로 하여 실용성과 조형성, 심미성을 갖춘 도제조명등으로 안락한 실내분 위기 조성에 큰 역할을 하여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미적 감각을 심어주어 현대인의 삶에 보다 윤택하고 풍요롭기를 바란다.

(5)

목 차

논문개요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조명등 ···3

1) 조명의 개념 ···3

2) 도제조명등 ···4

참고도판 ···6

2. 조각보 ···8

1) 조각보의 역사 ···8

2) 조각보의 형태 ···9

참고도판 ···12

Ⅲ. 조각보를 소재로 한 도제조명연구

···14

1. 작품제작 방법 ···14

1) 소지와 성형 ···14

2) 유약과 소성 ···14

2. 작품 제작과 설명 ···15

3. 연구 작품 사진 ···21

(6)

Ⅳ. 결론

···33

참고문헌 ···35 ABSTRACT ···36

(7)

Ⅰ. 서론

1. 연구 목적

현대사회가 발달하면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거 생활환경에 대한 의식 이 변함에 따라 주택에 있어서도 외부뿐 아니라 실내의 장식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런 실내장식에 대한 관심은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실내분위기 를 연출하고 있고, 개성 있는 공간연출을 위해 조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조명은 현대에 이르러 단순히 밝기만을 위한 기능적인 측면에서 벗 어나 심신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심리적 측면과 예술적 기능 모두를 충족시키게 되었다. 본 연구의 소재인 조각보는 무엇보다도 주거공간이 협 소하여 필요에 따라 물건을 싸서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가장 간편한 생활 용구 이면서 아울러 예절과 격식을 갖추는 의례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이면에는 기복 신앙적 요인이 있어 치성을 들여 만든 보자기에 물건을 싸 두는 것은 복을 싸둔다는 뜻으로 여겼으며 물건을 주고받을 때 싸거나 덮 어 보호하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역할과 수를 놓거나 조각천을 이어 붙여 서 아름답게 꾸미는 장식도 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서민들의 염원과 정서가 담긴 생활용품이면서 뛰어난 조형감각이 담긴 조각보를 통해 우리의 전통미를 재발견하고 조각 보의 색과 면의 구성 문양에 대한 조형성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함 으로써 한국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칫 기계적이고 획일화 되어버리기 쉬운 실내공간에 안락 함을 주어 정신적인 여유와 풍요로움을 제공 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8)

2. 연구범위 및 방법

우리나라의 전통 조각보가 가진 다양한 색채와 조형미를 살려 현대적 감 각과 기법으로 발전 시킴으로서 전통의 계승과 현대화하는 것으로 연구범 위를 정하였다.

우선 조각보의 실용적인 사용과정에서 생성되는 싸고, 덮고, 혹은 펼치 는 기능적 역할과 조각 천 끼리 잇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조각보의 바느질 흔적을 입체적인 형태이미지로 연구해보고 조각보의 색과 면의 구성, 문양 에 대한 조형성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각종문헌 및 연구자료 전문서적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을 통하여 조각보의 개념과 발달배경 형태를 알아보고 조각보 고 유이미지를 도자 조명등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조각보의 외형적 형태, 문양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도 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하여 표현하였다. 특히 기하학적 면 구 성으로 형태에 있어서 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난다.

성형방법으로는 이장주입성형을 하여 무게감을 덜어주어 생활용품으로서 기능을 확대 시키고자하였다. 조명 같은 경우는 무엇보다도 투광도가 중요 시되기 때문에 백색도와 투광도가 가장 높은 실크소지를 사용하였으며, 자 칫 지루해질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포인트로 색소지를 사용하였다. 장식적 인 효과를 위해 목재, 금속, 등의 기타재료를 사용하였다.

시유는 투광성과 백색도를 높이기 위해 투명유를 시유 하였으며 시유 방 법으로는 덤벙시유와 분무시유를 하였다. 소성은 전기가마에서 850도에서 일차소성 하였으며 1250도에서 이차소성 하였다.

조명등은 기능이나 설치방법에 의해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에 서는 스텐드와 브라켓 으로 한정지어 작업하였다.

(9)

Ⅱ. 이론적 배경

1. 조명등

1) 조명의 개념

조명이란 “밝게 비추다”라는 뜻이며 그 목적은 밝음을 얻기 위한 것과 빛 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인간의 활동과 생활에 물심양면으로 기여하게 하고 자 함이다.

조명은 인간이 눈이라는 신체기간을 통하여 시각을 인지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우리 곁에 항상 존재한다.

또한 조명이란 자연광선이 아닌 인공광선으로써 피사체로 하여금 그 선 과 덩어리와 움직임을 그 자체가 지닌 가치이상으로 돋보이도록 하는 메카 니즘의 하나이다.1)

훌륭한 조명이란 충분한 빛을 발할 수 있어야 하며 그 빛은 능숙하게 조 절 할 수 있어야한다. 즉 조도2) 눈부신 정도, 빛의 방향과 질감 등이 고려 된 조명등이 바람직하다.

Marshall Macluhan 이 “현대는 전기의 시대” 라고 말한 것처럼 우리생활 의 조명이나 전기에 대한 의존도는 특별히 강조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조명은 그 본래의 기능이외에 실내고유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면에서 커 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전기적인 안전성뿐만 아니라 건축 공간의 다양한 기능성, 인테리어 설계와의 연계성, 아름다움, 인체에 미치 는 영향 및 경제성 등의 모든 요소들이 충족 수 있는 조명이 요구된다.

1) 박홍, 실내의 치수계획, 서울: 형제사, 1983

2) M.David.Egan저, 박종호역, 건축조명개론, 기문당, 1992 [조도: 작업면 또는 관련면에 와 닿는 빛의양]

(10)

우수한 조명의 실시는 인간에게 휴식, 안정, 낭만, 능률 및 정신적인 활동 등 모든면 에서 보다나은 환경을 조성하며 적절한 빛을 얻으려면 적당한 음영 및 균일성에 유리하여야 하고 인테리어 용도에 따라 잘 조정되어야한 다.3)

이렇듯 빛의 이용은 인간과 사회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 라 어둠을 밝히는 것 이외에 아름다움을 위한 조형적, 장식적인 면이 커다 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2) 도제조명등

현대의 조명이 단순히 사물을 밝혀주고 어둠을 깨우는 기능 외에 정서적 안정과 편안함을 주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나아가 예술적인 영역으로 확대 되고 있으며 도예분야 에서도 생활 속에 예술성을 부여 시킬수 있는 조명 등에 대한 시각이 확대되었다.

여러 조명기구중 스텐드 램프는 특히 등을 위한 몸체의 역할이 큰데, 그 것은 종류에 따라 그 재료도 무척 다양하다. 도자제품에서 유리, 목재, 합 성수지, 금속, 등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종류의 재료가 쓰이고 있다.

과거에 전기가 발명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조명기구의 대부분은 도자재 로 제작되어 쓰여졌지만 현대에 들어서 도자 조명등은 투각기법으로 빛을 여과해내는 것이나, 도자기 받침대에 천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전등갓 이나, 그리고 그 사이에 놓이게되는 전구, 그래서 언제나 불빛을 전등갓에 반사되어 하단을 은은하게 비추는 형태로 일괄되어 표현기법의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현재 도제 조명등의 경우 개발이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며 모든 생산이

3) 조명과 실내장식, 조형사

(11)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도자 조명기구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이 제 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구태의연한 모양을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도자 재료인 점토는 다른 어떤 재료보다 부드러운 재질을 지니고 있으므 로 대부분의 타 재료 조명등에 비해 흙이 지닌 온화함과 자연스러운 재질 감, 그리고 안정된 무게감과 양감을 표현할 수 있는 특성의 소재이다.

또한 타 재료와의 결합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여 유리, 아크릴, 한지, 섬유 등은 빛의 전달 매체로 금속, 목재 등은 점토를 지탱하는 받침의 구조 적 역할로 활용한다.

(12)

【참고도판】

김진경 作 김진경 作

김지영作 FABBY사의 도제 조명등

(13)

하한나 作 FABBY사의 도제조명등

이준상 作 김선영 作

(14)

2. 조각보

1) 조각보의 역사

보자기는 우리나라 고유한 생활용품으로서 천으로 제작된 곳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밥상이나 목판을 덮는 식지보 와 같은 경우는 기름종이를 재료로 하고 형태로는 주로 네모지게 만들어 사용되었다.4)

보자기라는 현대의 명칭은 어떤 연유로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그 명칭이 자주 변천해온 것은 사실이다.

옛 문헌에 보면 보자기가 복(栿)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현재는 한자로 보(褓) 우리말로는 보자기로 불리고있는 것이다.

특히 보자기 의 복(袱)자와 같은 음인(福)이 보자기를 지칭하는 말로 쓰인 점이 특이하다. 이는 보자기에 복을 싸둔다는 민간 신앙에서 비롯된 듯하 다. 또한 보자기(褓子器)를 ‘보자의(褓子衣)’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면 물건 을 싸 두는 옷”에서 비유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5)

기록과 실제 유물을 통해 보자기에 관해서 사적으로 고찰해보면 선암사 탁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로 탁자보 였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명칭 에 옷(衣)가 있어 보자기가 본래 옷 개념과도 무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 는 예이다.6)

그 외에 도 분명히 물건을 덮어 가지고 싸서 보호하는 물건이되 수를 놓 거나 조각천을 구성지게 이어 붙여서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하였으니 이런 의미에서 싸여지는 물건이 옷의 개념과 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자기는 물건을 싸서 보관해 두거나 이를 운반하는데 가장 간편한 생활 용구이면서 아울러 예절과 격식을 갖추는 의례용으로 계층의 구별 없이 널

4) 국어사전 의하면 `보자기란 물건을 싸기도 하고 혹은 덮기도 하기 위하여 피륙으 네모지게 만든 끈을 달기도 하며 크고 작은 여러 가지가 있음`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5) 허동화, [옛 보자기], 한국자수박물관 출판부, 1988 6) 허동화, [우리가 알아야 할 규방문화], 현암사, 1997

(15)

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보자기는 쓰다 남은 여러 가지색 헝겊을 모아두는 장 식성에서부터 물건의 용도에 따라 싸두는 실용적인 곳까지 활용되었다.

2) 조각보의 형태

조각보는 원래 남은 천 조각 활용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의 기하학적 형태가 변화 있게 이용되었으며 이러한 세가지 기본적 형태의 변형으로 구성되는 사다리형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하 학적 형태의 조각천들이 결합되어 있는 양상은 매우 다양하여 몇 개의 유 형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크게 규칙적인 구성과 불규칙적인 구 성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규칙적인 구성에는 같은 형태와 크기가 반복되는 정형과 같은 형태가 크 기를 달리하여 변화 있게 반복되는 변화형으로 분류하였다. [표-1]

규칙적인 정형을 살펴보면,

첫째, 같은 크기의 삼각형이 두 개 혹은 네 개가 모여 이루어진 정사각형 의 반복이다. 안정된 질서를 보이지만 형태의 반복적 배치에서 오는 단조로 움은 색상의 배치로 변화를 준다.

둘째, 같은 크기로 이루어진 정사각형의 규칙적인 반복이다. 정사각형의 배치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없애고 전체적인 통일성을 주기 위해서 가장자 리에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두르고 있다.

셋째, 길이 방향으로만 긴 사각형의 반복이다. 줄무늬처럼 보이는 단순한 구성으로 현대적 감각이 느껴지며 색상의 조화와 대비로 변화를 준다.

넷째, 같은 크기에 원형의 반복이다. 같은 크기의 원형들이 네 군데의 같 은 면적을 공유하면서 겹쳐져 있어 전체적으로 정교한 패턴을 이루고 있다.

(16)

변화형을 살펴보면,

첫째, 조각보의 중심에서 사방으로 삼각형과 사각형이 점진적으로 확대되 는 면구성이다.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형태의 반복으로 리듬감을 느낄 수 있고 대칭적으로 균형을 이룬다.

둘째, 수평선을 이용한 면구성으로 가로 길이의 간격에 변화를 주어 크고 작은 직사각형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성은 중점이 없는 것이 특 징이다.

이상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조각보의 구성의 특징은 첫째, 형태의 반복이 다. 이것은 자연질서의 근본적인 형식이다. 형태, 색상 등의 조화와 대비를 이루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조각보에 장식성을 더해준다. 둘째, 균 형의미다. 조각보는 주로 가운데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거나 한쪽으 로 치우쳐 균형을 이루고 있다. 조각보는 현대적인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 는데 이것은 비대칭적인 면 구성에서 양적인 면의 비례에 의해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17)

[표 1] 조각보 형태 분류

구성의 성격 유형 면 구 성 유 형

기본단위 형태는 삼각형이다.

두 개 혹은 네 개가 모여 이루어진 정사 각형의 반복이다.

기본형태는 정각형으로 상당히 정돈된 느낌을 준다.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이 모 여 반복됨으로써 오는 단조로움은 색채 의 배치로 변화를 주었다.

기본단위형태는 가로로 직사각형이다. 줄 무늬처럼 보이며 현대적인 감각을 느끼게 한다.

기본단위의 형태는 원이다. 같은 크기의 원들이 네 군데의 같은 면적을 공유하면 서 겹쳐져 있다. 정교한 구성으로 입체적 인 조형미를 표현한다.

중심으로부터 삼각형이 사방으로 점층적 으로 확대되는 유형이다.

중심으로부터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이 사방으로 점층적으로 확대되는 유형이다.

세로의 길이는 같고, 가로의 길이가 다 른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유형과는 달 리 중심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불규칙 적 인 구 성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형 등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을 규칙성 없이 배치하였다.

자유로운 색과 면의 구성은 현대의 추상 회화 작품처럼 보인다.

(18)

【참고도판】

상보 (19c) 여의주무늬 보 (19c)

옷보 (19c) 옷보 (19c)

(19)

여의주문모시조각보 (19c) 모시항라조각보 (19c)

태극문양조각보 (20c) 모시조각보 (18c)

(20)

Ⅲ. 조각보를 소재로 한 도제조명연구

1. 작품제작 방법 1) 소지와 성형

작품제작에 사용된 소지는 투광도 와 백색도가 높은 실크소지를 사용하 였으며 백색이미지가 강해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색 소지 를 사용하였다. 모든 작품의 성형은 섬세하고 정교한 작품제작을 위하여 이 장주입 성형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물레 성형으로 만들 수 없는 형태 이거나, 똑같은 형태를 다량으로 만들고자 할 때 쓰이며, 특히 단순하며 구 조적인 작품을 제작할 때 효과적인 제작방법이다.

2) 유약과 소성

이장주입 성형한 작품으로서 자체의 투광성과 백색도를 높이기 위해 투 명유를 시유 하였으며, 시유 방법으로 주로 덤벙시유 하였다.

소성은 850℃에서 1차소성 하였으며 전기가마로 1250℃에서 산화염으로 2차소성 하였다.

(21)

2. 작품 제작과 설명

[작품1] 한 송이 들꽃

세모 조각보에서의 면 분할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중점에는 꽃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표현 하였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 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110×110×140㎜

[작품2] 꽃밭에서...

여의주 무늬보와 사각형의 변화형을 응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네 개의 꽃잎이 달린 꽃들의 집합처럼 보이기도 한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75×75×100㎜

(22)

[작품3] 눈꽃

조각보의 특징인 형태의 반복과 균형의미를 강조한 작품이다. 기본단위 형태인 정사각형을 이루고 그 속에 삼각형 의 면 분할을 하여 입체감을 더 해준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100×100×110㎜

[작품4] 눈꽃Ⅱ

정사각형이 모여 반복으로 오는 단조로움을 사각형의 교차점에 조명의 열을 방출 할 수 있게 구멍을 내줌으로써 시각적으로 변화를 주기도 한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130×130×150㎜

(23)

[작품5] 조각배

조각보에서 조각 천 자체의 모양이 정사각형이나 이등변 삼각형의 조각 이 두 개나 네 개가 모여 정사각형 모양을 이룬 것이 질서정연하게 결합되 어 있는 패턴을 볼 수 있다. 조각보에서 자주 보여지는 삼각형 패턴을 응용 하였으며 역삼각형 구도로 긴장감을 유발시킨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 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360×75×100㎜

[작품6] 사계

정사각형의 기본형태에 조각보에서 보여지는 꽃무늬를 유니트화 하여 중 심부분을 입체화 강조 하였고 공간의 여백을 살렸다.

① 소지: 실크소지, 색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⑤ 크기: 170×510×40㎜

(24)

[작품7] 그림맞추기

조각보에서 많이 보여지는 사각형 형태에 조각보에서 느낄 수 있는 특징 적인 부분을 발췌하여 색소지로 강조하였다.

① 소지: 실크소지, 색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⑤ 크기: 950×150×50㎜

[작품8] 도심한가운데서

조각보의 기본형태에서 변형된 사다리형을 입체화하여 유니트로 제작, 형 태의 반복적 구성에 의한 균제의미를 강조하려고 하였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가스가마 환원소성

⑤ 크기: r190×750㎜

(25)

[작품9] 도심한가운데서Ⅱ

[작품8]의 연작으로 실내 벽면장식을 위한 브라켓으로 제작하였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160×490×160㎜

[작품10] 숨은그림찾기

중심으로부터 정사각형이 사방으로 점층적으로 확대되는 유형이다. 중심 에는 조각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양들로 새겨놓았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160×490×50㎜

(26)

[작품11] 감싸주기

조각보의 실용적인 사용과정 중에서 생성되는 혹은 펼치는 기능적 역할 에서 형성되는 보의 접힘을 현대감각에 맞게 단순화 하였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 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200×600×50㎜

[작품12] 감싸주기Ⅱ

[작품11]의 연작으로 보의 접혀지는 형태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 하였다.

① 소지: 실크소지

② 성형: 이장주입성형

③ 유약: 투명유

④ 소성: 1차소성 850℃ 2차소성1250℃

전기가마 산화소성

⑤ 크기: 200×600×50㎜

(27)

3. 연구 작품 사진

[작품 1] 한 송이 들꽃

(28)

[작품 2] 꽃밭에서...

(29)

[작품 3] 눈꽃

(30)

[작품 4] 눈꽃Ⅱ

(31)

[작품 5] 조각배

(32)

[작품 6] 사계

(33)

[작품 7] 그림맞추기

(34)

[작품 8] 도심한가운데서

(35)

[작품 9] 도심한가운데서Ⅱ

(36)

[작품 10] 숨은그림찾기

(37)

[작품 11] 감싸주기

(38)

[작품 12] 감싸주기Ⅱ

(39)

Ⅳ. 결론

우리고유의 전통을 현대화하여 국제화된 오늘날 사회에 맞게 계승발전 시켜 나아가는 것은 미래 우리문화에 전통성과 창조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통에 대한 재인식과 관심이 고조되는 시대적 요구에 의해 우리 의 전통적 양식 중 하나인 조각보를 주제로 하여 현대 생활공간 특히 실내 의 벽면과 내부공간을 장식할 수 있는 조명등으로 그 가능성을 찾고자 했 다.

본 연구는 조각보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색과 면 의 구성, 문양 에 대한 조형성을 분석하고 작품제작을 통해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하 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각보의 기능성과 조형성을 형상화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조각보 형태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입체감 있게 표현함으로써 실내공간과 조화를 이루고 기능적이고 장식적인 아름다움을 얻을 수 있는 조명등을 제작 할 수 있었다.

둘째, 이장주입성형을 통해 작품의 무게감을 덜어 기능성을 확대 시킬 수 있었다.

셋째, 이장주입 성형시 건조 및 소성단계에서 수축이나 주저앉음이 있으 므로 제작공정상 어려움을 느꼈다. 성형과정에서는 벽면에 부착시의 무게와 빛의 투광성을 고려하여 두께를 얇게 성형하였으나 소성과정에서 형태가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소지개발의 필요성을 느꼈다.

넷째, 전기설치과정에서 전기부품과 조명등 설치대의 작업이 전기공학과 조형적 측면에서 일괄성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전기부품의 경우 제

(40)

품이 다양하지 않아 작품에 합당한 크기와 용량의 부품을 구하기 힘들어 전기설비가 미비하였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우리고유의 전통적 특성을 지닌 조각보를 본 연구를 통하여 이미지를 재 구성하고 조형화 하는 과정에서 오늘날 현대적 감각과 정서에 맞고 평면이 주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다양한 소재로서의 표현 가능성이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용성과 조형성, 심미성이 강조된 도제 조명등이 우리생 활 속에 좀더 가까이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도제조명등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우리생활을 더욱 풍성하게 할 것이라고 본다.

(41)

참고문헌

장무식, (도자제 조명등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이하영, (도제 조명등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박정옥, (도제 조명등의 조형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노은숙, (조각보의 조형적 특성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도금옥, (조선시대 조각보의 조형성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김성희, (조선조 후기 조각보에 대하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국립민속박물관,(한국전통보자기), 삼화출판사, 1986

허동화,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규방문화), 현암사, 1997 허동화, (옛보자기), 한국자수박물관출판부, 1986

박필제, (조명과 실내장식), 서울 조형사, 1994 박홍, (실내의치수계획), 형제사, 1983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 1993

M David Egan 저, 박종호 역, 건축조명개론, 기문당, 1992

(42)

ABSTRACT

A Study on Ceramic Lighting applied to the Images of Korean Cloth-Wrapper

Lee, ji yeon

Dept. of ceramic Art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Supervisor: prof. Park, kyung Soon

Today, people have their own life styles. Also, they tend to have their own interior designs, which reflect their values. in this tendency, people show their own tastes even when they choose lightings for their houses.

The lighting is important as a factor of interior design, which makes unique mood of interior and it can express a characteristic individuality at the spacial production. the concern about the functions of lighting has been raised not only in lightening the darkness, which is the first function but also in satisfying people's mentalities, and formative arts.

I chose a Cloth-Wrapper to make my art works because the

Cloth-Wrapper harmonizes with interior environment and gives aesthetic

decorations of traditional beauty.

(43)

In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how Korean beauty with a Cloth-Wrapper, which is a unique material of Korea. The image of Korean in the working with Cloth-wapper would be analyzed based on an art theary, colors, archetetonic beauty and pattern about formative art.

I hope that the lighting with Cloth-Wrapper plays a important role to

give mental stability and aesthetic feelings to mordern people so that

they can enjoy and prosper their lives.

참조

관련 문서

그러나 인간의 언어는 현 재는 물론 과거나 먼 미래에 대한 의사 소통도 가능하다.. 그리고 동물의 언어 와 인간의 언어는 정보 축적

지금까지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연도별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서 주택용 전력소비에 대한 고령화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 음의 2가지 물음에

이러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이 조직학습지원 인식에 대한 인식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을 통해 긍정적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방안전체험관의 운영사례 조사 를 통해 소방안전체험관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해냄으로써

본 논문은 올바른 가창을 하기 위한 가창지도법인 자세,호흡,공명,발성에 관해 문헌 등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으며,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서비스 품질측정에 관한 기존연구를 토대로 유통산업 정 보시스템 서비스 품질요인을 SERVPERF모형을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