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9_옹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09_옹벽"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9.1

옹벽

~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토구조물 (retaining wall)

(3)
(4)

9.3 Rankine

의 수평토압

(1)

주동토압

 

=

=

� �

��=��� 2 (45 − � 2 )  

9.3.1

사질토 지반 ( c=0)

(5)

(2)

수동토압

 

=

=

� �

=��� 2 (45+ � 2 )  

(6)

(1)

주동토압

 

=

−2

=

� � −2�√ �

��=��� 2 (45 − � 2 )  

9.3.2

점성토 지반

(7)

(1)

수동토압

 

=

+

2

=

� � +2�

��=��� 2 (45+ � 2 )  

(8)

9.4 Coulomb

의 수평토압

(1)

주동토압

=

1

2

� �

2  

(9)

(1)

수동토압

=

1

2

� �

2

(10)

9.5

옹벽설계에

(11)
(12)

9.7

옹벽의 안정성 검토

1.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2. 수평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3. 기초지반의 지지력파괴에 대한 검토 4. 침하에 대한 검토 5. 사면안정에 대한 검토

(1)

전도에 대한 검토

(13)

(2)

수평활동에 대한 검토

=

(

저항력 )

(

활동력 )

(14)

(3)

지지력에 대한 검토

=

(

허용지지력)

���

(

최대지반반력)

(15)

9.8

옹벽의 전체 안정성 검

(16)
(17)
(18)

9.11

보강토 옹벽

~ 전면판 + 보강재 + 뒤채움흙으로 구 성

(19)

9.12

보강토 옹벽의 구성요소

(1)

보강재

(20)
(21)

(3)

뒤채움 흙

1.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효과가 큰 사질토

2. 배수성이 양호하고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변화가 적은 흙 3.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

(22)

9.13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검토

(23)

(3)

내적 안정성

1. 전도에 대한 안정성 2. 수평활동에 대한 안정성 3.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4.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5. 지반침하에 대한 검토 ( 허용침하량 : 10~20cm, 부등침하량 1/100~1/200)

(2)

외적 안정성

1. 보강재 절단에 대한 검토 2. 보강재 인발에 대한 검토

(24)

9. 14

보강토 옹벽의 설계

(1)

설계법 ( 파괴형태 )

(25)

(1)

보강재에 작용하는 토압

9. 15

띠형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 옹벽설계

(26)

(a)

보강재에 작용하는 힘

(b)

보강재에 절단에 대한 안정성 (

두께 검

토 )

(a)

보강재에 인발에 대한 안정성 (

길이 검

참조

관련 문서

과학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원자의 구조를 밝혔으며, 또한 핵의 발견과 전자의 움직임에 대한 이론도 살펴보자.. 분자의 화학적

또한 지하수에 녹아있는 여러 광물질은 그 지하수가 흐르는 지하 의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의 화학변화를 거치게 됨으로 지하수의 화학적 품질은 적은 지역 안에서도 많이 변하는

(Impermeable wall) In-situ 불투수성 재료 (흙, 시멘트 등)를 이용하여 오염지하수가 주변으로 이동 및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지하수

Ⅰ.. □ 따라서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가 필수 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금융 지원 및 금융 모델에 대한 연구 필요. ○ 절대적

이는 작년 동월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전복 먹이용 미역 생산이 줄면서 식용 미역을 전복 먹이용 으로 판매한 어가들이 많아지면서 가공업체에서 식용 원초 확보가

Heme에서 H + 가 Fe 2+ -Heme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괄적 분석 Heme을 소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화학적 용혈-단백질 침전의 프로토 콜로 추출한 후, Heme

운동은 다양한 경로로 β세포를 자극하여 안정시의 혈장 인슐린 농도를 낮추며 당 부하검사에서도 인슐린 분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규칙적 인

유해성 , 잔류오염농도, 화학적 추출 정도 유해성 , 잔류오염농도, 화학적 추출 정도. 위해성 , 독성발현농도, 생물학적 이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