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54  Download (0)

Full text
(1)

임상의학입문

- 이비인후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2)

이비인후과의 구성

경희의료원 부속병원 차창일 : 이과 조중생 : 비과 김성완 : 비과 , 두경부외과 여승근 : 이과 신승엽 : 비과 동서신의학병원 박문서 : 이과 권기환 : 두경부외과 변재용 : 이과 이건희 : 비과 전공의 4 년차 : 신일호 , 김상훈 3 년차 : 정대한 , 정 훈 2 년차 : 박철언 , 권 철 / 류은웅 1 년차 : 강호민 , 정수영 / 이준석 코디네이터 2 명 (1/1) 청각사 5 명 (3/2)

(3)

이비인후과의 영역

이과

: 귀의 모든 질환

어지럼증

, 난청 , 이명 , 안면신경마비 , 중이염 , 종양 등

비과

: 코의 모든 질환

비염

, 부비동염 , 비종양 , 수면호흡장애 , 비성형술

악안면외상

, 비중격질환

두경부외과

: 두경부질환과 모든 양성 , 악성종양 ( 갑상선 포함 )

후두질환 , 음성장애

(4)

Anatomic Partition

Ear

Nose, Nasal Cavity, Sinus

Oral Cavity

Pharynx

Larynx

Salivary Gland

Neck

(5)
(6)
(7)

Vestibule

buccal mucosa

Alveolar Process of both Jaw

teeth, gingiva

Oral cavity proper

palate

floor of mouth

tongue

(8)

Anatomy of Pharynx

Nasopharynx

ant. - choanae

post. - pharyngeal recess

roof - at first, attached closely to skull base

slope downward & backward

floor - upper surface of soft palate

Oropharynx

above - post. border of soft palate

lat. - palatine arch

inf. - dorsum of tongue

Hypopharynx

ant. - larynx

post. - constrictor m.

sup. - floor of vallecula & laryngeal aditus

inf. - lower border of cricoid

(9)

Anatomy of Larynx

Supraglottis

ventricle apex 를 지나는 horizontal plane ~ epiglottis tip epiglottis aryepiglottic fold arytenoid ventricular band

Glottis

ventricle apex 부터 1 ㎝ 하방까지

true vocal cord

ant. & post. commissure

Subglottis

(10)

Parotid Gland

Divided into superficial & deep lobe

by facial n.

Stensen’s duct

Submandibular Gland

Two division (by mylohyoid)

superficial lobe

deep lobe

Wharton’s duct

Sublingual Gland

open into Wharton’s duct

or directly oral mucosa

Anatomy of Salivary Gland

(11)

Anatomy of Neck

(12)
(13)

Neck Anatomic Description

(14)

Neck Anatomic Description

LEVEL I - the submental group

the submandibular group LEVEL II - upper jugular lymph nodes LEVEL III - middle jugular lymph nodes

LEVEL IV - lower jugular lymph node group LEVEL V - the posterior triangle

LEVEL VI - the anterior neck compartment : level II, III 의 경계 -- hyoid bone

: level III, IV 의 경계 -- cricothyroid memb.

(15)

Head Mirror 사용법

초점거리 약 25 cm, binocular 광원 : 환자의 머리 우측 후상방에 위치 시킨다 . 쓰는 방법 :  이마에 먼저 댄 후 뒤쪽을 나중에 쓴다 .       :    반사경을 좌안에 댄다 . ( 우안이 주시안인 경우 )         :   우안을 감은 채로 좌안으로 시야를 확보한 후 , 양안시로 본다 .

(16)

Evaluation of the Ear

Otoscopy

Audiometric Evaluation

Pure tone Audiometry

Speech Audiometry

Impedence Audiometry

EcoG

ABR

Vestibular Function Test

Radiologic Examination

(17)
(18)
(19)
(20)
(21)
(22)
(23)

ABR

(24)

OAE

(25)
(26)
(27)
(28)

Evaluation of the Nose

• Rhinoscopy

-

ant. rhinoscopy

-

post. rhinoscopy

• Endoscopic examination

• Radiology test

• Olfactory test

• Acoustic rhinometry

(29)

Anterior Rhinoscopy

     ① 제 1 두위 (first position)       : 환자의 머리를 수직으로 , 광선을 수평으로       : 코털 , 비전정 , 하비도 , 하비갑개 , 비중격의 하부 관찰 , 비인강 , 이관 융기부 ② 제 2 두위 (second position)       : 환자의 머리를 30 도 뒤로 젖히고 광선을 콧등과 평행하게          : 하비갑개의 상부 , 중비도 및 중비갑개의 전부 , 후열 (olfactory fissure) 관찰

(30)
(31)
(32)
(33)
(34)

Threshold test

Odor Discrimination test

Odor Identification test

KVSS test I : screening test

KVSS test II : Comprehensive test

Olfactory Function Test

(35)
(36)
(37)
(38)

정도 기간 중요 Anti-H1 histamines Cetirizine ++++ 3–10 Yes Chlorpheniramine ++ 1–3 Yes Desloratadine ++++ 3–10 Yes Ebastine ++++ 3–10 Yes Hydroxyzine +++ 1–10 Yes

Levocabastine (topical) Possible Yes Levocetirizine ++++ 3–10 Yes Loratadine ++++ 3–10 Yes Mequitazine ++++ 3–10 Yes Mizolastine ++++ 3–10 Yes Promethazine ++ 1–3 Yes Ketotifen ++++ >5 Yes Anti-H2 histamines Cimetidine/ranitidine 0 to + No Imipramines ++++ >10 Yes 정도 기간 중요 Phenothiazines (132) ++ ? Yes Glucocorticosteroids

Systemic, short term 0

Systemic, long term Possible Yes

Inhaled 0

Topical skin 0 to ++ Yes Theophylline 0 to + No Cromolyn 0 ß2-Agonists Inhaled 0 to + No Oral, injection 0 to ++ No Formoterol Unknown Salmeterol Unknown Dopamine + Clonidine ++ Montelukast 0 Specific immunotherapy 0 to ++ No

(39)

① RAST (Radio allergy sorbent test)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 IgE 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면역방사계수측정법의 일종이 다 .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식자로 사용한다는 단점과 예민도가 낮고 사용의 불편과 비경 제성 , 고가장비의 문제 등이 있다 .

② MAST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혈청에 총 IgE 와 여러 알레르겐 특이 IgE 항체를 동시에 측정 하는 방법이다 . 검사결과가 반정량적이고 , RAST 및 피부단자시험과 비교하여 예민도 가 낮지만 , 여러 항원을 동시에 검색하여 경제적이고 쉬운 장점이 있다 .

(40)

③ ImmunoCAP system

점차 방사성 동위원소 사용을 기피하게 됨에 따라 Phadia 사에서 새로이 개발하였 다 . 원리는 RAST 와 동일하나 고형상으로 paper 대신 cyanogens bromide activated nitrocellulose carrier 를 사용한다 . 이 방법은 기존의 Paper disc 방법에 비하여 알레르겐 결합능이 3 배 이상 높아 검체와 쉽게 결합하며 20 분만에 알레르겐 - 항체 결합이 평형상태에 도달한다 . 특히 특이도를 유지하면서 예민도를 높였으며 , 혈청 총 IgE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위양성 반응이 없으며 , 분석과정이 표준화 , 자동화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정량적으로 분석이 가능하여 혈청내 특이 항 체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 국내보고에 의하면 피부단자 시험에 비하 여 CAP system 의 예민도는 약 80% 정도이고 , 특이도는 82% 이며 ,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단자 시험상 음성이더라도 환자의 병력상 특정 알레르겐이 의심되면 CAP system 을 이용한 특이 IgE 항체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국외에 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

(41)

Nasal Provocation Test

Allergen Specific Provocation Test

Non-Specific Provocation Test

Histamine Test

Methacholine Test

Hypertonic Saline Stimulation test

Cold Air Stimulation Test

Aspirin Provocation Test

Filter paper Test

(42)

Allergen Specific Nasal Provocation

paper patch with allergen

cleansing the nasal cavities

attach control disc to IT

monitoring, 5 min later

attach Ag disc to IT

(43)

Evaluation of Nasal Provocation

1. Nasal symptoms and ant. rhinoscopic finding

- itching sense, sneezing, nasal obstruction

- watery rhinorrhea

- nasal mucosal swelling

2. Degree of reactivity

- mild (+) : two of above

- moderate (++) : three of above plus sneezing (<5)

- severe (+++) : three of above plus sneezing (>6)

77% of patients with Negative History -- negative provocation test

64% of patients with Positive History – positive provocation test

(44)
(45)

Evaluation of Neck/ Lx/ Phx

Larynx & Pharynx Exam

: neck flexion

(46)
(47)

P/E of Oral Cavity

Tongue Depressor

구개 , 구개궁 , 구개편도 , 중인두 , 혀 , 구강점막 , 구강저 , 타액선 , 타액선배설관 개구부 등을 관찰

(48)

Bimanual Palpation

Consistency

Size

Fixation

Extent

Tenderness

(49)

Tongue depressor

Indirect laryngoscopy

Direct laryngoscopy

Post. rhinoscopy

(50)

P/E of Larynx

(51)
(52)
(53)
(54)

이비인후과 실습 일정

외래 참관

수술실 참관

각종 검사 참관 및 실습

실습강의

실습시험

Q & A

Figure

Updating...

References

Related subjec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