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 도 자 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보 도 자 료"

Copied!
5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보 도 자 료

http://www.motie.go.kr

2021년 1월 1일(금) 11: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21. 1. 1.(금) 담당부서 수출입과

담당과장 신용민 과장(044-203-4040) 담 당 자

김동기 사무관(044-203-4042) 이영석 사무관(044-203-4043) 민지해 주무관(044-203-4047) 김지영 주무관(044-203-4048)

2020년 (12월, 연간) 수출입 동향

- ’21. 1. 1.(금) 배포 -

※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ㅇ 본 동향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2020년(12월 및 연간)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임

ㅇ 전체 수출입 실적 및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MTI 기준)은 12월 31일까지의 통관실적 잠정치 기준으로 작성

ㅇ 다만, 연간 통계확정시(2021.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 가능

- 목 차 -

1. 2020년 12월 수출입동향 요약본(보도자료 1보)··· 1

2. 2020년 연간 수출입동향 요약본(보도자료 1보)··· 2

3. 2020년 12월 수출입동향 본문(보도자료 2보)··· 3

< 12월 수출 주요 특징 > ① 2개월 연속 총수출, 일평균 수출 모두 증가 ········································································ 5

② 25개월 만에 수출액 500억 달러 돌파 ·················································································· 5

③ 일평균 수출액, 무역수지, 수출단가 등 주요 지표들도 선전 ········································· 6

④ ’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주력 품목이 증가(15개 중 11개) ······································· 6

⑤ 2개월 연속 7대 新수출성장동력 품목 모두 플러스 ·························································· 8

’18.10월 이후 가장 많은 지역에서 플러스(9개 중 7개 지역) ········································ 8

4. 2020년 연간 수출입동향 본문(보도자료 2보)··· 9

< 2020년 연간 수출 주요 특징 > ① 총 수출액 4년 연속 5,000억 달러 돌파, 무역수지 흑자규모 확대 ······························ 10

② 4분기와 하반기 수출이 각각 2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 ·················································· 10

③ 주요국 수출이 동반 부진한 가운데, 우리 수출은 상대적으로 선전 ·························· 11

④ 반도체 등 ICT 품목의 꾸준한 선전 ····················································································· 11

⑤ 2분기 부진했던 경기민감 품목들의 회복 추세 ································································ 12

⑥ 高부가가치 新성장품목의 약진 ···························································································· 12

⑦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등 우리 수출저변 확대 ································································ 13

5. 품목・지역별 상세 수출 분석 및 수입 동향(12월 및 연간)··· 17

6. 통계 참고 자료 ··· 31

(2)

2020년 12월 수출입 동향

◈ (총괄) 12월 수출 514.1억 달러 (+12.6%) , 수입 444.6억 달러 (+1.8%) , 무역수지는 69.4억 달러로 8개월 연속 흑자 기록

* 수출 증감률(%) : (’19.12)△5.3 → (‘20.1)△6.6→ (2)+3.6 →(3)△1.7 → (4)△25.6 → (5)△23.8

→ (6)△10.9 → (7)△7.1 → (8)△10.3 → (9)+7.2 → (10)△3.8 → (11)+4.1 → (12)+12.6

◈ 12월 수출의 주요 특징

➊ 2개월 연속으로 총수출 (+12.6%) , 일평균 수출 (+7.9%) 모두 증가 ㅇ 총수출의 2개월 연속 증가는 25개월 만이며, 총수출 두 자릿수

증가는 26개월 만에 처음

➋ 25개월 만에 수출액 500억 달러 돌파 (‘18.11월 이후 처음)

ㅇ 이번 달 수출액 (514.1억 달러) 은 역대 6번째

*

로 높은 月실적이며, 역대 12월 수출액 중 사상 최고치 (이전 기록 : ‘14.12월, 495억 달러)

* 500억 달러 돌파는 역대 15번 뿐(‘13년 1번, ’14년 2번, ’17년 3번, ‘18년 8번, ‘20년 1번)

➌ 일평균 수출액 21.4억 달러는 올해 최고치

➍ 15대 품목 중 11개

*

가 플러스, ‘19년 이후 가장 많은 품목이 증가

* 반도체, 기계, 선박,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차부품, 가전,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섬유

ㅇ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IT 품목의 호조세 지속

- IT관련 6개

*

품목 모두가 2개월 연속 증가, 5개는 두 자릿수 증가

* (반도체)30.0%, (DP)28.0%, (무통기기)39.8%, (가전)23.4%, (컴퓨터)14.7%, (이차전지)7.6%

- 반도체는 6개월 연속 증가 (25개월만) ,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25개월만) 했으며, 특히 이번 달은 +30.0% 증가하며 ‘18.8월 이후 최고 증가율 - 디스플레이는 올해 月수출액 최고치 경신 (21.1억 달러), 무선통신기기는

5년 2개월 만에 최고 증가율 기록 (39.8%)

ㅇ 일반기계는 (2위 품목) 3개월 만에 증가, ‘19년 이후 최대실적 (47.5억 달러)

ㅇ 바이오헬스는 16개월 연속 증가, 역대 수출액 최고치 경신 (18.3억 달러)

* 진단키트 수출도 3개월 연속 최고치 경신(억 달러) : (9월) 3.9 → (10월) 4.1 → (11월) 5.5

(3)

2020년 연간 수출입 동향

◈ (총괄) ’20년 수출은 5,128.5억 달러 (△5.4%) , 수입은 4,672.3억 달러

(△7.2%) , 무역수지는 456.2억 달러로 12년 연속 흑자

◈ ‘20년 수출의 주요 특징

➊ 연간 총 수출액은 4년 연속 5,000억 달러 돌파,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전년대비 17.3% 증가 (456.2억 달러)

➋ 연 수출은 감소했으나, 4분기 수출과

(+4.2%) 하반기 수출이 (+0.4%) 각각 2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하는 등 3분기 이후 뚜렷한 회복세

➌ 주요국 수출이 동반 부진한 가운데, 우리 수출은 상대적으로 선전 ㅇ WTO 통계에 따르면 (‘20.1~10월 누계) , 수출 증감률면에서 우리나라는 10대 수출국 중 4번째로 양호 (플러스 또는 한자리 감소국은 4개국 뿐)

홍 콩 중 국 네덜란드 한 국 벨기에 독 일 이탈리아 일 본 미 국 프랑스

+0.9 +0.4 △7.4 △8.2 △10.0 △10.4 △11.3 △11.7 △14.5 △17.7

*

우리나라의 ‘20년 최종실적은(1~12월 누계) △5.4%로 10월 누계 수치(△8.2%)보다 개선

* 증감률에서 우리보다 좋은 3개국 중

홍콩과 네덜란드는 중계무역국가의 특성을

보유 (재수출비중 : 홍콩 89%, 네덜란드 44%)

ㅇ 2000년 이후 글로벌 교역이 감소한 4차례 기간 중 (’01, ‘09, ’19, ‘20년),

올해 처음으로 우리 수출실적이 글로벌 교역실적을 상회

구 분 ‘01년(닷컴버블) ‘09년(금융위기) ‘19년(보호무역주의) ‘20년(코로나19)

글로벌 교역(%) △0.4 △12.1 △0.1 △9.2e

우리 수출(%) △12.7 △13.9 △10.4 △5.4

➍ 반도체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등의 주력 품목이 선전 ㅇ 반도체 : 991.8억 달러 (+5.6%) , 역대 두 번째 실적 (1위 : ’18년 1,267억 달러)

ㅇ 컴퓨터 : 15개월 연속 증가, 전년比 57.2% 증가 (’99년 이후 최고증가율)

ㅇ 바이오헬스 : 11년 연속 증가, 사상 첫 100억 달러 돌파

(올해 처음으로 10대 품목에 진입, 지난해 12위 → 10위)

ㅇ 이차전지 : 5년 연속 증가, 5년 연속 연간 최고액 경신 (75.1억 달러)

➎ 新성장수출품목 발굴, 수출품목 고도화 등 질적 성장

ㅇ 시스템반도체, 진단키트, 친환경차 (전기차+수소차) , 화장품, 농수산 식품 등의 新성장수출품목 모두가 연간 최고 수출실적 달성 ㅇ 큰 폭의 국제유가 하락 (△33.6%) 에도, 수출 품목의 고도화로 수출

단가는 2년 만에 증가 (+0.6%)

* ‘20년 연간 수출 증가율(%) : (OLED)+6.4, (의료기기)+37.9, (SSD)+101.5, (전기차)+39.9 등

➏ 중소 중견기업의 성장 등 우리 수출의 저변이 확대

* 수출 비중(%, ‘18→’19→‘20.1~11월) : (중소)17.4→18.6→19.5, (중견)16.7→17.2→17.4

(4)

2020년 12월 수출입 동향

12월 수출 514.1억 달러 (+12.6%) , 수입 444.6억 달러 (+1.8%) 1 12월 수출입 개요

□ (수출) 12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2.6% 증가한 514.1억 달러

* 수출 증감률(%) : (’19.12)△5.3 → (‘20.1)△6.6→ (2)+3.6 →(3)△1.7 → (4)△25.6 → (5)△23.8

→ (6)△10.9 → (7)△7.1 → (8)△10.3 → (9)+7.2 → (10)△3.8 → (11)+4.1 → (12) +12.6

ㅇ 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7.9% 증가한 21.4억 달러

* 일평균 수출 증감률(%) : (’19.12)△7.3 → (‘20.1)+4.2→ (2)△12.5 →(3)△7.8 → (4)△18.8

→ (5)△18.5 → (6)△18.5 → (7)△7.1 → (8)△4.2 → (9)△4.4 → (10)+5.4 → (11)+6.4 → (12) +7.9

□ (수입) 12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1.8% 증가한 444.6억 달러

ㅇ 9월 플러스를 기록한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플러스 전환하며, 수입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음

* 수입 증감률(%) : (’19.12)△0.8 → (’20.1)△5.4 → (2)+0.9 → (3)△0.5 → (4)△15.8 → (5)△20.6

→ (6)△10.8 → (7)△11.4 → (8)△15.8 → (9)+1.6 → (10)△5.6 → (11)△1.9 → (12)+1.8

□ (무역수지) 12월 무역수지는 69.4억 달러 흑자 (8개월 연속 증가)

【 12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단위 : 백만 달러, %, 관세청)

구 분 2019년 2020년

12월 9월 10월 11월 12월

수 출 45,668(△5.3) 47,860(+7.2) 44,883(△3.8) 45,841(+4.1) 51,405(+12.6) (일평균) 1,986(△7.3) 2,081(△4.4) 2,137(+5.4) 1,993(+6.4) 2,142(+7.9)

수 입 43,687(△0.8) 39,362(+1.6) 39,080(△5.6) 39,937(△1.9) 44,462(+1.8)

무역수지 1,981 8,498 5,803 5,904 6,944

수출 증감률 추이

(%) 】 【

수출액 추이

(억 달러) 】

(5)

□ (품목) 15대 주요품목 중 11개 품목이 (반도체 일반기계 선박 디스플레이 차부품 무선통신기기 섬유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가전) 플러스를 기록 ㅇ (증가 품목) 11개 중 9개는 (반도체 선박 디스플레이 차부품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가전) 지난달에 이어 연속 증가

* 9개 품목의 연속 플러스 기간 : 바이오헬스(16개월 연속), 컴퓨터(15개월), 반도체・가전 (6개월), 이차전지(4개월), 디스플레이(3개월), 선박・차부품・무선통신기기(2개월)

- 그 외 2개 품목인 일반기계와 섬유는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 ㅇ (감소 품목) 저유가로 부진이 지속 중인 석유제품 (△36.5%) 을 제외한

3개 품목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은 모두 한 자릿수대 감소율 기록

【 12월 품목별 수출 증감률(%)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철 강 석유화학 선 박 디스플레이 차부품

+30.0 +2.8 △4.4 △7.8 △1.6 +105.9 +28.0 +15.6

무통기기 컴퓨터 섬 유 석유제품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가 전 총 계

+39.8 +14.7 +2.9 △36.5 +7.6 +104.4 +23.4 +12.6

□ (지역) 9대 지역 중 4대 시장 (中 美 EU 亞) 포함 총 7개 지역이 증가 ㅇ (증가 지역) 4대 시장 (우리 수출의 66%를 점유) 으로의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일본은 3월 이후 9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됨 - 그 밖에 인도와 중남미는 모두 2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감

ㅇ (감소 지역) CIS는 두 달 연속 마이너스, 중동은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된 4월 이후부터는 지속 마이너스

【 12월 지역별 수출 증감률(%)

중 국 미 국 EU 아세안 일 본

+3.3 +11.6 +26.4 +19.6 +1.4

중남미 중 동 인 도 CIS 총 계

+20.1 △33.1 +16.8 △5.5 +12.6

(6)

2 12월 수출 주요 특징

 2개월 연속 총수출, 일평균 수출이 모두 증가하며 상승세 지속

【 ‘20년 총수출 증감률(%) 【 ‘20년 일평균 수출 증감률(%)】

ㅇ 12월의 총수출, 일평균 수출 증가율은 2년여 만의 최고 기록 - 총수출 2개월 연속 증가는 25개월 만에 처음 (‘18.10~11월 이후)

- 총수출 두 자릿수 증가는 26개월 만에 처음 (‘18.10월 이후)

- 2개월 연속 총수출, 일평균 동시증가는 28개월 만에 처음 (‘18.7~8월 이후)

- 일평균 수출 3개월 연속 증가는 27개월 만에 처음 (‘18.7~9월 이후)

 25개월 만에 수출액 500억 달러 돌파

ㅇ 12월 수출액 500억달러 돌파의 의미는 다음과 같음 - 이번 달 수출액 (514.1억 달러) 은 역대 6번째

*

로 높은 실적

* 500억 달러 돌파는 역대 15번 뿐(‘13년 1번, ’14년 2번, ’17년 3번, ‘18년 8번, ‘20년 1번)

- 역대 12월 수출액 중 사상 최고치이자, 12월 최초로 500억 달러 초과

【 최근 10년간 12월의 수출액(억 달러)

‘11.12월 ‘12.12월 ‘13.12월 ‘14.12월 ‘15.12월 ‘16.12월 ‘17.12월 ‘18.12월 ‘19.12월 ‘20.12월

477 449 480 495 424 451 490 482 457 514.1

- 10년 만에 (2010년 이후) 12월이 연중 최고실적의 月이 됨

(7)

 일평균 수출액, 무역수지, 수출단가 등 주요 지표들도 선전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무역수지(억 달러) 수출단가(달러/kg)

ㅇ (일평균 수출액) 21.4억 달러로 올해 최고실적 경신

* 12월은 21.42억 달러로 올해 최고치(‘20.10월의 일평균 수출액은 21.37억 달러)

ㅇ (무역 수지) 흑자 규모 (69.4억 달러) 는 ‘19년 이후 두 번째 높은 실적 - 특히 이번 달은 수입이 정상수준으로 회복한 상황에서 (+1.8% 증가) ,

수출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큰 규모의 흑자 발생

ㅇ (수출 단가) 5개월 연속 증가하며 27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3.11 $/kg) , 증가율로는 (+19.6%) 41개월 만에 최고치

【 ’20년 월별 수출단가 추이(달러/kg, %)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단가 2.59 2.52 2.61 2.33 2.61 2.52 2.55 2.62 2.83 2.94 3.08 3.11 증감률 3.9 △3.0 △13 △16 △3.9 △9.2 △1.8 2.4 5.3 9.0 15.1 19.6

-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가 12월 실적의 상승세를 주도

* 고부가 품목 수출 증가율(%) : (OLED)+46.0, (의료기기)+75.1, (SSD)+21.9, (전기차)+9.2 등

 ’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주력 품목이 증가 (15개 중 11개)

 (증가 품목) 15대 주력품목 중 11개 품목이 증가하며, ’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품목이 플러스로 전환

* 증가 품목 : 반도체, 일반기계, 선박,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차부품, 가전, 컴퓨터,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섬유 등 11개 품목이 증가

【 최근 2년간 플러스 품목 수(개) 】

(8)

ㅇ (IT 품목) 비대면 경제의 활성화로 수출 호조세 지속

- IT 관련 6개

*

품목 모두가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으로 증가, 이 중 5개는 두 자릿수 증가

* (반도체)30.0%, (DP)28.0%, (무통기기)39.8%, (가전)23.4%, (컴퓨터)14.7%, (이차전지)7.6%

- 반도체는 모바일 PC 수요강세에 힘입어 6개월 연속 증가 (25개월 만) 하였고, 4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 (25개월만)

- 디스플레이는 올해 月수출액 최고치를 경신하며 (21.1억 달러) , 3개월 연속 증가 추세 (3개월 연속 증가는 ‘17.11월 이후 37개월만)

- 무선통신기기는 39.8% 증가하며, 5년 2개월 만에 최고 증가율 기록 - 이차전지는 4개월, 가전은 6개월, 컴퓨터는 15개월 연속 증가하며

최근의 상승세를 이어감

ㅇ (일반기계) 수출 2위 품목인 일반기계는 ‘19년 이후 최대 실적을

(47.5억 달러) 기록하며,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

- 中, 美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에 따른 건설, 투자 활성화가 主요인 ㅇ (바이오헬스) 16개월 연속 증가, 역대 月수출액 최고치 경신 (18.3억 달러)

- 특히, 진단키트 수출이 최근 3개월 연속으로 역대 최고치 경신 중

【 ‘20년 진단키트 수출액(백만 달러)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0.003 0.6 24 220 183 153 135 208 390 412 546

ㅇ (선박, 섬유) 月수출액 기준으로 올해 두 번째 높은 실적

* 12월 실적 : (선박) 27.8억 달러, +105.9%(올해 최고 증가율), (섬유) 11.2억 달러, +2.9%

 (감소 품목) 석유제품을 제외한 감소 품목들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11월에 이어 모두 한 자릿수대로 감소

* 석유제품(△36.5%), 석유화학(△1.6%), 철강(△7.8%), 자동차(△4.4%)

ㅇ (석유제품, 석유화학) 두 품목 모두 24개월 이상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나, 유가의 완만한 상승세

*

등으로 다소 회복 기미

(9)

ㅇ (자동차) 9~11월 3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며 증가세였으나, 이번 달은 수출 1, 2위 지역인 미국, EU內 현지매장 재고조정 영향으로 소폭 감소 (△4.4%)

 2개월 연속 7대 新수출성장동력 품목 모두 플러스

ㅇ 모든 품목이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29개월 만에 처음, 7대 품목 중 5개는 (이차전지 정밀화학원료 제외) 2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구 분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화장품 농수산식품 플라스틱제품정밀화학원료 로봇 11월 수출 증감률 +47.2% +19.8% +25.4% +10.4% +10.2% +6.5% +36.8%

12월 수출 증감률 +104.4% +7.6% +16.8% +11.2% +15.3% +14.1% +20.9%

 ’18.10월 이후 가장 많은 지역에서 플러스 (9개 중 7개 지역)

중 국 미 국 EU 아세안 일 본 중남미 CIS 인 도 중 동

+3.3 +11.6 +26.4 +19.6 +1.4 +20.1 △5.5 +16.8 △33.1

ㅇ 9개 지역 중 7개 지역이 증가하며 ’18.10월 이후 26개월 만에 가장 많은 지역으로의 수출이 플러스를 기록

ㅇ 우리 수출의 66%를 차지하는 4대 시장

*

(中 美 EU 亞) 으로의 수출이 2개월 연속 모두 플러스, 이는 ‘17.9월 이후 3년 3개월 만에 처음

* 연속 플러스 기간 : 對중국(2개월), 對미국(4개월), 對EU(4개월), 對아세안(2개월)

ㅇ 對日 수출은 올해 3월 이후 9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 일본의 학습용 단말기 보급정책 (1인 1단말기) , 넷플릭스 등 OTT시장의 성장 등으로 컴퓨터 가전 무선통신기기의 對日 수출이 호조

* 對日 수출 증감률(12.1~25일) : (컴퓨터) +34.7%, (가전) +14.8%, (무선통신기기) +22.5%

ㅇ 4대 시장 外, 중남미 인도 모두 2개월 연속 증가

* 증감률(12.1~25일, %) : 중남미(선박 +349%, 바이오헬스+146%) / 인도(철강+30%, 차부품+20%)

(10)

2020년 연간 수출입 동향

2020년 수출 5,128.5억 달러 (△5.4%) , 수입 4,672.3억 달러 (△7.2%)

1 2020년 연간 수출입 개요

□ ’20년 수출은 5,128.5억 달러 (△5.4%) , 수입은 4,672.3억 달러 (△7.2%) , 무역 수지는 456.2억 달러 (12년 연속 흑자)

【 2020년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단위 : 억 달러, %, 관세청)

구 분 2019년 2020년

상반기 하반기 연 간 상반기 하반기 연 간

수 출 2,711.5 (△8.6)

2,710.9 (△12.0)

5,422.3 (△10.4)

2,405.8 (△11.3)

2,722.7 (+0.4)

5,128.5 (△5.4) 수 입 2,525.7

(△4.9)

2,507.7 (△7.0)

5,033.4 (△6.0)

2,298.6 (△9.0)

2,373.7 (△5.3)

4,672.3 (△7.2)

무역수지 185.8 203.1 388.9 107.2 349.0 456.2

수출 증감률 추이(%) 수출액 추이(억 달러) 무역수지 추이(억 달러)

ㅇ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기둔화, 글로벌 교역 감소에 저유가가 겹치면서 ‘20년 연간 수출과 수입이 전년대비 감소

【 ’20년 세계 경제성장률 및 교역성장률 전망 】

구 분 IMF(‘20.10월 전망) WTO(‘20.10월 전망)OECD(‘20.12월 전망)

’20년 세계경제 성장률 (%) △4.4 △4.8 △4.2

’20년 세계교역 증감률 (%) △10.4 △9.2 △10.3

【 국제유가 추이(두바이유, $/배럴) 】

(11)

2 2020년 수출 주요 특징

 총 수출액 4년 연속 5,000억 달러 돌파, 무역수지 흑자규모 확대 ㅇ 글로벌 교역의 감소에도 4년 연속 수출 5,000억 달러 달성

ㅇ 무역 흑자규모는 전년대비 +17.3% 증가한

*

456.2억 달러로, ‘12년 연속으로 무역흑자 달성

* 전년 대비 흑자규모 증가는 ‘17년 이후 처음

 4분기와 하반기 수출이 각각 2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

ㅇ 연간 총수출은 감소했으나, 4분기 수출과 (+4.2%) 하반기 수출이 (+0.4%)

각각 2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하며 3분기 이후 뚜렷한 회복세 - 올해 2분기 수출이 분기 기준으로

역대 3번째로 큰 감소율 (△20.3%) 을 보였음에도, 단기간에 플러스 전환

* 수출 감소율이 가장 컸던 분기 :

(‘09.1Q)△25.2, (’09.2Q)△21.1 (‘20.2Q)△20.3

ㅇ 특히, 4분기는 수출액, 증감률 모두 2년 만에 최고 실적 달성

ㅇ 수출의 선전으로 우리 경제 성장률이 지난 3분기에는 반등 (+2.1%)

- 순수출 (수출-수입) 이 +3.7%p 기여하면서 경기 반등에 큰 역할

*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p, 3분기): (민간소비)0.0, (건설투자)△1.2, (설비투자)0.7, (순수출)3.7

【 한국 경제성장률(전기대비, %)

【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3분기, %p)

(12)

 주요국 수출이 동반 부진한 가운데, 우리 수출은 상대적으로 선전 ㅇ 코로나19로 전세계 교역이 감소하며 주요국의 수출도 동반 부진한

가운데, 우리 수출은 상대적으로 선전

- WTO 통계에 따르면 (‘20.1~10월 누계) , 수출 증감률면에서 우리나라는 10대 수출국 중 4번째로 양호 (플러스 또는 한자리 감소국은 4개국 뿐)

【 주요 10대국의 ‘20년 수출 증감률(WTO, 1~10월 누계, %, 증감률 順) 】

주요 10대국 증 가 감 소

홍 콩 중 국 네덜란드 한 국 벨기에 독 일 이탈리아 일 본 미 국 프랑스 수출 증감률

(1~10월 누계) +0.9 +0.4 △7.4 △8.2 △10.0 △10.4 △11.3 △11.7 △14.5 △17.7

*

우리나라의 ‘20년 최종실적은(1~12월 누계) △5.4%로 10월 누계 수치(△8.2%)보다 개선

* 증감률에서 우리보다 좋은 3개국 중

홍콩과 네덜란드는 중계무역국가의 특성을

보유 (재수출비중 : 홍콩 89%, 네덜란드 44%)

ㅇ 과거 우리 수출은 글로벌 교역감소 시 (2000년 이후 4번) 더 큰 폭으로 하락했었으나, 올해는 처음으로 우리 수출이 글로벌 교역보다 적게 감소

구 분 ‘01년(닷컴버블) ‘09년(금융위기) ‘19년(보호무역주의) ‘20년(코로나19)

글로벌 교역(%) △0.4 △12.1 △0.1 △9.2e

우리 수출(%) △12.7 △13.9 △10.4 △5.4

 반도체 등 ICT 품목의 꾸준한 선전

ㅇ 비대면 경제의 활성화로 반도체, 컴퓨터, 이차전지 등 IT관련 품목이 꾸준히 선전하며 위기 속에서 우리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수행 - (반도체) 연간 수출액은 전년대비 +5.6% 증가한 991.8억 달러로,

역대 두 번째 실적 (1위 : ’18년 1,267억 달러)

- (컴퓨터) 연간 수출액은 전년대비 +57.2% 증가한 134.3억 달러로 ‘07년 이후 최고치이며, 증감률 기준으로는 ’99년 이후 21년 만에 최고치 - (이차전지) 5년 연속 증가하며, 매해 최고치를 경신

【 반도체 연간 수출액(억 달러) 】 【 컴퓨터 연간 수출액(억 달러) 】【 이차전지 연간 수출액(억 달러)

(13)

 2분기 부진했던 경기민감 품목들의 회복 추세

ㅇ 자동차․무선통신기기․가전 등 경기민감 소비재는 2분기에 △20%

이상 감소했으나, 4분기에는 모두 플러스를 기록하며 회복 흐름

【 자동차 수출 증감률(%) 】 【 무통기기 수출 증감률(%) 】 【 가전 수출 증감률(%)

ㅇ 주요국 경기활동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중간재인 일반기계․섬유

․차부품 등도 오랜 부진에서 벗어나 12월에 모두 플러스를 기록

【 일반기계 수출 증감률(%) 】 【 섬유 수출 증감률(%) 】 【 차부품 수출 증감률(%)

ㅇ 11~12월에는 석유제품 제외 모든 품목들이 증가 또는 한 자릿수 감소 하며, 부진 품목들도 하반기로 갈수록 점진적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음

구 분 코로나19 이전 코로나19 이후

‘20.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플러스 품목수 3 10 5 2 4 3 6 4 10 7 10 11

0~△10%대 감소 품목수 3 1 6 0 0 3 2 1 3 2 4 3

△10~△20%대 감소 품목수 6 3 2 2 1 3 3 4 1 4 0 0

△20%이상 감소 품목수 3 1 2 11 10 6 4 6 1 2 1 1

 高부가가치 新성장품목의 약진

ㅇ 바이오헬스, 시스템 반도체, 친환경차 (전기차+수소차) , OLED 등의 고부가가치 신성장품목이 모두 연간 최고 수출실적을 달성

- (바이오헬스) 11년 연속 증가하며 고속성장, 올해는 진단키트 호조로 사상 첫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수출액 규모로 10대 품목에 첫 진입

- (시스템 반도체) 반도체 수출에서 30%를 차지

하는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年수출액 기준

최초로 3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실적

(14)

- (친환경차 : 전기차 + 수소차 ) 올해 39.9% 증가하며, 전체 자동차 수출 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10%를 넘어섬

【 친환경차 수출 비중(자동차內에서, %) 【 친환경차 수출액(억 달러)

- (OLED) 디스플레이內 고부가가치 품목인 OLED가 3년 연속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했으며, 연간으로도 역대 최대실적을 달성

【 OLED 수출 비중(DP內에서, %) 【 OLED 수출액(억 달러)

ㅇ 고부가가치 신성장품목의 약진으로 큰 폭의 국제유가 하락 (△33.6%) 에도, 수출단가는 2년 만에 증가 (+0.6%)

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등 우리 수출저변 확대

ㅇ 11월 누계 기준으로 중소, 중견기업 수출의 비중이 작년보다 각각 0.9%p, 0.2%p 증가하는 등 우리 수출의 저변이 확대

구 분 ‘18년 ‘19년 ‘20년(1~11월)

중소기업 수출액 비중(%) 17.4 18.6 19.5

중견기업 수출액 비중(%) 16.7 17.2 17.4

ㅇ 특히, 중소기업 수출 비중이 절반이상인 (추정치) 화장품․농수산식품 등 유망 소비재가 역대 연간 최고실적 기록하며 크게 선전

【 농수산식품 연간 수출액(억 달러) 】 【 화장품 연간 수출액(억 달러) 】

(15)

3 수출 총력 대응 강화

□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은 “우리 수출의 최근 상승세가 12월에도 이어지면서, 2개월 연속 총수출과 일평균 수출이 증가했다.”며

ㅇ “특히, 12월은 25개월 만에 수출액이 500억 달러를 돌파했고, 수출 증가율도 두 자릿수대를 기록하면서 최근 2년 중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며 지난달 실적을 평가

□ 성 장관은 “2020년 한해는 코로나19 확산, 보호무역주의, 저유가 등 대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ㅇ “그럼에도, 위기 순간마다 빛나는 우리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 현장의 땀과 노력, 6차례의 수출활력 제고대책 등을 통해 민관이 함께 수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 중이다.”고 말함

□ 성 장관은 “지난해 우리 수출은 글로벌 교역 감소와 주요국들의 경기 부진 등으로 감소하긴 했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새로운 희망을 본 한해였다.”며,

ㅇ “먼저, 2분기 수출이 △20%까지 하락하는 등 위기가 있었지만 수출 회복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며, 4분기와 하반기 수출은 2년 만에 플러스로 반등했다.”고 언급

ㅇ “여기에 시스템반도체, OLED, 진단키트, 친환경차 같은 고부가가치 상품들이 연간으로 역대 최고실적을 기록하는 등 질적 성장을 이뤄낸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하며,

ㅇ “중소기업 수출 비중이 확대되고, 중소기업 중심의 화장품, 농수산 식품 같은 유망 소비재 품목들도 연간 최고실적을 달성하는 등 수출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말함

□ 이어 성 장관은 “하지만 코로나19, 美신정부 출범, 보호무역주의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최근 좋은 흐름이 새해에도 이어지도록 모든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강조

(16)

□ 성 장관은 “새해에도 온라인 마케팅 지원, 무역금융 공급, 물류 애로 해소 등 우리 기업들의 수출활력 회복을 위한 최선의 지원책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며,

ㅇ “다음으로 RCEP, 한-인니 CEPA 등을 활용해 신흥시장에 적극 진출 하여 우리의 수출 영토를 넓히고, 유망품목 육성을 통해 수출 품목의 고부가가치화를 더욱 가속화하겠다.”고 함

ㅇ “아울러 한국형 온라인 플랫폼 구축, 마케팅/금융/결재/물류 등 수출

全과정의 디지털화를 통한 중소 수출기업 양성 등 무역구조의

혁신적 전환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함

(17)

참고 20대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단위 : 백만 달러, %)

순 번 품 목 ’19년 ‘20.10월 ‘20.11월 ‘20.12월 ‘20년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1 반도체 93,930 △25.9 8,677 10.4 8,595 16.4 9,462 30.0 99,178 5.6 2 일반기계 52,557 △1.9 3,895 △10.8 4,263 △7.1 4,747 2.8 47,931 △8.8 3 자동차 43,036 5.3 4,017 5.8 3,989 2.1 3,619 △4.4 37,412 △13.1

(전기차) 3,293 82.7 495 41.1 491 25.2 366 9.2 4,608 39.9 4 석유화학 42,567 △14.8 2,963 △14.1 2,963 △7.9 3,545 △1.6 35,587 △16.4 5 철강 31,043 △8.6 2,267 △6.9 2,295 △4.6 2,420 △7.8 26,566 △14.4 6 석유제품 40,691 △12.2 1,647 △50.3 1,731 △49.5 2,091 △36.5 24,119 △40.7 7 선박 20,159 △5.2 1,452 △21.8 1,047 32.6 2,782 105.9 19,765 △2.0 8 자동차부품 22,535 △2.5 1,806 △9.4 1,885 6.5 2,149 15.6 18,648 △17.2 9 디스플레이 20,492 △17.0 1,869 5.2 1,931 21.4 2,107 28.0 17,983 △12.2

(OLED) 10,250 △0.5 1,282 22.7 1,344 46.3 1,444 46.0 10,906 6.4 10 바이오헬스 9,112 6.0 1,232 47.2 1,475 78.4 1,833 104.4 14,072 54.4 11 컴퓨터 8,540 △20.6 943 5.2 998 5.5 1,112 14.7 13,428 57.2 12 무선통신기기 14,082 △17.6 1,352 △11.9 1,453 20.2 1,484 39.8 13,223 △6.1 13 섬유 12,959 △8.0 938 △15.8 1,021 △6.3 1,116 2.9 11,244 △13.2 14 플라스틱제품 10,292 4.5 903 △2.4 923 10.2 1,013 15.3 10,295 0.03 15 농수산식품 8,663 4.3 792 4.9 830 10.4 871 11.2 9,052 4.5 16 화장품 6,542 4.3 718 15.2 752 25.4 684 16.8 7,569 15.7 17 이차전지 7,416 2.6 675 6.8 683 19.8 714 7.6 7,510 1.3 18 정밀화학원료 7,515 △6.7 665 7.2 684 6.5 787 14.1 7,488 △0.4 19 가전 6,957 △3.6 706 14.6 647 20.3 686 23.4 7,007 0.7

20 로봇 630 △8.8 53 13.9 69 36.8 70 20.9 608 △3.4

전체 542,233 △10.4 44,883 △3.8 45,841 4.1 51,405 12.6 512,848 △5.4

(18)

품목·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12월)

1 품목별 상세 수출 동향

□ (반도체 : 30.0%)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센터 투자 재개로 메모리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中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점유율 경쟁에 따른 모바일 수요 확대,

대만 반도체 생산시설에서 발생한 정전으로 D램 재고 확보 심리가 수요에 반영 ⇒ 6개월 연속 수출 증가

* D램 고정價($) : (’20.1) 2.84 → (‘20.3) 2.94 → (5~6) 3.31 → (7~9) 3.13 → (10~12) 2.85

* 낸드 고정價($) : (’20.1~2)4.56 → (’20.3~6) 4.68 → (7) 4.39 → (8~9) 4.35 → (10~12) 4.20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72.8(△17.8) → (‘20.12) 94.6(30.0)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중국) 29.3(24.2), (아세안) 13.5(45.1) (미국) 6.8(43.9), (EU) 1.5(18.0)

□ (디스플레이 : 28.0%)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 확대에 따라 모바일용 OLED 수요가 회복되고 있으며,

비대면 경제 활성화로 노트북 TV용 LCD 단가 상승,

대형 폴더블 OLED 등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로 OLED 단가마저 상승하며 디스플레이 수출은 3개월 연속 증가

* 모바일용 OLED 출하량(백만대, %) : (‘19.12) 35.1 → (’20.12) 46.2(31.6)

* OLED 평균가격($): [TV](‘19.4Q) 767 → ('20.4Q) 790, [모바일](‘19.4Q) 45 → ('20.4Q) 53

* 디스플레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6.5(△17.0) → (’20.12) 21.1(28.0)

□ (무선통신 : 39.8%)

국내 기업의 차기 플래그십 모델 출시를 앞두고 부품 수출 호조,

미 중 무역분쟁에 따라 주요 경쟁사의 영향력이 하락하면서 국내 제품 점유율 확대 영향으로

對중국 수출이 대폭 성장하여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

* 무선통신기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0.6(△0.5) → (’20.12) 14.8(39.8)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중국) 4.9(156.2), (아세안) 2.9(44.6) (일본) 0.4(22.5), (미국) 2.0(△32.3)

□ (가전 : 23.4%)

우리 기업들이 생산한 TV가 3분기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회복한 가운데,

냉장고 에어컨 식기세척기 등에서 프리미엄

가전의 인기 확대,

미국 EU 등 주요시장의 연말 쇼핑 성수기에

(19)

□ (컴퓨터 : 14.7%)

SSD 수출 증가세가 상반기 공급과잉 및 재고누적 등으로 3분기부터 둔화되었으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수요 지속,

대만 지진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량 감소 영향으로 컴퓨터 수출은 15개월 연속 증가

* SSD 수출액 추이(백만 달러) : (’20.4)825 → (6)968 → (8)1,015 → (10)677 → (12)791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9.7(34.9) → (’20.12) 11.1(14.7)

□ (일반기계 : 2.8%)

중국 미국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

반도체 등 IT 기기 생산을 위한 광학기기 수요 증가,

미국內 텃밭 가꾸기 유행 으로 농기계 수요 확대 등 영향으로 일반기계 수출은 증가 전환

* 중국 제조업 PMI : (‘20.7)51.1 → (8)51.0 → (9)51.5 → (10)51.4 → (11)52.1 → (12)51.9

* 미국 제조업 PMI : (‘20.6)52.6 → (7)54.2 → (8)56.0 → (9)55.4 → (10)59.3 → (11)57.5

* 일반기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46.2(3.9) → (‘20.12) 47.5(2.8)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중국) 9.9(8.7), (아세안) 6.3(21.7), (미국) 6.7(13.6), (일본) 2.2(7.7)

□ (차부품 : 15.6%)

미국 시장에서 우리 완성차 기업의 SUV가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일부 차종의 미국 현지생산이 확대되었고,

러시아 등 신흥시장에서 전략 차종 판매가 선전하며 12월 차부품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

* 차부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8.6(3.9) → (’20.12) 21.5(15.6)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美) 5.1(26.5), (EU) 3.3(30.3), (CIS) 1.5(4.7)

□ (선박 : 105.9%)

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우리 주력 선종인 LNG운반선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 선주사 요청으로 연기되었던 일부 물량의 통관이 재개되면서 선박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

* 174K급 LNG운반선 점유율(CGT 기준, %) : (’18)100 → (‘19)95.9 → (‘20.1~11)89.3

* 선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3.5(△57.9) → (‘20.12) 27.8(105.9)

□ (섬유 : 2.9%)

마스크 필터 등 방역 관련 품목이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연말특수 기간 의류 패션잡화에 대한 지연 소비가 실현됨에

따라 12월 섬유 수출은 증가

(20)

* 섬유 수출단가($/kg, %) : (‘19.12) 4.58 → (’20.12e) 4.48(△2.3)

* 섬유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0.8(△3.6) → (’20.12) 11.2(2.9)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亞) 3.3(9.1), (中) 1.3(12.1), (美)1.1(21.3)

□ (석유화학 : △1.6%)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라 포장재 가전 등 수요 증가로 합성수지 수요가 개선되었으나,

중국內 PX (파라자일렌)

설비 신증설로 자급률 상승,

국내 생산설비의 보수일정 지연 영향 으로 12월 석유화학 수출은 소폭 감소

* 국제유가(두바이유, $/B, %) : (‘19.12) 64.9 → (’20.12) 49.8(△23.2)

* 석유화학 수출단가($/톤, %) : (’19.12) 1,029 → (’20.12e) 1,032(0.3)

* 석유화학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36.0(△6.0) → (’20.12) 35.5(△1.6)

□ (자동차 : △4.4%)

SUV와 친환경차 수출 비중 증가로 수출 단가가 지속 상승하고 있으나,

미국 EU 등 주요 지역에서 코로나19 상황 악화에 따른 수요 회복세 둔화,

국내 생산라인 공사에 따른 물량 감소 등 영향으로 12월 자동차 수출은 소폭 감소

* SUV 수출단가($, %) : (’19.10) 17,587 → (’20.10) 19,697(12.0)

* 친환경차 수출비중(%) : (’19.10) 11.2 → (’20.10) 14.9

* 자동차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37.8(0.3) → (‘20.12) 36.2(△4.4)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EU) 5.3(△3.9), (美) 11.5(1.0), (중동) 2.2(△38.8)

□ (철강 : △7.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저점 이후 단가는 6개월 연속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등 수요산업의 더딘 회복세로 인해 판재류 물량이 감소하였고,

에너지용 강관 수요도 부진이 지속 되면서 전체 철강 수출은 감소

* 철강재 수출단가($/톤, %) : (‘19.12) 796 → (‘20.11) 854 → (12e) 873(9.6)

* 판재류 수출물량(천톤, %) : (’19.12) 2,320 → (’20.11) 1,882 → (12e) 1,772(△23.6)

* 철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26.2(5.7) → (’20.12) 24.2(△7.8)

□ (석유제품 : △36.5%)

최근 들어 유가가 반등 국면에 접어들었으나,

여전히 수출 단가는 전년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가동률

조정으로 물량까지 감소하면서 석유제품 수출은 부진 지속

(21)

2 新수출성장동력 주요 품목 분석

□ (바이오헬스 : 104.4%)

세계적인 약가 인하 정책 및 바이오시밀러의 경쟁 심화로 단가는 하락 추세에 있으나,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이 9~11월 연속으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인공호흡기기 영상기기 등 의료기기 수출이 호조세 지속 ⇒ 16개월 연속 수출 증가

* 바이오헬스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9.0(10.7) → (‘20.12) 18.3(104.4)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EU) 7.5(215.1), (美) 1.2(14.3), (亞) 1.2(71.0)

□ (이차전지 : 7.6%)

미국 EU 등 주요지역에서 전기차 시장이 지속 성장하며 판매량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스마트폰 노트북 등 IT기기의 연말 성수기를 맞아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 이며 이차전지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

* 이차전지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6.6(7.4) → (‘20.12) 7.1(7.6)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EU) 2.0(0.3), (美) 1.5(185.0), (中) 0.7(△21.7)

□ (화장품 : 16.8%)

K-뷰티에 대한 평가 및 관심이 높아지며 우리나라 화장품이 全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메이크업 기초화장품 등 주력품목 수출이 지속 증가하여,

중국 아세안 일본 둥 주요 시장 수출이 모두 두 자릿수 대 성장 ⇒ 7개월 연속 증가

* 화장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5.9(28.3) → (‘20.12) 6.8(16.8)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메이크업・기초화장품) 4.6(18.4)

(기타화장품) 0.5(27.6), (세안용품) 0.2(62.1)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중국) 2.6(19.4), (아세안) 0.6(29.7), (미국) 0.5(40.7), (일본) 0.5(60.5)

□ (농수산식품 : 11.2%)

홈코노미 확산으로 조리가 간편한 가공식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면류, 커피, 수산가공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성장하였으며,

아세안 일본 미국 등 주요지역으로 향하는 수출이 모두 증가하며 농수산식품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

* 농수산식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7.8(16.9) → (‘20.12) 8.7(11.2)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면류) 0.6(44.5), (커피조제품) 0.2(10.4) (참치) 0.3(50.0), (기타수산가공품) 0.6(27.8)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亞) 1.6(24.5), (日) 1.5(4.2), (美) 1.1(42.6)

(22)

3 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 (중국 : 3.3%) 중국 내 생산 소비 투자 지표의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재고 소진에 따른 단가 상승과 모바일 수요 증대) ,

일반 기계 (민간의 고정자산투자가 플러스로 돌아서며 기계 수요 확대) ,

무선통신

(5G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 확대로 고사양 부품의 수입 수요 증가) 등 품목이 선전하며 對中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

* 중국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23.0(3.3) → (’20.12) 127.0(3.3)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반도체) 29.3(24.2), (일반기계) 9.9(8.7), (무선통신) 4.9(156.2), (석유제품) 4.5(7.9)

□ (미국 : 11.6%)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따라 소비 심리가 서서히 회복 되는 상황에서,

자동차 (대중교통 기피 등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안정적 수요 지속) ,

반도체 (소매 지출 증가로 반도체 어플리케이션 부문에서 양호한 수요) ,

차부품 (미국內 주요 완성차 기업의 생산 일정 정상화에 따라 부품 수요 회복) 등 품목이 호조세 ⇒ 4개월 연속 수출 증가

* 미국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64.2(△0.3) → (’20.12) 71.6(11.6)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자동차) 11.5(1.0), (반도체) 6.8(43.9), (차부품) 5.1(26.5), (이차전지) 1.5(185.0)

□ (EU : 26.4%)

바이오헬스 (한국産 코로나19 진단키트에 대한 수요 확대) ,

차부품 (한국 및 현지 기업들의 신차모델에 부품을 공급하며 호조세 지속) ,

이차전지 (이동제한에 따른 자동차 수요 부진에도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는 지속 상승) 등의 품목이 호조세 ⇒ 對EU 수출은 4개월 연속 상승세

* EU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43.5(△20.5) → (’20.12) 55.0(26.4)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바이오헬스) 7.5(215.1), (차부품) 3.3(30.3), (이차전지) 2.0(0.3), (컴퓨터) 1.0(26.1)

□ (아세안 : 19.6%)

반도체 (핸드폰 생산 증가 및 데이터센터 증설 등 디지털

전환 가속화) ,

디스플레이 (비대면 산업 및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범용성

확대) ,

일반기계 (각국의 봉쇄조치 완화로 제조 건설 경기 회복) 등 호조로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23)

□ (일본 : 1.4%)

철강 (자동차 등 전방산업 경기가 서서히 회복되며 수출 성장) ,

일반기계 (중국 등 아시아 시장 회복으로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됨에 따라 설 비 투자 재개) ,

무선통신 (5G 상용화에 따른 인프라 확충) 등 품목이 선전

⇒ ’20.3월 이후 9개월 만에 증가 전환

* 일본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23.0(△5.4) → (’20.12) 23.3(1.4)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철강) 2.4(4.1), (일반기계) 2.2(7.7),

(무선통신) 0.4(22.5), (바이오헬스) 1.0(39.3)

□ (중남미 : 20.1%)

일반기계 (멕시코內 건설 제조업 부문 고정 투자 증가) ,

차부품 (칠레의 자동차 판매가 반등하며 부품 수요 동시 증가) ,

석유화학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라 포장재 등 수요 증가) 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2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중남미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8.3(△6.9) → (’20.12) 22.0(20.1)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일반기계) 2.3(34.6), (차부품) 2.2(6.3), (석유화학) 1.0(9.4), (선박) 3.5(349.0)

□ (인도 : 16.8%)

철강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수요 회복),

일반기계 (도로 항만 스마트시티 등 인프라 투자 확대로 수요 확대) ,

석유화학 (경제 회복과

함께 플라스틱 수요 증가) 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2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인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0.8(△15.1) → ('20.12) 12.6(16.8)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철강) 1.6(29.6), (일반기계) 1.8(41.5), (석유화학) 1.9(25.8), (차부품) 0.9(20.3)

□ (CIS : △5.5%)

일반기계 (플랜트 모듈 납품이 종료됨에 따라 수출 감소) ,

철강 (코로나19 영향으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등 수입 수요 부족),

반도체

(중국 유럽 기업들과의 경쟁 확대) 등 부진으로 수출 감소

* CIS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1.2(19.8) → (’20.12) 10.6(△5.5)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일반기계) 1.2(△60.0), (철강) 0.3(△2.1), (반도체) 0.1(△9.7), (컴퓨터) 0.1(△55.9)

□ (중동 : △33.1%)

자동차 (사우디의 부가세 인상이 시행된 이후 신차 수요 감소) ,

철강 (신규 프로젝트 감소 및 중국産 철강과의 경쟁 심화) ,

일반기계

(재정적자 확대로 국가사업 지연) 등 품목이 부진하여 對중동 수출 감소

* 중동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12) 17.6(18.3) → (’20.12) 11.8(△33.1)

* 1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자동차) 2.2(△38.8), (철강) 0.8(△23.4), (일반기계) 1.6(△5.6), (섬유) 0.2(△23.6)

(24)

4 수입 동향

□ (실적) 12월 수입은 444.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

* 수입 증감률(%): (’19.12)△0.8 → (’20.1)△5.4 → (2)0.9 → (3)△0.5 → (4)△15.8 → (5)△20.6

→ (6)△10.8 → (7)△11.4 → (8)△15.8 → (9)1.6 → (10)△5.6 → (11)△1.9 → (12)1.8

□ (가공단계별) 저유가 영향으로 겨울철 에너지 수입이 감소하였으나, 자본재 수입이 11개월 연속 증가하는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간재 수입이 9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하며 전체 수입은 증가

< 품목별 수입증감률

(12월, %)

>

1차산품 △21.5

(원유)△35.4 (납광)133.3

(유연탄)△25.2 (무연탄)△3.1

중간재 4.1

(무선통신기기 부품)22.6

(액화천연가스)△29.6

(프로세서와 컨트롤러)6.1 (메모리)35.8

자본재 23.3

(반도체 제조용 장비)155.3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294.4

(정지형 변환기)5.8 (컴퓨터 처리장치)△3.9

소비재 9.1

(가죽가방)5.5

(신발류)23.3

(의약품)2.4 (쇠고기)9.5

(25)

품목·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2020년 연간)

1 품목별 상세 수출 동향

□ (반도체 : 5.6%)

글로벌 IT기업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투자로 서버용 메모리 수출이 증가세를 이끌었으며,

5G 상용화 및 점유율 경쟁에 따른 모바일向 수요 회복으로 메모리 AP 이미지센서 등 관련 부품 수출이 증가하여

중국 미국 등 주요지역으로 향하는 수출이 호조

⇒ 전년도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 반도체 고정價(’19→’20, $, %) : (D램) 3.67 → 3.04(△17.0), (낸드) 4.16 → 3.13(7.1)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939.3(△25.9) → (‘20) 991.8(5.6)

* 1.1~12.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중국) 393.1(7.2), (아세안) 189.6(6.0) (미국) 73.0(24.7), (EU) 19.9(15.5)

□ (가전 : 0.7%)

코로나19 확산으로 가정內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면서 가전에 대한 소비 심리가 확대되었으며,

TV 냉장고 세탁기 등에서 프리미엄 가전의 수요가 창출되며,

최대 수출국인 對미국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체 가전 수출 플러스 전환

* 가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69.6(△3.6) → (‘20) 70.1(0.7)

* 1.1~12.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美) 28.9(20.8), (CIS) 2.1(2.7), (中) 5.1(△9.5)

□ (컴퓨터 : 57.2%)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등 서버 투자 가 확대되었고,

SSD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SSD 수출이 두 배 가까이 성장하였으며,

재택근무 등을 위한 노트북 수요가 이어 지며 컴퓨터 수출은 큰 폭으로 증가

* SSD 수출액(억 달러, %) : (’19) 49.9(△30.1) → (’20) 100.6(101.5)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85.4(△20.6) → (’20) 134.3(57.2)

□ (디스플레이 : △12.2%)

국내 디스플레이社의 사업전환 (LCD → OLED) 에 따른 생산량 축소로 LCD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OLED 시장에서도 중국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출은 감소

* LCD 수출액(억 달러, %) : (’19) 102.4(△28.8) → (’20) 70.8(△30.9)

* 세계 OLED 시장 점유율(’19→’20, %) : (韓) 88 → 86, (中) 10 → 13

* 디스플레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204.9(△17.0) → (’20) 179.8(△12.2)

(26)

□ (자동차 : △13.1%)

SUV와 친환경차 수출 비중 증가로 단가가 상 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확산으로 각국에서 이동제한 조치 를 시행함에 따라 수요가 크게 부진하였으며,

경기 침체로 신차 구 매가 지연되면서 자동차 수출 감소

* 자동차 수출단가($/kg, %) : (‘19.1.1~12.25) 9.3 → (’20.1.1~12.25) 10.1(8.6)

* 자동차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430.4(5.3) → (‘20) 374.1(△13.1)

* 1.1~12.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EU) 71.4(△13.7), (CIS) 19.9(△30.2), (중동) 34.5(△28.3), (아세안)10.8(△44.7)

□ (무선통신 : △6.1%)

길어지는 스마트폰 교체 주기로 인하여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중저가 제품군 확대로 국내생산 비중이 높은

‘플래그십 라인업’ 출하량 감소,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의 부진이 겹치며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감소

* 무선통신기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140.8(△17.6) → (’20) 132.2(△6.1)

* 1.1~12.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美) 29.8(△27.8), (중남미) 2.4(△68.4)

□ (차부품 : △17.2%)

자동차 수요 부진의 연쇄 작용,

코로나19 이후 공장 가동중단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인하여,

미국 EU 중남미 등 현지 공장으로 향하는 부품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

* 차부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225.4(△2.5) → (’20) 186.5(△17.2)

* 1.1~12.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미국) 53.8(△11.9), (EU) 33.6(△18.2), (중남미) 19.9(△29.7), (CIS) 19.6(△7.4)

□ (철강 : △14.4%)

국제유가 하락으로 송유관 등에 쓰이는 강관 수출 이 감소하였으며,

글로벌 건설경기 침체로 봉형강류 단가 및 물량 이 동반 하락,

자동차 등 전방산업 부진에 따라 판재류 수요도 감 소하면서 전체 철강 수출 감소

* 철강 수출물량(천톤, %) : (’19.1.1~12.25) 31,176 → (’20.1.1~12.25) 29,973(△3.9)

* 철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 310.4(△8.6) → (’20) 265.7(△14.4)

□ (일반기계 : △8.8%)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신규

설비투자가 감소하는 가운데,

카자흐스탄과의 대규모 플랜트 모듈

참조

관련 문서

공동주택가격

건설업, 서비스업은 일용근로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체동향 설명에

-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량( CDRR :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intake) ’이란 건강한 인구집단에서 만성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평택시 평택시 일반근린 다인다색(多人多色) 국제도시, 신장동 포천시 포천시 일반근린 새로운시작, 신(나는) 읍(邑) 만들기!. 부천시 부천시 일반근린 '펄벅의

다시서기 종합지원센터 김세환 생활지도원 제주특별자치도 동부보건소 현경희 공무직 부산광역시 사하구보건소 김지영 지방간호주사보

□ 외교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우리 국민들의 차세대 여권에 대한 관심을 충족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한 여권행정민원서비스를 국민들에게 차질

[r]

이후 조정대상지역에 8년 장기 임대등록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