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Methods: Eighty-four patients (46 patients in itopride group, 38 patients in cisapride group) with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Methods: Eighty-four patients (46 patients in itopride group, 38 patients in cisapride group) with"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749 - 756

3)

접수: 1998년 10월 8일, 승인: 1998년 12월 6일

연락처: 김재광, 150-010,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2,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내과 Tel: (02) 3779-1328, Fax: (02) 3779-1331

※ 본 논문은 1997년 보건복지부 허가 연구이며 중외제약 임상연구비로 이루어졌음.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이토프리드와 시사프리드의 유효성과 안전성 비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중외제약*

김재광・문성배・최 황・김상우・정규원・선희식・이혜영*・홍성선*

An E ffe c t i v e n e s s a n d S a fe t y o f It o p r i d e v e rs u s Ci s a p r i d e i n F u n c t i o n a l D y s p e p s i a

J a e Kw a n g Ki m , M.D., S u n g B a e Mo o n , M.D., Hw a n g Ch oi , M.D., S an g Wo o Ki m , M.D., Ky u Wo n Ch u n g , M.D., H e e S ik S u n , M.D.,

Hy e You n g Le e * a nd S e o n g S u n H o n g , P h .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Choongwae Pharma Corporation*, Seoul, Korea

Background/Aims: Itopride, a new gastroprokinetic benzamide derivative, stimulates gastric motility

through both anti-dopaminergic and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itopride with those of cisapride in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Eighty-four patients (46 patients in itopride group, 38 patients in cisapride group) with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were assigned to a prospective randomized parallel comparison of 50 mg of itopride t.i.d. or 5 mg of cisapride t.i.d. for 4 weeks. Symptom assessment was performed in each patient before and 2 and 4 weeks after beginning treament. Laboratory study were performed in each patient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In both itopride and cisapride groups, average symptom number, total symptom score and symptom severity significantly decreased 2 and 4 weeks after treatment. The effectiveness for global evaluation was not different in both group. No serious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after administeration of either itopride or cisapride. However, 3 patients in itopride group showed mild and transient adverse effects, while 9 patients in cisapride group re vealed mostly moderate adverse effects. Conclusions: Itopride is as effective as cisapride for func tional dyspepsia without significant side effects and less active than cisapride in lower gastrointestina tract. (Kor J Gastroenterol 1999;33:749 - 756)

Key Words: Functional dyspepsia, Itopride, Cisapride

(2)

750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6 호 1999

서 론

병원을 내원하는 환자 중에서 위 내시경검사나 상부 위장관조영술에서 궤양이나 암 등의 기질적인 병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조기 포만감, 복부 팽만감, 트림, 상복부 불쾌감, 식 후 통증, 식후 불쾌감, 식후 오심, 식욕 부진, 공복시 통증,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이러 한 경우를 한국 및 구미에서는 비궤양성 소화불량 (non-ulcer dyspepsia),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기질적 병변이 없는 만성 위염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1-3 기능성 소 화불량에는 한 가지 원인보다는 다양한 병태생리가 관여하며 운동이상형 소화불량증(dysmotility-like), 궤양형 소화불량증(ulcer-like), 역류형 소화불량증 (reflux-like), 비특이형 소화불량증(non-specific) 등의 아형으로 분류한다.2,4 운동이상형 소화불량증(dys- motility-like functional dyspepsia) 환자는 전체 기능 성 소화불량 환자의 50-70% 가량을 차지하고 있 다.5-7 그리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들은 위장운동 기능 및 위배출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료로 위장관운동 촉진제가 우선 사용되고 있다.8-11 이토프리드(Ganaton , 중외제약)는 benzamide 유 도체〈N-{p-[2-(dimethylamino)ethoxy]benzyl} veratra- mide hydrochloride〉로 새로운 위장관운동 촉진제이 며, 각종 동물모델에서 소화관운동 항진작용과 제토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이토프리드 는 도파민(dopamine D2)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과 항 acetylcholinesterase (AchE) 작용으로 아세틸콜린 분비를 증가시켜 위장관운동을 항진시키고 위장관 통과시간을 단축시키는 작용을 한다.13-15 시사프라이 드는 5HT4 agonist로 장관신경총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촉진시켜 위배출을 항진시키며, metoclopra- mide, domperidone은 도파민 수용체에 길항하여 도 파민의 작용을 억제함으로 운동기능을 향상시킨 다.16-18 이토프리드는 metoclopramide, dompridone보 다 추체외작용과 프로락틴 분비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기질적 병변이 없는 기능

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널리 사 용되는 시사프리드를 대조약으로 선정하여 이토프 리드의 유효성과 안전성, 유용성을 비교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기질적 병변이 없는 소화불량증 환자를 대상으로 이토프리드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시사프리드와 비 교 평가하기 위한 전향적 무작위 평행 연구(prospec- tive, randomized, parallel study)하였다. 1997년 10월 27일부터 1998년 1월 16일까지 가톨릭대학교부속 성모병원 내과를 내원한 소화불량증 환자 중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임상 연구 참여에 서면으로 동의하고 18세 이 상 65세 미만일 때; 상부위장관 내시경 또는 상부 위장관 조영술상 위에 기질적 병변(종양, 소화성 궤 양, 역류성 식도염 등)이 없을 때; 조기 포만감, 복부 팽만감, 트림, 상복부 불쾌감, 식후 통증/불쾌 감, 식후 오심, 식욕 부진, 공복시 통증, 구토 등의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에서 중등증 이상일 때 등으로 선정하였다.

이때 증상의 정도는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각각 구 분하여 점수를 부여하였다.

① 없음(None)=0 ② 경증(Mild)=1(증상은 있으나 일상적인 활동에 지장이 없을 때) ③ 중등증(Mo- derate)=2(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을 때) ④ 중증 (Severe)=3(일상적인 활동을 전혀 수행할 수 없을 때) 악성 종양 및 소화성 궤양; 염증성 장질환 및 위장 관 수술을 받은 환자; 중증의 간, 신 장애자(Crea tinine≥1.5×N, Bilirubin≥1.5×N, AST/ALT≥3.0×

N); 약물 과민성 체질; 임신부, 수유부 또는 효과적인 피임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가임기의 여성; 이외에 연구자가 부적당하다고 판단될 때 등은 제외하였다.

2. 연구의 과정

대상자의 동의서를 받고 병력 및 전 연구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임상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용 중인 약물은 최소한 검사 7일 전부터는 금하도록 하 였다. 연구 진행자는 환자 기초 정보, 상부위장관내

(3)

김재광 외 7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이토프리드와 시사프리드의 비교 751

시경검사(또는 상부위장관조영술), 임상검사(혈액화 학검사, 혈액검사, 요검사, 프로락틴검사 등) 및 활 력증후, 신체검사를 실시하여 선정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인지를 판단하였다. 임상검사에 적합한 환자 로 최종 판정되면 무작위 배정표에 의해 이토프리드 군 혹은 시사프리드군으로 배정하였다. 이토프리드 군은 이토프리드 50 mg을 1일 3회, 시사프리드군은 시사프리드 5 mg을 1일 3회로 각각 식전에 경구 복 용하고 총 4주간 투여하였다. 투약 시작 2, 4주째에 활력증후 및 신체검사를 실시하고 연구 평가자는 부 작용, 병용 약물 및 순응도에 대하여 증례 기록표에 기록하고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투약 4주째 임상검 사(혈액화학검사, 혈액검사, 요검사, 프로락틴검사 등)를 실시하였다. 약제의 유효성 평가는 기능성 소 화불량증에 수반되는 증상의 갯수, 총 증상점수(중 증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와 증상의 중증도(severity) (=총 증상점수를 증상의 수로 나눔)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평가자는 증상점수의 개선 정도와 피험자 자신의 관점에서 약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lobal evaluation을 실시하였다. 즉 증상 개선 정도 에 따라 유효함(effective)과 유효하지 않음(not effec- tive)으로 구분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임상검사(말초 혈액검사, 혈액화학검사, 요검사, 혈액 내 프로락틴 치)와 부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각 부작용에 대 해서 중증도에 따라 1) 없음(0점); 2) 경증(1점); 3) 중등도(2점); 4) 중증(3점) 등으로 평가하였다.

3. 통계 분석 방법

유효성 평가는 각 증례에 대하여 투약 전, 투약 후 2주 및 4주에 각각 증상점수를 측정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다. 통계는 student' s t-test, χ2-test를 적용하 였다. 증상에 관한 점수를 투약 전, 투약 2주 후 및 투약 4주 후에 측정하였고 repeated measures ANO- VA를 적용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다. 안전성의 평가 자료 중 임상검사치는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검정 하였다. 이때 요검사치 등 비율 척도의 자료가 아닌 경우는 그 자료의 측정 수준에 따라서 적절한 통계 기법을 적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 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의 상부위장관 증상 및 유용성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98명이었으나 연구를 끝까지 마친 자는 84명(85.7%){이토프리드군-46명 (평균 연령 36.0±11.4세, 남자 26명, 여자 20명), 시 사프리드군-38명(평균 연령 35.5±10.3세, 남자 22 명, 여자 16명)}이었고 14명(14.3%)이 탈락하였다.

이 토프리드군의 경우 3명(3.1%)이 탈락하였는데 내 원하지 않은 경우가 2예, 증상이 소실되어 약을 복 용하지 않은 경우가 1예였다. 시사프리드의 경우 11 명(11.2%)이 탈락하였는데 부작용으로 2일 이상 연 속복용하지 않은 경우가 7예이며 내원하지 않은 경 우와 증상이 소실되어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가 각각 2예였다. 탈락군과 연구 종료군 간의 연령, 체 중, 성별에 있어서 양 군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 이는 없었다. 연구 시작 전 상부위장관 증상 중 이토 프리드군에서는 식후 통증과 트림이 24/46 (52%), 23/46 (50%)으로 가장 많았으며 구역, 공복시 통증, 상복부 통증이나 불쾌감 순이었다. 시사프리드군에 서는 식후 통증과 트림이 21/38 (55%), 21/38 (55%) 으로 가장 많았으며 공복시 통증과 상복부 통증 순 이었다(Fig. 1). 양 군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t-test: p=0.106).

이토프리드군과 시사프리드군에서 투약 시작 전 과 투약 2주, 4주 후에 피험자가 호소한 평균 증상수 와 총 증상점수로 유용성을 알아보았다(Table 1). 연 구 시작 전 평균 증상점수는 이토프리드군(2.83개) 이 시사프리드군(2.33개)보다 약간 높았지만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61). 또한 총 증상점수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이토프리드군: 4.37; 시사프리드군:

3.71; p=0.102). 그리고 증상의 중증도(severity)를 확 인하기 위하여 총 증상점수를 증상의 수로 나누어 얻어진 증상의 중증도에 대해서도 통계학적 유의한 차가 없었다(이토프리드군: 1.54; 시사프리드군: 1.60;

p=0.995). 양 군 모두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후(2주 후 및 4주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총 증상점수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시사프리드군의 경우 투약 4

(4)

75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6, 1999

주째의 점수는 투약 2주째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 하지는 않았다. 이토프리드군에서는 투약 4주째의 총 증상 점수가 2주째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통계 적 유의성은 없었고 투약 4주째의 총 증상점수는 양 군에서 비슷하였다(Table 1).

2. 유효성에 관한 g loba l ev a lua t ion

연구 평가자나 피험자가 4주 투약 후 증상의 개선 정도에 따라 치료의 유효함과 유효하지 않음으로 구 분한 결과 이토프리드군과 시사프리드군의 유효율 은 각각 35/46 (76%)와 27/38 (71%)였으며, 두 군을 χ2-test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601)(Table 2).

3. 부작용

연구 기간 중에 98명의 피험자에서 발생한 부작 용은 총 16예(16.3%)였으며, 이토프리드군과 시사프 리드군에 각각 3예 및 13예가 발생하였다(Table 3).

이토프리드군에서 발생한 부작용은 변비, 설사, 속 이 부글거림 등이었는데 모두 경증으로서, 피험자는 시험약을 계속 복용하였고, 연구 종료 후 모두 후유 증 없이 회복되었다. 한편 시사프리드군에서 부작용 을 호소한 예는 모두 13예였으나 증상 중복을 제외 하면 총 9예였다. 부작용은 설사가 6예로 가장 많았 고, 두통 및 속이 부글거리고 부대낌이 각각 2예, 속 쓰림, 어지러움이 각각 1예였다. 부작용의 중증도는 대부분 중등증이었으며 중등증이 나타난 피험자의 Fig. 1. Clinical symptoms of pre-study of itopride and cisaprid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topride and cisapride groups (t-test: p=0.106).

Table 1. Relationship of Symptoms and Severity of Itopride Group vs. Cisapride Group

Itopride group Cisapride group Week 0 Week 2 Week 4 Week 0 Week 2 Week 4 Average symptom number

Total symptom score*

Severity†

2.83 4.37 1.54

1.98 2.50 1.26

1.83 2.17 1.19

2.33 3.71 1.60

1.68 2.18 1.30

1.65 2.13 1.29

* The sum of nine symptom score is total symptom score.

†Total symptom score divided by average symptom number gives severity.

(5)

Kim et al. Itopride versus Cisapride in Functional Dyspepsia 753

경우 스스로 복용을 중단하여 연구에서 탈락하였다.

4. 임상검사치의 변화

시험약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험자에 대 하여 투약 전 및 투약 종료 후 2회에 걸쳐 실시한 임 상검사치 변화의 유의성을 paired t-test로 검정하였 다. 임상 연구를 완료한 84예의 임상검사치의 변화 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이토프리드군의 경우는 al- bumin, creatinine, total protein, hematocrit, RBC 등 의 수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사프리드 군에서는 total protein, monocyte, RBC, prolactin 등의 항목에서 임상검사치의 변화가 통계 학적으로 유의한 변동을 나타났다. 그러나 검사치가 정상범위 내의 변동이거나, 생리적 변동 범위 내에 속하였다.

고 찰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병태생리에 4가지 주요한

원인적 요소로 부적절한 위배출, 증상역치의 변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 정신적인 요소 등을 들 수 있다.3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운동이상형(dy- smotility-like), 궤양형(ulcer-like), 역류형(reflux-like), 비특이형(non-specific) 형으로 분류하며, 각기 다른 발병기전을 가진 기능 이상으로 생각되나 아직 완전 히 밝혀지지 않았다. 운동부진형은 뚜렷하게 국한되 지 않은 상복부 불쾌감이나 통증이 음식에 의하여 악화되며, 식후 위팽만감, 조기 포만감, 트림, 구토, 식욕 부진 등 위내용물 정체 증상을 나타낸다. 궤양 형은 심와부에 국한된 통증이 음식이나 제산제에 의 해 호전되며 야간통, 공복시 통증, 속쓰림 등 전형적 인 소화성 궤양의 증상을 나타낸다. 위식도 역류형 은 비특이적인 흉통, 산 역류 등을 동반한 소화불량 증을 나타낸다. 비특이형은 상기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증상이 있을 때를 말한다.2 미국의 인구표본조 사에 의하면 궤양형 소화불량증이 6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6 호주에서는 궤양형 소화불량 증과 운동이상형 소화불량증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 다.20 일본에서 의료기관 외 타시설 연구에서는 63%

가 운동이상형을 보고하였으며,7 국내 3차 의료기관 외 타시설 연구에서는 운동이상형 소화불량증이 73.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하였다.5 본 연구에 서는 트림과 식후 동통 및 불쾌감을 호소하는 경우 가 많아 운동이상형이 많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 복된 증상이 많아 정확한 아형 분류는 할 수 없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로 진정제, 소화제, 항 콜린제, 제산제, H2 수용체 길항제, 프로톤 펌프 저

Table 3. Side effects of Itopride Group vs. Cisapride Group

Side effect

Number of symptoms (severity)

Itopride group Cisapride group Diarrhea

Abdominal pain Headache Dizziness Constipation Epigastric soreness Abdominal bloating Total

1 (mild)

- 1 (mild)

- 1 (mild)

3

6 (moderate) 1 (moderate) 2 (moderate) 1 (moderate)

- 1 (mild) 2 (moderate)

13 Table 2. Global Evaluation after 4 weeks of Treat-

ment with Itopride Group vs. Cispride Group by Physicians and Patients

Group Effective (%)

Not effective (%) Itopride group

Cisapride group

35 (76) 27 (71)

11 (24) 11 (29)

(6)

754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6 호 1999

해제 등과 같은 약물은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점 이 많으며, 현재 위장관운동 촉진제는 임상에서 널 리 사용되고 있고 효과도 다른 약물보다 좋은 것으 로 알려져 있다.2,21 위장관운동은 자율신경에 의한 길항적 이 중 지배를 받는데, 운동을 항진시키는 자 극계와 운동을 저하시키는 억제계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 콜린효능성 신경말단에서 유리되는 아세틸콜 린은 위장관운동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에 의하여 그 효 력을 상실하게 된다. 즉,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 작용을 하는 약제에 의해 아세틸콜린의 효과가 증가 되고 위장관운동은 증가된다. 한편, 도파민은 콜린 효능성 신경의 절전섬유에 있는 도파민 수용체(주로 D2)에 작용하여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고 위장 관운동을 저하시킨다.22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위 장관운동 촉진제로 시사프리드는 위장관에 존재하 는 장관신경총에서 5-HT4 수용체를 할성화시켜 아 세틸콜린을 분비하여 위장관의 생리적인 운동을 향 상시키고 도파민(dopamine D2) 수용체에는 친화성 을 지니고 있으며 제토작용은 없다.20 Metoclopra- mide나 domperidone은 도파민 D2 수용체에 길항작 용을 하여 위운동을 항진시키며, metoclopramide는 장관신경총에서 아세틸콜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아 트로핀이나 콜린성 길항제에 의해 억제되나 dom- peridone은 콜린성 길항제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 다.11 본 연구 약제인 이토프리드는 기존 약제와 다 른 기전으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작용과 도파 민(dopamine D2)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가지고 있어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자극하여 위장관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위운동 촉진의 역치량은 시사프리드, metoclopramide나 domperidone보다 3- 10배 높으며, metoclopramide나 domperidone보다 약 하지만 중등증의 진토 효과를 나타낸다.12

이토프리드의 유효성, 안정성,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조약으로 시사프리드를 선택하였다. 이유 는 시사프리드는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약제로 가 장 널리 쓰이고 유효성이 인정되었으며, 용법(하루 세 번 투약) 및 투약 방법(경구)이 같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 두 군 모두 치료 전에 비하여 투약 2, 4 주후 증상 및 중증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현

저히 개선되었으며, 2주와 4주 증상점수에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토프리드의 경우 4주의 증상점수가 2주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 있 었지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또한 기능성 소화 불량증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개선함에 있어서 이토 프리드와 시사프리드의 치료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토프리드군에서 부작용은 3예로 설사, 변 비, 속이 부글거림 등 모두 경증이며 연구 종료 후 모두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다. 그러나 시사프리드군 은 13예로 설사가 가장 많고, 그 외 두통 및 속이 부 글거리고 부대낌, 속쓰림, 어지러움 등이었으며, 대 부분 중등증(moderate)이었고, 약리작용상 예상되는 부작용이었다. 증상 중복을 제외하면 9명으로 부작 용 면에서 두 군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시사프 리드군에서 부작용, 특히 설사가 많이 나타난 이유 로는 시사프리드가 하부장관에서도 항진작용을 하 므로 설사가 많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23,24 이 토프리드는 하부위장관에는 시사프리드보다 덜 작 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검사치의 변화에서 투 약 전후 일부 종목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나 검사치의 정상 범위 내 또는 생리적 변화 범주 내에 속하여 임상적인 관점에서 유의할 만한 부작용은 아 니라고 생각된다. 이토프리드의 경우 투약 전 1예에 서 약간의 프로락틴의 증가가 있었으나 투약 4주 후 는 이전보다 낮아지고 정상 범주 내에 있어 검사 측 정 오차라고 사료된다. Metoclopramide, domperi- done는 도파민 수용체 길항작용에 의한 부작용으로 졸림, 정신 착란, 추체외로 증상, 프로락틴 분비 항 진에 기인한 유즙 분비, 여성화 유방 등의 보고가 있 다.11 그러나 이토프리드는 도파민 수용체 길항작용 이 있지만 추체외 증상이나 프로락틴의 증가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용량(하루 150 mg)보다 많은 300 mg을 복용하였을 때 프로락틴이 증가하였 다는 하나의 보고가 있었다.19 본 연구에서는 하루 150 mg을 복용하였으며 추체외로 증상이나 프로락 틴의 증가는 없었다.

이상으로 이토프리드의 4주간 투여는 기능성 소 화불량증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개선함에 있어서 특 이한 부작용이 없이 시사프리드과 동등한 유효성을 나타내고, 시사프리드보다 하부위장관작용이 덜하

(7)

김재광 외 7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이토프리드와 시사프리드의 비교 755

며 향후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라고 생각된다.

요 약

이토프리드는 benzimide 유도체로된 새로운 위장 관운동 촉진제이며, 항콜린 에스터레이스작용과 도 파민(D2)수용체 길항작용을 통하여 아세틸콜린 분비 를 증가시켜 위장관운동을 자극한다고 알려져 있다.

목적: 기질적 병변이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에서 이토프리드와 시사프리드 유효성과 안정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시험약(이토프리드) 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조약(시 사프리드)을 사용하여 전향적, 무작위 평행 연구 (prospective, randomized, parallel study)하였다. 선정 기준에 적합하였던 98명의 환자 중 중도 탈락된 14 명을 제외한 84명{이토프리드군-46명(평균 연령 36.0±11.4세, 남자 26명, 여자 20명), 시사프리드군 -38명(평균 연령 35.5±10.3세, 남자 22명, 여자 16 명)}을 대상으로 이토프리드를 4주간 1일 50 mg, 시사프리드는 4주간 1일 5 mg을 각각 3회 식전 경 구투여하였다. 증상의 정도는 4단계로 각각 구분하 였다(없음=0; 경증=1; 중증도=2; 중증=3). 투약 시작 2, 4주째에 내원하여 활력증후검사 및 신체검사를 실시하고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투약 전과 투약 4주 째 임상검사(혈액화학검사, 혈액검사, 요검사, 프로 락틴검사 등)를 실시하였다. 결과: 투약 전에 호소한 평균 증상수, 총 증상점수, 증상의 정도는 두 군 간 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가 없었다. 총 증상점수는 투 약 전에 비하여 투약 2주 및 4주 후에 유의하게 감 소하였다. 이토프리드군의 경우 투약 4주째 측정된 점수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투약 2주째에 비 하여 감소하였다. 증상의 개선 정도에 따라 유효함 과 유효하지 않음을 구분한 결과 이토프리드군과 시사프리드군의 유효성은 차이가 없었다(p=0.601).

총 98명 중 12예에서 부작용이 나타났으며 이토프 리드군과 시사프리드군에 각각 3예(6.1%), 9예 (18.4%)이었다. 투약 기간 중 발생한 부작용은 이토 프리드군의 경우 대부분 경미하거나 일과성이었으 나, 대조약의 경우 대부분 중증도 이상이었다. 임상

검사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일부의 검사 항목에 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인 경우가 있었 으나, 검사치가 모두 정상 범위 내의 변동이거나 생 리적 변동의 범위 내에 있거나 측정 오차의 범위에 있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의할 만한 부작용은 아니 었다. 결론: 이토프리드는 특이한 부작용이 없이 시 사프리드와 동등하게 유효하고 시사프리드보다 하 부위장관에 덜 작용하며,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증상 호전에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약제라고 생각된다.

색인단어: 기능성 소화불량증, 이토프리드, 시사프 리드

참 고 문 헌

1. Headng RC. Definitions of dyspepsia. Scand J Gastroenterol 1991;26(suppl 182):1-6.

2. Colin-Jones DG, Bloom B, Bodemar G, et al Management of dyspepsia: report of a working party. Lancet 1988;1:576-579.

3. Camilleri M. Nonulcer dyspepsia: a look into the future. Mayo Clin Proc 1996;71:614-622.

4. Drossman DA, Thompson WG, Talley NJ, Funch- Jensen P, Janssens J, Whitehead WE. Identification of subgroups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Gastroenterol Int 1990;3:159-172.

5. 최명규, 최규완, 김나영 등. 한국인의 기능성 소화불량 증 환자에서의 증상관찰, 아형분류 및 이에 대한 시사 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998;4:1-12.

6. Talley NJ, Zinsmeister AR, Schleck CD, Melton LJ 3rd. Dyspepsia and dyspepsia subgroups: a popula tion-based study. Gastroenterology 1992;102:1259- 1268.

7. Inoue M, Sekiguchi T, Harasawa S, Miwa T, Miyo shi A. Dyspepsia and dyspepsia subgroups in Japan symptom profiles and experience with cisapride Scand J Gastroenterol 1993;28(suppl 195):36-39.

8. Chung JM. Cisapride in chronic dyspepsia: results o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Scand J Gastroenterol 1993;28(suppl 195):11-14.

9. Heyse PM, Rambaldo R, Hazelhoff B. Factors affec

(8)

75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6, 1999

ting short- and long- outcome of a short therapeutic trial with cisapride in dyspeptic patients. Scand J Gastroenterol 1993;28(suppl 195):15-24.

10. Jian R, Ducrot F, Ruskone A, et al. Symptomatic radionuclide and therapeutic assessment of chronic idiopathic dyspepsia. A double-blind placebo-control led evaluation of cisapride. Dig Dis Sci 1989;34 657-664.

11. Perkel MS, Hersh T, Moore C, Daividon ED. Meto clopramide therapy in fifty-five patients with de layed gastric emptying. Am J Gastroenterol 1980;74 231-236.

12. Iwanaga Y, Miyashita N, Morikawa K, et al. A novel water-soluble dopamine-2 antagonist with anti cholinesterase activity in gastrointestinal motor acti vity. Gastroenterology 1990;99:401-408.

13. Iwanaga Y, Miyashita N, Mizutani F, et al. Stimula tory effect of N-[4-{2-(dimethylamino)ethoxy}ben- zyl]-3,4-dimethoxybenzamide hydrochloride (HSR- 803) on normal and delayed gastrointestinal propul sion. Jpn J Pharmacol 1991;56:261-269.

14. Iwanaga Y, Miyashita N, Saito T, Morkawa K, Itoh Z. Gastroprokinetic effect of a new benzamide deri vative itopride and its action mechanisms in con scious dogs. J Pharmacol 1996;71:129-137.

15. Iwanaga Y, Kimura T, Miyashita N, et al. charac terization of aectycholinesterase-inhibition by ito pride. J Pharmacol 1994;66:317-322.

16. Craig DA, Clarke DE. Pharmacological characteria tion of a neuronal receptor for 5-hydroxytryptamine

in guinea pig ileum with properties similar to the 5-hydroxytryptamine receptor. J Pharmacol Exp Ther 1990;252:1378-1386.

17. Kusunoki M, Taniyama K, Tanaka C. Dopamine regulation of [3H]acetylcholine release from guinea pig stomach. J Pharmacol Exp Ther 1985;234:713- 719.

18. Takahashi T, Kurosawa S, Wiley JW, Owyang C Mechanism for gastrokinetic action of domperidone in vitro studies in guinea pigs. Gastroenterology 1991;101:703-710.

19. 三好 秋馬, 正宗 硏, 開口 利和 등. 慢性胃炎に伴う消

化器症狀に對する 酸イトプリドの臨床 評 . 藥理

と臨床 1994;4:261-279.

20. Holtman G, Talley NJ. Functional dyspepsia. Cur 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Drugs 1993;45:

918-930.

21. Talley NJ, Collins-jounes D, Koch KL, Koch M Nyrno O, Stang Hellini V. Functional dyspepsia: a classification with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 nagement. Gastroenerol Int 1991;4:145-149.

22. Glavin GB, Szabo S. Dopamine in gastrointestina disease. Dig Dis Sci 1990;35:1153-1161.

23. Camilleri M, Balm RK, Zinsmeister AR. Determi nants of response to a prokinetic agent in neuropa thic chronic intestinal motility disorder. Gastroen terology 1994;28:488-500.

24. Edwards CA, Holden S, Brown C, et al. Effect o cisapride on the gastrointestinal transit of a solid meal in normal human subject. Gut 1987;28:13-16.

수치

Table 1. Relationship of Symptoms and Severity of Itopride Group vs. Cisapride Group

참조

관련 문서

Higher open conversion rate and prolonge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in LATE group were not caused by the delayed operation in this study it seems to be caused by that

telomer ~ oligomer from telomerization (popcorn polymerization) telechelic polymer ~ with functional group.. macro(mono)mer ~ with polymerizable group [wrong

Seven patients underwent H. pyroli eradication therapy. Three patients showed complete response, but four patients failed... Conclusion

The Incomplete diffuse type PVD found primarily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and retinal detachment and complete diifuse type PVD found primarily in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hypothesis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may increase emotional expression and decrease life event stress in patients with

Methods: Eighty ASA physical status I and II pediatric patients (1~7 ye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I (Lactated Ringer`s solution, n=20), Group II

The locations of aneurysms were middle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Results: In this research, in the group with fibromyalgia patients group,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patients group and without systemic autoimm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