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중공 형태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이종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중공 형태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이종탁"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pplied Chemistry,

Vol. 14, No. 2, October 2010, 9-12

9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중공 형태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이종탁⋅정진성⋅윤태관⋅배재영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Synthesis of Hollow Sphere Silica Materials with Different Size by Sol-gel Method

Jong-tak Lee⋅Jin-seong Jeong⋅Tae Kwan Yun⋅Jae Young Bae

Department of Chemistr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eimyung University, Daegu 704-701, Korea

Abstract

Hollow sphere silica (HSS) material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such as drug delivery system, catalyst, and display because of their extraordinary structure. Nano-sized HSS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applying cationic surfactant CTACl in basic condition and nonionic surfactant pluronic F-68 in acidic condition, respectively. HSS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TEM and N2-sorption. Diameter of HSS-CT, which was prepared by CTACl, is about 250 nm and surface area is about 1,000 m2/g, but diameter of HSS-P, which was prepared by F-68, is about 30 nm and surface area is about 500 m2/g.

Keyword: Hollow sphere silica, Surfactant, Sol-gel method

1. 서 론

1996년 Schacht 연구팀이 최초로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 합성에 성공한 이후로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다[1]. 구형의 구조에서 입자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 실리카 물질은 그 특이한 구조로 인해 기존의 물질들과 전혀 다른 독특한 물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수많은 연구자들 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로 적용하는 분야로는, 약물 전달 시스템, 반응에서의 촉매의 목적으로 주로 연구되고 있으며[2], 최근 들어, 중공형태의 특성을 살려 디스플레이의 기판위에 코팅함으로 인해 굴절률을 조절하는 목적으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는 추세이다.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에 제조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첫 번째로는 계면활성제를 이용 하여 자가 조립을 유도하여 합성하는 방법이 있고, 두 번째로는 구형의 틀을 먼저 합성한 뒤 실리카를 구형의 표면에서 반응시킨 뒤, 그 틀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Z.Teng 연구팀에서 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3시간 반응을 통해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3], Guo 연구팀에서는 탄소 구형체를 직접 합성하고 이를 CTAB와 함께 이용하여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 성하였다.[4] 비록, 지금까지 중공형 실리카 물질과 관련하여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중공형태의 구형 크기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공형의 구형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크기가 다른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합성 공정을 도식화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2)

10 이종탁⋅정진성⋅윤태관⋅배재영

Fig. 1. Procedure for synthesizing nano-sized hollow sphere silica.

2. 실 험

2.1. 시약 및 기자재

실리카 전구체로는 Aldrich사의 제품인 TEOS (tetraethyl orthosilicate, 98%)를 별도의 정화과정 없이 사용하였고, 중공형 실리카의 구형체의 크기를 조절할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luronic F-68 (EO80PO30EO80, Sigma)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TACl (cethylmethylammonium chloride, 25%, Aldrich)를 시용하였다. 또한, 첨가제로 DMDMS (dimethoxydimethylsilane, TCI)와 mesitylene (Aldrich, 98%)을 사용하였고, 용액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ammonia water (25%, Wako)와 hydrochloric acid (35%, JUNSEI)를 사용하였다.

특성분석에 사용된 기기로는 제조된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 및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model H-7100, Hitachi Japan; 이하 TEM이라 표기함)으로 확인하였고, 실리카 나노입자의 비표면적과 기공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N2-sorption (QUANTACHROME, Qudrasorb SI)를 이용하였다.

2.2. 중공형태의 실리카 분말 제조

본 논문에서의 실험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 가지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기에, 반응에 서의 pH를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2.2.1. HSS-CT 분말 제조

CTACl을 이용하여 합성할 경우, 용액의 조건을 염기성으로 조절하여 합성을 진행하였다. 먼저, 비이커 속에 에탄올과 증류수를 일정비율로 섞은 뒤 계면활성제인 CTACl을 넣어 약 5분 이상 상온에서 교반을 시킨다. 그 후, 실리카 전구체인 TEOS를 넣고 동일한 조건에서 5분간 교반을 시킨다. 다음으로 암모니 아수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약 10.5로 조절한 후 5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흰색의 침전물이 생성되며 이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 에탄올을 이용하여 여러 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시료는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약 24시간 건조시킨 뒤 공기가 흐르는 관형 전기로를 이용하여 600℃에서 소성하였다. 이렇게 합성한 시료는 HSS-CT라고 명명하였다.

2.2.2. HSS-P 분말 제조

F-68을 이용하여 합성을 진행할 경우, 그 용액의 조건을 산성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물로 희석시킨 2M의 염산 수용액에 pluronic F-68과 mesitylene을 일정한 비율로 첨가한 후 균일한 상태

(3)

11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중공 형태의 실리카 나노입자 제조

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TEOS를 첨가하여 6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DMDMS를 첨가 한 후 동일한 조건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용액의 pH를 7로 조절 한 후,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그대로 방치하였다. 생성된 흰색의 침전물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 하였으며 에탄올로 여러 번 세척하였다. 세척이 완료되면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약 24시간 건조시킨 다 음 공기가 흐르는 관형 전기로를 이용하여 350℃에서 소성하였다. 이렇게 합성한 시료를 HSS-P라고 명명하였으며, 두 가지 방법으로 합성한 과정을 도식화하여 Fig. 2에 나타내었다.

Fig. 2. Synthesis process of HSS-CT and HSS-P.

3. 결과 및 고찰

3.1. 준공 형태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물성 평가 3.1.1. TEM 분석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달리하여 합성한 HSS-CT와 HSS-P 시료의 중공 형태와 크기 및 벽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하여 TEM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3에 나타내었다.

Fig. 3에서 HSS-CT 시료는 250∼350 nm 크기의 구형 형태로 관측되었고 입자와 입자가 겹쳐지는

부분에서 뒤에 있는 입자가 비춰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내부가 어느 정도 비워져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시료인 HSS-P는 입자 크기가 20∼25 nm로 비교적 작고 균일한 형태의

구형으로 관측되었고, 앞선 HSS-CT와는 달리 내부가 완전히 비워져 있었으며, 실리카 벽의 두께는 약

3∼5 nm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4)

12 이종탁⋅정진성⋅윤태관⋅배재영

(a) HSS-CT (b) HSS-P Fig. 3. TEM images of HSS.

또한, 이 시료들의 비표면적 값을 구하기 위하여 N

2

-sorption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250℃에서 3시간동안 전처리하여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뒤, 상대압력(P/P

0

)이 0.3이 되는 지점까지의 흡착곡선으로부터 BET (Brunauer-Emmett-Teller)방정식을 통해 계산하였다[5]. 그렇

게 계산된 표면적과 TEM으로 분석한 중공형 실리카 구형체의 특성을 Table 1에 표기하였다.

Table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SS.

Sample name BET (m2/g) Diameter (nm) Wall Thicjness (nm)

HSS-CT 1,036 250∼300 -

HSS-P 550 25 3∼5

4. 결 론

실리카 전구체인 TEOS를 이용하여 산성 및 염기성 조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중공형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시료를 TEM과 N

2

-sorption으로 분석한 결과 HSS-CT의 경우 약 250∼300 nm의 크기를 가지며 BET는 1,036 m

2

/g으로 측정되었고, HSS-P의 경우 약 25 nm의 크기를 가지며 BET는 550 m

2

/g으로 측정되었다. HSS-P의 경우 중공형태를 이루 는 벽의 두께가 약 3∼5 nm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1. Schact. S.; Huo. Q.; Voigt. M.; Stuky. G.; Schuth. F. Science 1996. 273. 768.

2. Stella. M.; James. P. N.; Louis. C. B.; Blaine. A. H.; Efe. M. E.; James. C. F.; Daniel. L. F. J. Am.

Chem. Soc. 1999. 121. 8518.

3. Teng. Z.; Han. Y.; Li. J.; Yan. F.; Yang. W. Micropor. and Mesopor. Mater. 2010. 127. 67.

4. Guo. X.; Liu. X.; Xu. B.; Dou. T. Physicochem. Eng. 2009. 345. 141.

5. Barrett, E. P.; Joyner, L. S.; Halenda, P. P. J. Am. Chem. Soc. 1951, 73, 373.

참조

관련 문서

By observing the difference in the insul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internal air layer size of hollow silica nanoparticl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hen using hollow

아직 국내에서는 실리카 단분산 입자의 제조에 대한 양산화 기술이 부 족하므로, 가장 효율적으로 합성하기 위한 합성 방법과 적절한 조건의 구축이 필요하다.. 단분 산 실리카

XPS data에서 PAB의 Br(3d)가 68.63 ev에 중합된 것 이 확인되었으나 PABAMP1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용매에 대한 용해도 조사에서 공중합체의 강인한 이미드 기와 말단

본 실험에서는 실리카 입자를 먼저 BTMA로 처리한 후, 도입되는 -NH기를, 3개의 acrylate기를 가지는 TMPET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와 acrylate기 1개와

∙서로 다른 측정 단위를 선택할지라도 측정 과정에서 단위를 바꿀 수는 없다... ⑦ 부피: 입체도형이 차지하는

또한 일반적인 실리카 입자의 경 우에는 실리카 입자를 졸-젤 반응으로 제조한 후 표면에 유 기 관능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화학 반응 단계가 더 필요하지 만, BPS의 경우에는 유기

In our study, Extracted silica from bamboo(ESB) leave, was gone pulverizing, burning, after grinding, stirring in 1M HCl solution, filteration, stirring in hydroperoxide

용융 실리카 판 내부에 가공된 프레넬 존 플레이트의 회절효율을 올리기 위해 다중 프레넬 존 플레이트를 제작하였으며, 고반복률 펨토초 레이저의 반복률을 200 kHz 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