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ducational Hospital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ducational Hospital"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Background and Purpose : Clinical pharmacy services (CPSs)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pharmaceutical care in hospit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CPSs.

Methods : A survey was administered in October 2015. A total 106 physicians and nurses (71 from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35 from the Surgery department) collaborated with clinical phar- macis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lated to CPSs (e.g., ther- apeutic drug monitoring (TDM) and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consultation, adverse drug reac- tion (ADR) monitoring, drug information (DI), prescription intervention, self-medication manage- ment, medication counseling) to determine the medical staff’ s awareness, satisfaction, and needs for such CPSs. All items were evalua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in which a positive response was defined as a score greater than 3.

Results :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97.2%(103/106). Among the respondents, 91.3%(94/103) were aware of the CPSs. The cardiology and hematology teams displayed higher awareness and satisfac-

팀의료에서의 임상전담약사 활동 평가

고경미

a

, 히라타스미코

a

, 최선

a

, 김순주

a

, 황보신이

a

, 나현오

b,�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약제부,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b

The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ducational Hospital

Kyung Mi Ko

a

, Hirata Sumiko

a

, Sun Choi

a

, Soon Joo Kim

a

, Shin Yi Hwangbo

a

and Hyen Oh La

b,�

Department of Pharmacy, Seoul St. Mary’ 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

,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06591, Korea

a

43 Jibong-ro, Bucheon-si, Gyeonggi-do, 14662, Korea

b

투고일자 2017.2.14; 심사완료일자 2017.5.20; 게재확정일자 2017.9.8

�교신저자 나현오 Tel:02-2164-4049 E-mail:hola@catholic.ac.kr

Original Article

(2)

tion levels than the other teams.

The cardiology team appeared to be well aware of medication counseling, DI, and self-medication management. The satisfaction of these services were rated as 4 or 5 b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 90%). Similarly, most hematology team respondents rated DI and medication counseling services as 4 or 5(83.3%).

While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eam demonstrated a lower degree of awareness of the CPSs, over 90% respondents exhibited a high need for all CPSs. Of the seven clinical services provided, the services highly demanded by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respondents were DI, medication counseling, and ADR monitoring; whereas, the Surgery department respondents highly ranked DI, medication counseling, and prescription intervention as a further need for CPSs. Regardless of the medical team, most respondents suggested enhancements to patient consultation and DI.

Conclusion :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awareness, satisfaction and needs for CPSs across medical teams. Based on the results, enhancement of CPSs are needed according to each medical team’ s needs.

[Key words] Clinical Pharmacy Services, CPSs, Pharmaceutical Care, Medical Team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내 약사 업무는 조제 중심에서 환자 중심 약료서비 스 제공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약료 서비 스는 환자 맞춤형 복약상담, 처방 검토를 통한 중재활 동,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등의 임상 관련 업무로

1)

외 래 환자뿐 아니라 입원 환자 모두에게 적용 될 수 있다.

입원 환자 중심의 약료 서비스는 병동 상주 형태로 일 본이나 미국에서는 병원 약사들에 의해 활발하게 수행 되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2012년 진료 수가법 개정 시

‘병동 약제 업무 수행’항목을 신설하여 약사가 일주일 에 20 시간 이상 병동 상주 업무를 수행 할 때에 그에 해당하는 수가를 인정하고 있다.

2)

미국의 경우에도 병 원 약사들이 입원 환자의 임상상태 분석을 통해 의료진 과 미리 협약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약물 요법을 관리 하여 환자 중심의 약료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3)

우리나라도 최근 병동 중심의 약료 서비스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현재 일부 대형 병원 약제 부서를 중 심으로 병동 중심의 약사 활동이 확대 되고 있다. 실제 로 이러한 약사들의 약력관리와 처방 중재 활동이 약물

관련 부작용 및 오류 감소를 통해 안전한 약물 사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4)

또한 2007년 발표 된 Bond의 연구에서는 팀 의료의 일원으로 병동에 상 주하는 약사에 의한 중재가 효율적이며, 약물 사용 평 가, 약물 교육, 약물 부작용 관리, 약물 사용 지침 마련, 입원 전 약력 파악 등의 약사 활동이 환자 사망률 감소 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5)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적절한 약물 사용은 사망률과 이환율 증가, 재원기간 연장뿐 아니라 부작용 등을 유 발하여 추가적인 의료비용을 발생 시킬 수 있으며, 인 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에 따라 약제 관련 의료비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4),6),7)

실제로 부적절한 약물 사용에 의한 의료 비용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중 연간 150만 건 이상은 예방 가능

한 오류로 알려져 있어 약물 요법에 관련된 전문가의

중재가 더욱 요구된다 하겠다.

8),9)

영미권에서는 약사가

약물요법 전문가로서 입원환자 약물 부작용 발생 감소

에 기여한 역할에 대한 연구나 응급의료센터, 중환자실

등 특정 분야에서 전문적 업무를 수행한 성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임

(3)

상전담약사의 업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

다.

1),9),10)

서울성모병원에서는 2008년 신경외과 병동과

신장내과 병동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에는 전 병동을 대 상으로 병동전담약사 업무를 실시하고 있으며, 2015년 5월부터는 임상전담약사가 병동에 일정 시간 상주하면 서 보다 적극적인 임상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동 상주 임상전담약사 활동에 대한 의료 진의 인지도와 요구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병동 중심의 약사 활동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을 모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기간

2015년 5월부터 임상전담약사가 병동에 상주하며 활 동하고 있는 8개 병동(내과 중환자실, 순환기 내과, 신 경 외과, 신장 내과, 이식외과, 종양 내과, 호흡기 내과, 혈액 내과)의 의료진 107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5 일부터 10월 12일까지 실시되었다.

2.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인 의료진에게 무기명 자기 기입 식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임상전담약사의 활동에 대한

1) 인지도 평가; 전반적인 인지도, 임상전담약사의 업무에 대한 인지도 (업무 분야: TDM 자문, TPN 자문, ADR 모니터링, 처방 중재, 약품식별, 의약 정보 제공(이하 DI), 지참약 관리, 복약상담) 2) 만족도 평가

3) 요구도 평가; 임상전담약사의 업무에 대한 요구 도, 임상전담약사 업무 중 기대하는 업무의 참여 형태, 향후 업무 강화 희망 분야

각 설문내용 중 만족도 평가는‘매우 부정(1점)’ , ‘부 정(2점)’ , ‘보통(3점)’ , ‘긍정(4점)’ , ‘매우 긍정(5점)’ 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긍정’또 는‘매우 긍정’ 으로 답변한 경우만을 긍정적 답변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3. 통계 분석

자료 분석에는 SAS Enterprise Guide 4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를 사용하였으 며, 응답자의 소속 임상과에 따른 결과 비교 분석에는 Chi-square test와 Fisher’ s exact test를 사용하였 고, p 0.05 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의 institu- 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과제번호: KC15QISI0657).

연구결과

설문에 대한 응답률은 97.2%(103/107) 이었으며, 임 상부서별로 보았을 때 내과계가 전체 응답자의 68.9%

(71/103)를 차지하였다(Table 1).

1. 인지도 평가

전체 응답자의 91.3%(94/103)가 병동에서 임상전담 약사 활동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임상전담약사 활동에 대해서 88.4%(91/103)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 다. 임상전담약사의 업무 중 복약상담, 약품식별, DI 업무 순으로 높은 인지도를 나타내었다. 임상과별 임상

응답자 수(%)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103)

내과계 내과중환자 13(12.6)

순환기 11(10.7)

신장 13(12.6)

종양 9(8.7)

혈액 12(11.7)

호흡기 13(12.6)

외과계 신경외과 20(19.4)

이식외과 12(11.7)

(4)

전담약사의 업무에 대한 인지도 분석에서는, 순환기 내 과와 호흡기 내과, 혈액내과의 경우 대부분의 임상업무 에 대해 70% 이상의 인지도를 보인 반면, 종양내과와 외과계 임상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Table 2). 응답자를 내과계와 외과계로 나누어 업무 인지도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

2. 만족도 평가

임상전담약사 전반적 활동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의 70%(70/100)가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임상전담

Fig. 1 Satisfaction of each medical team towards clinical pharmacy services*

P value n(%)

내과계 외과계

내과

중환자 순환기 신장 종양 호흡기 혈액 신경

외과

이식 외과

평균 인지도 Table 2. Recognition rate of ward-based clinical pharmacy services (n=103)

활동 인지도 10(76.9) 11(100.0) 12(92.3) 9(100.0) 13(100.0) 12(100.0) 16(80.0) 11(91.7) 94(91.3) 0.13 활동 필요성 13(100.0) 9(81.8) 11(84.6) 7(77.8) 12(92.3) 9(75.0) 19(95.0) 11(91.7) 91(88.4) 0.33 복약상담 8(61.5) 10(90.9) 12(92.3) 8(88.9) 13(100.0) 12(100.0) 16(80.0) 11(91.7) 90(87.4) 0.09 약품식별 9(69.2) 10(90.9) 10(76.9) 5(55.6) 13(100.0) 12(100.0) 17(85.0) 8(66.7) 84(81.6) 0.37 DI 8(61.5) 9(81.8) 7(53.9) 7(77.8) 11(84.2) 10(83.3) 14(70.0) 7(58.3) 73(70.9) 0.36 TDM 자문 8(61.5) 9(81.8) 10(76.9) 4(44.4) 12(92.1) 8(66.7) 15(75.0) 4(33.3) 70(68.0) 0.28 ADR 6(46.2) 6(54.6) 7(53.9) 4(44.4) 11(84.6) 10(83.3) 13(65.0) 5(41.7) 62(60.2) 0.96 처방중재 7(53.9) 8(72.7) 6(46.2) 1(11.1) 9(69.3) 11(91.7) 15(75.0) 5(41.7) 62(60.2) 0.39 TPN 자문 8(61.5) 5(45.5) 8(61.5) 4(44.4) 10(76.2) 10(83.3) 12(60.0) 4(33.3) 61(59.2) 0.14 지참약 관리 5(38.5) 9(81.8) 5(38.5) 3(33.3) 8(61.4) 6(50.0) 11(55.0) 3(25.0) 50(48.5) 0.32

* 업무 만족도가 70% 이상인 항목에 대해서만 기재함

(5)

약사 업무에 대한 전체 만족도는 약품식별(70.6%), 복 약상담(66.7%), DI(64.3%)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군 과 간호사군의 임상전담약사 업무에 대한 만족도는 전 체 만족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임상과 별 만족도는 순환기 내과(100.0%, 11/11), 호흡기내과(92.3%, 12/13), 혈액내과(91.7%, 11/12) 순 이었다. 이 중 순환 기 내과는 복약상담, 지참약 관리(100.0%), 약품 식별,

DI, 처방중재 업무에 대해 90%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 다. 호흡기 내과에서는 약품 식별(92.3%), 혈액내과는 DI와 복약상담(83.3%)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신경외과와 이식외과는 복약상담에 대해 만족도가 높 았다(Fig. 1). 응답자를 내과계와 외과계로 나누어 업 무 만족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able 3).

P value 외과계

내과계 (%)

Table 3. Satisfaction rate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ternal medicine part vs surgery part

전반적 만족도 69.6 70.9 0.89

TDM 자문 46.4 58.1 0.28

TPN 자문 34.3 50.0 0.14

ADR 52.2 51.6 0.96

약품식별 73.24 64.5 0.37

DI 61.4 70.9 0.36

처방중재 36.2 45.2 0.39

지참약 관리 34.8 45.2 0.32

복약상담 61.4 78.1 0.09

(%)

내과계 외과계

내과 중환자

순환기 내과

신장 내과

종양 내과

호흡기 내과

혈액 내과

신경 외과

이식 외과

평균 업무 요구도 Table 4. Needs for clinical pharmacy services of each medical team*

1 순위 TDM 자문 TPN 자문 ADR

DI (100.0)

복약상담 (81.8)

복약상담 (92.3)

지참약 관리 (77.8)

ADR DI 처방중재

(92.3)

TDM 자문 TPN 자문

DI 복약상담

(75.0)

약품식별 처방중재 (90.0)

DI (75.0)

DI (82.5)

2 순위 처방중재

약품식별 (92.3)

ADR DI 처방중재

(72.7)

DI (84.6)

- 약품식별

복약상담 (84.6)

- TDM자문

DI 복약상담

(85.0)

- 복약상담

(80.6)

3 순위 지참약

관리 (91.7)

- 지참약

관리 (76.9)

- TDM 자문

TPN 자문 (76.9)

- ADR

(80.0)

- 처방중재

(77.7)

*임상과 별 업무 요구도가 70% 이상 인 항목만 기재함

(6)

3. 요구도 평가

1) 임상과 별 요구도 평가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업무는 DI (82.5%, 85/103) 업무였다. 내과 중환자실의 경우 TDM 자 문, TPN 자문, ADR 모니터링, DI 업무에 대해 100.0%의 요구도를 보였다. 순환기 내과와 신장내 과는 복약상담, 호흡기 내과는 ADR 모니터링 및 처방 중재 업무에 대해, 신경외과는 처방중재에 대 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이식외과는 DI 업무에 대 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의사와 간호사군 모두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업 무는 DI 업무로 나타났다(81.3%, 82.8%).

2) 임상전담약사의 업무 지원 형태 및 업무 강화 희망 분야

설문에 참여한 전체 의료진들이 희망하는 임상전 담약사의 업무 지원 형태는 회진과 같은 팀 의료 참여 활동이 68.0%(70/103)로 가장 높았으며, 정 기적 정보제공 형태의 업무 지원이 44.1%(45/102)

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강화해주기를 희망하는 업무는 환자 복약상담, DI, 지참약 관리, 처방 중 재, 약물 사용 지침 마련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임상전담약사 활동 현황

2015년 10월 현재 병동 상주 임상전담약사 활동이 수 행 되고 있는 현황을 표로 정리하였다(Table 5). 임상 전담약사의 병동 상주 업무 시행 전, 후 비교 시 팀 의 료 활동 시간이 약 4배 증가하였고 임상 업무 또한 2- 6배까지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병동 상주 임상전담약사 활동에 대한 의료 진의 인지도, 만족도, 요구도 평가를 통해 활동의 성과 및 향후 발전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병동 상주 형태의 임상전담약사 활동에 대해 의 료진들이 90% 이상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그러나 업 무 내용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업무 별로 현저한 차이를

금 목

수 화

Table 5. Time schedule of clinical pharmacist

내과계Ⅰ*: 내과 중환자, 순환기 / 외과계: 신경외과, 이식외과 / 내과계Ⅱ: 호흡기, 신장, 종양, 혈액

9:00~11:00 병동 상주 업무 (내과계Ⅰ*, 외과계�)

13:00~15:00 병동 상주 업무 (내과계Ⅱ�)

8:00~10:00 내과계 회진

외과계 회진 내과계 회진 외과계 컨퍼런스

내과계 회진

내과계 회진

외과계 회진 -

비고 병동 상주 업무 시행 전 (2015년 2월~4월) 병동 상주 업무 시행 후 (2015년 5월~7월)

월 평균

Table 6. Comparison before and after ward-based clinical pharmacy services

팀 의료 활동 (시간) 31.8 124.2 290.5% 증가

입원환자 상담 (건) 37.3 176.3 372.6% 증가

ADR 보고 (건) 7.3 10.3 41.1% 증가

처방중재 (건) 9 23 155.6% 증가

DI (건) 4 24 500% 증가

(7)

보여 복약상담, 의약정보 제공, 약품 식별에 대해서는 높은 인지도를 보인 반면 지참약 관리에 대해서는 50%

이하의 인지도를 보였다.

임상전담약사 업무 인지도와 만족도 조사 결과에 따 르면, 의료진의 인지도가 높았던 복약상담, 약품식별, DI 업무가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업무 에서 임상전담약사 역할에 대해 의료진의 인식이 높을 뿐 아니라 임상전담약사가 그 역할을 충분히 잘 수행하 고 있기 때문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임상과 별 인지도와 만족도 비교 분석에서는 인지도 가 높은 임상과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순환기 내 과에서는 다른 임상과에 비해 지참약 관리와 약품 식별 에 대해 높은 인지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심혈관 질환의 특징 상 환자가 약물 요법을 시행하던 중 입원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아 기존 약물 요법에 대한 정확 한 파악이 입원 치료에서 중요한 정보로 작용하기 때문 으로 평가된다. 유사하게 호흡기 내과에서도 약품식별 업무에 대해 인지도와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만성 질환인 호흡기 질환 역시 과거 약력 파악이 입원 치료 에 중요한 자료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혈액내과의 경우는 복약상담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 가 모두 높게 나타나, 혈액암 치료제 투여 일정 관리 및 부작용 상담에서 임상전담약사의 역할이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양 분야의 경우 약사의 처방중재를 통해 암환자에게 자주 투여 되는 nar- cotics에 의한 이상 반응 예방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 도 있어

9)

향후 보다 적극적인 중재활동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1개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입∙퇴원을 반복하는 과정 에서 약물 요법이 변경될 때 처방과오, 약물 이상 반응 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들이 앞서 보고된 바 있으

며,

10),11),12),13)

Yasunga D 등은 병원약사의 중재활동이

이러한 약물 이상반응 관리와 함께 불필요한 약제 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밝힌바 있 다.

14)

따라서 본원에서 임상전담약사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지참약 관리나 약품 식별 등을 통한 약력 정보 제 공과 처방 중재활동은 향후 약물 경제성 측면에서도 유 익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본원의 경우 병동 상주 임상전담약사 업무 시작 시 각 병동 별 임상과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업무를 우선 시

작하여 보다 강화해주기를 원하는 업무를 추가 확대하 며 수행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임상전담약사 업무 별 요구도 분석 결과 각 임상과별 특성이 반영되어 나 타났는데, 내과중환자실의 경우 응답자 전원이 TDM 및 TPN 자문, ADR 모니터링, DI 업무에서 임상전담 약사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향후 보다 적극적인 활동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임상전담약사의 업무를 병동 상주 업무 시작 전과 후 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에서는 약사의 병동 상주로 인해 팀 의료 활동 시간이 약 4배 증가함에 따라 입원 환자 상담, ADR 보고, 처방 중재 및 DI 업무의 수행이 최고 6배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전담약사의 복 약 상담과 DI 업무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높았던 것 으로 볼 때, 이러한 업무 수행의 증가가 의료진의 높은 만족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또한 팀 의료 활동과 정기적인 약물 정보제공 측면에서 임상전담약 사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률 역시 높게 나타나 다학제 의료팀에서 약료 전문가로서 약사 활동에 대한 요구와 기대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원에서 의료진들은 병동 상주 임상전 담약사 활동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팀 의료의 일원으로서 약사 활동에 대한 요구도 역시 증가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임상전담약사의 병동 상주 활동 초기에는 요구도가 높은 업무 위주로 수행 하며, 의료진과의 지속적인 소통으로 임상전담약사 활동 강 화를 바라는 업무를 각 임상과 별로 특화 시켜 확대해 가야할 것이다.

[감사의 말씀]

본 연구는 2017년도 가톨릭대학교 교비연구비의 지 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참고문헌

1) 윤정현. 선진 병원약사의 역할 및 도전.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2;29(3):235-47.

2) Senaha H, Myotoku M, Tomida Y, et al.

(8)

Changes in Medical Safety Interventions Conducted by Ward-based Pharmacist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ir Services in Complex Medical Ward. Yakugaku zasshi : Journal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2015;135(9):1069-76.

3) Gilberson S, Yoder S, Lee MP. Improving patient and health system outcomes through advanced pharmacy practice, A Report of to the U.S Surgeon General, Office of the Chief Pharmacist.U.S. Public Health Service 2011.

4) Klopotowska JE, Wierenga PC, de Rooij SE, et al. The effect of an active on-ward par- ticipation of hospital pharmacists in Internal Medicine teams on preventable Adverse Drug Events in elderly inpatients: protocol of the WINGS study (Ward-oriented pharmacy in newly admitted geriatric seniors). BMC Health Serv Res. 2011;11:124.

5) Bond CA, Raehl C. Clinical pharmacy servic- es, pharmacy staffing, and hospital mortali- ty rates. Pharmacotherapy. 2007;27(4):481- 93.

6) Penm J, Chaar B, Moles R. Clinical pharma- cy services that influence prescribing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based on the FIP Basel Stat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015;37(3):485-96.

7) O’ Connor M, Gallagher P, O’ Mahony D.

Inappropriate prescribing: criteria, detection and prevention. Drugs & Aging. 2012;29(6):

437-52.

8) Ernst FR, Grizzle AJ. Drug-related morbidi- ty and mortality: updating the cost-of-illness model. Journal of the American Pharmaceu- tical Association. 2001;41(2):192-9.

9) Kucukarslan S, Peters M, Mlynarek M, Nafziger D. Pharmacists on rounding teams reduce preventable adverse drug events in hospital general medicine unit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3;163(17):2014-8.

10) Wanbon R, Lyder C, Villeneuve E, Shalansky S, Manuel L, Harding M.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s: A National Survey. The Canadian journal of hospital pharmacy.

2015;68(3):191-201.

11) Forster AJ, Murff HJ, Peterson JF, Gandhi TK, Bates DW.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adverse events affecting patients after dis- charge from the hospit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3;138(3):161-7.

12) 이주연, 손인자, 조윤숙, 박경호, 최경희. 순환기 내과 병동 담당 약사에 의한 자가약 관리 및 퇴원 약 처방 중재 효과.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09;26(4):356-61.

13) Haig GM, Kiser LA. Effect of pharmacist participation on a medical team on costs, charges, and length of stay. Am J Hosp Pharm. 1991;48(7):1457-62.

14) Yasunaga D, Tasaka Y, Murakami S,

Tanaka A, Tanaka M, Araki H., Economic

contributions of pharmaceutical interven-

tions by pharmacists: a retrospective report

in Japan. Journal of pharmaceutical policy

and practice. 2016;10:2.

(9)

[별첨1]

안녕하십니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약제부입니다.

본 설문은 다학제 팀의료 활동의 일환으로 2015년 5월 부터 본원 약제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임상전담약사 활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의료진의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업무 개선 방향을 정립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업무 중 바쁘시겠지만 아래 설문을 작성하신 후 2015년 10월 12일까지 약제부로 회신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 설문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언제든지 연락 주십시오. 본 설문은 무기명으로 관리되며 연구종료와 함께 폐기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TEL) 02-2258-2544~8

� 귀하의 기본 인적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 사항을 작성하여 주십시오.

1. 담당 진료과 또는 담당 병동의 주요 진료과는 무엇입니까? ( ) 2. 귀하에게 해당되는 사항에 V 표로 체크하여 주십시오.

1. 약제부에서 임상전담약사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① 안다(1-1번으로 가십시오) ② 모른다(2번으로 가십시오)

1-1. 다음은 임상전담약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 항목들입니다. 이중 본원 약제부에서 수행중인 것으로 인지하고 계 신 항목에 모두 V표로 체크하여 주십시오.

� 약제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임상전담약사 활동의 인지도와 업무 요구도에 대한 설문입니다.

의사

전문의 전공의 병동 책임 간호사 실무 간호사

간호사

“임상전담약사” 란

한국병원약사회의 전문분야별 전문약사 자격을 취득하여, 팀 의료 활동을 통해 환자 치료과정에 참여하는 약사를 말 합니다.

그 중 일정시간 병동에 상주하여 활동하는 약사를“병동 상주 임상전담약사” 라고 합니다.

임상업무 항목 1) TDM 모니터링 및 자문

2) 고영양수액요법(TPN) 자문 3) ADR 보고 및 모니터링 4) 약품 식별

5) 의약정보 제공

6) 처방 검토 및 중재 (처방 오류 수정 등) 7) 환자 지참약(self-medication) 관리 8) 환자 복약상담

수행하고 있는 항목에 체크

(10)

※ ① 매우 불만족 ② 불만족 ③ 보통 ④ 대체로 만족 ⑤ 매우 만족

2. 약제부의 임상전담약사 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필요하다(아래 2-1로 가십시오)

② 필요하지 않다

2-1. 다음 중 본원에서 필요한 임상전담약사 활동이라고 생각되는 항목에 모두 V표로 체크하여 주십시오.

임상업무 항목 1) TDM 모니터링 및 자문

2) 고영양수액요법(TPN) 자문 3) ADR 보고 및 모니터링 4) 약품 식별

5) 의약정보 제공

6) 처방 검토 및 중재(처방 오류 수정 등) 7) 환자 지참약(self-medication) 관리 8) 환자 복약상담

9) 기타:

본원 시행필요

� 약제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임상전담약사 활동에 대한 만족도 설문입니다.

1.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임상전담약사 활동에 대한 만족도 설문입니다. 아래 각 항목에대해 만족하는 정도에 따라 번호에 체크하여 주십시오.

1. 임상업무 활동

1) TDM 모니터링 및 자문 2) 고영양수액요법(TPN) 자문 3) ADR 보고 및 모니터링 4) 약품 식별

5) 의약정보 제공

6) 처방 검토 및 중재(처방 오류 수정 등) 7) 환자 지참약(self-medication) 관리 8) 환자 복약상담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① ② ③ ④ ⑤

만족도

(11)

2. 임상전담약사로부터 진료과정에 있어 지원을 받으실 경우,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방법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회진 또는 컨퍼런스, 협의제 등에 참여 하여 의사소통

② 연구 활동 또는 PI활동에 함께 참여

③ 정기적인 약물 최신 정보 제공

④ 기타:

3. 임상전담약사의 활동 중 더 제공받고 싶은 분야가 있다면 선택하여 주십시오.

① 약물 관련 정보 제공

② 환자 상담 강화

③ 환자 지참약 관리

④ 약물 사용 지침 마련

⑤ 처방에 대한 신속한 feed back

⑥ 기타:

4. 마지막으로 임상전담약사를 통한 약제부와의 의사소통에 있어 만족하였거나, 불만족하신 부분이 있다면, 기재하여 주십시오. 업무 발전에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 설문에 참여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

수치

Fig. 1 Satisfaction of each medical team towards clinical pharmacy services*
Table 3. Satisfaction rate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ternal medicine part vs surgery part
Table 6. Comparison before and after ward-based clinical pharmacy services

참조

관련 문서

학교 본관내 G은행의 주간시간대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및 개선 방향 ... 학교 본관내 G은행의 야간시간대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Evaluation of prevalance and clinical impact for unknown origin hypereosinophilia patients.. By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pace Recognition Space Recognition Space Recognition in the Space Recognition in the in the in the Concourse of Hospital using the

이와 관련하여 전자상거래법에 소비자는 수리 또는 대체물인도 중에 선택할 수 있지만, 물품이 하자가 없었더라면 가졌을 가액, 하자가 해당 계약에서 차지하는

인민보안성은 김정은과 조선노동당의 노선을 옹호·관철하기 위해 국가보안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국가기관의 기밀문서 보관·관리 및 운반 업무를 수행 하고 있다.. 노동당 및

Clinical evaluation of the use of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 with guided tissue regen- eration in the treatment of molar furca- tion invasions.. Wallace SC,

비즈니스 인텔리젼스를 통한 업무 활동의 핵심은 데이터가 기반이 된다. 화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업활동을 수행,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영업력을 증대시

인적자원과 관련한 정보의 수집 가공 분석 제공 을 통한 정보 제공 등에 관한 업무 수행 인적자원개발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정보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