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Quotient in Cartoon Learning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Quotient in Cartoon Learning"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교신저자:조광수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E-mail :thinkkwang@rycos.co.kr

TEL :063-220-2236 FAX :063-220-3755

만화학습에 있어서 창의성개발과 감성지능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Quotient in Cartoon Learning

최미란*, 조광수**†

Choi, Mi-Ran, Cho, Kwang-Soo

전북대학교 디자인제조공학과*

Dept. of Design Manufacture, JBNU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Dept. of Industrial Design, JBNU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pressing the correlation of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artoon expression learning through literary research and correlation analysis. Analyses were made on each sub-factor for the self emotional intelligence evaluation and the creativity evaluation made by experts through cartoon expression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Studies on preceding research showed that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correlation and that it is common preception that higher creativity is equivalent to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 this study showed that while there is a relation between creativity evalu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artoon expression learning, not all factors were correlat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emotional evaluation of the upper and lower group learners did not show similar results in the creativity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factors, finding the appropriate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method would be the way to enhance creativit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cartoon expression learning,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for extracting the relative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Keywords : Creativity, Emotional Question, Cartoon, Cartoon Learning

요 약

본 연구는 만화표현학습에서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에 대한 문헌정리와 상관분석을 통해 두 영역의 요소에 대

한 관계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학습자인 초등학생의 만화표현을 통하여 자기감성지능평가와 전문가의 창의성 평

가에 대한 각각의 하위요인별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자료 조사에서 창의성과 감성지능은 관계성이 있으

며 창의성이 높으면 감성지능도 높다고 말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고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상관분석결과

만화표현학습에 있어서 창의성 평가와 감성지능은 관계는 있지만 모든 요소가 다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2)

창의성평가에 대한 상·하위 그룹 학습자들의 감성지능평가 결과 각 그룹에 대한 감성지능요소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감성지능과 창의성 요소는 각 분야에 맞는 감성지능개발방법을 찾는 것이 창의성을 높이는 방법 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창의성 개발을 위해서는 관계성이 있는 감성지능 요소 추출 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방향을 이루어나가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창의성, 감성지능, 만화, 만화학습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교육에 있어서 만화의 접목은 자기표현과 다양한 사고능력 등을 기를 수 있으며 창 의성과 감성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으로 적합하 다. 또한 만화는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수업의 참여를 유발하고 다양한 학습의 형태 및 효과로 참여되고 있 으며 이를 통한 다양한 연구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만 화학습의 선행연구 중 (이상혜, 2004)는 중학생의 만 화적 표현과 창의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깊은 정 적 상관이 있음을 말하며 만화의 표현이 창의성과 관 계성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황은아, 2003)는 감성지 능은 예술교육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계발될 수 있다 고 말하며 만화표현활동이 감성 개발에 효과적이라고 말하였다. 선행연구결과로 만화는 학습으로 수용하는 학습자에게 있어 창의성 신장과 감성 개발이라는 목 표에 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과목이다.

창의성과 감성에 대한 관계에 대해 박선재(2009)는 창의적 아이디어는 어느 날 갑자기 튀어나오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자기 훈련, 노력, 감성적 사고에서 나 온다고 볼 수 있으며 감성과 창의성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창의적인 요소의 결과는 흥미와 자극, 관심 등 과 같은 감성적인 특성을 가지며 이것은 창의성이란 감성적인 사고와 함께 공존되며 함께 개발 할 수 있 음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결과를 토대로 두 영역의 단일한 시각에서 벗어나 만화학습 에 대한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만화학습에서의 두 영역의 개발과 평가방식을 함께 고안해내는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Figure 1. Method of Research

1.2. 연구목적 및 필요성

창의성의 영역은 그 범위와 종류, 창의성 측정대상 에 대한 개인차 등 다양한 시각차이의 문제로 창의성 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단일한 창의성 평가 요소로 정의하 여 말하기는 힘들다.(김은주, 2008) 또한 만화의 창의 성 평가 역시 단일한 창의성 요소에 대한 평가와 측 정은 힘든 부분이다.

만화학습에서 감성지능은 학습자의 감정인식에 대 한 표현과 감정이입을 통한 간접적 경험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며 감성지능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다 양하게 시도 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창의성과 더불어 감성지능을 추구하는 만화학습의 가치가 인정되며 두 영역이 함께 어우러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며 효율적인 만 화학습에 대한 창의성과 평가방식을 개발하기 위해서 는 감성지능의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시작되었으며 만화학습에서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정리와 두 영역의 요소에 대한 관계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만화 학습의 영역에 대해 감상, 표현, 이론, 체험이 있으나 연구의 기간 및 범위에 대한 기초연구라는 점에 제약 을 두어 다양한 만화의 학습 방법 중 표현활동을 중 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기본 프로 세스는 Figure 2와 같으며 창의성 영역과 감성지능의 평가는 크게 실험자들의 만화표현학습의 경험을 가진 실험자를 통한 정서지능검사(문용린, 1996)와 만화의 창의성 평가(최미란, 2010)를 통한 분석이 이루어진 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만화학습을 통한 두 영역의 개발 및 평가방식을 고안해 낼 수 있는 기초 연구로 정립하고자 한다.

Figure 2. Process of Research

(3)

2. 감성지능

골먼(1995, Goleman)은 ‘감성지능’ 용어의 정립을 하였으며 피터샐로비, 존메이어가 발표한 정서지능을 입각하여 감성도 평가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IQ보다 EQ가 중요하며, EQ는 학습을 통해 개발할 수 있다”는 이론을 발표한 후 감성지능 개발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재 많은 학자들은 ‘감성지능’의 다양한 요소와 개발을 위한 연 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것은 인지능력 즉, IQ위주의 지 식교육보다 EQ를 중심으로 하는 정서교육으로의 방 향 전환에 대한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감성지능의 정의에 대해 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다니 엘 골먼(Daniel Goleman1995)은 "하나의 감정이나 그 에 부수적으로 따르는 뚜렷한 사고 및 심리적, 생리적 상태와 일련의 행동경향" 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존 메 이어(John Mayer) 피터 샐로비(Peter Salovey)는 “자 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표현하며, 삶 을 고양시키는 방향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라 고 정의하였다. 문용린(1996)은 "이성능력을 발휘하게 하거나 억압하고 제한하기도 하는 감성능력,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통제 및 활성화시키는 능력"이라고 정 의하였다.

2.1. 감성지능요소

감성이란 느낌을 받아들이는 성질, 자극이나 자극 의 변화를 느끼는 성질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학자들 의 견해와 시각에 따라 그 요소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Figure 3을 통해 학자들은 자기인식과 대인관계 감정 조절을 공통적인 감성지능요소로 말하고 있다.

Figure 3. Variety of Factors in Emotional Quotient

일반적으로 감성지능의 요소에 관한 정의는 그 용 어를 정립시킨 대니얼 골먼의 정의가 널리 알려져 있 으며 그 종류와 내용을 살펴보면 Table 1과 같다

Type Definition

self- awareness

Becomes the cornerstone of emotional intelligence with the ability to quickly perceive and become aware of the

emotions felt by oneself.

self-management

It is an ability to adequately handle and change one’s emotion which has been

perceived.

self-motivation The ability to make effort for one’s own accomplishment.

Empathy The ability to feel other people’s emotions like one’s own and read out the feelings

social skill

Stands for the ability to adequately cope with perceived feelings of others and stands for an adequate expression ability of

emotions.

Table 1. Component of Emotional Quotient(1995, Goleman)

2.2. 감성과 창의성의 관계

감성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선행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Geenacr (1957)는 창의적인 예술가들이 특별한 수준의 감수성에 대한 생물학적 성 향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Sundararagan은 시가 감수성을 요구한다고 주장했고 예술가들이나 그 외 다른 창의적인 사람들에게 찾아볼 수 있는 감수성을 창의성의 성격상의 상관물로 여겨지는 개발성과 연계시 키기도 했다. 또한 Stein은 창조성과 인상학적 감수성간 의 연관성을 나타내주는 세 가지의 경험적 연구를 인용 했으며 감정이입, 감동, 예술적 스타일 등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즉 감성은 창의성에 영향을 창의적 발상에는 감성적 성향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특징 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박선재, 2009)

3. 만화 표현 학습

3.1. 만화표현학습의 필요성

만화학습으로는 표현, 체험, 이해, 감상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자신의 생각 및 감성의 전달의 효과로

만화의 표현학습은 창의성 및 감성지능의 표현에 효

(4)

과적으로 나타내는 만화학습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만화표현학습'은 자신의 감정 및 간접적 경험을 글과 그림으로 나타내는 표현활동으로써 만화의 특징 과 요소를 활용하며 자유롭게 표현하는 만화학습의 한 형태로 칭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만화학습 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어지고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그 사례들이 시행되어 지고 있다. 2000년부터 시행된 제 7차 미술교과 과정에 만화의 정규단원이 도입되었 으며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만화 예술 강 사를 통하여 전국적으로 만화, 애니메이션 교육을 지 원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사례연구를 토대로 만화의 학습적 장점으로는 크게 내 재적 장점과 외재적 장점으로 정리 할 수 있다. 만화 학습의 장점에서 내재적이라는 의미는 학습자의 사고 의 기능과 사고의 성향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개인에게 요구되는 인지적인 사고의 기능으로는 상상력 풍부, 창의력, 독창성 상승 등을 말한다. 사고의 성향으로는 자신감, 집중력, 개방성 개발처럼 사고의 과정에 대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들이다. 외재적 장점은 내 재적 장점을 통한 다양한 여건과 과정에 대한 표현력 상승이다. 만화학습에서 내재적 장점과 외재적 장점의 개발은 만화학습의 필요성을 불러일으킨다.

Internal Advantage External Advantage

Function of thought-

Imagination, creativity and

originality, etc Expression ability (speaking and drawing, etc) Tendency of thought-

Self-confidence, concentration ability and openness, etc

Table 2. Advantage of Cartoon Learning

3.2. 만화학습과 창의성

만화학습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이기석, 2007)은 학생들은 만화에 많은 관심과 흥미가 있으므로 학습 에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창의력 신 장을 위한 미술교육이라는 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매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예술교육에서 만 화의 적용은 다양한 정서적 감상과 체험의 학습형태 를 갖추며 학생들로 하여금 창의성과 감성,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잠재된 가능성을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현재 만화학습의 창의 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만화학습 에 대한 창의성요소의 연구는 미비하다.

선행 연구조사를 통해 다양한 창의성 개발 학습에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이 공통적인 창의성요 소로 추출되었으며 이를 만화의 창의성요소에 적용하 였다. 또한 만화의 학습효과 사례조사를 토대로 추출 된 흥미성 요소를 첨가하여 만화의 창의성요소로 적 용하며 Table 3과 같은 구성요소와 문항으로 정의하 였다. (최미란, 2010) 만화의 창의성 구성요소와 문항 을 토대로 만화 표현에 대한 창의성 평가지가 제작되 었으며 채점 구성으로는 크게 영역, 소영역, 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7점 척도의 평가가 주어진다.

Factor Definitions and Questions on Creativity Factors of Cartoon

Fluency

The ability to quickly product the factors of cartoon expression during the conception on expressing the

topic.

-Number of balloons -Symbols (number of status line and

emotion line) -Types of expression factors

(background, character and

sound)

Flexibility

Stands for the ability to find solutions of various visual expressions by widening the range of thought and changing the view on expressed subjects

or conditions

-Change of conception -Various perspectives -Transformation of

idea

Originality

The ability to express by deriving unique, novel, original

and fresh ideas that have escaped from the existing ones

or ones different from others

-Escaping from existing ones

-Novel -Fresh

Delicacy

Pursues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expression while this

is an ability to express the characters, texts and arrangement of texts, etc in a

stable, detailed and accurate way as a whole among cartoon

expressions

-Accurate -Detailed -Stable

Interest

Arousing interest of expression or possessing fun, favorable

impression and humor

-Arousing interest -Fun -Witty

Table 3. Definitions and Questions on Creativity Factors of

Cartoon

(5)

4. 실증연구

4.1. 실험 개요

본 연구에서는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감성 지능과 창의성요소의 관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 과 같은 실험 개요를 가지고 있다. 실험 기간은 2011 년 3월부터 4월 말까지 진행되었으며 실험대상자는 2010년 3월부터 12월 까지 만화표현학습을 교육받은 초등학생 고학년 남녀 3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 자가 지난 9개월 동안 학습한 내용은 총 20차시로 진 행되었으며 만화를 통한 표현과 이론 및 감상학습의 구성으로 자기표현의 영역을 확대하여 창의성 및 감 성지능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만화표현학습의 수업 지도안으로 진행되었다.

Figure 4. Learing to Express in Cartoon

본 실험은 크게 1, 2차로 나뉘며 1차 시험에서는 문 용린(1996)의 자기보고식 감성지능 평가를 통하여 학 습자의 감성지능에 대해 분석하게 된다. 2차 실험에서 는 실험대상자의 칸 만화제작 결과물을 통해 만화 창 의성 평가를 실시하며 평가자는 만화 표현에 대한 감 성적 표현력과 이야기의 전개에 대한 아이디어 구성 및 정교한 표현력의 적절한 평가를 위해 디자인 전공

Figure 5 . Process Experiment

자 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차 실험을 통하여 실험대 상자의 창의성의 결과를 분석하며 1차·2차 실험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중점인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창의성요소와 감성지능의 관계성에 대해 심 층적으로 조사·분석하며 그 결과를 나타내고자 한다.

본 실험의 프로세스는 Figure 5와 같다.

4.2 1차 실험

1차 실험은 실험대상자 38명에게 문용린(1996)의 자 기보고식 검사지를 실시하여 감성지능평가를 진행하 였다. 본 연구의 감성지능 평가지는 Mayer와 Salovey (1997)의 정서지능 최근모형에 입각하여 제작한 청소 년용 정서지능검사로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서 지능에 ‘감정이입’ 영역을 부각시켜 총 5개영역으로 구 성되어있으며 감성지능요소로 5가지 하위영역에 대한 40문항의 구성된 평가지를 통해 자기보고식 감성지능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Factor Definition

Emotional Recognition (8question)

The area asking whether one’s own emotions can be indic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so that others can understand on whether the emotional state felt by oneself and others can be recognized precisely while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n area becoming basis of entire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8question)

The area of finding out whether one can feel the emotions or moods felt by other like one’s

own by understanding the emotion of others and experiencing again from the inner self Thought

Promoting (8question)

An area checking whether emotion can be used for solving problems

Use Emotion (8question)

The question finding out whether emotion or mood is actively utilized in order to perform assignments or solve proble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emotion which has become complicated and diverse

Managing Emotion (8question)

The area finding out whether one can maintain positive mood for a long time after changing one’s negative mood or emotion into positive state. Stands for the ability to adequately cope

with perceived emotions of others and stands for adequate emotional expression ability.

Table 4. Definition & Factor of Emotional Quotient (Moon,Yong-Rin)

(6)

4.2.1. 1차 실험 결과

Figure 6. Evaluation form of Emotional Quotient

Figure 6은 1차 실험 내용을 위한 자기보고식 감성 평가 과정(왼쬭)과 감성지능 평자지(오른쪽)이다. 1차 실험을 통하여 학습자의 감성지능요소의 상관분석이 이루어 졌으며 그 값은 Figure 7과 같다. 감성지능요 소의 상관분석결과 만화표현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감성지능 중 사고촉진은 정서인식(r=.671, P<.0.000), 감정이입(r=.419, P<.0.021)측면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관계성을 보이고 있으며 정서활용은 감정 이입(r=.539, P<.0.002), 사고촉진(r=.713, P<.0.000)측 면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관계성을 나타내 보이 고 있다.

Figure 7. Correlation of Emotional Quotient in Cartoon learning

또한 1차 실험결과로 학습자의 감성지능평가의 평 균값 그래프를 Figure 8같이 나타내었으며 만화표현 학습의 학습자의 감성지능의 관계성요소와 평균값그 래프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Figure 8. Mean value Graph of Emotional Quotient

본 연구를 통하여 만화표현학습의 경험자들이 가지 고 있는 감성지능의 성향은 각 항목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성의 요소는 비슷한 수치를 나 타내고 있다. 그 중 정서조절은 감성요소 중 가장 낮 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상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들은 만화표현학습을 통해 자기감정을 주제표 현에 솔직히 나타내며 다양한 표현을 위해 본인의 사 고를 촉진시켜 정서를 인식하고 감정이입하며 정서를 활용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본인의 감정과 기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만화로 표현하는 결과를 나타내 었다.

4.3. 2차 실험

2차 실험의 실험대상자는 1차와 동일하며 학습자의 칸 만화를 평가샘플로 사용하여 만화의 창의적 표현 요소를 통해 평가자의 채점 방식으로 평가가 이루어 진다. 평가지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만화의 창 의성 평가지(최미란, 2010)로 평가된다. 평가형식은 5 가지 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종교성, 흥미성)를 창의성 평가요소로 나타내며 세부 평가항목으로 15항 목을 7점 척도로 평가하여 실시하였다. 이 후 본 연구 의 만화표현학습이 학습자들의 창의성요소에 대한 관 계성을 조사하기 위해 두 영역의 상관분석이 실시되 었다.

4.3.1. 2차 실험 결과

Figure 9는 2차 실험 내용을 위한 창의성 평가(왼 쬭)와 창의성 평자지(오른쪽)이다.

Figure 9. Evaluation form of Creativity

4.3.1.1. 창의성요소의 상관분석

만화표현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창의성요소에 대

한 단순상관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만화의 창의성 평가요소는 모든 요소들은 관

(7)

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실험자 들을 통해 만화의 창의성 평가에 대한 요소가 창의성 을 발휘하는 모든 요소에 적합하며 창의적 만화표현 에는 만화의 창의성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흥미성을 사용하게 되는데 각 요소들이 서로 관계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Figure 10. Correlation of Creativity Factors

4.4.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상관분석

만화표현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감성지 능의 관계성 조사를 위해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 다. 본 연구의 실험분석 결과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감 성지능의 모든 요소가 관계성이 있게 나타나지 않았 으며 상관분석을 통하여 관계성을 나타낸 요소는 다 음과 같다. 정교성은 감성이입(r=.538, P<.032)과 관계 성이 있으며 흥미성은 감성이입(r=.515, P<.032), 사고 촉진(r=.419, P<.021), 정서활용(r=.610, P<.012)의 영 역이 관계성이 있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만 화의 정교성 있는 창의적 표현을 위해서는 감성이입 의 감성지능을 활용하며 흥미성을 반영하는 표현에 대하여 학습자는 다양한 감성지능요소를 반영하는 결 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은 본 연구의 학습자들 의 창의성과 감성지능평가의 상관분석결과 값을 다음 과 같이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 Correlation of Creativity & Emotional Quotient

4.4.1. 상ㆍ하위그룹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상관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감성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하여 상·하위 그룹(학습자의 칸 만화 평가에 대한 창의성 평가자의 선호도평가를 기준으로 분류_각 8명)으로 나누어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Figure 12, Figure 13과 같다.

Figure 12. Correlation of Creativity & Emotional Quotient (High rank)

Figure 13. Correlation of Creativity & Emotional Quotient (Low rank)

본 연구의 학습자 가운데 상·하위 그룹은 창의성개

발에 대한 감성지능의 관계요소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2와 같이 상위 그룹의 상

관분석 결과 흥미성 요소와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낸

감성지능요소는 사고촉진(r=.710, P<.032), 정서활용

(r=.751, P<.020)으로 나타났다. 또한 Figure 13과 같

이 하위그룹의 상관분석 결과로는 흥미성 요소와 정

서활용(r=.644, P<.033)이 의미 있는 관계성요소로 나

타났다. 위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 전체와 상·하위 그

룹의 창의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감성지능요

소는 차이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8)

Factor High Rank Group Low Rank Group

Fluency

Expresses the topic using various cartoon

oriented expression techniques as a whole

Expresses the topic using various cartoon

oriented expression techniques for the most

part

Flexibility

Newly creates various forms of spaces by giving up the concept on the space of single

rectangle

Reflects the form of concept on the space of

single rectangle as it is

Originality

Reinterprets ideas and imagination with one’s own original style, the diversity of character

Lack of expressing original ideas on existing ones (character,

location and formative structure)

Delicacy

One’s own idea, topic and thoughts are elaborately shown using

cartoon expression

Unable to show one’s own idea, topic and

thoughts effectively from the lack of cartoon expression

Interest

Shows original characters or forms of

space in general and expresses in an interesting way

Unable to deliver the topic precisely and lowers interest from the

expression of monotonous atmosphere

and form Table 5. Comparison of Creativity Expression Evaluation of

High rank and Low rank Groups_02

4.4.2. 상ㆍ하위그룹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의 그래

프 결과 분석

상ㆍ하위 그룹의 창의성평가와 감성지능평가 평균 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그룹간은 Figure 14와 같이 창의성평가 결과의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창의성 요소 중 흥미성이 평균값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하위 그룹의 감성지능 평가 평균값 그래프는 창의성결과 값과는 다르게 평균 값의 차이가 두 그룹 간에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 히려 상위그룹의 정서인식표현은 하위그룹 실험대상 자의 평균값보다 낮게 측정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 다. 이는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창의성이 높고 낮은 평 가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감성지능의 모든 요소가 관 계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Figure 14. Graph of Average Value between Creativity (Left) and Emotional Quotient Evaluation (Right) of High rank and Low rank Groups

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만화표현학습을 통한 창의 성과 일반적인 감성지능의 요소의 전체가 관계성이 있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것은 만화표현학습에 적 합한 감성지능 개발요소와 방법이 창의성과의 관계성 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4.5. 상ㆍ하위그룹의 창의성표현 평가 비교

상ㆍ하위그룹의 창의성표현에 대한 비교를 위해 창 의성 평가에 사용된 학습자의 칸 만화 샘플을 사용하 였다. 대체적으로 상위그룹의 샘플은 만화적 표현기 법을 다양하게 나타내며 학습자가 생각하는 아이디어 와 생각을 독창적 스타일로 유창한 표현의 결과를 나 타내고 있었다. 반면 하위그룹은 만화의 표현기법은 이해하고 있으나 단일한 시각의 개념과 단조로운 분 위기, 소극적인 표현방법으로 나타내어 주제가 정확 히 전달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흥미성이 저하되는 표현으로 자신의 사고와 생각이 그림으로 잘 표현되 지 않아 창의성표현의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Figure 15는 상·하위그룹의 창의성표현을 나타낸 칸 만화의 샘플이며 본 샘플을 통하여 창의성의 각 요소 에 대한 상·하위 그룹의 평가내용을 Table 5로 정리 하여 비교하였다.

Figure 15. Comparison of Creativity Expression Evaluation of High rank and Low rank Groups_01

(9)

5. 결론

본 연구는 창의성개발을 위한 만화학습에 감성지능 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여 시작되었으며 선행연 구 자료를 토대로 두 영역의 관계성에 대한 조사와 실 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나타내었다.

첫째, 만화표현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나타난 감성지능의 성향을 만화의 표현에 비유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은 만화학습을 통해 자기감정을 주제 표현에 솔직히 나타내어 표현하고 다양한 표현들을 위해서는 학습자 본인의 사고를 촉진시켜 정서인식과 감정이입의 감성지능을 나타낸다. 즉, 본인의 감정과 기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만화로 표출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습자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에 대한 상관분 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만화의 정교성 있는 창의 적 표현을 위해서는 감성이입의 감성지능 활용하며 흥미성을 반영하는 표현은 학습자의 다양한 감성지능 을 반영하는 결과를 나타내 보였다.

셋째, 상·하위 각 그룹의 평균값을 토대로 그래프화 하여 두 그룹간은 창의성지수에 대해 눈에 띄는 차이 의 결과를 확인하였으나 감성지능평가의 결과 상· 하 위그룹간의 큰 폭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결과를 알 수 있다. 또한 만화표현학습에 있어서 창의성 평가와 감성지능은 모든 요소의 관계성이 나타나있지 않았으 며 상·하위그룹 학습자들의 감성지능평가 결과 감성 지능의 요소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만화표현학습에 있어서 창의성은 창의적인 표 현을 하는 표현방법이고 감성지능은 다양한 사고의 기능이라고 정리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성향과 방식 에 따라 각 요소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또한 만화표현학습의 창의성 개발을 위해 관 계성이 있는 감성지능요소 추출에 대한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를 통해 감성과 창의성은 무조건적인 상관관계가 아니며 각 분야에 맞는 특성화된 감성지 능 개발요소와 방법을 찾는 것이 창의성과의 관계성 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리하면 창의성 과 감성지능에 대한 관계성 요소는 어떠한 도구를 통 해 또는, 분야나 학습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질 것이다.

이것은 만화만이 아니라 다른 각 분야에서도 가지고 있는 다양한 창의성의 틀과 강조되는 감성지능 요소 들이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결과로 말할 수 있다.

Figure 16. Connection of Creativity & Emotional Quotient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도구인 만화는 본래가지고 있는 감성지능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발전, 표현하느 냐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만화 학습에서의 창 의성을 개발하고 표현해 내기 위해서는 만화학습에 적합한 감성지능요소를 개발시켜야 할 것을 연구 결 론으로 나타낼 수 있다. 향후 연구계획으로 만화표현 학습을 통한 창의성 개발을 위해 감성지능의 관계성 이 있는 요소 추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방향을 이루 어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만화표 현학습에서의 감성지능요소의 관계성에 대하여 모든 요소가 관계성이 있는 요소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연구와 만화표현학습에서 효과적인 감성지능을 나타 내는 요소발견을 위한 향후 연구를 기대해본다. 나아 가 창의성을 높이는 만화표현학습 도구의 개발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의 자료와 결과를 토대 로 만화학습의 다양한 연구가 질적으로 풍부해 지기 를 기대한다.

REFERENCES

Choi, G. S. (2002). Ext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ability using the cartoon in class, Kong Ju National University.

Ha, H. S. (2007).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Cartoon Drawing based on Formative Language: for the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hengju National University.

Hwang, E. A.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rough Cartoon Expression Activitiies, Centering on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wang 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2005).

Teaching-learning Method of Cartoon & Animation ,

for the 5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Kwon, S. H. (2002). A Study of the Actuality a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Creativity Trai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Kyung Hee University.

Kim, E. J. (2008).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 for Creativity in Design, Mainly concerning childre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Lee, M. S. (2003).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tudents on soci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Kuyng Hee University.

Lee, S. H. (2004). A Study on Cartoon Expressions and Crea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ong-A university.

Pank, S. J. (2009). A Study on Sensibility and Method of Creative Idea Techniques in Exhibit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원고접수: 2011.11.29

수정접수: 2012.03.07

게재확정: 2012.03.23

수치

Figure  1.  Method  of  Research
Figure  3.  Variety  of  Factors  in  Emotional  Quotient
Table  2.  Advantage  of  Cartoon  Learning
Table  4.  Definition  &amp;  Factor  of  Emotional  Quotient  (Moon,Yong-Rin)
+5

참조

관련 문서

Development of Naphtha Sensor Based on DBR Porous Silicon and Fluorescence Resonance Study between Silole1. and

본 논문에서는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고출력 펄스 레이저의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가 간섭 광 결합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분할 펄스 증폭 (divided pulse

본 연구는 무용공연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주민인식 및 지지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무용공연 활동에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Ballast W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Ballast W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p’s Ballast Water A Study on the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값진 성취는 환경보호에 대한 동기, 생태적 감수성 증진 등 정의적 영역의 성취기준 들이 STEAM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적인 활동 안에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반영과 과정중심 평가에 적 합한 교과 통합적 연계를 통한 융합인재교육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주요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cience Social Emotional Learning elements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최적의 전류각제어를 통한 SRM의 평균토크 제어방식에 대한 연구를 논하기 위해 1장에는 서론을 논하고,2장에서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 기 해석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