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간호과학논집 제

6

1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Vol. 6 No. 1,August, 2001,pp.51 〜 66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 무만족도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 홍

**

... 0 ... O ...

A Comparative study on Nurse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s in ICU and General Unit

H ee-S un Hwang* • M i-S o o n Hong**

*Department o f Nursing, Chon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Department o f Nursing,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Chonnam Research Institute o f Nursing Science

...<0... O... ...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ICU and General War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nurses in ICU and 154 nurses in general unit from 5 general hospitals which had over 300beds in Kwang-Ju and Chon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5 to August 10, 2000 using questionnaires. The tool used in this stydy were "Role conflict scale"developed by Kim Mun Sil and Park Sang Yun(1994) and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developed by Kim Suk Ja(1992).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core of Role conflict of nurses in ICU wa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unit, the score of role ambig니ity and non supportive environmental system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scor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nurses in ICU and general un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 51 -

(2)

3.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in both groups of nurses.

4. In ICU nurse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 the score of role cinflic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unit nues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score of role conflict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periods of work, expected periods of work, and motivation to select nursing, the score of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it was showed that the role conflict of nurses in ICU was higher than in general uni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in both groups of nurse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

6

1

, 20

이년

I . 서

1. 연구의 필요성

과학기술의 발달과 건강개념이 변천함에 따라 병원 및 의 료전달체계는 보다 다원적 구조로 변화하게 되 었 으며 ,이러한 변화에 적 응하는 과정에서 간호직은 그 어떤 직업보다 도 도전과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Baldo- nado, 1983; Jacobson, 1984). 이러한 스트레 스는 피할 수 없는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 서 이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인간의 건강, 생 산성, 및 안녕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Smith, 1993).

병원조직 내에서 간호전문직은 빠르게 발 전하고 있고 다른 의료 전문직과 환자 사이 에 새로운 역할 수행이 필요하며 (Booth, 1982), 조직내 계층의 수와 전문분야가 많을 수록 갈등을 더 많이 겪게 된 다 (Marriener, 1979).

간호사는 남에게 도움을 주는 전문 직업인 으로서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하는데 있어 간 호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감이 있을 때 더욱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할 수 있 다 (이 명희 , 1997). 하지만 숙련된 간호사가 관 료적인 체계를 갖준 병원에서 근무할 경우 교육에서 강조하는 전문화와 병원의 관료체 제에 따른 간호행정의 제도적 뒷받침이 이에

따르지 못할 때 간호사는 더욱 심한 갈등을 초래하게 된다(김연태, 1989). 특히 정확하고 신속한 간호활동이 수행되고 환자중심의 전 인간호가 적극적으로 전개되어야 하는(황선 경, 1998) 특수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중환 자실 간호사들은 타부서 간호사보다 더 많은 책임감과 독립심이 요구되고 있고, 환자 상태 의 불안정성 및 위기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 사결정과 같은 스트레스원에 계속 노출됨으 로써 좌절감과 소진을 경험하게 되 며(Lewis

& Robinson, 1992), 마침내는 직무에 대한 불만족과 업무수행능력의 저하로 질적인 환 자간호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윤 진 이 , 1994).

이와 같이 중환자실 간호사는 타부서보다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 로 예상되나 아직까지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 상으로 한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 따라서 중환자실 간 호사가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하 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직면하는 역할갈등을 극복하고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 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 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를 비교 함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효

- 52

(3)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율적인 간호수행을 돕고 역할갈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 도 되 었 다 .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업무수행과 관련된 역할갈등 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인 목적은 다음과 같 다 '

1)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 차이를 파악한다.

2)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차이를 파 악 한다 .

3)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 할 갈 등정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 악 한다 .

4)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정도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파 악 한 다 .

3. 용어의 정의 1) 역할 갈등

역할 갈등은 어떤 개인에게 주어진 양립할 수 없는 상 황 이 며 (김문실, 박상연 , 1994), 역 할을 실제로 수행하는 사람이 자신의 기대에 일치되지 않는 행위로 인하여 경험하는 긴장 및 어려운 상황을 말하는 것이다(오가실, 1982).

본 연구에서는 김과박(1994) 이 개발한 역할 갈등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 하며,점수가 높을수록 역할 갈등정도가 높은 것을 의 미 한 다 .

2)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는 자신의 직무 및 경험에 대한 평가로, 만족하는 심리상태를 지칭하는 개념 이 며 (Locke, 1976),자기직무에 대한 호의 적 태도로 직무특성이 다양하고 업무가 명확할 때 발생하는 긍정적인 심 리 상태 이 다(Slavitt, et al. 1978). 본 연구에서는 Slavitt등 (1978) 이

개발한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를 김숙자 (1992) 가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 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정도가 높은 것을 의 미 한다.

n .

문 헌 고 찰

1. 간호사의 역할갈등

역할은 특정한 사 람 이 나 집단이 특정한 사 람들에게 특정한 상황아래서 기대 또는 요구 하는 태도나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역할은 밀접한 상호관계를 지닌 조 직 구성 원 이 나 집 단간에 발생하며(장인옥, 1986), 역할갈등은 직무의 범위와 수준이 모호하거나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역할을 실제로 수 행하는 간호사 가 대상자의 일치되지 않은 기대로 인하여 경험하는 긴장 및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김 문 실,박상연, 1994). 이는 흔히 스트레스 유 발요인으로 작용하여 적당히 조절하지 않으 면 안되지만 때로는 발전적인 변화나 성장을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기회나 요인이 되기 때문에 조직사회에서는 필요한 것이기도 하 다 (오가실,1982)

간호사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갈등요인으로 가 치 갈 등(Saulo, 1987), 전통적인 의사의 지배 와 간호사의 의존적인 행동양상에서 발생하 는 문제 (Kalish, 1977), 간호사들이 환자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 가에 대한 환자간호와 신념간의 갈등(Lewis & Robinson,1992)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임상간호사 자신의 역 할이 전문직 가치기준과 맞지 않거나 불필요 하다고 생각될 때, 의사나 수간호사의 지시가 서로 다를 때 그리고 역할수행에 필요한 물 자나 행정적 지원이 부족할 때 역할 갈등을 경험하게 된 다 (이명하, 안청자 및 김 기미, 1989). 또한 간호사들은 이와같이 인력이 부 족한 상황에서 일정시간 내에 많은 일을 담 당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임종환자 간호시 책

(4)

전 남 대 학 교 간 호 과 학 논 집 제6 권 1호, 20이 년

임이 따르는 의사결정과 고도의 기술을 요구 하는 어려운 일들에 자주 직면하기 때문에 역할 갈등을 경험하게 되며(김매자, 구미옥, 1985), 이러한 역할 갈등은 간호사에게 등기부 여, 직무만족도 및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마침내는 간호현장을 떠나게 하 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Taunton & ᄋtteman, 1986; Glennon, 1985).

한편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요구 되는 역할 은 첨단 의 료장비들을 적절히 활용하고 타부 서 직원이나 건강관리 요원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원활한 의사소통으로 협조체계를 구 축하여 적정 간호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 는 실무능력이 더욱 강조되며 (Benner,1992), 또한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각종 검사 및 감시 결과를 토대로 환자 상태에 대한 신속 한 간호진단을 내려 적절히 중재역할을 수행 해야 함으로써 환자 치료자로서의 비중이 점 차 커지고 있다(김건자, 1991).

Gentry, Foster 및 Froehling(1972)은 중환 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더 많은 스트레 스를 경험한다고 하였으며 Jacobson(1984)은 미국 전역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간 호사와 비중환자실 간호사의 갈등을 각각 조 사한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가 비중환자실 간 호사보다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한다고 하 였다.

그러나 직무만족감이나 권위는 중환자실 간 호사가 비중환자실 간호사보다 높다고 보고 하여 중환자실과 비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이 경험하게 되는 갈증요인의 차이가 있음을 나 타 내 었 다 .

국내에서 간호사의 역할 갈등에 관한 선행 연구결과를 살 펴 보 면 , 박 진 영 (1982)은 7점 척 도로 측 정 한 간호사의 역할 갈등 평균점수 가 유형 별 로 는 개인 역할갈등이 가장 높게 나 타 났 고 , 다음이 역 할 과 중으 로 인한 갈등, 조직구조상의 갈 등 , 역할 전달자간의 갈등 순으로 나타났 다 고 보고하면서 간호사가 업 무수행에 있어서 자신의 교육과 능력에 비

추어 평이하고 지루한 업무 때문에 야기되 는 갈등과 업무량으로 인한 갈등이 역할 갈 등을 더 많이 느끼게 한다고 지 적 하 였 다 . 송 복 희 (1990)는 수술실 간 호 사와 병실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역할갈등에는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 으나 역할모호성에서 수술실 간호사가 병실 간호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고 보 고하 였 으 며, 한편 정 향 미 (1987)는 간호원의 역할갈등 과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에서 학력이 높은 군이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으나 학력이 낮은군이 촉진자 역할수행은 잘 하는 것으 로 보여 주 었 다 .

이상미 (1992)는 간호사의 역할개념 양상과 간호직에 대한 헌신몰입에 관한 연구에서 간 호사는 병원이라는 관료주의적 조직안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직업인으로서 학생시절 배 웠던 교육과 간호현장에서 발생하는 괴리로 많은 역할갈등을 겪고 있다고 하 였다. 이와 같이 간호사들은 임상현장에서 다양한 요인 으로 많은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직무만족도

간호직은 업무의 성격으로 보아 간호사 개 인의 직무에 대한 만족이 타 직종에 비해 매 우 중 요하 다 . 그이유는 양질의 간호는 간호사 개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효율적 • 긍정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 직무만족도에 의해 좌 우되기 때문이다( 김숙녕, 1998).

직무만족도는 실제 관찰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조직 구성원 개인의 행위나 언어적 표현을 통해 유추할 수 있으며,한 개인의 직 무에서 원하는 것과 얻는 것간의 비교를 나 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에 다분히 주관적인 개 념 이다(Lichtenstein, 1984). 즉 직무만족도란 인생 전반에 걸친 만족감의 일부분으로 개인 이 직무생활에 적응하는 능력, 직장업무에 대 한 흥미, 준비에 따른 직무 특성과 관련된다

54 -

(5)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최연희, 1999).

신 유 근 (1997)은 직무만족은 높은 근로의욕 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기계발 노력을 촉구하고 조직목표 달성을 위한 공동작업에 자발적인 참여의욕과 창의성을 불러 일으켜 개인 성과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 하였으며, 한덕웅(1993)은 직무만족도는 작 업자의 생산성과 관련해서 나타난 것으로 직 무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얻게 되는 욕구 만 족의 수준에 따라 직무동기가 직무수행 효율 성과 인과 관계를 갖는다고 하 였다 . 임문혁 (1983)또한 직업에서 얻은 만족은 병원의 개 방적 의사 전 달 촉진 과 직원간의 대화를 통한 갈증해소와 상대방의 수용하는 분위기 조 성 , 직원들에 대한 적절한 동기부여 및 협력체제 확립등으로 인하여 병원의 효율성과 효과성 을 증진시키고 병원 목표의 조기달성을 가능 토록 한다고 주 장 하 였 다 .

이와같이 향상된 직무만족은 우수인력을 유 치 시 키 고 ,업무수행 을 증 진 시 키 며 , 이직을 줄여 결국 사기 앙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김하숙, 1979). 그러나 건강분야에서의 직업 구 조 ,기능, 기대는 타전문인과의 관계 , 새로 운 업무절차를 요구하는 의학기술의 확장으 로 인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러 한 변화로 인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 변화 시 킬 수 있음 (김 은 숙 ,1994)을 고려해야 할 것 이다.

직무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 펴 보 면 , Yoder(1995)는 연령,근무기간, 근무경력이 간 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이라 고 하 였고 , 김종숙(1989)은 학력, 결혼여부 , 봉급, 업무량, 행정자의 태도, 의료팀과의 협 조, 물품과 시 설 부족 ,환자의 협조와 태도, 승 진기회,간호업무의 불 확 실성 ,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등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또한 김숙녕 (1998)은 개인의 욕구나 동기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직무를 둘러싸 고 있는 환경적 요인을 제시하였으며, Longest

(1974)는 성취,대인관계, 일 순으로 직업만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들 었 고 ,Slavitt (1978)는 자율성, 보수, 업무요구도, 조직요구 도,인간관계 및 직위 등을 제시 하였고, 직 무특성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업 무가 명확하며 자율성이 있을 때 직무만족이 생길 수 있고 또한 성취 감 , 인 정감, 성장의 원천이 된다고 하였다.

남윤호 (1987) 는 신규간호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결과에서 자신이 원하 는 부시에 근무하면서 자아개념이 높은 신규 간호사의 경우가 그렇지 못한 신규간호사보 다 직무 만족도가 높다고 보고 하 였 으 며,이 상미는 전문직으로서의 갈 등(이상미, 1995)이, 그리고 윤은자와 이 정희(1982)는 간호사가 그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만한 능력, 성 격,특성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디-.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김진숙(1986)은 현식 장 근-무년수별,교육수준별, 직위별로 역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 고 하 였 으 며 , 특히 기 혼간호사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우에서는 복 문자(1993)는 역할갈등영역 중 어미니 역할 갈등정도가 가장 높았 고 , 이러한 역할갈등정 도와 직무만족간에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 다고 하 였다. 이 한순(1995) 역시 기혼간호사 의 역할갈등영역 중 어머니 역할갈등과 주부 로서의 역할갈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기혼 간호사는 간호전문직 직무수행보다 자녀 양 육과 관련된 역할이 갈등요소로 작용하고 있 음을 시사 하 였 다.

이와같이 간호사는 전문직으로서의 갈등이 직무만족도에도 크게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 어 특수한 근무환경에서 일하는 중환자실 간 호 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보고자 한 다.

- 55 -

(6)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

6

1

, 20

이년

m.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 호사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나타나는역할갈 등의 정도와 직무만족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 한 서술적 비 교 연 구 이 다 .

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편의 표출법에 의해 광주광역시 와 전라남도에 있는 300병상 이상의 5개 종 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수간호사이상의 간호사 를 제외한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조 사 하 였 다 .

3. 연구 도구 1) 역할갈등 측정도구

김문실과 박 상 연 (1994) 이 간호사들이 경험 하는 역할갈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역할갈등 측 정도 구 를 이 용 하 였으 며 , 개발당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 = 0.94 이었 다. 문항은 역할모호 요인 14문항 ,능력부족 요인 11문 항,환경장애 요인 6문 항, 협조부족 요인 3문항으로 총 34문 항 이 었 다 .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dVs a = 0.87이었으며, 역할갈등 정도는 Likert 척도로 (“ 매우 그 렇 다 ” 5점, “ 대체로 그 렇 다 ” 4점,

“ 보통 그렇지 않 다” 3점,“ 대체로 그렇지 않 다” 2점, “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측정한 점 수로 점수가 높을수록 역 할갈등점수가 높음 을 의 미 한 다 .

2) 직무만족 측정도구

Slavitt(1978) 등이 개발하고 김숙자(1992) 가 번역하여 사 용한 직무만족 측 정 도 구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를 이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 = 0.72 이었 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a

= 0.69 이었으며, 직무만족도 는 Likert 척도 로 (“ 매우 그 렇다” 5점,“ 대체로 그 렇 다 ” 4점,

“ 보통 그렇지 않다” 3점, “ 대체로 그렇지 않 다 ” 2점, “ 매우 그렇지 않다” 1점) 측 정한 점 수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의 미 한다.

4.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0년 7월 15일 부 터 8월 10일 까지 26일 동안이었으며 자료수 집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소재 '300병상 이 상의 5개 종합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간호부의 협조를 얻은 후 수 집 하 였 다 .

간호부를 통해 중환자실에 80부를 배포하 여 65부를 회수하였으며 56부가 분석가능하 였다. 그리고 일반병동에 170부를 배포하여 160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154부를 연구분 석에 이용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 수와 백분율로, 두 군간의 동질성은 z 2-test, 일반적 특성별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의 차 이 검증은 tᅳtest와 ANOVA, 역할갈등과 직 무만족도와의 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 방법 을 이용하였다.

6.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시와 전라남도에 위 치한 300병상 이상 규모의 5개 종합병원만을 편의 표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 56 -

(7)

중 환 자 실 간 호 사 와 일 반 병 동 간 호 사 의 역 할 갈 등 과 직 무 만 족 도 비 교

IV. 연 구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인 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연령, 종교, 결혼상태, 학력, 근 무 연 한 , 간호직에 종사할 예 정 기 간 , 간호직을 택한 동기 등을 조 사 하 였으 며 , 그 결 과 는 〈표 1>과 같다.

연령별로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에서 모두 25세이하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26-30세가 각각 23.0% 정도, 31-35세가 각각 16.0%, 11.0% 순으로 나타났다. 종교별로는 종교 있 는 군이 두 집단 모두 66.0% 정도 였고, 결혼 상태는 미혼자가 각각 73.0% 정도 였 으며, 학 력은 전문대 졸업이 중환자실 간호사는 55.4%, 일반병동 간호사는 74.0% 였다.

근무연한별로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 동 간호사 모두 3년 미만이 각각 50.0%,49.0%

로 절반을 차지하였고, 7년 이상이 28.6%,

1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20

특성

중환자실 일반병동 전체 2

^

실수 (%) 실수 (%) 실수 (%) P

25세이 하 29(52.7) 90(58.4) 119(56.9)

연령 26-30세

31-35세

13(23.6) 9(16.4)

36(23.4) 17(11.0)

49(23.4)

26(12.4) 1.15 0.763 36세이 상 4( 7.3) 11( 7.1) 15( 7.2)

종교

37(66.1) 19(33.9)

103(66.9) 51(33.1)

140(66.7)

70(33.3) 0.01 0.912

결혼상태 미혼

기혼

41(73.2) 15(26.8)

112(72.7) 42(27.3)

153(72.9)

57(27.1) 0.00 0.944

학•력 전문대

대졸이상

31(55.4) 25(44.6)

114(74.0) 40(26.0)

145(69.0)

65(31.0) 6.69 0.010 3년 미만 28(50.0) 75(48.7) 103(49.0)

근무연한 3년-5년

5년-7년

8(14.3) 4( 7.1)

26(16.9) 15( 9.7)

34(16.2)

19( 9.0) 0.73 0.865 7년이 상 16(28.6) 38(24.7) 54(25.7)

간호직에 가능한한 오래 19(33.9) 30(19.5) 49(23.3)

종사할 필요한 기간만 32(57.1) 107(69.5) 139(66.2) 4.79 0.091 예정기간 기타 5(23.8) 17( 11.0) 22( 10.5)

간호직을 택한 동기

나의 적성에 맞아서 가족,친지들의 권유 남을 도울수 있는 직업

취직 때문에 기타

11(19.6) 14(25.0) 7(12.5) 14(25.0) 10(17.9)

22(14.3) 56(36.4) 27(17.5) 29(18.8) 20(13.0)

33(15.7) 70(33.3) 34(16.2) 43(20.5) 30(14.3)

4.42 0.351

(8)

전 남 대 학 교 간 호 과 학 논 집 제6 권 1호. 2001년

24.7%, 3-5년이 14.3%, 16.9% 순으로 나타났 다. 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별로는 중환자 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모두 과반수 이상이 필요한 기간만 종사하고 싶다고 하였 고, 가능한 한 오래 하겠다고 응답한자는 각 각 33.9%, 19.5% 를 차 지 하 였 다 . 간호직을 택 한 동기로는 중환자실 간호사는 가족.친지들 의 권유와 취 직 때 문 에 가 각각 25.0% 로 가장 많았고,일반병동 간호사는 가족•친지들의 권 유가 36.4% 로 가장 많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우(44.6%) 일반병동 간 호 사 보 다 (26.0%) 대졸이상에서 높은 분포 를 보 여 서 , 학력을 제외하고는 양군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의 역할갈등 정 도 비교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할갈등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 표 2>와 같다.

전체적으로 역할갈등에 대한 총 평균점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 할 갈 등 정 도 가 (3.67) 일

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3.55)보다 높 았다. 또한 역할갈등 영역별로는 두군 모두 환경장애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역할모호 요 인, 능력부족 요인, 협조부족 요인 순 이 었다 . 특히 환 경 장애 요 인(t=2.20, p=0.02)과 역할모 호 요 인 (t=1.99, p=0.04)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의 직무만족도 비교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 무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t 검증한 결과는

< 표 3>과 같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평균평점이 각각 2.90, 2.89점으로 거의 유사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대상자의 역할갈등 정도와 직무만족 도간의 상관관계

< 표 4>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대상자의 역할갈등 정도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살

표 2.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 비교

중환자실 (N=56) 일반병동 (N=154)

t P

평균 士 표준편차 평균 土 표준편차

역할모호 3.72 ±0.39 3.60 ±0.37 1.99 0.047

능력부족 3.60 ±0.41 3.48 ±0.46 1.65 0.099

환경 장애 3.88 ±0.46 3.70 ±0.51 2.20 0.028

협조부족 3.36 ±0.55 3.25 ±0.54 1.29 0.196

Total 3.67 ±0.33 3.55 ±0.32 2.52 0.012

표 3. 중환자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중환자실 (N=56) 일반병동 (N=154)

P

평균 土 표준편차 평균 土 표준편차

i

2.90 ± 0.19 2.89 ± 0.21 0.27 0.782

- 58 -

(9)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표 4. 대상자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무 만 족 도

구분

중환자실 (N 二 56) 일반병동 (N=154)

r P r P

역할모호 -0.02 0.843 -0.10 0.205

능력부족 -0.16 0.216 0.00 0.962

환경 장애 0.09 0.490 0.07 0.339

협조부족 -0.19 0.155 -0.13 0.096

Total -0.08 0.534 -0.03 0.638

표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별 역할갈등정도와 직무만족도

특성 구분 n 역할갈등 직무만족도

i 그-

평균 표준편차 t P 평균 표준편차 t P

25세이 하 29(52.7) 3.64 0.32 2.89 0.20 연령 26-30세

31-35세

13(23.6) 9(16.4)

3.82 3.65

0.31

0.38 1.23 0.308 2.97 2.90

0.19

0.17 1.80 0.158 36세이 상 4( 7.3) 3.52 0.34 2.71 0.23

종교

37(66.1)

19(33.9) 3.65 3.72

0.35

0.28 -0.69 0.491 2.88 2.93

0.18

0.22 -0.94 0.348

결혼상태 미혼 기혼

41(73.2) 15(26.8)

3.69 3.64

0.31

0.38 0.43 0.662 2.91 2.87

0.20

0.19 0.66 0.507

학•肖 전문대 대졸이상

31(55.4) 25(44.6)

3.57 3.80

0.27

0.35 -2.70 0.009 2.89 2.90

0.22

0.17 -0.22 0.824 3년 미만 28(50.0) 3.63 0.31 2.88 0.20

근무연한3년-5년 5년-7년

8(14.3) 4( 7.1)

3.79 3.68

0.21

0.35 0.46 0.711 2.90 3.07

0.25

0.16 1.09 0.360 7년이 상 16(28.6) 3.69 0.40 2.89 0.17

간호직에 가능한한 오래 19(33.9) 3.62 0.31 2.94 0.19

종사할 필요한 기간만 32(57.1) 3.70 0.31 0.38 0.686 2.87 0.20 0.55 0.577

예정기간 기타 5(23.8) 3.70 0.52 2.90 0.19

적성에 맞아서 11(19.6) 3.66 0.30 2.96 0.22 간호직을

택한동기

가족친지의 권유 14(25.0) 3.64 0.37 2.84 0.25

남을 돕는직업 7(12.5) 3.60 0.37 0.36 0.838 2.93 0.11 0.82 0.518 취직 때문에 14(25.0) 3.68 0.30 2.93 0.15

기타 10(17.9) 3.78 0.35 2.84 0.17

- 59 -

(10)

전 남 대 학 교 간 호 과 학 논 집 제6 권 1호, 20이 년

펴본 결과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간에는 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역할갈등정 도와 직무만족도의 차이검증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정도와 직무만족 도를 살펴보면

,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우 < 표 5>와 같이 역할갈등정도는 학력(t=-2.70, p=

0.009)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전문대졸보 대졸이상이 역할갈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직무만족도는 모든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

일반병동 간호사의 경우 <표 6

>

에서 제시

하는 것과 같이 역할갈등은 미혼 간호사가 기혼자보다 역할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t=3.73, p=0.000). 한편 직무만족도는 연령 (t=3.23, p=0.024), 근무연한(t=2.78, p=0.043), 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t=5.63, p=0.004), 간호직을 택한 동기(t=3.49, p=0.009) 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연령이 20세 후반

6

. 일반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별 역할갈등정도와 직무만족도

특성 구분 빈도 역할갈등 직무만족도

평균 표준편차 t P 평균 표준편차 t P

25세이 90(58.4) 3.59 0.28 2.87 0.21 연령 26-30세

31-35세

36(23.4) 17(11.0)

3.48 3.49

0.33

0.47 1.26 0.291 2.96 2.93

0.23

0.16 3.23 0.024 36세이 11( 7.1) 3.51 0.27 2.76 0.23

종교

103(66.9) 51(33.1)

3.54 3.56

0.33

0.29 -0.42 0.673 2.87 2.93

0.20

0.23 -1.46 0.146

결혼상태 미혼 기혼

112(72.7) 42(27.3)

3.60 3.39

0.26

0.40 3.73 0.000 2.88 2.91

0.22

0.20 -0.81 0.416

학력 전문대

대졸이상

114(74.0) 40(26.0)

3.54 3.57

0.29

0.39 -0.52 0.604 2.89 2.87

0.22

0.21 0.57 0.568 3년 미만 75(48.7) 3.58 0.26 2.89 0.20

근무연한 3년

-

5년 5년

-

7년

26(16.9) 15( 9.7)

3.54 3.56

0.32

0.27 0.96 0.415 2.82 3.02

0.21

0.28 2.78 0.043 7년이 38(24.7) 3.47 0.43 2.89 0.18

간호직에 가능한한 오래 30(19.5) 3.47 0.40 2.78 0.19

종사할 필요한 기간만 107(69.5) 3.56 0.30 1.22 0.297 2.91 0.21 5.63 0.004 예정기간 기타 17( 11.0) 3.59 0.29 2.95 0.22

적성에 맞아서 22(14.3) 3.54 0.27 2.83 0.22 간호직을

택한동기

가족친지의권유 56(36.4) 3.57 0.36 2.86 0.22

남을 돕는 직업 27(17.5) 3.49 0.35 0.27 0.893 2.85 0.20 3.49 0.009 취직 때문에 29(18.8) 3.56 0.29 2.91 0.16

기타 20(13.0) 3.56 0.25 3.04 0.20

- 60 -

(11)

중 환 자 실 간 호 사 와 일 반 병 동 간 호 사 의 역 할 갈 등 과 직 무 만 족 도 비교

(2.96)과 30세 전반(2.93)에서, 근무연한으로는 5년-7년군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 고, 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과 간호직을 택 한 동기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기타군이 높은 경향이었다.

V .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 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에 차이 가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간호사의 역할갈 등을 최소화하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 하고자 본 연구를 시 도하 였 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 할갈등을 비교한 결 과, 중환자실 간호사가 (3.67) 일반병동 간호사(3.55)보다 역할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 타 났 다 .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 를 대상으로 한 허 혜 경 (1982)의 연구에서 보 고된 3.49점과 송 말 순 (1984) 이 보고한 3.40점, 유 수 옥 (1989) 이 보고한 2.87점, 정향미 (1987) 가 보고한 2.39점보다 역할갈등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반병동 간호사에 비해 중환 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가 더 높게 나타 나 이는 미국 전역의 여러 간호사를 대상으 로 중환자실 간호사가 비중환자실 간호사보 다 갈등을 더 많이 경 험 한다는 Jacobson(1984) 의 결과와 유 사 하 였 다 .

역할갈등 영역별로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모두 환경장애요인으로 인 한 역할갈등이 가장 높 았 고 , 그 다음이 역할 모 호 요 인 , 능 력 부 족 요 인 , 그리고 협조부족요 인순으로 역할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 났 으며 , 그 중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 타난 영역은 환 경 장 애 요 인과 역할모호요인으 로 인한 역 할 갈 등 이 었 다 . 이와같이 환경장애 로 인한 갈등은 IM F 이후 간호인력 감축이나

부적절한 인력대체, 불충분한 기구나 시설 , 업무수행에 필요한 물자나 자원부족 등과 관 련된 것으로 사료되며, 역할모호요인은 어떠 한 신속한 처치가 불가피한 중환자실 상황에 서, 자신의 역할이 애매하거나 업무의 책임한 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 그리고 역할수행에 요구되는 전문지식과 기술이 부족할 때, 의사 나 상급자의 지시를 기다리는 동안 환자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등 환자치료에 대한 업무 및 역할의 불확실성과 관련지어 볼 수 있겠 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을 관 리하기 위해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환경개선 또한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박 성 애 (1996)는 간호직에 널리 알려진 스

레스

요 인 으 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을 지 적 하 였으 며 , 박진영(1982)의 종합병원 간호 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와 하 혜 정 (1984) 의 간호사의 업무수행시 발생하는 갈등에 관 한 연구, 그리고 대전시 일부 종합병원 간호 사를 대상으로 한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김

진숙, 1986)에서도 역할모호요인이 가장 높다 고 보고한 것과 유 사 하 였 다. 한편 기혼간호사 를 대상으로 역할갈등을 연구한 보 고 (복 문 자 , 1993; 이한순, 1995)에서는 본 연구에서와 같 은 동일한 갈등요인은 아니었으나 역할갈등 영역 중에서 어머니 역할갈등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기혼간호사는 간호전문직 직무 수 행보다 자녀양육과 관련된 역할이 갈등요 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 적하 였 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 무 만족 도 를 살펴본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가 각각 평균 2.90점, 2.89점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김숙자 (1992) 의 결과, 인공신장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강경자, 송명숙 및 이 명화(1997) 의 결과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최 부 호 (1994)의 결과보다 낮 았 으 며, 기혼 간호

- 61 -

(12)

전 남 대 학 교 간 호 과 학 논 집 제6 권 1호, 20이 년

사를 대상으로 한 복 문 자 (1993) 의 결과보다 는 높 았 다 . 그러나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 동 간호사간의 직 무만족도에는 큰 차이가 없 어 중환자실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직무만족감이나 권위 가 높다는 Jacobson(1984) 의 결과와 근무 부서별에 따라 투 석 실 , 산소 아과, 신생아 및 분만실,수술실 및 회복실, 중환자실 등 특수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간호 사가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난 이상미(1998) 의 결파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대상에 한하여 부서에 상관없이 일반 적으로 간호사들의 업무량의 과다로 인한 시 간부족과 동시에 독자적 간호행위를 수행함 으로서 오는 업무만족도가 낮기 때문이 아닌 가 사 료 된 다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나 일반병 동 간호사에서 모두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와는 각각 무관한 것으로 나타 났 는 데 , 이는 역할갈등이 직무만족도에 강한 부정적 영향 력을 가진다는 이상미 (1998)의 보고와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복 문 자 (1993)의 연구 에서 역할갈등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가 낮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크게 차이가 있 었다. 따라서 표본수를 늘여서 반복연구를 통 해 그밖의 다른 요인이 있는지 비교해 볼 필 요가 있겠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일 반적 특성에 따라 역할 갈 등 정도 와 직무만족 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우 대졸이상이 전문대졸 간호사 보다 역할갈등정도가 높게 나 타 났 는 데 , 이러 한 결과는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자기의 전문직이나 직무에 더욱 몰입하는데 조직이 그들의 기대수준을 충족시켜 주지 못 한다는 주 장 (Angle & Perry, 1981)과 교육을 통하여 사고의 발전은 이루어졌으나 중환자 간호에서 간호사의 권한정 도 가 미흡한 점 및 중환자실의 업무과다와 연관지어 볼 수 있겠 다. 한편 일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이유순 (1981), 하혜정 (1984),이 미정(1994), 정 향 미 (1987)의 연구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4 년제 간호대학 졸업자가 간호전문대학 졸업 자보다 역할갈등이 높다고 제시한 반면, 간호 사의 병원조직내에서의 의사소통과 갈등, 직 무만족에 관하여 연구한 이은주(1996)는 4년 제 간호대학 졸업자가 간호전문대학 졸업자 보다 갈등이 낮다고 보고하여 학력에 따른 역할갈등은 특정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병동 간호사의 경우 역할갈등정도는 미혼 간호사가 기혼자보다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 는 데, 이는 이은주(1996), 윤 혜 성 (2000) 의 보고에서 미혼 간호사가 기혼 간호사보다 갈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 일치한다.

이는 미혼자가 일반적으로 기혼자보다 나이 가 적고 정서적 갈등과 경험이 적어 심리적 으로 불안정하므로 기혼자보다 소진경험이 높 다는 Maslach (1977)의 결과가 뒷받침해주고 있다. 반면에 종합병원 의료보험심사 간호사 를 대상으로 한 이미정(1994)의 연구에서 결 혼여부는 역할갈등정도와 무관하다는 결과와 는 차이가 있었다.

일반병동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 무만족도는 연령, 근 무연한, 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 그리고 간호직을 택한 동기 등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에 따라 26-30세군이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근무연한이 5년-7년에 해당하는 간호사 들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와 연관 지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시기는 신 규 간호사때의 무리한 근무 스 케 줄 과, 업무의 과중함과 책임감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수 있는데(김인숙, 2000) 반해 경력이 증가함 에 따라 기계조작의 어려움과 의사소통의 문 제 등으로 부터 벗어나 병원 업무 환경에 점 차 익숙해지고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가 많 으 며 , 직무수행에 있어서 권한이 더 많이 주 어지기 때문에 경력이 높아질수록 업무에서

(13)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의 자신감과 책임감이 커질 뿐만 아니라 더 나은 보수와 아울러 직업적으로 안정되고 전 문성이 발휘되어 개인의 성취감이 보다 더 향상되기 때문이 아닌가 사 료 된 다 . 이는 복문 자 (1993) 가 보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장 기간 근무하면 할수록 직업에 대한 보상이 높아지기 때문에 나이 많은 간호사가 젊은층 간호사보다 직무만족을 느낀다고 보고한 것 과 유사하다고 사 료 된 다 .

간호직에 가능한 한 오래 또는 필요한 기 간만 종 사 하겠다는 군보다 오히려 다른 직장 을 구할 때까지만 근무 하겠다고 응답한 기 타군에서 직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이 길수록 직 무만 족 도 가 높았다는 하 루 미 (1991), 박성석 (1995)의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 대상자가 젊은층의 미혼 간 호사가 대다수인 점을 고려해 볼 때,나이가 적고 근무경력이 짧으면 대부분 다른조직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고 (Hre-biniak 등’ 1972), 또한 병원환경 자체가 전문적 자질을 갖춘 간호사들의 판단과 헌신을 무시하는 분위기 일 경우 그들의 모티베이션은 감소될 것이라 는 이상미 (1992)의 주장과 간호직을 평생직 으로 생각하지 않는 간호사가 많다는 김화실 (1984), 최현 숙(1998)의 보고가 이를 뒷받침 해준다 .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중한자실 간 호 사가 일 반 병동 간호사보다 역할갈등이 높 았 으며 ,주 로 환경장 애 요 인과 역할모호요인이 역할갈등 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상자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와의 직접적인 관계는 볼 수 없었으므로 그밖의 다른 요인이 있는 지 추후 밝혀볼 필요가 있겠다.

VI. 결 론 및 제언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역

할랄등정도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파 악하기 위해 광주시내와 전라남도 소재 300 병상 이상의 5개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중환 자실 간호사 56명,일반 병동 간호사 154명을 대상으로 하 였 으며, 자료수집은 2000년 7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총 26일 동안이었다.

연구도구는 김문실, 박 상 연 (1994) 이 개발한 역할갈등 측정 도 구 와 Slavitt등 (1978) 이 개발 하고 김 숙자(1992)가 번역하여 사 용한 직무 만족도 측 정도 구 를 사 용 하 였 다 . 수집된 자료 는 SAS프로그램 으 로 기 술 통 계분 석 , t-test와 ANOVA, Pearson Correlation등을 이용하여 분 석하 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 다.

1.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 할갈등의 차이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일반 병동 간호사보다 역할갈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 았 으 며(t=2.52, p=0.01), 특히 역 할 모호 요 인(t=1.99, p=0.04)과 환경장애 요 인 (t=2.20,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간의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27, p=0.782).

3.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 할갈등과 직무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 었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는 학력 (t=

-2.70, p=0.009)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 으 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 특 성 에 서 도 차 이가 없었 다 .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 정도는 결혼상태에서 유의한 차 이가 있었 으며 (t=3.73, p=0.000), 직무만족도는 연령 (t=3.23, p=0.024), 근 무 연 한 (t=2.78, p=

0.043), 간호직에 종사할 예정기간(t=5.63,

p=0.004), 간호직을 택한 동기 등 (t=3.49, p=0.00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 63 -

(14)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

6

1

, 20OT

중환자실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할갈등이 높음을 있었으나 대상자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와의 직접적인 관계는 없었으므로 이에 대한 세분화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참 고 문 헌

강경자, 송 명 숙 ,이명 화(1997). 신장실 간호사 의 직 무 만 족도 와 소진경험정도와의 관 계 .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 김 건자 (1991). 중 환자 간호와 간호사의 역할.

생 활 간호 , 9, 44-45.

김매자,구 미 옥 (1985). 간호사가 근무중에 경 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 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4(2), 28-36.

김문실,박 상 연 (1994). 간호사의 역할 갈등 측 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 간호학회 지 , 25(4). 741-750.

김 숙녕 (1998). 대 학부속병 원 간호사의 직 무만 족도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행정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숙자(1992).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 사에 관한 연 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논 문 .

김 연태 (1989).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요 인과 사회적 지지정도와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행 정 대학원 석 사 학 위 논 문 . 김은숙(1994). 임상 간호사의 자율성과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

김 인 숙 (2000).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스트 레스 정도와 적응 방법에 관한 연구 .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

김종숙(1989). 마취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 한 조 사 연 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

김진숙(1986). 종합병원 간호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연세 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하숙(1979). 간호원들의 간호직에 대한 만 족도 조사연구. 카톨릭대학교 의학부 논 문집 , 32(3), 523.

김화실(1984). 수간호사의 리더쉽 유형고卜 간 호사의 소진 경험,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윤호(1987). 신규 간호원의 자아개념과 직 무만족에 관한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 학위논문.

박 성석 (1995). 임상간호사의 스 트 레스 , 소진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 성애 (1996). 간호단위 조직내 리더쉽과 간 호업무수행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 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박 진영 (1982). 종합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 사학위 논 문 .

복 문 자 (1993). 기혼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 무만족도에 간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복희 (1990). 수술실 간호사와 병실 간호사 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에 관한 비 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신 유 근 (1997). 인간존중의 경영. 서 울: 다산출 판 사 .

오 가 실 (1982). 간호에 있어서의 역할론의 의 미. 연세교육과학 논 문 집 , 11.

윤 진 이 (1994).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교 대학원 석 사 학 위 논문 . 윤 은자 , 이정희(1982). 주관적 지각과 직업만

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의 대지, 7(1).

윤혜성 (2000). 간호사 역할갈등의 원인고!' 해

- 64 -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s and school system in determining future career decisions of high school

Fifth, leading person that Hair designer role achievement affects in job satisfaction appeared by thing which ambiguity and role discord of role exert

Although Korea has been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fusion power generation and Korea is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world stage,

We evalu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echanism of injury, Revised Trauma Score(RTS), Injury Severity Score(ISS), Trauma Injury Severity Score(TRISS). More men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creased, the score for leisure satisfaction was high, and as the external motivation

Urban freeway plays a key role in the urban transportation system and also takes a lot of share in the urban traffic generated in the big city. However,

We evalu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 mechanism of injury, vital sign, Revised Trauma Score(RTS), Injury Severity Score(ISS), Hemoglobin Value which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positive, male was higher than female, and on the contrary, negative In this study,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