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Bathroom Design for Small Household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Bathroom Design for Small Households"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 디자인 경향

신 인 철, 최 경 란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가구디자인전공

A Study on Bathroom Design for Small Households

Inchul Shin, Kyungran Choi

Department of Furniture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Seoul 136-702, Korea

Abstract: Households of today tend to gradually change from a large household to a small one.

The tendency starts from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with modern industrial society.

Small-sized households have rapidly increased with the following three reasons: (i) one-person households with aging society, (ii) individualistic pursuit of happiness, and (iii) emergence of single households due to high prices and a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With these social changes, various products for small-sized households have been created and there have also been changes in dwelling patterns with small-size housing and one rooms increasing. Current small-sized living space has combined space of a living room, a bedroom and a kitchen, which makes a house compositive space. A bathroom, however, requires a differentiated suggestion from existing one since it is special space where water is used. Based on this issu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bathrooms in small-sized living space.

Keywords: Bathroom, small house, households, small-sized living space

1. 서 론

1

1.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의 가구(家口)는 대가구에서 소가구로 점 차 변모하고 있다. 그 원인은 근대화 산업사회로 변해가면서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대가족의 구성이 점차 소가족화가 되어가는 것이 발단이 되 었다. 소가구로 변모하는 원인은 이것 외에도 첫 째, 고령화로 인한 독신가구, 둘째, 개인주의적 행 복추구, 셋째, 높은 물가와 삶의 질 저하로 인한 미혼가구가 있다.

2012년 11월 26일 접수; 2013년 1월 10일 수정; 2013년 1월 15일 게재확정

교신저자 : 최 경 란 (ran@kookmin.ac.kr)

현재의 소형 주거공간은 점차 융․복합적인 공 간으로 거실, 침실, 주방이 통합화가 되어가고 있 지만 욕실은 물을 쓰는 특수한 공간이기 때문에 기존의 욕실과 차별화된 제안이 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인주거공간 의 욕실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소형가구의 종류와 평면을 분석하고 욕실공간에 대한 구조 및 배치 등을 분석하여 현 재 소형평형 욕실공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소형 가구만의 특화된 욕실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생활환경 및 라이프스타일의 변 화를 통해 현대 가구(家口)가 변해가는 과정을 고

(2)

Fig. 1. Size of family members.

찰하고 변화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주거공간 내의 욕실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선행디 자인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이해하며 효율적인 공 간 활용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2. 생활문화의 변화

2.1. 가구의 변화

2.1.1. 가구의 정의

통계청의 가구에 대한 정의 및 구분은 다음과 같다. 가구는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 침 등 생계를 같이하는 생활단위이다. 가구(家口) 는 사회적으로 최소 공동생활집단으로서 재생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자녀의 양육, 교육과 부양 및 정 서적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경제적으로는 소비의 기본단위로서 주택의 수급 및 가구 내구재 시장의 기본단위가 된다. 이러한 가구의 변화를 조사하여 주택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2.1.2. 가구의 구분

우리나라는 가구(家口)변화의 주된 원인은 공업 사회로의 변화이다. 근대화를 겪으면서 농경사회 에서 공업사회로 변하면서 대가족 위주의 가구(家 口)의 구성은 점차 핵가족으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렇듯 핵가족을 이루게 된 주발단은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산업화의 변화 때문이지만, 현재의 소 가구(家口)를 이루게 된 원인은 다양한 곳에서 발 생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사별한 독신가 구, 이혼가구, 개인의 삶을 중시한 독신자 가구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점차 소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30∼40대의 독신자 가구는 크 게 2가지의 원인으로 압축할 수 있는데, 자기의 삶 을 중시하는 독신가구와 각박한 경제와 고(高)물가 로 인한 독신가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는 저출산․고령화 속에 급속한 가족 해체를 겪으 며 가구원의 수가 점차 줄어드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평균 가구원 수는 2.69명으로 2005년 2.88 명보다 0.19명 감소했고, 1990년 이후 가장 주된 유형의 가구는 4인 가구였으나, 2010년에는 2인 가 구가 가장 주된 가구 유형으로 등장하기에 이르렀

다. 통계청 예측자료에 따르면 2010년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25.3%를 차지해, 사상 처음으로 2․

3․4인 가구를 제치고 가장 흔한 가구 형태가 될 것으로 예측했으며 1인 가구 비중은 2035년엔 34.3%까지 뛰어오를 것이라고 한다. 특히 1인 가 구 중 배우자를 앞세운 뒤 혼자 사는 사람이 한 해 6만 명에 이 65세 이상 홀몸 노인은 올해 119만 명에서 2035년 343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사별이나 이혼 등으로 홀로 사는 사람들 은 미혼 1인 가구에 20∼40대가 몰려있는 것과 달 리 주로 고령층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1인 가구 는 고령 독신자와 미혼의 싱글로 나눠볼 수 있으 며 생활습관과 신체적 차이를 고려하여 이들을 위 한 각각 차별화된 욕실계획이 필요함을 알 수 있 다. 또한 1세대 가구는 증가한 반면, 2세대 이상 가구는 감소하여 가구 분화가 계속 진행되었으나 1세대 가구는 2005년 16.2%에서 2010년 17.5%로 1.3%p 늘어난 반면, 주된 세대 유형인 2세대 가구 는 55.4%에서 51.3%로 4.1%p 감소되었다(Figs.

1, 2).

2.2. 주거평면의 변화

우리나라는 개화기 이후 서양의 문화가 들어오 면서 주거환경에도 그 영향을 미쳤고 이 시기부터 양옥이라는 서양의 주거평면이 적용된 주택건축물 이 생겨나면서, 주거문화가 빠르게 변화하였다. 특 히 해방과 전쟁을 겪고 새로운 경제기반시설이 적 용되면서 서양문화가 빠르게 도입되고 흡수되었다.

이러한 계기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도입된 아 파트는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우리나라를 대

(3)

Fig. 2. Household composition trends.

Table 1. Change of Apartment unit plan

연도 단위평면 유형 특 징

1960년대

서민형 주종

침실수에 따라 평면유형 구분

거실공간 기능 미약

1970년대

중산층 대상 전개

규모확대 경향

LDK형 정착

중앙난방방식 일반화

1980년대

자재의 고급화

주거형의 다양화

평면 유형 다양화

- 동일 전용면적 내 다른 실의 수 - 부부전용욕실 등장

1990년대

배치개념의 다양화

선택사양제도의 채택

안방의 기능 강화 - 안방, 침실 일체화

거실 면적 확장

- 공법상의 기능 검토 차원

표하는 주거공간이 되었다.

각 실의 변화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거실(Living Room)

거실은 아파트에서 가장 낮은 상대적 공간심도 를 가지고 있으면서 시각적으로는 다른 공간과의 통합화가 되었다. 또한 거실 자체가 주택 내 동선 의 주요 통로로 쓰임과 동시에 가정생활에 초점이 되고 있었다.

(2) 부엌(Kitchen)

부엌의 상대적 공간심도는 변하지 않고 시각적 접근과 노출치는 현격하게 증가하였다. 아파트에 있어서의 부엌은 시각적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있 지만 위치적으로는 전통주택과 같이 격리되어 있 다. 이것은 아직까지는 부엌이 방문객에까지 개방 된 공간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중정과 거실(Dining/Living Room) 전통주택에서 가지고 있던 중정이 거실로 전이 과정에서 중정은 아파트라는 수직의 주거형식의 속성으로 제외되었고, 그 대신에 새로운 공간인 거 실이 중정의 사회적 기능(가정생활의 초점)을 흡수 하게 되었고, 이런 이유로 우리네 전통적 주생활양 식이 아파트로 흡수해 들어갈 수 있었다.

(4) 욕실(Bathroom)

근대주거로서의 변화로 한국전통가옥에서 외부 에 있던 화장실이 내부로 들어오면서 목욕을 할 수 있는 공간과 결합되어 욕실이라는 공간이 생겨

(4)

Table 2. Type of bathroom

나게 되었다. 초기의 욕실은 단위평면세대에 1개 의 공간으로 목욕, 세안, 용변 등과 세탁의 기능을 겸비하는 공간이었으나, 소비자의 생활양식 변화 에 따라 세탁의 기능은 다용도실이라는 공간분리 가 이루어졌다. 나아가 욕실도 개수의 변화가 나타 났고, 공간도 행태에 따른 분리가 이루어지고 있 다. 현재는 청결, 위생 외의 휴식의 역할이 부여되 면서 새로운 평면으로의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처럼 각 실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주거공간의 융․복합이 이루어지면서 주거평면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able 1을 살펴보면 서민형 위주의 아파트 평면에서부터 시작하여 다 양한 평형의 평면이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각 시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결과이다(Table 1).

3. 욕실공간의 변화

3.1. 욕실공간의 유형 분류

욕실의 행태 및 제품에 따라 설비기능을 분류하 면 변기, 세면기, 욕조, 샤워기, 탈의실, 세탁기 등 으로 총 6가지의 기능으로 분류되고, 이러한 기능 의 조합을 통해 9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Table 2).

먼저,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세면기, 변기, 욕 조의 3가지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스 유닛 (Bath Unit)형 욕실이 있고, 여기에 탈의 장소가

부가되는 유형, 세탁장소가 부가되어 있는 유형, 바스 유닛(Bath Unit)의 목욕기능에서 욕조 대신 샤워기가 설치되어 있고, 거기에 탈의 장소가 있는 유형, 이렇게 3개의 유형이 4가지의 기능을 가진 유형들이다. 여기에서 탈의 장소를 겸하고 있는 유 형은 탈의실에 따로 구획되어 순수탈의기능만을 하고 있거나, 탈의실에 세면기가 설치되어 세면장 소와 탈의 장소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유 형들은 2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2실형 으로 분리하였다. 바스 유닛(Bath Unit)형에 세탁 장소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는 공간이 나뉘어 있지 않으므로 1실형으로 분리하였다.

다음으로 바스 유닛(Bath Unit)형과, 바스 유닛 (Bath Unit)형에서 욕조 대신 샤워기가 있는 유형, 이 두 가지 유형이 3가지 기능을 가진 유형들이다.

이 유형들은 한 공간에 모든 기능이 있어서 모두 1 실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다. 3가지 기능을 가 지는 또 한 가지의 유형은 변기, 세면기, 탈의실의 3가지 기능을 가지는 유형으로, 2실형으로 이루어 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3기능형의 유형은 총 3가지이다.

2가지의 기능을 가진 유형은 바스 유닛(Bath Unit)형에서 목욕의 기능이 빠진 경우로, 변기와 세면대로만 이루어져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세 면기와 변기가 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로, 이 유형은 총 1가지이다.

(5)

Table 3. Classification type of bathroom

3.2. 조합방식에 따른 배치 유형

욕실의 유형을 조합방식에 의하여 규모에 관계 없이 기능적으로 대별되는 휴식 공간의 개념으로 접근한 배치 유형은 다음과 같다(Table 3).

1) 일반형 욕실 : 세면대, 변기, 욕조를 갖춘 가 장 기본적인 단위 욕실로서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구성설비를 배치함으로써 욕실의 구성에 변화를 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욕조/샤워실과 화장실 공간을 세면실과 분리하거나, 화장실 공간을 다른 공간과 구별하여 배치시킨다. 세면대를 둘로 나누 어 배치하거나 두 개의 세면볼을 설치하게 되면,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의 바쁜 아침시간을 편리하 게 해결해 준다. 여러 사람이 하나의 욕실을 사용 할 경우, 욕조, 세면대, 변기가 각각 독립 배치된 형이 가장 이상적이라 하겠다.

2) 화장실 분리형 욕실 : 화장실의 기능이 욕실 과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출입하는 2가지 유닛(Unit) 형의 욕실은 2인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공간 적 특성을 분화할 수 있다는 2가지 장점을 갖는다.

3) 공유형 : 욕실을 가운데 두어 양쪽의 실(實)에 서 동시에 출입할 수 있는 유형으로서 프라이버시 확보와 공간효율성이 뛰어나다.

4) 파우더 룸(Powder Room) : ‘손님형’이라고 도 일컬어지는데, 욕조나 샤워부스를 제외하고 변 기나 세면기만을 갖춘 공간으로서 공적 공간에 인 접하여 설치된다. 물 사용이 적은 관계로 거실과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기도 하면 벽 역시 거실과 동일한 벽지나 페인팅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6)

Table 4. Changes in the number of bathrooms

욕실 개수(%) 1개 2개

2024 평형

70년대 100.00 -

80년대 100.00 -

90년대 93.75 6.25 2529

평형

70년대 100.00 -

80년대 93.75 6.25 90년대 93.33 6.67 3034

평형

70년대 94.12 5.88 80년대 65.22 34.78

90년대 3.03 96.97

3539 평형

70년대 38.46 61.54 80년대 54.55 45.45

90년대 - 100.00

4044 평형

70년대 - 100.00

80년대 - 100.00

90년대 - 100.00

4549 평형

70년대 - 100.00

80년대 - 100.00

90년대 - 100.00

3.3. 유형의 변화

유형의 변화의 전체적인 흐름은 욕실의 유형은 다양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으로 올수록 다양 한 유형을 보이며, 평형이 커질수록 다양한 유형으 로 변화하고 있고 거주자의 개성을 표현하는 공간 으로 거듭나고 있다. 바스 유닛(Bath Unit)은 욕실 이 1개인 주호에서 90% 이상의 분포를 보인다. 바 스 유닛(Bath Unit)형은 욕실 도입의 시작이었으 며, 건축 공간적인 면에서나, 설비의 면에서나 경 제적이라는 이유로 많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이유 로 대부분의 욕실이 일률적으로 바스 유닛(Bath Unit)형이 되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여러 가지 실용적인 유형으로 변화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유형은 욕실이 도입된 초기 70년대에 특히 많으며, 80년대에도 역시 많은 분포를 보이지만, 평형이 커 지고 욕실이 2개인 주호를 보면, 1개는 바스 유닛 (Bath Unit)형을 나머지 1개는 다른 유형이었다.

그러나 45평형 이상의 면적을 확보하는 주호에서 는 바스 유닛(Bath Unit)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보이는데, 이는 면적의 확보에 따라 바스 유닛 (Bath Unit)형에 드레스 룸을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90년대에는 욕실의 유형의 다양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20∼24평형에서도 2 개의 욕실이 계획되는 사례가 나타나며, 30평형 이 상에서는 모두 주호에서 2개의 욕실이 계획되는데, 모두 1개는 바스 유닛(Bath Unit)형으로 계획되고, 나머지 1개는 샤워부스를 설치한 경우와 욕조를 설치한 경우가 1:1로 나타났다. 45평형이 넘으면 서, 바스 유닛(Bath Unit)형으로 2개의 욕실이 모 두 계획되었던 흐름이 크게 줄어 30%로 감소하고, 가장 많은 유형의 분포를 보인다. 특히 세면기와 변기만으로 구성된 유형에 전실이 계획된 사례들 이 등장하기도 한다. 욕실 각각의 기능에 대한 인 식은 거주자의 생활방식과 주호의 평형에 따라 상 황에 맞는 융통성 있고, 다양한 욕실계획이 가능하 게 하였다(Table 4).

욕실 개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40평형대 이상에 서는 70년대부터 2개의 욕실 개수를 보여주고 있 고, 30평형대는 시대가 지날수록 1개에서 점차 2 개의 욕실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

서 연구하고자 하는 욕실의 개수는 80년대까지는 거의 1개의 욕실이 보여지고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욕실의 개수가 변동되는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20평형대의 욕실 개수의 변화 역시 1990년대를 기 점으로 2개소인 곳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최근 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20평형대의 주거평면에도 2 개소의 욕실인 곳이 대부분이다(Table 5).

이렇게 2개소의 욕실이 생겨나게 된 것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욕실사용시간이 아침, 저녁시간에 집중됨 으로 인한 욕실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둘째, 외부 손님이나 가족 전원, 특히 어린이가 있는 가 정에서는 현관이나 거실, 부엌 등의 공용 공간에서 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공용욕실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다. 셋째, 욕실의 생리위생 외 의 기능, 즉 휴식과 건강관리, 미용기능 등의 요구 가 증대됨에 따라 부부침실을 중심으로 한 사적인 공간 내에 별도의 부부욕실의 설치가 주거생활문 화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온다는 인식이 확대되었

(7)

Table 5. Area distribution and the number of the apartment bathroom (단위 : ㎡(%))

평형대 전용면적평균 욕실 개수 공용욕실

면적평균 부부욕실

1개소(%) 2개소(%) 면적평균

20평형대 61.04 2(40) 3(40) 3.74 2.41

30평형대 81.30 - 11(40) 3.58 3.54

40평형대 122.22 - 9(40) 4.03 4.43

Fig. 3. Sambutogeun 85 m2(L), 2005, Samsung Raemian 85 m2(R), 2008.

기 때문이다. 위의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부부욕 실과 공용욕실의 분리현상은 20평형대의 소형아파 트에서도 보여진다. 이러한 현상은 다문화사회로 변해가면서 서구의 욕실개념의 영향과 가족 간에 도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으로 분리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아파트 주거공간은 부부침실 을 중심으로 한 욕실, 파우더 룸, 드레스 룸 등의 사적인 공간과 거실과 식당, 공용욕실 등의 공적인 공간이 분리되고 있다. 이것은 가족 중심의 생활 패턴에서 부부 중심, 개인 중심으로 생활중심이 달 라짐에 따라 거실과 주방, 부엌 등의 공동 생활공 간을 중심에 두고 각 실들이 둘러싸여 있던 과거 아파트 평면과는 달리 복도형 실배치, 침실 중심의 실 배치 등 다양한 평면구성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이후의 아파트에서는 기존 의 방식과 달리 브랜드가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 러한 아파트들은 3BAY, 4BAY 방식들의 평면이 선호되었는데 이러한 직사각형 평면구성으로 인해 서 발코니와의 유기적인 연계와 드레스 룸이나 홈 바와 같은 부속실의 설치가 용이해졌다. 최근의 아

파트 평면을 보면 욕실 내에서도 기능에 따라 공 간이 분리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하게 변 기, 세면대, 욕조 등의 병렬식 배치로 구성되던 욕 실공간은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배치가 바뀌고 건 식공간과 습식공간이 욕실 내에서도 분리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욕실에서 세면, 목욕, 샤워, 변기 등 사용과 기능에 따른 공간 분리가 이루어 지는 것을 볼 수 있다(Fig. 3).

3.4. 사용성에 따른 공간 변화

초기의 욕실은 가사작업공간으로 세탁실과 저수 조 등의 역할을 하던 시기에는 아파트바닥은 배수 를 위한 바닥경사가 있었다. 그러나 다용도실이라 는 공간이 생겨나면서 세탁실이 분리되고 욕실은 그 자체의 기능만을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빠 르게 건식공간으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욕실에 전실이 생겨나면서 드레스 룸과 파우더 룸 이 배치되고 있다(Fig. 4).

우리나라 아파트 문화는 서양에서 들어왔으나 초기의 아파트 욕실은 습식공간에 익숙해져 있던

(8)

Fig. 5. Apartment model house showers.

Fig. 4. Dry bathroom (Kumho Richensiah).

한국인의 생활양식에 맞추어 다용도의 공간으로 사용되다 현재에는 다시 욕실 본래 건식공간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욕실은 운동 공간, 휴게 공간, 세탁실 등의 각 부속실들과의 연계를 용이하게 하고 욕실 내 건식공간과 습식공간을 분 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5).

우리나라의 샤워습관은 외국과 차이점을 보이는 데 서양인은 욕조 안에서 비누칠 및 샤워를 마치 고 소량의 물도 욕조 밖으로 흘리는 일없이 목욕 하는 것에 비해 우리는 욕조 밖에서 목욕하는 경 우가 많고 온돌 문화의 영향으로 외출 후 발을 씻 는 습관이 있음으로 인해 완전한 건식공간을 하기 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최근 아 파트 욕실에서는 여전히 물 빠짐을 위한 트렌치가 설치되고 있지만 평면형의 직사각형 트렌치가 시 공되고 있으며 건식공간으로 사용되는 바닥은 수 평으로 시공되고 있고, 샤워부스 안쪽에 5 m∼10 cm 정도의 바닥단차를 두어 건식공간과 습식공간 을 구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욕실의 건식공 간은 면적의 여유가 있는 대형평형대에서 먼저 보 급되고 있으며 보편적으로 유리파티션을 사용하여 파우더 룸과 세면대 변기가 위치한 곳과 욕조나 샤워부스가 있는 곳에 단차를 두어 물의 튐을 방 지하고 있다. 이러한 건식욕실은 쾌적하게 유지하 고자 하는 거주자의 요구와 시공기술의 보급, 하부 장일체형 세면대, 변기 등의 설비의 발달로 점차

대중적으로 보편화될 것으로 여겨진다.

4. 소가구(家口)의 평면 및 욕실 분석

4.1. 소가구의 평면분석

2000년대 이후의 서울시 강남권의 소형 평형을 위주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과거의 소형아파 트, 오피스텔의 평면을 중심으로 평면 및 실의 개 수를 중심으로 소형평형에서 요구되는 공간 및 변 화를 조사하였다.

4.1.1. 2000년대 평형별 평면 분석

경기의 활성화로 다시 건설경기가 살아나고, 아 파트 분양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아파트가 각 건설사마다 삼성 래미안을 필두로 현대 힐스테이트, 대우 푸르지오, 두산 위 브, 현대 아이파크, 대림 e-편한세상 등 브랜드화 가 시작되었다. 각 건설사에서는 브랜드를 달고, 그에 특화된 차별화 평면 및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많 은 것들이 제안되었다. 또한, 디지털과 접목하여 유 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입하고 디지털 문화를 통해 보다 나은 아파트 주거환경이 활발하 게 연구되고 도입되었다(Table 6). 2000년대에 들 어오면서 소형가구의 증가와 맞물려 소형 주거공

(9)

Table 6. Samsungdong Hyundai Hillstate, 2008

간에 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그 전까지는 좁은 공간을 쪼개고 나누었다면, 이 시기에는 소비 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공간의 활용성과 제안 이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Table 6을 보면 침 실의 개수나 단순 분할이 아니라 실을 중심으로 붙박이장이나, 드레스 룸의 공간이 생겨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트렌드에 부합한 1인 가구 위주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현상은 아파트보다 오피스텔에서 먼저 이루어 졌는데, 원룸에서도 복층을 이용한 공간이나 대면 형의 주방의 배치로 1인이나 2인이 최소한의 공간 으로도 활용성을 높여서 주거평면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Table 7).

2000년대에 뚜렷하게 나타난 소가구로의 변화는 주거공간의 연구에 밀접한 영향을 주었고, 앞으로 예측되는 가구의 변화가 전 세계적으로 1인 가구 중심의 사회로 변해감에 따라 이러한 소형 주거공 간은 더욱더 각광받을 것으로 여겨진다.

4.2. 소가구 욕실 분석

소가구의 평면 분석을 통해 살펴본 욕실의 구성 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다른 평형대 의 욕실과 비교해볼 때 제품이나 구성면에서 특별

하게 다른 점을 찾아볼 수 없다. 욕실에 들어가는 제품이 조금 더 작아지고, 전체적인 면적 면에서 기존 30∼40평형대의 욕실보다 조금씩 축소돼 있 는 것을 알 수 있다. 소형 주거공간의 욕실은 양변 기, 세면기, 샤워부스(욕조) 등 욕실에 설치되는 제 품들은 공간의 특성에 따라 제안이 되는 것이 아 니고,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반영이라기보다는 건설 분양가에 영향을 받는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 이었다(Table 8).

욕실을 크게 나누어보면, 통합형, 조합형 그리고 분리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욕실공간 내에서도 행 태에 따라 공간분할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나누 어진다. 지금까지의 욕실은 이러한 큰 분류를 통해 설계가 이루어져 왔고, 평형에 따라 면적의 차이를 두었을 뿐이었다. 최근에 들어 주택건설 트렌드가

‘도심형 생활주택’이라는 방향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공간만 작아질 뿐 작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화된 제품 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았다. 최근에 들어서야 욕실 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건설사와 욕실전문회사 에서 이러한 ‘도심형 생활주택’에 맞춘 제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4.2.1. 한국의 컴팩트 욕실분석

소형 주거공간의 이슈로 각 건설사나 욕실제품 제조회사에서는 최근 들어 평면이나 제품으로 새 로운 신제품을 제안하고 있다.

1) 대림바스

대림바스의 ‘Compect Plus’는 이러한 소형 도심 형 생활주택의 트렌드에 맞추어 작은 공간에서 욕 실의 기능을 충실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이 제안되었다. 2가지 타입으로 ‘New Family’와

‘Young Rich’라는 타입을 제안하였다(Fig. 6). 위 세트는 아이가 있는 가정을 중심으로 디자인된 욕 실공간으로 1인 목욕을 위한 공간 절약형 욕조에 발판을 동일 소재로 개발하여 사용성 및 활용성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욕조의 발판은 욕조계단과 세 면대의 발받침 역할로 키가 작은 아이들이 올라가 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고 있다.

(10)

Table 7. 2000’s officetel type

Table 8. Bathrooms in the form of classification

통합형 조합형 분리형

욕조, 변기, 세변대가 한 공간에 함께 구성되어 있는 형태

변기+세면대, 혹은 욕조+세면대 등과 같이 세 가지의 욕실설비 중 두 가지만

함께 구성되어 있는 형태

욕조, 변기, 세면대가 각각 독립되어 있는 형태

Fig. 7의 제품은 ‘도심형 생활주택’의 소가구를 위한 욕실로 좁은 평면으로 제시된 욕실공간을 실 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제안되었다. 코 너형 세면기와 코너를 활용한 거울 및 수납장 및 접이식 폴딩 샤워부스를 통해 샤워를 하지 않을 때 샤워부스의 유리 파티션이 벽으로 접혀 공간의 사용성을 보다 극대화하고 있다. 좁은 공간인 만큼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하여 모든 제품을 편리하 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되고 있다.

2) 세비앙

세비앙은 바디샤워기 전문으로 시작하여 욕실회 사로서 성장을 해왔고, 다양한 컨셉화 개념을 제품 으로 만들어낸 앞서가는 회사이다. 특히 샤워부스 공간의 수납 및 디자인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 고 있다(Figs. 8, 9).

세비앙의 ‘All-In-Bath’를 살펴보면 욕실공간에 서 세면대의 공간과 샤워부스의 공간을 디자인적 으로 잘 해결하였다. 기존 샤워부스 공간이 없는

(11)

Fig. 6. Daelim Bath Compact Plus_New Family.

Fig. 7. Daelim Bath Compact Plus_Young Rich.

Fig. 8. Sebiang All-In-Bath.

좁은 욕실에는 세면기에 샤워기를 사용할 수 있는 수전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성이나 미관상 좋지는 않았다. ‘All-In-Bath’는 좁은 공간에서 욕실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나의 유닛으로 세면 대공간 + 샤워공간을 통합한 유닛의 제품을 디자인 하였다. 기존의 욕실의 넓은 공간이 아닌 좁은 소

(12)

Fig. 9. All-In-Bath Usability and space layout.

Fig. 11. Saturn Bath flush mountable washstand.

Fig. 10. (L) Shower unit PUZZLE, (R) Shower unit UD.

형 욕실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제품이다. 특히 기존의 아이템을 초기 개발단계부 터 통합화 디자인하여 작은 크기에도 미려한 형태 를 보여주고 있다(Fig. 10).

이 밖에도 세비앙은 욕실의 샤워공간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다양한 제품의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다.

3) 새턴바스

새턴바스는 국내 욕실전문 중소기업으로 욕실 수납장 및 욕조사업을 시작으로 자리잡아왔다. 일 반적인 판매 위주보다는 건설사 납품의 형식으로 B to B 판매를 위주로 진행이 되어 일반 소비자들 은 생소할 수도 있는 회사이다. 이 회사의 주목할 점은 이러한 기존의 사업을 기반으로 욕실에

‘L.A.R’이라는 소재를 국내 처음으로 설비를 도입 하여 욕실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국내․외의 유명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컨셉

적인 제품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새턴바스에 서 도입한 새로운 소재를 접목한 제품 중에 접이 식 세면대 제품은 욕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주고, 소재 면에서도 우수한 품질 및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Fig. 11).

4.2.2. 외국의 컴팩트 욕실 분석

1) Design Odyssey Ltd

해외의 사례를 보면 디자인 오딧세이의 ‘VER- TEBRAE’를 보면 메인 축을 기본으로 욕실의 모 든 기능을 융합된 사례를 볼 수 있다. 수직의 배관 라인을 기본으로 양변기, 세면대, 수납공간, 물탱 크, 샤워기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욕 실의 기능을 하나의 축을 기본으로 좁은 공간에서 도 다기능적인 요소를 충족시켜 주는 제품이다 (Fig. 12).

(13)

Fig. 12. Design Odyssey Ltd - VERTEBRAE.

Fig. 13. Function of the bathroom.

5. 결 론

가구변화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볼 때 주거 공간 유형도 빠르게 소형으로 변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욕실에 관한 공간은 다른 공간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변해가는 동안 크게 변 하지 않고 한정된 공간에 자리잡아 왔고, 불편함이 있음에도 공간의 변화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공간이나 제품을 뛰 어넘어 새로운 개념으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소가구에 트렌드 에 적합한 욕실의 시스템을 디자인하고자 한다. 현 대의 라이프스타일 분석결과 주거공간의 욕실에서 는 위생, 용변의 기능 외에 휴식과 건강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주거 공간을 살 펴보면 드레스 룸과 파우더 룸의 기능이 욕실과 인접한 곳에 연결되어 점차 욕실이 복합적인 공간 으로 변해감을 알 수 있었다(Fig. 13).

첫째, 욕실을 들어가기 위해 근래에 지어진 아파 트는 탈의실이 계획되고 있는데, 탈의실에 대한 선 호도는 40.0%로 선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욕실 사용 시 탈의실에 반드실 필요함을 나타내주고 있다(Fig. 14). 둘째, 욕실에서 사용하는 양변기의 선호도 조사결과, 비데일체형 양변기가 30.8%로 가장 높았고, 로우탱크 원피스형 양변기가 16.8%, 하이탱크 원피스형 양변기가 14.5%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9). 셋째, 수납장의 선호도를 살펴보면 크게 상부부착형과 하부부착형으로 구분이 되는데, 상부 부착형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상부부착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긴 하였으나, 하부부착형이나 이 동형에 대한 선호도도 나타났다. 다양한 형태의 수 납자에 대한 선호는 현재의 수납에 대한 개선의 의지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선행연구 에서 수납의 크기에 대한 불만족과 색상과 재질에 대한 불만을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며(신경주․정경숙 1987; 탁순애 1990; 이영심 1996) 이는 거주자의 의 견을 고려하지 않은 채 획일적으로 욕실공간을 디 자인했기 때문으로 유추되었다. 앞으로 수납장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단조로운 형태와 색상, 재질에

(14)

Fig. 14. Dressing room of Apartment.

Fig. 15. Form of bathroom cabinets.

Table 9. Preferred ranking of the toilet

비데일체형 양변기 로우탱크 원피스형 하이탱크 원피스형

서 벗어나 거주자들의 요구에 적합한 디자인의 개 선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Fig. 15). 넷째, 욕 실의 조명의 선호도는 벽매입 등이 48.3%로 가장 높았다. 조명의 경우는 거울 위에 위치하는 것을 선호하였는데 이는 기본적인 생리욕구 외에 화장 이나 면도 등의 미용과 관련된 행위를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으로 유추되었다. 자연 채광이 되지 않 는 현 욕실에서는 조명이 어두울 경우에는 욕실이 불결해 보일 수 있으므로 조명의 밝기나 수에 대 한 제고와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 다(Fig. 16). 다섯째, 환기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욕실은 대부분이 창이 없는 밀폐된 공간으로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환기와 채광에 대한 불만족을 보고하였는데(신경주․정경숙 1989; 송은화 1990;

우동주 1991; 임히경 1995;이영심 1996), 본 연구 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환풍기/환풍구, 욕실 내 채광 창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또한 욕실은 옷을 벗고 있거나 맨발로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난방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Fig. 17). 이 러한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를 볼 때 욕실에서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는데(Fig. 18)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5)

Fig. 16. Lighting of the bathroom.

Fig. 17. Window of the bathroom.

Fig. 18. Improvement needs.

또한 욕실에서 행동하는 행위에 따른 제품의 사 용도가 조사된 Table 12를 보면 행태에 따라 사용 되는 욕실설비에 대한 접근성을 알 수 있다. 이 수 치를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였을 때, 각 행위별로 아래와 같이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데, 기본적인 위생행위 외에 2가지의 특이한 점을 찾을 수 있었 다(Table 10). 첫째는 욕실에서 씻는 행위 중에 발 을 씻는 행위이다. 다른 부분들 같은 경우는 설비 의 용도에 따라 가중치가 높게 측정이 됐지만, 발 씻기의 경우는 각 설비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이는 욕실에서 세족을 하는 공간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세면대, 욕조, 샤워부스 등 위생행위 가 이루어지는 곳에 발 씻는 행위가 고르게 분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Fig. 19). 둘째, 손세탁 하기이다. 세탁기에 넣지 않거나 빨래가 적을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손세탁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욕실을 사용하는 때가 많다. 욕실 중에서도 세면대 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그다음은 욕조나 샤워 부스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조 사된 자료의 분석결과, 욕실에서 행위들이 이루어

(16)

Table 10. Where each act takes place in a bathroom

Fig. 19. Use behavior-specific products in the bathroom.

지고 있는 것 중에 그에 대한 제품이나 설비가 갖 춰지지 않은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변화해 가는 라이프스타일을 주축으로 욕실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디자인 방향을 구 축하고자 한다.

참 고 문 헌

2010 인구주택 총 조사 전수집계(가구주택). 통계청.

2009 소비자행태조사 보고서. Kobaco. 18쪽.

2006 서울특별시 아파트 백과. 세진기획.

이종각. 2006. 1990년 이후 아파트단위평면의 변화 양상 에 관한 연구. 30쪽.

김수진. 1999. 주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른 아파트 단위 평면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

학원.

김혜진. 2003.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아파트 욕실디자인 연구. 5쪽.

이민정. 2001. 욕실변화에 따른 아파트 공간계획변화에 관한 연구. 22쪽.

이민정. 2001. 아파트 주호의 욕실변화에 관한 연구. 홍 익대 건축대학원.

김인순. 1996.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주택의 실내요소 디자인에 관한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기연. 1998. 욕실공간의 구성요소와 배치방식에 관한 연 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전혜진. 2003.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욕실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159쪽.

성기용. 1998. 우리나라 소규모아파트의 서비스 공간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8).

박선영. 2003. 아파트 공용욕실 디자인 연구. 17쪽.

이영심. 1990. 한국인을 위한 단독주택 욕실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제8호.

황윤정. 2010. 거주자 유형에 따른 중형 아파트의 욕실 디자인.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43-59쪽.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

27/2012042702871.html.

http://www.avestar.co.kr/product/interior.asp.

http://designdoyssey.co.uk/brochure.pdf.

http://www.daelimbath.com (대림바스).

http://www.cebien.com (세비앙).

http://www.saturn.co.kr (새턴바스).

수치

Fig. 1. Size of family members.찰하고 변화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주거공간 내의 욕실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선행디자인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이해하며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2
Table 1. Change of Apartment unit plan
Table 2. Type of bathroom 나게  되었다.  초기의  욕실은  단위평면세대에  1개 의 공간으로 목욕,  세안,  용변 등과 세탁의 기능을  겸비하는  공간이었으나,  소비자의  생활양식  변화 에  따라  세탁의  기능은  다용도실이라는  공간분리 가 이루어졌다
Table 3. Classification type of bathroom 3.2. 조합방식에 따른 배치 유형     욕실의  유형을  조합방식에  의하여  규모에  관계 없이  기능적으로  대별되는  휴식  공간의  개념으로  접근한 배치 유형은 다음과 같다(Table 3)
+7

참조

관련 문서

Like their counterparts throughout Europe, the more the Autonomen relied on militant small- group actions, the less popular support they got and the more they came to rely on

* in large objects with small surface area A to volume V ratio (A/V)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primarily defined by the bulk (inside). * in small objects with

a prospective analysis of 50 cases. Preoperative staging of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positron-emission tomography. Staging of non- small-cell lung cancer

In this study, through carrying out a whole class, small-group and an individual web-based English blogging project, students' scores on English writing

Current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both on financial and innovative performance with 1,497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U.(2012), A Stud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s of Potential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mall Business Startup

Purpose: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middle and small sized hospital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ntrolling effec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for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and ‘customized employment class’ based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