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비교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비교 연구"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2;40:241-246

서 론

7)

위암은 전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질병이지만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일부 국가에서는 아직 중요한 사망 원인 이 되고 있는 질환이다.1 이 상황에서 중요한 역학적 변화 는 상대적으로 원위부 위암은 감소하는 반면 근위부 위암 은 증가하여2-4 전체 위암 치료에 있어서 근위부 위암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하게 되었다. 하지만 근위부 위암

접수: 2002년 5월 16일, 승인: 2002년 8월 21일 연락처: 윤기영, 602-702, 부산시 서구 암남동 34번지

부산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외과

Tel: (051) 240-6462 Fax: (051) 335-4607 E-mail: yoonkiyoung@Naver.com

※ 본 논문은 고신대학교병원 지정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

은 일반적으로 체부나 전정부 위암에 비하여 그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절제술시 위전절제술을 필요 로 하는 경우가8)대부분이며 이 때문에 수술 후 합병증이 많은 것으로 기술되고 있다.5,6 이에 저자들은 근위부 위 암과 원위부 위암에서 여러 인자를 분석하여 양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특히 병기를 동일시한 경우 양군 간의 생존율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 는 바이다.

Correspondence to: Ki-young Yoon, M.D.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4 Amnam-dong, Seo-gu, Busan 602-702, Korea

Tel: +82-51-240-6462, Fax: +82-51-335-4607 E-mail: yoonkiyoung@Naver.com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비교 연구

고신대학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윤기영·이상호·최경현

Comparison between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Ki Young Yoon, M.D., Sang Ho Lee, M.D., and Kyung Hyun Choi, M.D.

Department of Surgery, Gospel Hospital, Kosin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Busan, Korea

Background/Aims: Proximal gastric cancer (PGC) has been known to have a poor prognosis compared to distal gastric cancer (DGC), but the reasons have not been fully explained yet.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prognosis, and outcome of PGC and DGC. Methods: The 1187 cases were divided into the PGC group and the DGC group based on the location of primary tumor. We reviewed rete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at Kosin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1998. The PGC group included 156 patients and the DGC group included 1,031 patients. Results: The PGC group showed more advanced tumor T stages (p<0.05), and more lymph-node metastasis (p<0.05). The resectability was 83.5% in PGC group and 88.4% in DGC group, but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In the tumor stage I, II, IV, the two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5-year survival rates. However, in stage III,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higher in the DGC group. Conclusions: In survival of PGC group and DGC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umor stage I, II, and IV. Patients with PGC were diagnosed at more advanced stage, which might be the reason for the poor prognosis. Therefore, if early diagnosis can be made and adequate therapy is performed, the prognosis of PGC will be improved. (Korean J Gastroenterol 2002;40:241-246)

Key Words: Proximal gastric cancer; Distal gastric cancer; Comparisons

(2)

대한소화기학회지: 제40권 제4호, 2002

대상 및 방법

1. 대상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복음병원 일반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 자 4,429명 중 종양 중심부의 위치가 근위부 1/3에 국한된 156명의 경우는 근위부 위암으로, 원위부 1/3에 국한된 1,031명의 경우는 원위부 위암으로 분류하였고, 수술 후 합 병증으로 사망한 경우와 위치의 판정이 불확실한 경우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조직학적 분류는 WHO7의 규정에 따랐으며, 대상 환자들의 병기 분류는 1988년도 AJCC의 TNM 분류에 따라서 구분하였다.8

2. 방법 1) 예후인자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수술 후 입원 기간, 수술 방법, 절 제연의 암조직 침윤 여부, 암조직의 완전 절제율, 조직병리 학적 차이에 대한 특성과 생존율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T 범주, N 범주, 조직병리학적 특성을 동일시한 경우 양군 간의 생존율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2) 추적조사

환자에 대한 추적조사는 2001년 6월을 기준으로 외과 학교실 위암등록소의 전산화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는 전산요원이 입원 기록 및 외래 기록을 조사, 전화 및 엽서 문의를 실시하여 추적조사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64.42개월±23.34개월이었고, 추적률은 96.5%이었다.

3) 통계 분석

두 군 간의 차이에 대한 검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udent t test, chi-square test로 하였으며 생존율 은 Kaplan-Meier법으로 산출하여 p<0.05 범위인 경우 통계 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양 군의 임상적 특징

평균 연령은 근위부 위암에서 52.5세(범위 28-80세), 원 위부 위암에서 54.4세(범위 15-87세)로 근위부 위암의 경우 에서 젊은층의 빈도가 높았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남녀의 비는 근위부 위암군은 1.64:1, 원위부 위암군은 1.58:1로 두 군 모두 남자의 빈도가 높았으나 두 군 간의 남 녀 비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평균 재원 일수는 근위부 위암에서 21일(범위 10-108일) 원위부 위암군에서 16일

(범위 7-55일)로 원위부 위암군에서 재원 일수가 짧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34) (Table 1).

Table 1.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Factors PGC

(n=156)

DGC

(n=1031) p value Age (yr, range)

Sex (M:F) LOS (day, range) Operative Procedures

Subtotal Total Proximal Extended PPG Other Proximal margin

Positive Curative Surgery T category

TIS T1 T2 T3 T4 N category

N0 N1 N2 M1 category Pathologic Type

Tubular Papillary Mucinous Signet ring Adenosqua Other Grade

WD MD PD

52.5 (28-80) 1.64:1 21 (10-108)

- 111 (71.2%)

3 (1.9%) 13 (8.3%)

- 29 (18.6%) 10 (6.4%) 129 (83.2%)

- 22 (14.4%) 22 (14.4%) 86 (55.1%) 26 (16.7%)

50 (32.0%) 56 (35.9%) 33 (21.2%) 17 (10.8%) 108 (69.8%) 2 (1.2%) 14 (8.8%) 23 (15.0%)

8 (5.0%) 1 (0.1%) 36 (23.4%) 34 (20.8%) 86 (55.8%)

54.4 (15-87) 1.58:1 16 (7-55) 930 (90.2%)

70 (6.8%) - 5 (0.4%) 8 (0.7%) 18 (1.7%) 16 (1.5%) 907 (88.4%)

1 (0.1%) 323 (31.3%) 208 (20.5%) 434 (42.8%) 65 (6.6%)

514 (49.9%) 371 (36.0%) 76 (7.7%) 70 (6.8%) 735 (71.3%)

6 (0.6%) 52 (5.0%) 186 (18.0%)

37 (3.6%) 15 (1.5%) 300 (29.1%) 310 (30.1%) 421 (40.8%)

0.055 0.453 0.034 0.000

0.009 0.078 0.000

0.023

0.087 0.650

0.044

PGC, proximal gastric cancer; DGC, distal gastric cancer;

LOS, length of stay; NS, not significant; Subtotal, subtotal gastrectomy; Total, total gastrectatomy; Proximal, proximal gastrectomy; Extended, extended gastrectomy; PPG, pylorus preserving gastrectomy; Adenosqua, adenosquamous; WD, well differentiated; MD, moderately differentiated; PD, poorly differentiated.

Other includes open and closure, bypass operation, and local excision.

242

(3)

윤기영 외 2인.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비교 연구

2. 양군 간 수술 방법에 따른 비교

수술 방법의 경우 근위부 위암군은 대부분 위전절제술, 또는 확대 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확대 위전절제술은 비장절제술과 췌장부분절제술이 대부분이었으며, 원위부 위암군의 경우 위아전절제술과 위전절제술을 대부분 시행 하였다. 근위부 절제연의 암세포 침윤 양성 예는 근위부 위 암군에서 10예(6.4%), 원위부 위암군에서 16예(1.5%)로 근 위부 위암군에서 높아 근위부 위암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암조직 침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소견을 보였다 (p=0.009). 수술 소견에서의 암조직의 근치 절제율은 근위 부 위암에서 156예 중 129예로 83.5%의 절제율을, 원위부 위암에서는 1,031예 중 907예로 88.4%의 절제율을 보여 원 위부 위암에서의 근치적 절제율이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 성은 없었다(Table 1).

3. 양군 간 조직학적 분화도, WHO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비교

조직의 분화도에서는 근위부 위암의 경우 분화도가 낮은 경우가 많았으며, 원위부 위암의 경우는 분화도가 높은 경 우가 많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44). WHO 조 직학적 분류에 따른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비교에 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4. 양군 간 T 범주, N 범주에 따른 비교

T 범주에서는 근위부 위암의 경우 T3, T4가 원위부 위암 에 비하여 많았으며, 원위부 위암의 경우에는 T1, T2가 근 위부 위암에 비하여 높은 소견을 보여 근위부 위암이 좀더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하였다(p=0.000). N 범주에서도 근위부 위암의 경 우 N1, N2가 원위부 위암에 비하여 많았으며, 원위부 위암 의 경우에는 N0가 근위부 위암에 비하여 높은 소견을 보여 근위부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3) (Table 1).

5. 양군 간 일반적 인자에 따른 생존율 비교

나이, 성별, 암조직의 완전 절제율, WHO의 조직학적 분 류, T, N 병기가 동일한 경우에서의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5년 생존율의 비교에서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학 적 유의성은 없었다(Table 2).

6. 양군 간 수술 방법에 따른 생존율 비교

수술 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은 근위부 위암인 경우 위전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48.5%, 확대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경 우 46.7%였고, 원위부 위암의 경우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59.8%, 확대 위전절제술 시행한 경우 30.3%로 수술 방

법에 따라서 생존율의 차이를 보였다(p=0.024) (Table 2).

Table 2. Five-Year Survival Rates of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Factor PGC (%) DGC (%) p value Age (yr)

20-29 30-39 40-49 50-59 60-69

>70 Sex

Male Female

Operative Procedures Subtotal

Total Proximal PPG Extended ByPass Curativity

curative surgery non curative surgery T category

T1 T2 T3 T4 N category

N0 N1 N2 M1 category Pathologic Type

Tubular Papillary Mucinous Signet ring Adenosquamous Grade

WD MD PD

- 46.5 50.8 61.3 51.8 65.2 55.3 45.3 - 48.5 43.8 - 46.7

- 55.3 10.2 90.9 72.8 33.3 11.6 82.3 64.2 22.4 12.1 47.0 50.0 38.3 44.0 65.0 69.7 42.7 37.3

62.1 65.1 60.1 63.2 43.2 30.3 53.2 51.4 59.8 30.3 - 50.0 25.0 2.2 59.3 13.2 88.8 72.9 36.4 17.2 81.1 68.8 26.7 13.2 53.2 49.0 37.6 53.3 66.8 63.5 53.8 45.7

NS

NS

0.024

NS

NS

NS

NS NS

0.311 0.044 0.040 PGC, proximal gastric cancer; DGC, distal gastric cancer;

NS, not significant; Subtotal, subtotal gastrectomy; Total, total gastrectatomy; Proximal, proximal gastrectomy; Extended, extended gastrectomy; PPG, pylorus preserving gastrectomy;

WD, well differentiated; MD, moderately differentiated; PD, poorly differentiated.

243

(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40, No. 4, 2002

7. 양군 간 조직 분화도에 따른 생존율 비교

조직의 분화도에 따른 5년 생존율에서는 고분화 위암에 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분화, 저분화 위암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원위부 위암에서의 생존율이 좋았 다(각각 p=0.044, p=0.040) (Table 2).

8. 양군 간 병기에 따른 생존율 비교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병기별 생존율 비교에서 병기 I에서는 근위부 위암이 병기 II, IV에서는 원위부 위 암이 예후가 좋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는 않았다. 그러나 병기 IIIa 및 IIIb에서는 원위부 위암 에서 유의하게 좋은 예후를 보였다(각각 p=0.044, p=0.042) (Table 3).

Table 3. Five-year Survival Rates of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According to the Stage

Stage PGC

% (No.) DGC

% (No.) p value Total

Ia Ib II IIIa IIIb IV

48.5 (156) 91.7 (23) 85.3 (17) 68.6 (20) 55.6 (37) 23.1 (19) 18.9 (40)

52.3 (1031) 89.4 (251) 86.5 (150) 70.8 (152) 60.8 (181) 27.1 (100) 21.2 (197)

0.045 NS NS NS 0.044 0.042 NS PGC, proximal gastric cancer; DGC, distal gastric cancer;

NS, not significant.

고 찰

위암에 관한 여러 문헌에서의 시대적 변화는 위암의 발 생 빈도는 감소하고 있으나, 분문부를 포함한 근위부 위암 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양상은 서양의 경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1 이를 설명하는 가 설들 중에는 Helicobacter pylori의 감소로 인한 만성 위축 성 위염이 감소하고 위산의 분비가 많아지면서 이것이 역 류하여 발암과정에 관여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9 이 현상 은 동양권인 일본과 우리 나라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 위암 치료에 있어서 근위부 위암 또한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게 되었다.10

저자에 따라서는 분문부와 원위부 식도 사이에 림프관의 자유 문합이 있으므로 근위부 위암을 횡격막하 식도를 포함 시켜서 생각하기도 한다.11 외국 문헌의 경우 근위부 1/3의 위암이 차지하는 빈도가 15-30%로 보고되고 있으나4,12,13

우리 나라의 경우 아직 여기에 미치지는 못하고 있지만 연 도별 근위부 위암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의 보고에서는 11% 대에 근접하고 있다고 한다.4 본 연구의 경우 초기와 후기의 5년의 발생 빈도는 6.8%, 13.2%였다. 근위부 위암의 일반적인 특징은 남자에서, 젊 은 연령층에서, 조직학적 Lauren 분류의 장형(intestinal type)에서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1 본 연구의 경우 연령과 성별에서는 특별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근위부 위암의 특징은 발견시 진행된 경우가 많은 것으 로 알려져 있다.14즉 근위부 위암의 조기 위암 빈도는 13%

정도이나 원위부 위암의 경우에는 31%로 큰 차이를 보였 으며, 종양이 장막을 넘어선 경우는 근위부 위암의 경우는 70.1%, 원위부 위암의 경우는 50.6%, 림프절 전이 양성인 경우 또한 근위부 위암에서는 73%였으나 원위부 위암에서 는 58.1%이었다.4 Hanssone 등15은 근위부 위암은 일반적으 로 다른 부위의 위암에 비해 진단시 위벽 침윤의 정도나 림 프절 전이에서 좀더 진전된 양상을 보이고 이미 주변 장기 를 침범하거나 혹은 원격전이를 보여 근치적 절제술이 불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였으며, 이는 저자의 경우 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여 근위부 위암에서 T4와 림프절 전이가 많은 양상을 보였고 원위부 위암에서 T1과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그 외의 문헌들에서도 근위부 위암의 예후가 더 불량하다고 보고하였고16, 근위부 위암의 치료 실패는 원격 전이와 조기에 주위 장기로 침습하여 충 분한 절제연을 얻지 못하므로 원발성 병변의 제거가 어렵 기 때문이라 하였다.15,17

저자의 경우 T, N 범주로 분류한 생존율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T, N 범주를 묶어서 병기별로 분류한 경우 병기 III 에서 원위부 위암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이는 근위부 위암 의 경우 병기 III에서의 수술이 더 힘들고, 조기에 원격 전 이가 일어나기 때문이 아닌가, 근위부 위암의 병기 분류를 원위부 위암과는 달리하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였으며 이는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 같았다.

근위부 위암에서는 점막하층을 따라 식도로 진행하여 절 제연에 잔류 종양이 있는 경우가 많고 하부 종격동 림프절 로의 전이와 식도 열공에 인접한 구조물로의 전이가 조기 에 발생하며18일부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하부 식도 절제에 따른 음성 근위부 절제연의 확보 와 하부 종격동 림프절의 곽청, 식도 열공에 인접한 횡격막 의 절제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17 그러나 근 위부 위암의 수술에 있어서 개흉 여부, 림프절 곽청 범위, 식도 절제 정도, 재건 술식 등의 선택은 여전히 논의 대상 이 되고 있다.19 식도를 침범한 근위부 위암의 경우 19%에 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었으며 개흉술을 통한 림프절 244

(5)

Yoon, et al. Comparison between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곽청 후에도 2년내 모두 사망하였음을 보고하였다.19 따라 서 근위부 위암에 있어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는 위암의 진 행된 상태를 의미하므로 개흉술을 통한 종격동 림프절 곽 청술은 생존율 향상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보고하 였다. 이에 최근에 종격동 림프절 전이는 이미 원격 전이가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고, 종격동 림프절 곽청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오히려 개흉에 따르는 사망과 합병 증만 증가하여 분문부 위암에 있어 개흉에 부정적인 보고 들이 발표되었다.1,15,20

위상부의 해부학적 구조상 복막 결손 부위에 위치한 암 의 경벽침입(transmural invasion)으로 실제로는 T3에 해당 해도 UICC 분류상 T2로 down-staging 되므로 같은 병기의 하부 위암에 비하여 예후가 불량하다고 보고되고 있다21,22 본 연구의 수술 방법에 따른 5년 생존율에서 확대 위전절 제술을 시행한 경우 근위부 위암의 생존율이 원위부 위암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근위부 위암에서의 확대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췌장으로의 암소의 직접 침윤 등으로 수술 중 판단하여 합병 절제하였으나 최종적인 병 리학적 검색 결과 암소의 침윤은 음성이었고 종양 주변의 염증성 유착만을 보이는 경우 실제로는 수술시의 평가보다 낮은 병기로 결정되기 때문에 이런 예들이 포함된 것이 상 기한 결과의 이유일 수 있겠다.

조직의 분화도에 따른 5년 생존율에서는 고분화 위암에 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분화, 저분화 위암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생존율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근위 부 위암의 경우 T, N 범주가 진행된 경우가 많아서 생긴 생 존율의 차이로 생각되며 T, N 범주를 고정하고 조직 분화 도로 나누어 생존율을 구하는 경우에는 통계학적으로 다른 소견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병기에 따른 생존율을 보면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며, 근위부 위 암의 경우 일부분에 복막외 부분과 접하게 되어 있어서 병 기를 분류함에 있어서 낮은 병기가 적용되기 때문에, 병기 를 적절히 평가한다면 원위부 위암에 비하여 예후가 나쁘 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 근위부 위암에서 불량한 예 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식도 침범 정도, 근위부 절 제연의 길이, 종격동 림프절 전이 등이 제시되었으며,14,23 진행된 위암 환자는 양성 절제연이 예후에 좋지 않은 영향 을 주지만 문합 부위의 재발보다는 원격 전이로 인하여 사 망한다는 보고도 있다.22국내의 한 연구24에 의하면 개복에 의해 음성 근위부 절제연을 확보하고 D2 위전절제술만으 로 타보고의 개흉을 통한 위전절제술과 비슷한 생존율을 얻을 수 있으며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 외 의미 있는 인자로 나이, 림프절 곽청 정도. 복막파

종, 종양의 절제 여부, 종양의 침윤도 등이라고 주장되기도 하였다.3,24본 연구에서 두 군 간의 차이는 입원 기간, 수술 방법, 절제면의 암조직 잔류, 조직의 분화도 정도 등의 차 이를 보였고 동일 T, N 범주에서는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stage I, II, IV에서는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tage III에서는 생존율의 차이를 보였다.

요 약

목적: 위암의 역학적 변화는 상대적으로 원위부 위암은 감소하는 반면 근위부 위암은 증가하여 전체 위암 치료에 있어서 근위부 위암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하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에서 여러 인자 를 분석하여 양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만약 T 범주, N 범주에 따른 병기를 동일시한 경우 양군 간의 생존율에 차 이가 있는지 여부를 보았다. 대상 및 방법: 위암으로 수술 한 환자 중 종양 중심부의 위치가 근위부 1/3에 국한된 156 명의 경우는 근위부 위암, 원위부 1/3에 국한된 1,031명 경 우는 원위부 위암으로 분류하여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수 술 후 입원 기간, 수술 방법, 절제연의 암조직 침윤 여부, 암조직의 완전 절제율, 조직병리학적 차이에 대한 특성과 생존율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T 범주, N 범주, 조직병리 학적 특성을 동일시한 경우 양군 간의 생존율에 차이를 보 이는지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군 간의 비교에서 원위부 위 암군에서 재원 일수가 짧았으며, 근위부 위암에서 절제연 의 암조직 침윤이 높은 소견을 보였다. 조직의 분화도에서 는 근위부 위암의 경우 분화도가 낮은 경우가 많았으며, 원 위부 위암의 경우는 분화도가 높은 경우가 많았고, T 범주 에서는 근위부 위암의 경우 T3, T4가 원위부 위암에 비하 여 많았으며, 원위부 위암의 경우에는 T1, T2가 근위부 위 암에 비하여 높은 소견을 보여 근위부 위암이 좀더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N 범주에서도 근위부 위암의 경우 N1, N2가 원위부 위암에 비하여 많았으며, 원 위부 위암의 경우에는 N0가 근위부 위암에 비하여 높은 소 견을 보여 근위부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 성별, 암조직의 완전 절제율, WHO의 조직 학적 분류, T, N 범주와 병기가 동일한 경우에서의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5년 생존율의 비교에서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조직의 분화도에 따 른 5년 생존율에서는 고분화 위암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 았으나 중분화, 저분화 위암에서는 생존율의 차이를 보였 다. 근위부 위암과 원위부 위암의 병기별 생존율 비교에서 는 병기 I에서는 근위부 위암이 병기 II, IV에서는 원위부 위암이 예후가 조금 좋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병기 III에서는 245

(6)

대한소화기학회지: 제40권 제4호, 2002

생존율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보였고 원위부 위암에서 좋 은 예후를 보였다. 결론: 일반적으로 근위부 위암은 원위부 위암에 비하여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진 단이 늦어지고 그에 따른 충분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 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근위부 위암 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이 이루어지고 병 기 III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색인단어: 근위부 위암, 원위부 위암, 비교

참 고 문 헌

1. Siewert JR, Bottcher K, Stein HJ, Roder JD, Busch R.

Problem of proximal third gastric carcinoma. World J Surg 1995:19:523-531.

2. Kampschoer GHM, Nakajima T, van de Velde CJH. Changing patterns in gastric adenocarcinoma. Br J Surg 1989:76:914-916.

3. Blot WJ, Devesa SS, Kneller RW, Fraumeni JF Jr. Rising incidence of adenocarcinoma of the esopagaus and gastric cardia. JAMA 1991:265:1287-1289.

4. Ryu KW, Kim CS, Goo BH.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rognosis for proximal gastric carcinoma. J Korean Surg Soc 2000:59: 223-227.

5. Rohde H, Bauer P, Stutzer H, Heitmann K, Gebbensleben B.

Proximal compared with distal adenocarcimona of the stomach:

difference and consequences. Br J Surg 1991:78:1242-1248.

6. Nakane Y, Okamura S, Boku T, Okusa T, Tanaka K, Hiolci K. Prognostic difference of adenocarcinoma arising from the cardia and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Am Surg 1993:59:

423-429.

7. Jass JR. Sobin LH. Watanabe H. The World Health Organi- zation's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gastrointestinal tumors.

A commentary on the second edition. Cancer. 1990:66:

2162-2167.

8. Oliver HB, Donald EH, Roberty PH. Manual for staging of cancer. 3rd ed. Philadelphia: AJCC, 1988.

9. Kuipers EJ. Review article: exploring the link between 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cancer.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3-11.

10. Kim JP, Jeong MY. Clinical analysis of gastric cardiac cancer. J Korean Surg Soc 1988:34:269-275.

11. Castrini G, Pappalardo G. Carcinoma of the cardia. Tactile problem. J Thorac Cardiovasc Surg 1981:82:190-197.

12. Golematis B, Tzardis P, Hatzikostas P, Papadimitriou K, Haritopoulos N. Changing patterns of distribution of carcinoma of the stomach. Br J Surg 1990:77:63-64.

13. Husemann B. Cardia carcinoma considered as a distinct clinical entity. Br J Surg 1989:76:136-139.

14. Craanen ME, Dekker W, Blok P, Ferwerda J, Tytgat GNJ.

Time trends in gastric carcinoma: changing patterns of type and location. Am J Gastroenterol 1992:87:572-579.

15. Hansson LE, Sparen P, Nyren O. Increasing incidence of carcinoma of the gastric cardia in Sweden from 1970 to 1985. Br J Surg 1993:80:374-377.

16. Antonioli DA, Goldman H. Change in the location and type of gastric adenocarcinoma. Cancer 1982:50:775-781.

17. Tachimori Y, Kato H, Watanabe H, Sasako M, Kinoshita T, Maruyama K. Difference between carcinoma of the lower esophagus and the cardia. World J Surg 1996:20:507-512.

18. Shao LF, Gao ZG, Yang NP, Wei GQ, Wang YD, Cheng CP. Results of sugical treatement in 6,123 cases of carcinoma of the esophagus and cardia. J Surg Oncol 1989:42:170-178.

19. Takashi Y, Kiyoshi S, Toshiharu Y, et al. Resection margin in patient with gastric cancer associated with esophageal invasion:

clinicopathological study. J Surg Oncol 1993:53: 60-67.

20. Moon MR, Schulte WJ, Haasler GB, Condon RE. Transhiatal and transthoracic esophagectomy for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us. Arch Surg 1992:127:951-957.

21. Goo GS, Kwon SJ, Lee KS. Total gastrectomy for gastro-cardic cancer. Korean Surg Soc 1992:43:167-169.

22. Papachristou DN, Agnanti N, D,Agostino H, Fortner JG.

Histologically positive esopageal margin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Am J Surg 1980:139:711-713.

23. Sakaguchi T, Watanabe A, Sawada H, et al. Characteristic and clinical outcome of proximal third gastric cancer. J Am Coll Surg 1998:187:352-357.

24. Kim BG, Cho BS, Kang YJ, Park JS. 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involving the cardia. J Korean Surg Soc 1999:57:976-983.

246

수치

Table 1.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Table 2. Five-Year Survival Rates of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Table 3. Five-year Survival Rates of Proximal Gastric Cancer and Distal Gastric Cancer According to the Stage

참조

관련 문서

자궁 결손 위험이 커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은 주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에 필수적인 과제들을 추진하고, 지금까지 충분히 조명받지 못했던 농어촌의 가능성과 잠 재력을 되살리는 과제들을

* 본교와 다른 이전지역에 분교 및 이원화 캠퍼스가 위치한 경우, 해당 캠퍼스가 위치한 시·도의 지역인재로 포함되며, 이 경우 이전지역에서 대학교를 졸업,

기존의 연구 11) 에서는 치근의 수와 근관의 수가 일치하는 경우 해부학적 근단 공의 위치에 따라 생리학적 근단공을 명명하였으나 Wei ne 6) 에 의한 근관계의

한명은 수술적 절제 (nephrectomy)후 보조항암약물 치료(etoposi de/ci spl ati n + i ri notecan/ci spl ati n)를 하였으며 한명은 수술적 절제(subtotal gastrectomy) 후

위턱굴의 여섯면 중 특히 아랫벽은 위턱 치아 뿌리와 매우 가까워 치과 시술시 중 요한 해부학적 구조물이다.또한,위턱굴 바닥에 위치하는 위턱굴 중격은 임플란트

상악 견치의 매복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하고 이후의 교정치료를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므로 조기진단과 정확한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본 연구 결 과

2 암 발생은 오랜 기간에 걸쳐 단 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세포의 과다 증식,유전자 불안정성,세포사멸기전 불활성화 같은 중요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