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T diagnosis of recurrence following resection for gastric carcinom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T diagnosis of recurrence following resection for gastric carcinoma"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大합放 M~ 醫@장會誌 第 24 썰 5 pp. 825 - 832, 1988 Journal of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4(5) 825-832, 1988

위암 수술후 재발의 전산화단층촬영 잔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땅사선파학교실 조온구·조혜영·김순용 - Abstract -

CT Diagnosis of Recurrence Following Resection for Gastric Carcinoma

On Koo Cho, M.D., Hye Young Cho, M.D., 500n Yong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g University

There is almost complete lack of specific reference to the findings of recurrent gastric carcinoma except a few data which have been based on autopsy fi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CT for defining the pattern of recurrence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conventional barium studies to identify the lesion

1. There were 64 cases of postgastrectomy CT scan of gastric carcinoma during recent 3 years and recurrence evidence was identified in 53 cases

2. Time lapse between operation and detection of recurrence was variable from 3 months to 6 years. Evidence of recurrence less than 1 year were stage 111 and IV patients and long survivors more than 5 years were stage 1 and 11 patients

3. Local recurence of gastric remnant or anastomosis area was identified in 10 cases. Regional recurrence was noted in 28 cases including 13 gastric bed and 26 Iymph node enlargement

Most frequently enlarged nodes were peripancreatic and paraaortic nodes

4. Peritoneal spread was the most frequent pattern of recurrence occuring in 34 cases. Mesenteric mass and ascites were most frequent findings

5. Distant metastasis was noted in 12 cases and the liver was the most frequent site.

6. Local recurrence was detected in barium study in half of the cases. Peritoneal seeding was relatively well identified but regional recurrence was very poorly identified

1. 서 흐료

최근 위암의 조기 진단 및 수술 방법의 발달에도 불 구하고, 위 암으로 인한 사망율은 매우 높으며 • 5 년 생 존율은 대개 10-25% 인 것으로 얄려져 있다 11).

위암수술후재발이 있을때 임상석 소견으로진단은 용이하지 않A며, 재발된 위염의 양상에 판해서는 부

이 논문은 1988년 8월 31일에 접수하여 1988년 10월 8 일 에 채택되었음

검 또는 재수술에 의한 맺개의 보고를 제외하고는 방 사선학적 잔단에 대하여 보고된 바는 거의 없다2.3.4)

최근 영상진단학의 급선석인 발달에도 불구하고 위 장판질환의 진단에는고식석인 바륨이중조영숭이 점 막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유일한 방사선학적 진단 땅엽 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위철제술 후의 위장판 검사에 서는 수술후 변형과 함께 명변의 발견이 용이치 않다

저자들은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후 재말된 위암 의 진단에 있어 CT 스캔의 유용도 및 재 발의 양상을

(2)

1988 -

Time Lapse between Operation and Detec- tion of Recurrence with Postoperative Tumor Staging

第 5 號

Table 1.

第 24 卷 大韓放射線題學會註‘:

고찰하였고, 바륨 위장판검사를 영행하였던 환자에서 양 검사엽의 진단적 가치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Total unknown

m

IV Time II

4

m

rm

6 -- l

3 3 3 3

끼/“ 끼J

nJ 1i

l 4 6 6 3 4 2 3

- 6m

- 1 yr 2 yr - 3 yr - 4 yr - 5 yr -10 yr

53

CT Findings of Postresection Recurrence- (Total 53 Cases)

Table 2.

10(16.9%)

28(52.8%)

34(64.1%) 12(22.6%) 13

20 9 8 3 Total

gu FD

2

% Local recurrence

gstnc remnant anastomosls area Regional recurrence

gastric bed abdominal wall lymph node Peritoneal spread Distant metastasis 최근 3년간 위암무로 위철제술을 받은 후 CT 스캔

이 의뢰되었던 64 례중 재딸의 소견이 발견된 53 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53 례중 50 례는 위부분절제숨 (sul­

total gastrectomy) 을 3 례는 위천절제술 (total gastre- ctomy) 을 시행하였던 환자로 남자가 42 례 여자가 11 례였고, 연령은 21세부터 76세로 다양하게 분표하였 으냐 50대와 60 대에서 호말하였마. 임상석으로 득이 한 증상 없이 수술후 추석 검사상 발견된 경우가 30 례 로 않았으냐 황달, 복부종괴 , 복수로 인한 복부팽 얀 둥 임상석으로 재발을 의심하여 검사를 시행한 예가 17 례였다.

CT 기 기 는 Somatom DR 3을 이 용하여 횡 격 막하부 터 골반감까지 포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2%

로 희석한 수용성 조영제를 검사 1시간 천에 500 ml를 먹였으며, 조영제 증강 전 · 후의 촬영상을 얻었다.

CT상 재 딸의 양상을 분류 고찰하였고 이중 바륭 위 장판조영숨을 병행하였던 25 례를 중심으로 위장관조 영울상 t영변의 진단율을 판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II.

Enlarged Lymph Nodes on CT Scan(Total 26 Cases)

Table 3.

III. 걸 과

%

(61.5)

(57.5) (30.8) (269) (23.1) (23.1) No

κω πμ

8 7 6 6 penpancreatlc

paraaortlc mesentenc porta celiac retrocrural

LN

국한성 재발은 28 례였고, 그중 13 례는 취장 주위 위 상 (gastric bed) 에 (Fig 3), 26 례는 임파절 전이 였마.

임파절 전이는 취장 주변임파절 및 후복막강 대동액 방임파절이 가장 흔히 종창되었고 그밖에 장간막, 문 액 , 복강 (celiac) , 후횡 경 악각 (retrocrural) 임파절이 순이었다(Table 3, Fig 4).

복막성 확산이 34 례 (64.3% )호 가장 많았으며 , 소

- 826-

수솔후 CT상 재발의 소견이 발견될 얘까지의 시간 의 경파는 3개월 부터 6 년 까지 마양하였마. CT 촬영 이 수숭후 정규적인 추석 검사는 아니었지만 수숭 후 1년 내 조기 재발된 예는 수술상 영기 37] 또는 47] 의 진전펀 암이 었고, 5 년 이후에 재 말된 예는 단지 2 례 뿐이지만 뱅기 1 기 및 27] 환자였다. 수숭후 영리 검 사상 영기 3 기의 암이 가장 않았다(Table 1).

CT상 재 발의 양상을 국소 재 발(local recurrence), 국한성 재 말 (regional recurrence), 복막성 확산

(peritoneal spread) 및 원격 전이로 쿠분하였마(T a­

ble 2).

국소 재딸은 10 례(1 8- 9%) 에서 판찰되었고, 이중 위 잔재부 (gastric remnant) 재발이 8 례 (Fig. 1), 운 합부 (anastomotic area) 재 말이 5 례 였고 (Fig.2), 양 측을 동시에 청범한 예가 3 례였다.

(3)

조온구 외 : 위암 수술후 재딸의 전산화단층촬영 진단 -

Fig. 1. Local recurrence of the gastric remant; wall thickening of the gastric remnant is well de fined on CT scan but postoperati ve G 1 study shows no gross abnormal finding

장 장간악의 결절 (Fig 5) 및 복수가 가장 흔한 소견 이었마. 대망 (omentum) 종괴, 횡행결장, 직장에스결 장,

ng

장 둥 대 장벽 의 비 후 Douglas pouch 및 난소를 침벙한 골반강내 종괴 둥의 소견도 판찰도였마(T able 4, Fig. 6).

원격전이는 12 례에서 판찰되였고, 그중 간천이가 8 례로 가장 않았고 (Fig.7) 퍼1 천이가 4 례, 그밖에 각 1 례씩 골, 부산, 뇌전이가 있었다.

바륨 위장판조영숭을 뱅행하였던 25 례에서 재발의 소견 및 잔단적 가치를 비교하였마(T able 5). 국소재 발은 바륨 위장판조영술상 반수에서 진단이 되었고,

그중 위잔재부 재발은 5례중 3례에서, 문합부 재발은 5 례중 2례에서 인지되었다(Fig. 1,2). 위상 및 임파절 전이 등 국한성 재발의 진단을 위한 바륭 위장관조영 술의 정확도는 CT와 바교시 매우 낮았다. 복막성 확 산중 대장벽의 침범은 매우 정확히 인지되었으나 (Fig 6), 장간막 결절은 약 반수에서 진단되 였마.

그밖에 지발이 있을혜 연합되는 CT 소견으로 늑막 상출액, 담도 확장, 수신증 등의 소견이 있었다.

N.

국내의 보고에 의하면 위암은 천 악성종양 중 11. 8 -13.58% 를 차지하여 남자에서는 가장 흔하고 여자

Fig. 2. Local recurrence ol the anastomosis area; diffuse thickened irregular mucosal fold of the anastomotic afferent and efferent loops which is defined as wall thickening of the same area on CT scan(arrows)

827 -

(4)

- 大韓放射線쩔쩔험픔 : 24 5 1988 -

Fig. 3. Regional recurrence of the gastric bed; Mass in peripancreatic area with lymphadenopathy is noted

Table 4. CT Manifestation of Peritoneal Spread(T。

tal 34 Cases)

Small bowel mesentery mass asciles

。mental mass or thickening colon wall thickening

trabsverse colon rectosigmoid

(b A%

cecum ?“

small bowel adhesion Doublas pouch mass ovary mass

Fig. 4. Regional recurrence case with multiple lym.

phadenopathy of the peripancreatic area(arr-

。 ws)

%ω η

8 8

Table 5. Comparison of CT and Ba. Study

CT Ba. Study

Local recurrence

gastnc remanant 5 3(60%)

anastomosls area 5 2(40%)

Regional recurrence

gastric bed 9 2(22.7%)

lymph node 13 1( 7.7%)

Peritoneal spread

mesenteric nodule 11 6(54.5%)

transverse colon 4 4(100%)

sigmoid 3 3(100%)

cecum 2 2(100%)

5 4 2

- 828-

(5)

- 조온구 외 : 위암 수술후 재말의 전산화단층촬영 진단 -

Fig. 5. Recurrence in small bowel mesentery; Mass of the mesentery which is locally invaded to the jejunum is noted(arrow)

에서는 자궁 경부암 마음의 빈도라고 한다6 ,7) 위암의 유일한 근치 방법은 원발 병소와 그 주위 엄 파절을 완전허 제거하는 것이며, 위암 환자에서 위절 제술 시행후 성공도 및 예후 판단에는 암이 위액으로 파급된 정도 및 임파선 전이의 유무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8)

위암의 5 년 생존율은 보고에 따라차이가 많지만 대 개 10-25%1)로 보고되 며 Adashek 등은 임파절 전이 가 없을때는 44%, 엽파절 전이가 있을때는 18% 로 보

Fig. 7. Distant metastasis case with multiple lesion in the liver and lung which contains calcifica- tion(arrows)

Fig. 6. Case of the peritoneal seeding; Anterior indentation with possible invasion 01 the rectum is suggested on barium enema. On CT scan, mass of the Douglas pouch which is extended to the rectum and bladder wall is well-outlined(arrows)

- 829-

(6)

- 大韓放射線옳學會갚 : 第 24 卷 第 5 號 1988

고하고 있다9) 국내에서만 아직 신벙성있는 통계적 보고가 없으나 황 동은 23.5% 라고 하였다 10)

저자들은위암의 절제술후 임상석으로재발의 의싱 이 있어서 또는 특별한 증상 없이 추석 검사를위하여 CT 스캔이 의뢰되 었던 64 례중 53 례 즉 83% 에 해 망하 는 환자에서 CT 상 재발의 소견이 있음을 알았다.

높은 벤도의 재딸의 이유는 CT 스캔이 모든 위암 수술 환자에서 시행되는 정규석인 추석 검사는 아니 여, 재말이 말견된 53 례중 20 례가 명기 3 가, 9 례가 앵 기 471의 진전된 암으로 선택적인 증례였다는 강도 있 으냐 최근 본 영원 외파학 교실에서 발표된 수숭받은 위암 환자의 명기를 보연 45.9% 가 명기 371 로 "1슷한 분포를보이며 11) 이는아직도위암의 조기 발견에 어 려움이 있으며, 위암의 예후가 안좋은 중요한 이유가 되는 것 같다.

위 암 수술후 재 발의 양상에 판한 땅사선학적 소켠에 대해서는 국내 및 국외의 보고된 바가 옐로 없으며,

단지 재수술 및 부정에 의한 말기의 재발소견 밖에 없

마 2 , 3.4)

위암 수술후 재딸이 있을때 근치적인 치료 방법은 없지만 재발된 종괴의 크기가 작거냐, 경마한 엄파선 천이는 화학요엽이냐 땅사선치료가 도웅을 줄 수 있고

12)’ 재 말의 양상을 아는 것 은 수술천 또는 수숭후 위 암의 병태생리학적 형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을혜 위상 (gastric bed)에 위 치 하는 부분은 남아 있는 일부 위 장 및 afferent loop 뿐이며, 따라서 위상을 이루는 장기 및 조직플의 재발에 따른소견은 바륨위장판조영술상적절히 인지 하기가 어 컵마5.13)

반연 CT 스캔은 위상의 장기 및 조직뿐만 아니라 바륭 조영술상 수술로 인한 변형으로 판독이 힘둔 위 잔재 및 개구부도 쉽게 인지할 수 있다14 ) 대부분 외 파의 들은 위 공장 운합을 antecolic으로 시 행 하므로 개 구부 암쪽에 위치하는 운합부 공장을 보게되여, 충분 한 조영제흐 채워지연 위잔재 및 운합부 백의 "1 후를 판독하는데는 어려웅이 없마.

위앙의 전이 경로는 소망 또는 대망을 통한 직접 확 산, 엄파판을 통한 전이, 복악성 확산, 또는 혈핵성 전이가 있고 15) 수술후 재발되는 경로도 이와 마찬가 지로 쿠별할 수 있마. Gunderson파 Sosin 이 근치석 위절제술후재수술한환자들에서 보고한재발의 양상 을 보연 국소 및 국한성 재말이 68.6%, 복막성 확산

이 41. 9%, 원격 전이가 22.9% 이며 2) 국소 및 국한 성 재 말중 우l 잔재 부 및 운합부 재 발은 Gunderson 및 Sosin은 26. 7 % 2), Mcneer 등4)은 약 50% 로 보고하 여, 위상의 재발은 55-68%, 임파절 천이는 43-52%

로 보고되며, 대체로 위잔재부 재발은 위상재발의 반 정도인 것으로 보고된다2.3) 저자들의 예도 비슷한 빈 도의 재말을 보이냐 국소재발의 빈도가 약간 낮으며,

이는 상기 발표들은 부정상의 통계로 말기의 양상이고 또 20-30년 전의 보고이 므로 그동안 진단 및 수술 기 술의 발달에 기 인할 것으로 생 각된다.

위절제션을 육안석으로 뚜렷한 암 챔윤 멈위 원위부 로 2인치 여 유를 주고 시 행 함이 안전하다고 하냐16)’ 애로 정막하층의 임파선을 따라침뱀한위벽의 침윤을 안지하지 옷하연 국소 재발은 불가파하마 15)

바륨이 중조영 숭상의 국소 재 딸의 진단은 CT와 비 교시 약 반수에서 가능하였고 이는 Bachman 과 Par mer 가5) 재수숭 및 부검상 딸견된 국소 재발을 바륨 이중조영술상 30-50% 에서 인지할 수 있었던 것과 비 슷한 벤도이다.

위상 및 엄파절의 국한성 재딸은 약 반수 정도에서 관찰되는 중요한 재말 부위이며, 대부분 침범되는 임 파선은 취장주변임파절 및 대동액땅엄파절이다 15.17) 취장주변임파철은 중요한 위장의 유출 입파판이나 취 장자체와분리가힘드으로근치석 위부분절제술시 제 거되지 않으므로 높은 반도의 재발을 냐타내게 된마

3) 재 발 환자에 서 나타났던 황달이 나 CT상 동반되 던 당도확장의 소견은취장주변 및 간운맥 주위 임파선 종창에 의한 이차적인 소견이었다. 위 이중조영술상 국한성 재발의 진단은 위잔재 및 문합부 소장의 변위 에 의존하여 잔단율은 얘우 낮응을 얄 수 있었다.

복막성 확산의 CT소견은 장간막 결절 및 복수의 소 견이 가장 많았마. 소장 바륨조영술상 장간막으l 재발 은 판강이 좁아지며 판강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며 때 호 국소 첨윤이 았으연 정악의 불규칙 내지 파괴가 초 래되는 소견A로 진단이 되는데 18) 소장 바흉조영술 상 뚜렷한 뱅변이 없을때도 CT로는 소장의 장간막쪽 의 결설을 말견할 수 있었다. 장간막으로의 전이는 복 수의 확산방향파 일치 하여 우하복부에 가장 호말하는 것무로 보고되나18) 저자들의 예에서는 좌하북부의 공 장에 가장 않았고, 이는 이 부위도 또 하나의 복수 정 체 호말 부위여, 원발암이 좌측에 위치하는 것파 판련 이 있을 것 같다.

- 830

(7)

- 조온우 외 : 위앙 수숭후 재딸의 천산화단층촬영 진단 -

원격 전이는 22.6% 로 Cunderson 과 Sosin의 2) 22.

9% 의 빈도와 매우 일치하였으여, 원격 전이얀 단독으 로 말생한 경우는 없였마. 간 천이가 가장 많았고, 그 밖에 페 및 골격 둥의 전이를 보였으며, 때로 난소 전

。 l 를 원격 전이로 포함시키기도 하나 이는 복막성 확 산에 의해 이차석으로 침범되는 장기이므로 저자들은 이를 복막성 확산에 포함시켰마.

CT는 판강 내부만을 보는 고식 적 인 바흉조영숭파

,,]교시 장막을 비롯한 판강 외부를 볼수 있고, 횡단연 의 영상이으로 수술후 초래되는 벤행에 큰 영향을 받 지 않A며, 바륭 촬영시 판독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하 며 재말이 가장흔한 주위 임파선 및 위상을 직접 평가 할 수 있는 장점을을 지녔고, 따라서 위암 수술후 재 발 및 합 t영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리냐라에서처럼 위 암 환자의 수숭후 baseline ucrs 가 잘 시 행 되 지 않 는 현실에서는 CT 가 첫번째로 시행휠 매우 중요한 검 사뱀이라고 사료된다.

V.

저 자들은 위 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후 재 발된 위 암 의 진단에 있어 CT 스캔의 유용도 및 재 발의 양상을 판촬하였고, 바륭 위장관조영술을 병행하였던 환자에 서 양 검사엽의 잔단석 가치를 비교하여 마음파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위잔재부 및 운합부 국소 재말이 10 례(1 8.9%) , 위상 및 엄파절 천이의 국한성 재발이 28 례 (52.8% )였 다. 임파절 전이는 취장주변임파절 및 대동액방임파 칠이 가장 흔허 종창되었다.

2. 복악성 확산이 가장 흔한 재딸양상이었고 (64.

3%), 소장 장간막 결절 및 복수가 가장 흔한 소견이 었다.

3. 원격 전이는 12 례에서 관찰되었고 간 전이가 8 례 로 가장 많았마.

4. 바륨 위장판조영술상 국소 재말은 약 반수에서 인지되었고, 국한성 재발의 진단율은 애우 낮았다.

5. 위앙절제술후재발의 진단에는 CT 가고식석인 바륨조영술을 대치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방업으로 사 료왼마.

REFERENCES

1. Buchholtz TW, Welch CE, Malt RA: Clinical cor relation of resectability and survival in gastric car- cinoma. Ann Surg 188:711-717, 1978

2. Gunderson LL, Sosin H: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areas of failure in a reoperation series(se- cond or symptomatic look)

Cliniopathologic correlation and implictions for adjacent Therapy. Int ] Rad

,

at Oncol Biol Phys 8.1-11. 1982

3. Thompson FB, Robins RE: Local recurrence fol- lowing subtotal resection for gastric carC1floma Surg Gynec Obstet 95:341-348, 1952

4. McNeer G, Vandenberg H, Donn FY et al: A critic al evaluation of subtotal gastrectomy for the cure of cancer of stomach. Ann Surg 134:2-7, 1951 5. Bachman AL, Parmer EA: Radiographic diagnosis

of recurrence following resection resection for gas- tric cancer. Radiology 84.'913-924, 1965

6 깅동식, ö] 유복, 최인준 등 : 한국인 종양의 통계석 판찰. 대한의학협회지 19 : 855-860, 1976

7 이칠영, 임 건, 백봉수 둥 : 한국인 중요 암질환의 발 생추세. 대한외과학회잡지 19 : 245-249, 1977 8. Martin RG: The surgical management of carcinoma

of the stomc.ch. In: Strohlin JR, Romsdahl MM, eds, Gastrointestinal cancer. Raven Press, Newyork 163-169. 1981

9. Adashek K, Sanger ], Longmire WP: Cancer of the stomach; Review of consecutive 10 year interval Ann Surg 189:6-11, 1979

10 황규철, 만진식, 윤세옥 동 : 한국의 위암 대한외파 학회 잡지 17: 6-10, 1976

11 이준구, 이용우, 원치규 . 위암의 입상석 고찰. 한양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7

12. Aviles E: late recurrent gastric carcinoma. int Surg 58:56-57, 1973

13. Sobotta J], Uhlenhuth E: Atlas of descriptive hu- man Anatomy. 7th ed vol 11:96, Hangner, Newyork, 1957

14. Mullin D, Shirkhoda A: Computed tomography after gastrectomy in primary gastric carcinoma. ] CA T 930-33, 1985

15. Meyers MA: Computed tomography of the gastroin-

(8)

- 大韓放身↑綠뿔學혈Sf : 24 5 1988

testinal tract. 1st ed: 47, Spnnger- Verlag, Newyork, 17. Matsumoto M, Nakashima N, Nozaki M et al CT

1986 dlagnosis o[ gastric cancer. Gazoshinadan(]P N)

16. Zinninger MM, Collins WT: Extension o[ carC1no- 3:880-890

ma o[ the stomach into the duodenum and esopha- 18. Meyers MA Metastatic seedlng along the small gus. Ann Surg 130:557-560, 1949 bowel mesentery Radiology 123 .. 67-73, 1977

- 832-

수치

Fig.  1.  Local  recurrence  of  the  gastric  remant;  wall  thickening  of  the  gastric  remnant  is  well  de  fined  on  CT  scan  but  postoperati ve  G  1 study  shows  no  gross  abnormal  finding
Fig.  3.  Regional  rec urrence  of  the  gastric  bed;  Mass  in  peripancreatic  area  wit h  lymphad enopathy  is  noted
Fig.  7.  Distant  metastasis  case  with multiple  lesion  in  the  liver  and  lung  which  contains   calcifica-tion(arrows)

참조

관련 문서

현재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1차치료제, 대장암(Colorectal cancer) 3차 치료제, 위암(Gastric cancer) 2차 치료제, 선양낭성암(Adenoid cystic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lateral lymph node of patients with lower rectal cancer: comparison study of MR imaging and CT in 53 patients?.

Results: 44 of 1048 patients with gastric cancer(4.1%) had synchronous and metachronous cancers. The average time interval between gastric cancer and secondary primary cancer

Third, direct tensile strength tests showed that tensile performance appeared to be higher in cases where fiber volume fraction was high and in cases of 1% fiber volume

Differential Expression of Desmoglein1, Desmoglein3, Epithelial Membrane Antigen, Ber-EP4 and CD10 in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overall survival(OS) and the re-recurrence free survival (RFS) rates for patients according to the Milan criteria status at the time of recurrence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