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거주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와 결혼 안정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촌거주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와 결혼 안정성:"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연구의 필요성

1.

최근 우리나라는 취업을 위해 이주한 외국인 노동자와 국 제결혼을 위해 이주한 여성의 증가로 다문화적 특성을 지닌 사회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2009년도 우리나라 총 결혼

건수 중11%가 국제결혼이었고 이 중, 75%가 한국인 남성 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이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농촌에서 더 욱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농촌에서 국제결혼이 증가하게 된 이 Office [KNSO], 2010).

유 중 하나는 열악한 농촌 환경과 힘든 농사일로 농촌총각 을 배우자로 기피하자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을 전개하, 여 중국동포를 비롯한 동남아 여성과의 국제결혼을 권장했

주요어:결혼 안정성 음주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 국제결혼, , , ,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Park, Sun-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ongshin University, 252 Daeho-dong, Naju 520-714, Korea.

Tel: 82-61-330-2964, E-mail: sunny9497@naver.com

이 논문은 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2009 ( ) (KRF-2009-32A-B00135).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EST) (KRF-2009-32A-B00135).

투고일 2010년 월7 31 / 수정일 차1 : 201011월 일 차8 , 2 : 20101210 / 게재확정일 20101210

농촌거주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와 결혼 안정성: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안효자

1

· 박순희

2

· 최은정

3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1,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시간강사2,조교수3

Impact on Marital Stability of Alcohol Use in International Married Korean Men in a Rural Area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An, Hyo-Ja1· Park, Sun-hee2· Choi, Eun-Jeung3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shin University,

2Part-time Professor,3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ongshin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whether alcohol use predicts marital st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in international married Korean men who lived in a rural are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0 of the international married me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June, 2010. The instruments wer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Marital Instability (MI), Marital Communication (MC), Social Support (S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AUDIT was 9.6, and alcohol u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tability,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We also found that marital communication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use and marital stability, while social support did not mediate this association. Conclus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ndicates a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include emphasis on moderate dr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couples in international marriages.

Key Words:Alcohol, Communication, Social support, Marital stability, International marriage

(2)

기 때문이다.

국제결혼가정은 의사소통 부재 문화 갈등 외모 차이 가, , , 족갈등 자녀양육 및 경제적 어려움 등의 다양한 문제를 가, 지고 있다(Burleson & Denton, 1997; Choi, 2007; Ra &

이에 정부 및 민간에서는 국제결 Park, 2009; Soon, 2007).

혼가정의 정착을 위해 사회적 지원체계를 수립하여 가족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사회통합의 방법을 도출하고자 많은 관 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결혼가정의 가정해체는 증 가하고 있다. 2007년 국내 이혼 총 건수는 줄어든 반면 국제 결혼 부부의 이혼건수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 남자와. , 외국 여자의 이혼은 전년보다44.5%로 증가하였다(KNSO, 이혼 사유를 살펴보면 성격차이 경제문제 정신 및

2008). , ,

육체적 학대 등으로 나타나고 있고 국제결혼 남편의 음주, 와 도박 역시 부부싸움과 이혼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Kim et al., 2009; Seol, Lee, & Cho, 2006).최근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이 급증하면서 이들 가정의 결혼 안정성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결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남편의 음주문제 를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사회성 음주로 시작한 음주문제는. 차츰 자신을 피폐하게 만들고 자신을 사회와 가정으로부터, 고립되게 한다(Chung et al., 2009).결국 이러한 문제는 가 족기능 감소와 부부관계에 갈등을 야기해 결혼 안정성을 위 협하게 된다(Homish & Leonard, 2007, 2008; Kim et al., 남편의 음주문제는 단순히 음주만 즐기는 것이 아니 2009).

라 음주 후에 가정폭력을 초래하고(Elin, 2007; Seol et al., 이러한 폭력에 노출된 부인은 대인관계 위축 불안

2006), , ,

적개심 수치심 무기력감 자존감 상실 등 심각한 정서심리, , , 적인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Soon, 2007).실제 술에 취한남 편은 부인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까지도 서슴지 않고 행하 기도 한다(Chung et al., 2009).이처럼 술은 개인의 신체적 건강과 사회적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족 의 기능에 손상을 주는 대표적인 정신건강 문제이다 따라서. 국제결혼한 남편들의 음주문제는 가정 폭력과 외국인 부인 의 정서적인 안정에 영향을 주며 결국 결혼 안정성과도 관련 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결혼한 남편. 의 음주가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연구는 찾기 어렵다.

한편 술은 중추신경억제제로 술을 마신 다음에 행동에 변 화를 가져온다. Chung 등(2009)의 연구에서 음주를 하게 되면 겁도 없어지고 내성적인 성격을 바꿔주면서 마음속에 있는 얘기를 할 수 있게 한다고 하였으며 음주문제가 심각,

해질수록 주변에 사람들이 떠나가 결국에는 외톨이가 된다 고 하였다 이는 음주문제로 인해 의사소통의 변화와 사회. 적 관계의 단절을 보여주고 있다. Park과Yang(2005)은 음 주하는 남편은 비음주하는 남편에 비해서 부인과의 의사소 통에서 상호존중성이 낮고 무관심 성향이나 권위지향 성향, 이 강해 결국에는 심리적인 고통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의사소통이 단절되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 라고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술을 권하는 사회에서. 는 술문화에 순응적일 때 사회성이 뛰어나다고 보고 있으 며 실제 현재 음주자가 동료와 친구가 많고 사회적 관계망, 이 넓다고 하였다(Kim & Choi, 2010; Lucas et al., 2010).역 으로 생각해보게 되면 음주를 즐기는 남편은 친구들과의, 관계에 더욱 몰입하여 가정생활에는 충실하지 않다고 볼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음주문제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에.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관계는 국제결혼 한 부부의 갈등을, 더욱 증폭시켜 결혼 안정성에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 하게 된다(Burleson & Denton, 1997; Gwangju City, 2009;

그러나 국제결혼 Hong, 2009; Ra & Park, 2009; Suh, 2008).

한 남편의 음주문제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통합, , 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지금까지 행해진 대부분의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적응 결혼 안정성 결혼만족에 초점을 두었으며, , (Burleson

& Denton, 1997; Choi, 2007; Hong, 2009; Ra & Park, 2009;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결혼 안정성에 대한 Suh, 2008),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최근 국제결혼가정의 가정해. 체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국제결혼한 남편의 음, 주문제가 그러한 가정해체의 주요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국제결혼한 남 성을 대상으로 음주 문제가 결혼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음주문제와 결혼 안정성간의 관계에, 서 부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제결혼가정의 안정화 정책을 계획하고. 이들 부부의 결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2.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을 한 남편의 음주가 결혼 안 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 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3)

Ÿ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정도 결혼 안정성 부, , 부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를 알아본다, .

Ÿ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가 결혼 안정성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한다.

Ÿ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와 결혼 안정성 간의 관 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 인한다.

연 구 방 법 연구설계

1.

본 연구는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정도가 결혼 안정성에 영 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정도와 결혼, 안정성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 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본 연구는 전남 지역 시에 거주하고 외국인 여성과 국제N 결혼한 한국인 남성200명이 대상이다 대상자 수의 결정은. Cohen(1988)의 공식에 근거하여 유의수준(⍺ 은) .05, 효 과크기는 중간정도인.15,검정력(1-β)은.80으로 산정하였 다 필요한 대상자수는. 175명으로 산출되었으므로 본 연구 의 대상자200명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자료수집 과정에. 서 윤리적 고려를 위해 설명회를 조사원들에게 연구목적, 연구의 윤리적 고려 등에 대해 교육한 후 연구대상자들에, 게 익명과 비밀보장이 되며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됨을 공지하게 하였다.

본 조사는 2010년 월 일부터 월6 1 6 30일까지 실시되었 고 전남 지역에 위치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방문 및 한글 교사들의 협조를 얻어 진행되었다 조사에 동. 의한 국제결혼 남성을 대상으로 조사자가 직접 가정을 방문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20~30분 정도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200부였고 모두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도구 3.

음주 정도 1)

음주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

발한 알코올 문제 선별도구인 Alcohol Use Disorders Iden- tification Test(AUDIT)를 Kim(1999)이 번안하고 Yoon,

Kim Chae(2008)가 음주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연구에 적 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알코올 의존에 관한 문항 해로. 3 , 운 음주에 관한 문항 위험한 음주에 대한 문항의 총3 , 4 10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방법은 번에서. 1 10번까지 각 문 항에 응답한 점수의 값을 모두 합하여 채점하고 가능한 점, 수의 범위는 점에서0 40점이다 점수의 범위에 따라. 8~15점 은 위험수준(Hazardous level), 16~19점은 해로운 수준

점 이상은 알코올 의존

(Harmful level), 20 (Alcohol depen- 으로 분류하였다 등 의 연구에서의 신 dence) . Yoon (2008)

뢰도는Cronbach's⍺=.88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이었다

Cronbach's⍺=.87 .

결혼 안정성 2)

결혼 안정성은 Booth, Johnson과Edwards(1983)가 개 발한 결혼불안정(Marital Instability: MI)척도를Suh (2008) 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혼 안정성은 부부 중 어느. 한 배우자가 이혼이나 별거 등을 통해 결혼을 해체하지 않 고 유지하려는 성향이나 태도로 최근 년 이내에 결혼생활, 1 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으로 총10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다. 매우 그렇다 1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 다 점까지5 Likert식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결혼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Suh(2008)의 연구에서 신뢰도는Cronbach's⍺=.84였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Cronbach's⍺=.90였다.

사회적 지지 3)

사회적 지지는 Park(1985)과 McCubbin, Patterson과 Glynn(1982)의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SS)척도를 기 초로 하여 Kim(1991)이 수정한 척도를 일부 보완 수정하· 여 사용하였다 본가 가족 처가 가족 아내 자녀 친구 이. , , , , , 웃 다문화 관련 기관실무자 종교단체 등 개의 지지제공자, , 8 로부터 받은 애정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도움의 차, , 3 원으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애정적 지지 정서적 지. , 지 물질적 도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의 수는 각각 문항이, 3 다. 도움을 받지 않았다 점1 , 도움을 받았다 점2 , 많은 도 움을 받았다 점의3 Likert식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Kim

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였으며 본

(1991) Cronbach's⍺=.89 , 연구에서의 신뢰도는Cronbach's⍺=.93이었다.

(4)

부부 의사소통 4)

부부 의사소통은Chae와Choi(1996)가 개발한 부부간의 의사소통(Marital Communication: MC)을Suh(2008)가 수 정 보완한 부부 의사소통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부 의사소· . 통 척도는 총15개 문항으로 매우 그렇다 점에서1 전혀 그 렇지 않다 점까지5 Likert식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Suh(2008)의 연구에서 신뢰도는Cronbach's⍺=.87이었으 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87이었다.

자료분석 4.

수집된 설문지는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음주정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음, , . 주정도가 국제결혼 남성의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 보고자 상관관계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 정하기 위해Baron과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정절차 를 사용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Sobel's test를 실시하였다 먼저 독립변수가. ,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영, 향을 미치며 셋째 독립변수와 매개변수를 동시에 투입하여,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독 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하게 되면 매개모 델이 성립하게 된다(Baron & Kenny, 1986).

따라서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정도와 결혼 안정성의 관계 에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 기 위해 첫째 독립변수인 음주정도가 종속변수인 결혼 안, 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독립변수인 음주, 정도가 매개변수인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셋째 음주 정도와 의사소통 음주정, , 도와 사회적 지지 변수를 투입하여 매개변수인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 구 결 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3.7±6.0세로 40대가 전체의

였고 아내의 연령은 평균 세로 대가 전 60.8% , 32.1±7.8 20 체의45.2%였다 아내의 출신국은 베트남이. 28.8%로 가장 많고 자녀는 명이, 1 39.9%, 2명이34.3%였다 대상자의 교. 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56.3%이고 가구 전체 월평균 소, 득은100~200만원 미만이50.3%, 100만원 미만이26.4%로 나타났다(Table 1).

대상자의 음주 정도 및 부부 의사소통 사회적 지지 결혼

2. , ,

안정성

전체 대상자의 음주 정도는40점 만점에 평균9.6±7.69 였다 대상자의. 29.0%가 평균11.4±2.52점으로 위험수준 이었고 해로운 수준이, 12.5%,알코올 의존이10.8%로 조사 되었다 대상자의 부부 의사소통 점수는. 53.4±10.06이었 고 사회적 지지 점수는, 31.8±15.27이었으며 결혼 안정성, 점수는49.8±8.68이었다(Table 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00)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Age (year) ≤29 30~39 40~49

≥50

4 39 115 31

(2.1) (20.7) (60.8) (16.4) Age of wife ≤29

30~39 40~49

≥50

89 69 36 3

(45.2) (35.0) (18.3) (1.5) Nationality

of wife

Japan Philippines China Vietnam Cambodia Uzbekistan Thailand Others

20 32 50 55 8 9 10 7

(10.5) (16.8) (26.2) (28.8) (4.2) (4.7) (5.2) (3.6)

Children 0

1 2

≥3

18 71 62 27

(10.1) (39.9) (34.8) (15.2) Education ≤Middle school

High school

Junior college & university

53 111 33

(26.9) (56.3) (16.8) Monthly payroll

(10,000 won)

<100 100~200 200~300

≥400

52 99 37 9

(26.4) (50.3) (18.8) (4.5) Note. Excluded missing data in an analysis.

(5)

음주 정도가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3.

음주 정도가 국제결혼 남성의 결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국제결. 혼 남성의 음주정도는 결혼 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25,p=.001).음주 정도가 높을수록 결혼 안정성이 낮았으며 설명력은, 6%였다(Table 3).

음주와 결혼 안정성의 관계에서 부부 의사소통과 사회적 4.

지지의 매개효과

먼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검정결과 음주정도는 부부 의, 사소통(r=-.25,p =.001),사회적 지지(r=-.21,p =.004),결 혼 안정성(r=-.25,p=.001)과 음 의 상관을 보였으며 부부(-) , 의사소통(r=.61, p=.000)과 결혼 안정성과 양(+)의 상관을 보였다.

부부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 해 단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3 Table 4, 5와 같다. 1단계에서 독립변인인 음주 정도가 매개변인인 부부 의사소 통과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회귀분석에서는

의사소통(β=-.25, p =.001)과 사회적 지지(β=-.21,p= .004)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단계에서 의사소통이 음주와 결혼 안정성의 관계에 매 2

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음주정도와 의사소통을 독립변수로 결혼 안정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위계적 회귀분, 석을 시행하였다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 정도와 의사소통. 을 독립변수로 넣은 회귀식에서 모형( 2)의 영향력의 크기 (β)가 음주정도만을 독립변수로 넣은 회귀식에서 모형( 1) 의 영향력의 크기(β)보다 감소하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판단할 수 있다.

에서 음주정도가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Table 5

검정한 모형 보다 의사소통 변수를 투입한 모형 에서 음1 2 주정도의 β값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사라졌으 므로(β=-.23, p = .004 →β=-.09,p=.200),의사소통은 음 주정도와 결혼 안정성 변인 간에 완전한 매개효과를 보였 다. Sobel's test결과에서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t=-3.12,p<.001).이는 음주정도는 의사소통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결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의사소통을 매개로 한 국제결혼남성의 음주정도가.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경로는Figure 1과 같다.

음주정도가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정한 모형 보다 사회적 지지 변수를 투입한 모형 에서 음주정도의

1 2 β

값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β= -.25,p =.001 →β=-.24,p =.002),오히려 사회적 지지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β=.06, p= .419).

따라서 사회적 지지는 음주정도와 결혼 안정성 변인 간에 유 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Sobel's test결과에서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15,p= .125).

논 의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농촌 거주 한국남성의 음주정도 와 결혼 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 Table 2. Alcohol Use Tend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easured Variables (N=200)

Variables Range n (%) M±SD

Low-risk 0~7 84 (47.7) 3.1±0.25

Hazardous level 8~15 51 (29.0) 11.4±2.52 Harmful level 16~19 22 (12.5) 17.0±1.15 Alcohol dependence 20~40 19 (10.8) 24.9±3.05

Total 0~40 176 (100.0) 9.6±7.69

Marital communication 15~75 53.4±10.06

Social support 27~81 31.8±15.27

Marital stability 12~60 49.8±8.68

Note. Excluded missing data in an analysis.

Table 3. Impact of Alcohol Use on Marital Stability

Variable Marital stability

β t

p

Alcohol use -.25 -3.36 .001

Adjusted R2=.057; F=11.29;

p

=.001

Table 4.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Alcohol Use on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Variable β t

p

Marital

communication

-.25 -3.25 .001

Adjusted R2=.055; F=10.58;

p

=.001

Social support -.21 -2.89 .004

Adjusted R2=.040; F=8.35;

p

=.004

(6)

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유해음주정도(AUDIT 8점 이상 는) 52.3%

이었고 선행연구에서는 유해음주 전국 평균이, 56.7%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로 유사한 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 선행연구에서

2008) , .

농촌 지역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이 도시 지역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KCDCP, 2008),향후 도시와 농 촌 지역의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정도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처럼 남. 편의 음주정도가 유사하더라도 언어소통이나 문화적 적 응 인적 자원 등에서 취약성을 지닌 국제결혼, 부부의 결 혼 안정성을 위협받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예측케 한

다 의사소통과 문화적 적응의 어려움 사회적 지지 기반 결. , 여 등이 국제결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Burleson &

선행연구들이 이런 예측을 뒷받 Denton, 1997; Choi, 2007)

침해주고 있다.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는 결혼 안정성에 독립적으로 영향 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가 결혼만족도 감. 소의 예측요인이고 가족기능을 감소시켜 가정해체의 위협 이 되고 있다는 국내외 선행연구(Homish & Leonard, 2007, 2008; Kim et al., 2009; Seol et al., 2006)의 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문화와 언어가 다른 외국인 부인과 결혼생활을. 유지해야 하는 한국인 남성에게도 국제결혼 자체는 하나의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Gang & Byun, 2009).

셋째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는 부부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 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Park과Yang (2005)은 알코올의존 부부가 일반부부보다 의사소통의 효율성이 유 의미하게 낮다고 하였으며, Kim과Choi(2010)는 문제 음 주군이 정상 음주군에 비해 더 취약한 사회적 연결망을 갖 는다고 함으로써 본 연구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적절한. 음주는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할 수도 있지만 과도한 음주, 상태는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보다는 억압되어 있는 감정이 표출되어 도리어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초래하게 된다(Park & Yang, 2005).사회성 음주로 시작된 술은 결 국 음주문제를 초래하게 되고 자신을 외롭고 피폐하게 만, 들며(Chung et al., 2009),가족 동료 이웃으로부터 소원, , 한 관계를 초래하게 되어 사회적인 지지망이 취약해지게 된다.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와 결혼 안정성의 관계에서 부부간 의사소통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지만 사회적 지지는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은 음주가 결혼 안. Table 5. Regressio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Model Predictor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bel's test

β t

p

Adjusted R2 F

p

Sobel

p

Model 1 Alcohol use -.23 -2.93 .004 .055 8.60 .004

Model 2 Alcohol use -.09 -1.29 .200 .046 44.40 .000 -3.12 <.001

Marital communication .57 8.72 <.001

Model 1 Alcohol use -.25 -3.36 .001 .057 11.29 .001

Model 2 Alcohol use -.24 -3.10 .002 .055 5.96 .003 -1.15 .125

Social support .06 0.81 .419

Figure 1. Mediating pathway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marital stability.

(7)

정성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매개효과가 있 으나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없는 이유로는 국제결혼 가, 정에 대한 서비스나 지원이 이주여성과 자녀를 위주로 이루 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의사소통이 국제결혼 부. 부의 결혼만족이나 고부간의 갈등에 중요한 요인임을 주장 하는 선행연구들(Burleson & Denton, 1997; Gwangju City, 2009; Soon, 2007)을 보면 국제결혼 부부의 의사소통은 결, 혼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는 국제결혼한 남편의 음주문제에 대한 사정이 조기에 이루 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지원센터와 지역정신건강센터 알코올, , 상담센터가 상호협조하여 통합적인 사례관리체계를 마련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어에 미숙하더라도 부부애와, 가족응집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체험적인 의사소통 프로그 램의 개발과 음주가 결혼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농촌 일개시를 대상으로 국제결혼한 한, 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하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도시 지역과의. 비교 남편의 음주문제에 따른 결혼이주여성들의 경험에 대, 한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남성을 대상으 로 음주정도 결혼 안정성 의사소통 및 사회적 지지 정도를, , 파악하여 다문화가정의 결혼안정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정도는 결혼 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명력은 높지 않 았다 또한 부부 의사소통은 음주정도와 결혼 안정성의 관. 계에서 완전한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사회적 지지는 두 변, 인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제결혼한 남성의 음주문제가 이들 부부에 있어 결혼 안정 성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나 부부간 의사소통이 강화될 경우 결혼 안정성이 크게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 지 않은 결과는 사회적 자원과 지지가 이주여성과 자녀로

국한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제결혼 남성의 음주문제를 해결하 기 위한 사정과 중재를 제공할 때 부부간 의사소통을 향상 시키는 개입을 병행함으로써 국제결혼 남성의 결혼 안정성 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REFERENCES

Baron, R. M., & Kenney, D. A. (1986). The moder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51, 1173-1182.

Booth, A., Johnson, D. R., & Edwards, J. N. (1983). Measuring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5, 387-394.

Burleson, B. R., & Denton, W. H.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marital satisfaction:

Some moderating effec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 884-902.

Chae, G. M., & Choi, G. R. (1996). Speaking and listening with couples.Korean Family Counseling Center,Seoul: Author.

Choi, W. S. (2007). A study on the social-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The Journal of Asian Women, 46(1), 141-181.

Chung, B. Y., An, H. J., Byun, H. S., Lee, Y. N., Jeong, K. S., Kim, J. Y., et al. (2009). Recognition of alcohol in alcohol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1), 11-20.

Cohen, J. (1988).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 ciates Publishing.

Elin, K. B. (2007). Alcohol and violence: Use of possible con- founders in a time-series analysis.Addiction, 102(3), 369- 376.

Gang, G. J., & Byun, M. H. (2009). Factors of the married couple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husband.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3), 123-136.

Gwangju City (2009). Multicultural health need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Gwangju Social Services, Gwangju:

Author.

Hong, M. K. (2009).A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and dyadic adjustment of immigrant women who married to Korean m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uple's communication.Unpublished doctoral dis- 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Homish, G. G., & Leonard, K. E. (2007). The drinking partner- 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discrepant drink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8)

Psychology, 75(1), 43-51.

Homish, G. G., & Leonard, K. E. (2008). The social network and alcohol us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69(6), 906-914.

Kim, J. H., & Choi, M. K. (2010).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s and drinking behavior by gender differences in residents of an apartment complex in Seoul.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1(1), 105-115.

Kim, S. K., Kim, Y. K., Jo, A. G., Kim, H. R., Lee, H. K., Seo, D.

H., et al. (2009)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ministry of Justice.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m, S. Y. (1991).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and the family stress of widow: McCubbin double ABCX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im, Y. S. (1999). A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s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 tion.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7, 67-8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Report on divorce in 2007.Daejeon: Author.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Annual Report on the Marriages and Divorces Statistics.Daejeon: Author.

Lucas, N., Windsor, T. D., Caldwell, T. M., & Rodgers, B. (2010).

Psychological distress in non-drinkers: Associations with previous heavy drinking and current social relationships.

Alcohol and Alcoholism, 45(1), 95-102.

McCubbin, H. I., Patterson, J., & Glynn, T. (1982). Social support index (SSI). In H. I. McCubbin, A. I. Thompson &

M. A. McCubbin (Eds).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 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357 389)– .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 vey.Seoul: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Park, J. S., & Yang, S. (2005). Original articles: Study on alco- holic couples' communication types and efficiency.Jour- 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3), 231-239.

Park, J. W. (1985).A study of development for the social sup- port scale.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 versity, Seoul.

Ra, D. S., & Park, J. I. (2009).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influencing on the parenting behavior.Family and Culture, 21(4), 1-20.

Seol, D. H., Lee, H, K., & Cho, S. N. (2006). Married-based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in Korea: Current status and policy measures.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of Family.

Soon, M. Y. (2007).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happi- ness in rural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7(2), 1-24.

Suh, H. J. (2008).A study on the marital quality and marital stability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ggi University, Suwon.

Yoon, M. S., Kim, S. H., & Chae, W. S. (2008).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state, problem drinking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and citizens.Jour- 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9(2), 13-26.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00)
Table 3. Impact of Alcohol Use on Marital Stability
Figure 1. Mediating pathways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marital stability.

참조

관련 문서

결혼상태 여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분석에서 결혼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미혼,기혼인 경우 환자와의 관계,직장에서의 장래성과 지지요

소방공무원의 음주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에 관한 강경화 등(2001)에 의하면 음주량은 역 할갈등과 같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관계가 있는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 DCM 공법 적용시 발생하는 부상토를 유용하여 기초사석 대체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부상토가 케이슨 기초의 안정성에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 상태에 따라 불안감이 달 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서는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보건계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05로 하였다.연구

본 연구에서는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를 대상으로 순환운동을 실시하여, 전문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배구 기능 중 경기력을 좌우하는 기술수행능력에

그리고 훌트브란트는 운디네의 아름다 움과 천진함 , 제멋대로지만 그 매력적인 모습에 이끌려 결혼하지만 결혼 후 운디네는 영혼과 함께 인간의 어두운 고뇌까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직접 제작하는 그림 카드를 활용한 수업이 영어 어휘력과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여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력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