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Copied!
8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5년 8월 석사학위논문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 및 전문직인식”의 차이에 따른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의 영향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뷰티∙패션디자인학과

김 균 여

(2)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 및 전문직인식”의 차이에 따른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의 영향도

Effect of "Role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by difference of hair designer occupation "Selection reason and professional realization"

2005년 8월 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뷰티∙패션디자인학과

김 균 여

(3)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 및 전문직 인식”의 차이에 따른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의 영향

指導敎授 김 병 욱

이 論文을 디자인學 碩士學位論文으로 提出함

2005년 월 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뷰티∙패션디자인학과

김 균 여

(4)

김균여의 碩士學位論文을 認准함

委員長 朝鮮大學校 敎授 印

委 員 朝鮮大學校 敎授 印

委 員 朝鮮大學校 敎授 印

2005年 8 月 日

朝鮮大學校 디자인大學院

(5)

목 차

ABSTRACT ··· ⅴ

제1장 서 론 ··· 3

1절 연구배경과 의의 ··· 3

제2절 연구의 목적 ··· 4

제3절 연구방법과 범위 ··· 5

제2장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직무만족 ··· 8

제1절 헤어디자이너의 업무와 특성 ··· 8

1. 헤어의 의미 ··· 8

2. 헤어디자인의 개념 ··· 8

3. 디자이너의 업무와 특성 ··· 11

제2절 직업 선택과 전문직의 분류 ··· 13

1. 직업의 개념과 선택 ··· 13

2. 전문직의 개념 분류 ··· 15

제3절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역할 및 자질 ··· 19

1. 헤어디자이너의 업무 범위와 특성 ··· 19

2.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수행과 자질 ··· 21

제4절 직무만족 ··· 27

1. 직무만족의 개념 ··· 27

2. 직무만족의 제이론 ··· 29

3.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 33

(6)

제3장 연구모형의 설계와 가설 설정 ··· 40

제1절 연구모형의 설계 ··· 40

제2절 연구가설의 설정 ··· 42

제3절 연구방법 및 절차 ··· 44

제4장 실증분석 ··· 46

제1절 연구의 대상과 설문의 특성 ··· 46

1.1 설문의 대상 및 자료의 수집 ··· 46

1.2 설문의 특성 ··· 46

제2절 가설 검증 ··· 47

2.1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요인과 직무만족의 영향 ··· 47

2.2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요인과 역할 수행의 영향 ··· 48

2.3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영향 ··· 49

2.4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인식과 역할수행의 영향 ··· 50

2.5 헤어디자이너의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의 양향 ··· 51

제5장 결론 ··· 65

제1절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 65

제2절 연구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 ··· 68

참 고 문 헌 ··· 69

국문초록 ··· 71

부 록(설문지) ··· 73

(7)

표 목 차

<표 2-1> 직업관의 유형 ··· 14

<표 2-2>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 요인 ··· 15

<표 2-3> 전문직 특성에 관한 견해 종합 ··· 18

<표 2-4> 전문직 인식 측정 요인 ··· 19

<표 2-5> 역할 수행 측정 요인 ··· 25

<표 2-6>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분류 ··· 30

<표 2-7> 2요인 이론의 요인별 내용 ··· 32

<표 2-8> 직무만족 영향요인 ··· 34

<표 2-9> 직무만족 요인 ··· 37

<표 2-10> 선택 동기 요인, 전문직인식, 역할수행, 직무만족의 측정 종합 ··· 37

<표 4-1> 설문지의 문항과 내용 ··· 46

<표 4-2> 선택 동기요인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 ··· 47

<표 4-3> 선택 동기요인과 역할수행의 영향관계 ··· 48

<표 4-4> 전문직 인식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 ··· 49

<표 4-5> 전문직 인식과 역할 수행의 영향관계 ··· 50

<표 4-6>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의 영향관계 ··· 52

<표 4-7> 가설 검증 종합결과표(영향도) ··· 53

(8)

<표 4-8> 선택 동기요인과 역할수행 하부요인의 영향관계 ··· 55

<표 4-9> 전문직 인식과 역할수행 하부요인의 영향관계 ··· 57

<표 4-10> 역할수행과 직무만족 하부요인의 영향관계 ··· 59

<표 4-11> 선택 동기 요인, 전문직 인식이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종합결과 ··· 61

<표 4-12> 선택 동기와 전문직 인식의 차이에 따른 시사점 ··· 64

그림목차

<그림 2-1> 역할행위의 결정과정 모형 ··· 22

<그림 2-2> 기대이론 모형 ··· 33

<그림 3-1> 헤어디자이너의 “선택 동기 및 전문직 인식”이 “역할수행과 직 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41

(9)

ABSTRACT

Effect of "Role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by difference of hair designer occupation "Selection reason and professional

realization"

Kim, kyun- yeo

Adviser: Prof. Kim, byong ouk Departmet of Beauty Desig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Realization about Hair designer's .professional at visual point and role achievement that Hair designer's atomized role according to development of beauty art industry field and professional professionalism are required can talk that it is very important element.

Also, job selection winter season, analyzing whether affect for factor and factor that .professional realization is some in role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selection winter season through this study as is affecting to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factor, achieved this study to offer by basis for human administration system improvement of current beauty art employees and major students. That is randomized to Hair designer's that study subject person tries to escape from Kwang-ju area site and works to Shop to prep by own recording way method in structured questionnaire visiting to Shop swimming do, and investigation period was enforced from April 25, 2005 for 20 day to May 15. Collected questionnaire does flag splendor and executed regression analysis.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is as following for this study purpose.

(10)

H1 . Hair designer occupation selection winter season, leading person will affect in job satisfaction.

H2 . Hair designer occupation selection winter season, leading person will affect in role achievement.

H3 . Hair designer .professional realization may affect in job satisfaction.

H4 . Hair designer .professional realization may affect in role achievement.

H5 . Hair designer role achievement may affect in job satisfaction.

Is as following if summarize actual proof analysis result with construction of study. First, Hair designer occupation selection winter season, factor and effect of job satisfaction appeared by thing which job connection very important person, aptitude, economic efficiency, stability affect evenly. Second, appeared by thing which job connection factor, aptitude, stability, economic efficiency, environmental factor exert bigotry effect about Hair designer occupation selection motive and effect of role achievement. Third, leading person that .professional realization affects in job satisfaction is expert knowledge, Appeared by thing which a technology, only autonomy affects in job satisfaction.

Fourth, leading person that .professional realization affects in role achievement is expert knowledge, Appeared by thing which a technology and autonomy affect. Fifth, leading person that Hair designer role achievement affects in job satisfaction appeared by thing which ambiguity and role discord of role exert big effect, and importance of role influences for working environment factor in job satisfaction, and was expose that role overload is effect that is microscopic to recognition position of job satisfaction. Leading person that exert most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if see in result of above could know that Hair designer's job satisfaction exerts big effect

(11)

factor selection winter season than professional realization ultimately for factor the job connection enemy. Also, expectation about Hair design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ossibility and self realization were construed for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job satisfaction.

Leading person was considered to item to be considered circumspectly selection winter season the job connection enemy who have drawn by these study finding, and will have to recognize on society that domestic a lot of Hair designer's are changing by other consciousness and security of an education opportunity etc. with past. Will have to recognize by simplicity service industry, complex territory that simplicity technical service is not, will have to help so that right selection and professional realization are can may inculcated right even if there is in rear guard positive disposition in learned circles so that growth development may be attain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 improvement for beauty art person's cultural life need to raises. Is expected to hereafter this study value that selection reason and professional realization observing that role achievement can raise difference between authority (director of an institution, employee), and be expose by other aspect in job satisfaction put and make a continuous study.

(12)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과 의의

제 2 절 연구 목적

제 3 절 연구 방법과 범위

(13)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의의

급변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도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와 본능적 욕 망은 더욱 심화되어가고 있으며 인간생활을 아름답고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 기 위한 과학적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다.

인간은 자연 환경과 사회 환경 속에서 끊임없는 문화적 교섭(交涉)을 통 해 생각하고 느끼며, 표현하며 변화되어 간다.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 또한 마찬가지로 그 대상이 속한 환경과 상황에 따라 변화와 차이가 있을 수 있 으며, 지금처럼 개성적 미가 강조될 수 있는 사회적 흐름 또한 간과 할 수 없다.

개성미 표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은 그 사람의 이미지를 좌 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자기표현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헤어스타일을 만들고 연출하는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또한 중요하며, 단순히 머리를 매만지는 기능위주의 작업에서 탈피하여 고객의 개성과 기호 에 맞게 헤어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연출하는 차원 높은 전문직업인으로서의 헤어디자이너는 첨단 분야와 산업발전의 가속화로 기존의 기능위주에서 과 학적이고 체계적인 학문과 감각을 바탕으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미의 창조 자로서 역할을 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술 분야, 특히 미용계는 그동안 도제(徒弟)방식에 의한 미용 기술의 전수방식을 답습하여 한정된 교육과 일정개인의 편협 된 사고로 기 능을 연마하는 경향이 많았고 이로 인해 보다 개방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문성을 갖춘 높은 수학과 수련과정을 거치지 못하였으나, 미용전문교 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91년 최초 강릉영동대학의 미용학과의 개설을 바탕으로 미용관련학과의 증설이 진행,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의 실시로

(14)

우수한 미용인을 배출하고 있으며, 소득과 문화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아름다 움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미용은 유망 직종으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미용의 뿌리라고 볼 수 있는 헤어미용에 관련한 세분된 많은 직업들이 생겨나고 있 는 상황이다. 그 가운데서 헤어디자이너는 변화와 창조로 아름다움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으로 일반 사회인과 디자이너 자신의 의식전환이 이루 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헤어디자이너와 관련한 직무만족에 관한 영향요인을 인구통계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선행연구가 있었고, 전문직업성과 관련한 직 무 만족에 관한 연구 또한 있었다.

헤어디자이너의 역할수행과 직무에 대한 만족의 정도와 요인은 추구하는 목표와 욕구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에 대한 역할 지각의 주요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전문직에 대한 올바른 역할 수행과 선택 동기에 따른 문제는 헤어디자이너의 사기향상 및 집단의 생산 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본연구의 동기는 직업선택 과정과 전 문직 인식에 따른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한 직무 만족의 영향관계를 분석하 여 직무만족에 실제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으로서 그 결과가 보다 효율적인 미용문화 발전과 헤어디자이너들의 인적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쓰여 질 수 있는 실증적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제2절 연구의 목적

산업발달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미에 대한 욕구는 더욱 다 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21C의 미용 산업은 이를 뒷받침하듯 비 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면서 전문화되고 기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 실 속에서 미용분야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헤어스 타일을 만들어 내는 헤어디자이너에 관한 연구는 독자적으로 개발된 것이

(15)

없는 상황이고, 그에 따르는 직업의 선택 동기에 따라 개인의 삶이 보람과 행복의 정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전공학생이나 디자이너가 선택초기에 가졌 던 직업적 인식은 종사함에 따라 가치관이 변화될 수 있다는 가설 위에 헤 어디자이너 자신의 전문직업인으로 역할 수행과 직무만족은 고객을 통한 인 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해 주고 사회성을 높여주는 활동이 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또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는 아름다움에 대한 가치관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실천해 갈 수 있는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헤어디 자이너가 인간관계 속에서 효율적인 미의 전령사가 될 수 있도록 직업 선택 에 있어서부터 전문가가 되어서까지 후회 없는 당당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 록 전공학생들이나 헤어디자이너 당사자 자신의 문제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 가 있는 것이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헤어디자이너의 선택 동기, 전문직 인식의 차이에 따른 역할 수행과 직 무 만족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2. 향후 미용 문화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헤어디자이너와 전공 학생들의 방향제시를 위한 지침이 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3. 경영자의 운영에 있어 효율적인 조직원 관리에 보탬이 되는 연구를 하 고자 한다.

4. 전문직으로서의 헤어디자이너의 위상 적립을 위한 역할의 중요성 부각 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전문직으로 새롭게 인식되는 헤어디자이너의 선택 동기와 전문 직 인식에 따른 역할 수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문헌적 연구

(16)

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전문서적과 연구논문, 학술지 등에서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을 하였으며, 실증적 연구에서는 현직 종 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선택 동기를 알아보고, 전문직 인식과 역 할 수행, 직무만족 간의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본 1장에서는 서론으로 본 논문의 연구배경 및 의의, 연구 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헤어디자인과 디자이너에 관한 개념 및 특성, 직업과 전문직의 분류,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역할 및 자질, 직무 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였으며, 3장에서는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제시하여 실증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4장은 설문내용을 통한 연구 결과 를 실증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은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 였다.

(17)

제2장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직무만족

제1절 헤어디자이너의 업무와 특성 1. 헤어의 의미

2. 헤어디자인의 개념 3. 디자이너 업무와 특성

제2절 직업선택과 전문직의 분류 1. 직업의 개념과 선택

2. 전문직의 개념 분류

제3절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역할 및 자질 1. 헤어디자이너의 업무 범위와 특성

2.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수행과 자질 제4절 직무만족

1. 직무만족의 개념

2. 직무만족의 제이론

3.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18)

제2장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직무만족

제1절 헤어디자이너의 업무와 특성

1) 헤어의 의미

인간의 두발은 그 자체로서뿐 아니라 여러 형태로 충분한 암시와 상징성 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전통사회에서는 결혼 전의 미성년 남성과 여성은 긴 머리를 묶거나 땋아서 미혼과 기혼을 구별할 수 있게 했고, 궁중여인의 헤어 스타일이나 기생과 양가의 헤어스타일을 보고 신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 사회에 있었던 구별과 사상도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변화와 사회적 문화의 발전과 함께 남녀의 구분이나 신분의 차이도 찾기 힘든 시대 에 우리는 와 있다. 현재 우리 시대의 두발은 과거의 두발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사라지고 개인위주의 개성과 특성을 나타내는 사회적 문화의 소산으 로 토탈 패션이 강조되고 개성을 창조하려는 욕구 때문에 한 가지의 독특한 스타일의 유행보다는 유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개성을 추구할 수 있는 다양 한 스타일이 공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두발은 외형의 아름다움을 향 한 상징만이 아닌 그 사람, 그 사회, 그리고 역사적인 모든 부분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각 개인의 헤어스타일 연출은 다양한 측면에서 해 석되어 질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헤어디자인의 개념

디자인이란 명확히 어떤 종류의 창조인 것으로서, 인간은 필요가 만족되는 동시에 감정도 만족되기를 원한다. 이러한 두 가지 의미가 인간 생활을 위 한 조형의 본체이고 생활을 진전시키는 조형의 발전이다. 실용성과 감성을 만족시키는 美의 二面을 생활조형 가운데 합일시키기를 원하는 것의 생각이 디자인 인식이며 이러한 의식표현의 산물이 (디자인 된 것) 곧 조형물이다.

(19)

디자인을 한다는 것은 고안 또는 생각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생각하는 것이 만드는 것, 즉 제작에 선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어떤 효과에 필 요한 모든 기술이 머리가운데서 구사(舊思)되어야 기술뿐만이 아니라 어떤 형, 색이 그 효과에 적합한가도 역시 생각해야 하는 것이 디자인 과정이다.

기술은 현대 인간의 동작을 수반하는 것으로 미용 기술의 창조적 디자인 과 정은 미적 가치관에 따라 변화하므로, 시대적 흐름에 따른 사고의 합리성을 재빠르게 정리 할 수 있어야 한다. 현대의 미용 기술이란 과학적 이론을 응 용하여 자연 상태에 있는 모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고 능률적으로 처리하여 사람의 용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다. 디자인은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기본욕구 충족을 위한 행위의 하나로, 헤어디자인은 인간생활을 아름답고 편 리하게 하기 위한 예술과 과학이 결합된 창조물로서 의식적 조형행위라고 볼 수 있다.

창조성의 기반은 개인이나 자연환경, 사회 환경과 관계를 맺고 그 바탕위 에서 새로움이 변화되어 표출되어지는 것이다. 디자인은 사회적 기능을 가 지고 있으며 헤어디자인에 의해서 만들어진 스타일은 생활 속에서 개성표현 으로 표출되어 시각적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헤어디자인은 단순한 외형의 아름다움을 만드는 조형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헤어디자인은 고객에게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과학적 이론에 접근한 모발의 건강을 생각 하고 실용적인 스타일로 고객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미적 충족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① 헤어디자인에 있어 기본적인 디자인의 원리

• 균형(Balance) : 조형에서 균형이란 시각적으로 안정되고 아름다워 보 이게 하는 가장 중요한 디자인의 원리이며 심리적으로는 무게감, 밀도, 크 기, 위치에 대한 안정된 느낌을 주며 균형은 디자인을 보는 사람에게 편안함 을 주는 역할을 하며 분위기를 창출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

(20)

• 리듬(Rhythm) :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하나의 패턴으로 연속되는 흐 름이다. 디자인에서는 요소들을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다양한 요소들을 통합 하여 연속성을 창조한다. 일련의 연속적 움직임의 형태로 웨이브의 연속적 인 표현이라든지 점점 크거나 점점 작아지는 등의 반복되어지는 표현이며, 디자인에서 리듬을 형성하는 중요한 열쇠는 반복과 변화사이에서 차별성을 찾는 것이다.

• 조화(Harmony) :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변화 있는 통일성을 의미하며 디자인의 최종목표는 조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강조(Accent) : 여러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을 먼저 알리기 위한 방법이며 사람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초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흥미를 불러일 으키고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디자인에서 모든 요소를 강조하려다 보면 결국 어느 것도 강조할 수 없게 된다. 강조 부위를 창조하는 것은 디자이너 의 역량으로 잘된 디자인일수록 강조점이 뚜렷하고 적절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 비례(Comparison) : 형태 미학이라 할 수 있다. 창조적인 조화로서 부분과 부분, 또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말하며 장식적, 구조적으로 합성된 원리로서 모든 조형예술에서와 같이 어떤 기준의 길이와 크기에 차등을 두 거나 조화로운 형태를 얻는 것을 뜻한다. 적절한 비례가 이루어지면 안정감 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선, 또는 형태 디자인에서 가장 이상적인 기하 학적 비례를 황금분할(1:1.618)이라고 한다. 황금분할은 시각적으로 만족 감을 느끼게 한다.

② 헤어디자인의 법칙 요소

• 머리형 : 디자인 법칙은 헤어디자이너가 머리길이, 머릿결, 컬러를 배열 하는 것이다. 이러한 법칙들을 이해하면서 순서대로 고객에게 알맞게 조정 하면서 새로운 형을 창조하는 것이다.

• 머릿결 : 헤어스타일 조형의 중요한 요소로서 질감은 헤어스타일에서 머

(21)

리카락, 웨이브형태, 직모 상태 등 컷 방법에 따라서도 다양한 느낌이 생길 수 있다.

• 색상 : 헤어의 색상에 있어 머리카락 고유의 색과 인공적인 색을 말한 다. 헤어스타일의 질감도 색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③ 헤어디자인 요소의 실제

• 적합성(Suitability) :‘알맞게 맞춘다.’ 라는 뜻으로 모델의 머릿결, 머 리흐름, 골격, 얼굴생김새 등의 소재를 살려주는 것이 중요하며 작품 완성 후 그 모델과 어울리도록 하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 테크닉(Technic) : 아무리 훌륭한 디자인이 구상되더라도 테크닉이 뒷 받침되지 않으면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생명이 없는 것이다. 이론에 적합한 구상을 하고 그 구상에 맞게 테크닉을 실천하려면 미용의 기본 원리들을 파 악하고 있어야만 한다. 전문성을 살린 테크닉은 끝없는 노력과 탐구정신에 서 나올 수 있다.

• 패션성(Fashion) : 유행성을 말하며 스타일 창조에서 그 시대의 흐름, 유행을 무시 하는 것은 헤어디자인의 의의를 상실하는 것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시대적인 흐름과 모델이 가지고 있는 개성, 느낌을 잘 파악해서 어울 리는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3) 디자이너의 업무

「일반적으로 디자인의 영역은 주관적이고 직관적이며 감성적인 속성으로 인식되는 미학적 접근에 의한 예술적인 부분과 객관적이며 분석적이고 이지 적인 속성으로 인식되는 공학적인 접근에 의한 기술적인 부분이 인간의 생 활과 환경이라는 유기적인 속성과 적절하게 관계되면서 창출되는 실용적인 조형의 전 부분을 의미한다.1)

이러한 디자인의 사용 범위는 디자이너가 다루는 작업의 내용으로 주어진

1) 김원경, 디자이너의 능력과 구조적 요소에 관한 연구, 1999.

(22)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조건 가운데 가장 이상적인 디자인 가치 창출에 다가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디자인이란 단순하게 계획을 세 우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어떤 목적을 가지고 적합한 조형으로 구체화 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그 디자인 의 목적과 용도에 적합한 재료 선택과 적절한 기능성, 아름다움을 실현시킬 수 있는 열망과 제작시간까지 산출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외에도 사회 문화 적으로 전통과 환경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양식 창출능력과 미적 감각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디자이너가 다루는 일반적인 업무성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는 기존의 형태를 모방하는 것이 아닌 항상 창의 적인 감각에 의해 새롭게 창출되어야 하는 독창성의 절대적 조건이 있다. 「 디자이너는 여러 조건 안에서 새롭고 특정한 목적에 적합한 가치를 지닌 내 용으로 만들어 내는 능력을 지녀야 한다.2)

북미의 유명한 디자인 대학에서 디자이너를 평가하는 요소를 크게 두 가 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디자이너로서 지녀야 할 인성과 개성에 따른 제반사항

둘째, 디자이너로서 지녀야 할 미적 감각이나 기술적 능력을 대표로 꼽았 다.

디자이너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조건이 있는데, 바 로 인성과 감각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헤어디자이너의 업무 와 조건은 또 다른 특성이 있다. 일반적인 디자이너가 가져야 할 평가요소 외에도 미용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 즉, 인간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 며, 의사 표현의 제한성과 소재 선정의 제한성, 시간과 독립성의 제한 가운 데 미적 효과를 증대시키는 디자인을 구사하여 고객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개성미를 표현하여 심리적인 만족감까지 주어야 하는 업무적 특성이 무엇보 다 중요하다.

2) 도규호, 건축의 장 p34.

(23)

제2절 직업선택과 전문직의 분류

1) 직업의 개념과 선택

사람은 누구나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한, 직업을 갖지 않을 수 없고 직업을 갖게 되는 한, 사회의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따라서 직업은 인간의 활동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에 있어서 교량적 역할을 담당해 야 하는 것으로서 직업은 생계유지를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 참여하는 매개체이자 자아실현의 역할까지 해내고 있다. 개인의 생활 중에 는 많은 부분이 직업과 연관되어지며, 이러한 직업에 대한 생각과 선택은 삶 의 보람이나 행복의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인간은 그에게 맞는 직업 을 선택하여 일을 할 때 가장 행복하다(Holland; 1966).”고 하였으며 자신 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여 일을 할 때 직업만족도와 능률향상 또한 높을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연결시킨 사람이나 그것을 취 미생활의 일부분으로 삼아 삶을 풍요하게 만드는 사람은 인생을 주체적으로 사는 행복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다.

직업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일정기간 계속적인 일에 종사하는 것을 의 미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노동과는 구별되는 것이며, 다음으로 직업은 일을 전제로 하고 근무지와 지위를 동시에 포함하며 일이란, 직업이나 업무를 의 미하며 근무처는 그 업무를 수행하는 장소(직장)를 의미하며, 지위는 이들 조직체 중에서 주어진 권한이나 자리를 의미한다. 직업이란, 일상사의 핵심 이며 자신의 생애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는 직업의 결 정이 생활방식의 결정을 포함한다고도 볼 수 있다(Borg; 1966). 이렇듯 직업이 갖는 의미는 다양하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 필수요건인 직업 선택의 요인은 참으로 중요하다고 보지 않을 수 없으며, 직업선택의 결정요 인은 개인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직 업 관련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요인들을 참고하 여 직업을 선택하고 사회일원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24)

참고로, 직업관의 유형을 표로 제시하면 <표 2-1>과 같다.

<표2-1> 직업관의 유형

3)

준 거 유 형 관 점

직업의 위치 생계 지향적 직업관 생계유지

소명적 천직관 직분에 충실

직업의 목표 결과 지향적 직업관 수행업적과 결과 중시

과업 지향적 직업관 수행하는 일 자체를 중시

직업의 획득 과정 업적 주의적 직업관 개인의 소질∙능력 성취도 지속 주의적 직업관 부모의 사회적 신분

인간관계의 중심 개인 중심적 직업관 개인의 욕구 충족

집단 중심적 직업관 집단에서의 개인 역할

개인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어떤 요인들은 사회의 변화나 성별, 그리고 국가에 따라 그 중요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하는 선 행연구4) 들도 있다. 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 국의 사회지표」 가운데 6가지의 직업 선택 요인은 명예, 명성, 안정성, 수입, 적성∙흥미∙보람∙자아성취, 발전성, 장래성이었다.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직업선택의 요인(3가지; 개념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적업관련적 요인)과 위의 6가지 직업선택 요인을 참고하여 헤어디자이너 직 종 선택 동기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표 2-2와 같이 정리한다.

3) 자료 : 경기도 교육연구원, 진로교육가이드, 1993. 요약 4) Borg, 1996; Roe, Zinoviera, Dienes, & Ten Horn, 200

(25)

<표 2-2> 헤어디자이너 직종 선택 동기 요인

선택 동기 요인 선택 동기 요인 내용

적성 personality, 흥미, 가치관에 따른 개인적 특성 직업관련적 요인 직업 전망, 자아실현 등

경제성 생계유지, 보수의 만족

안정성 타의에 의한 강제 퇴직, 연령 등에 의한 퇴직 배경적 측면 학력적 배경, 경제적 배경 등

환경적 측면 주변 관련 종사자의 영향 등

이렇게 중요한 직업을 의미하는 영어단어를 살펴보면, <Occupation>이란 말은 사람이 보수를 받기 위해 정해진 일에 종사하는 것으로 자연적 선택의 뜻을 내포하며 대체로 비전문화된 직업을 말할 때 사용하며, <Vocation>의 뜻에는 특별한 행동이나 생애를 위하여 인간이 신으로부터 소명되었다는 뜻 과 인간이 신에 대한 봉사를 위해 부름을 받았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Profession>은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요하는 전문직을 의미한다. 이 말은 Profess에서 유래 되었는데, 프로페스란 말의 뜻은‘선언하다’이다. 자기 가 받은 일을 성심성의껏 사람 앞에 선언하는 것이며 소명의식을 가지고 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직업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여러 가지 측면들을 고려하여 프로 의식을 갖는 미용인으로서의 헤어디자이너를 전문직으로 분류, 구체적이고 확실한 전문직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 다.

2)전문직의 개념 분류

전문직의 설명이나 조건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고 학자의 관점에 따라

(26)

다르다. Carr-Sounder는 고도로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갖고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른 사람으로부터 상응한 보수를 받는다는 사실을 지적했다.5) 정범모6)는 전문직의 척도로서 다음의 요소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① 이론적 배경 : 전문직은 그 직무수행에 있어 고도의 이론적 배경을 필 요로 한다.

② 장기간 훈련 : 전문직은 이론적 배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직적과 직 후에도 장기적이고 계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필요로 한다.

③ 엄격한 표준 : 전문직은 초임자에게 엄격한 표준이 적용된다. 즉, 면허 증, 자격증, 일정한 학위 등으로 이 표준을 전문직 단체에 의하여 내적으로 통제. 보강 육성한다.

④ 표준의 신장 : 전문직은 새로운 이론과 기술의 창의로서 직무능력을 인정받게 된다.

⑤ 전문직 단체 : 전문직에는 강력하고 자율적인 전문적인 단체가 있어야 한다. 이 단체는 권익옹호와 아울러 전문직의 표준유지와 향상을 위하여 자 율적 통제를 하는데 더욱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D.A. Myers7)는 전문직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 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① 과학적 이론에 기초를 둔 지식을 소유한다.

② 고객에 대한 봉사 지향성을 가지고 있다.

③ 독특한 직능을 수행한다.

④ 교육과 훈련의 자체 기준을 결정한다.

⑤ 전문직 학습자는 다른 직종의 학습자보다 장기간의 성인 사회화 경험 을 쌓는다.

⑥ 직무 행위가 자격면허에 의하여 법적으로 인정받는다.

5) A.M; Carr-Sounder and P.A; Wilson, The profession. London; Frankcarse & Co. Ltd. 1964.

p491.

6) 교직과 교사; 교직의 전문성, 현대교육총서 제13권, 1962, p491.

7) 유정일외 교직단체의 위상정립에 관한 연구, 1989, p18.

(27)

⑦ 전문직 면허 발급 및 가입을 다루는 위원회에서는 그 전문직 종사자가 배치된다.

⑧ 전문직에 관계된 입법은 대부분 그 전문직 종사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⑨ 소득, 권력 및 위신의 서열이 향상되며 능력이 우수한 학생을 요구할 수 있다.

⑩ 비전문인의 평가나 통제를 비교적 받지 않는다.

⑪ 전문직의 실천 규범은 법규적 통제보다 더 엄격하다.

⑫ 전문직의 종사자는 다른 직업 종사자보다 더 강하게 그 직업과 동일시 하며(집단 정체감) 또 관계를 맺는다.

이외에도 여러 학자들의 진술 내용이 있는데, 다시 한번 특성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은 고도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한다.

둘째, 전문직은 독특하고 본질적인 사회봉사 지향적이다.

셋째, 전문직은 직무수행과 의사결정에 있어 충분한 자율성을 지니나 동시 에 책임성이 요구된다.

넷째, 전문직은 장기간의 준비교육과 계속적 성장을 위한 전문적 교육을 필요로 한다.

다섯째, 전문직은 전문직 단체를 통해서 윤리강령을 가지고 스스로 행동이 나 표준을 향상시킨다.

여섯째, 엄격한 자격 기준을 갖추어야 하며, 높은 사회적 평가를 받는다.

(28)

<표 2-3> 전문직 특성에 관한 견해 종합

8)

전문직의 특성 김종철 정범모 박동준 강영삼 Flexner Liberman Benvenist Myers 공통

전문적 지식과 기술 ○ ○ ○ ○ ○ ○ ○ ○ ○

봉사성 ○ ○ ○ ○ ○ ○ ○

책임성 ○ ○ ○ ○ ○

전문직 단체 ○ ○ ○ ○ ○ ○ ○ ○

자율성 ○ ○ ○ ○ ○ ○ ○

장기간의 전문직 교육 ○ ○ ○ ○

자체적 윤리강령 ○ ○ ○ ○ ○

계속적 발달 ○ ○ ○ ○ ○ ○

엄격한 자격기준 ○ ○ ○ ○ ○ ○

사회적 경제적 지위 ○ ○ ○ ○

위의 전문직 특성이 헤어디자이너의 직무특성에 모두 부합되지는 않는다.

다만, 과거에는 전문직의 대표적인 예로 법관이나 의사를 들었지만 사회 각 분야의 전문성 재고로 많은 분야의 전문직이 생기게 되고 전문가도 수없이 많이 생겼다. 단순 기술직에 서비스직으로만 인식되던 헤어디자이너의 직무 가 전문화되고 수준이 향상되어 전문가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고 유망직종, 멋 있는 직종으로 손꼽히며 인정되고 있는 것도 사회문화적인 흐름에 따라 개 성적인 미를 추구하기 위한 헤어스타일이 중시되는 시점의 당연한 현상이라 고 본다. 많은 헤어디자이너들의 노력과 향학열에 힘입어 분명 헤어디자이 너들의 전문성은 날로 발전할 것이며, 많은 학자들의 견해에 적합한 전문직

8) 정은영(1999). 초등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의 전문성 요인 p27. 인용, 연구자 재편

(29)

특성을 갖추리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자는 학자들의 전문직 특성에 근거를 두고 헤어디자이너의 특성에 맞도록 전문직 인식 측정 요인을 구성하여 보았다. <표 2-4>와 같다.

<표 2-4> 전문직 인식 측정 요인

측정 요인(연구자) 전문직 특성(학자)

전문적 지식과 기술 전문적 지식과 기술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훈련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훈련

전문적 자격, 면허 소유 여부 엄격한 자격 기준

자율성과 사회적 책무 책임성, 자율성

제3절 헤어디자이너의 전문직 특성과 역할 및 자질

1) 헤어디자이너의 업무범위와 특성

한국 직업분류 사전의 직업 예시에는 미용사, 헤어디자이너로 명시하고 주 요 업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① 고객의 얼굴이나 머리형태에 따라 알맞은 머리모양을 권하고, 고객요구 에 따라 머리모양을 정한다.

② 가위, 빗 등의 이 미용기구를 사용하여 고객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다듬 어 원하는 머리형태를 만든다.

③ 샴푸와 린스를 사용하여 머리를 감기고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머리를 말리며 손질한다.

④ 파마를 하거나 염색을 해주며, 고객에게 머리카락을 가꾸는 방법이나 미용법에 대한 조언을 해주며, 약혼 및 결혼 등 의식이나 의상에 어울리는

(30)

머리모양을 해준다.

⑤ 특별한 화장을 하고 손톱을 다듬어 주며 두피 마사지, 얼굴 마사지를 하기도 한다.

또한, 한국 직업사전에서의 수행직무는 고객의 신체적인 특성과 현재의 머 리 모양에 따라 어울리는 머리형태를 권하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머리형태 를 결정한다. 가위, 빗 등의 미용기구를 사용하여 고객의 머리카락을 자르 고 다듬어서 원하는 형태를 만든다. 파마도구를 이용하여 머리를 말고 파마 약품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염색약품을 배합하여 머리카락을 염색하고 샴푸 와 린스를 사용하여 머리를 감겨주며 트리트먼트와 영양액을 사용하여 모발 클리닉을 한다. 드라이어와 모발 장비를 사용하여 머리를 말리고 모양을 만 들며 빗, 머리핀과 모발 제품을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고정한다. 유행하 는 새로운 스타일을 조사하고 스크랩하여 고객의 선택에 도움을 준다. 손님 의 눈썹이나, 손, 발톱을 소제하기도 한다.

헤어디자이너(미용사)의 직업분류는 미용, 숙박, 여행, 스포츠 관련직 또 는 미용, 욕탕 및 유사서비스업으로 분류해 놓고 있으며, 분류시 유의사항으 로는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고 미용실에서 고객의 머리를 감겨주거나 청소 등의 단순 업무를 행하는 경우는 기타 이미용 관련 서비스직으로 분류한다.

헤어디자이너는 사람들의 본능적인 미적 욕구를 갖가지 미용기술과 미용 도구로 만족시켜주는 전문인을 말하는데, 명칭에 있어서는 1990년대를 기점 으로 고도로 진보화 된 사회의 흐름에 따라 사람의 가치관의 폭도 넓어지면 서, 뷰티산업에 관련한 다양한 직종의 증가추세를 양산하고 거기에 맞추어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직업적 명칭도 생기게 되었다. 토탈패션의 중요성에 맞게 헤어디자이너를 토털스타일리스트(Total stylist), 헤어드레서(Hair dresser), 헤어디자이너(Hair designer) 등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선행연구 에서는 창조적인 헤어스타일을 만들어 내는 전문인(소영진, 2000)이라고 정 의하였다.

과거에는 머리를 만지는 하찮은 일 정도로 미용을 생각했고, 대학 진학에

(31)

실패한 경우이거나 전업을 꿈꾸는 주부들이 하는 일쯤으로 여겼던 것이 오 늘날에는 당당한 전문직으로 영역을 확보하여 헤어디자이너라는 명칭으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헤어디자인 기술이란, 일반적인 기술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무엇보다 기술이 손에 완전히 숙달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 서는 부단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미용기술은 단순히 기술이 아닌 예술이 되는 것이고, 진정한 헤어디자이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 헤어디자이너는 사람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자이며 그것이 비록 미용자체가 의식주와 관련한 일차적인 생산활동은 아니지만 인간의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생산의욕을 높이는데 커다란 기여 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헤어디자이너란 인간의 신체일부를 소 재로 인간의 아름다움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인간의 삶에 의욕을 불어넣는 일종의 미용예술가라고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류헤어디자이너가 되려면 능력에 따라 다르지만 3년에서 5 년 이상의 충실한 직무를 수행하고 훈련과정을 거친 후에 붙여질 수 있지만, 초보단계인 스텝(보조)이나 중급미용사를 포함, 수석디자이너, 원장까지를 포함하여 본 연구자는 이들 모두를 편의상 헤어디자이너라고 정의한다.

2) 헤어디자이너의 역할 수행과 자질 ㄱ) 역할의 개념

일반적으로 역할이란 어떤 직위에 대한 일반화 된 기대의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때 일반화 된 기대란 그 직위 점유자가 일반적으로는 자기 행 동에 관하여 적극적이거나 혹은 소극적으로 준거하는 준거인(Reference Person)들의 기대 내용을 일반화 한 것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하면 그 위 치 또는 지위(Position)에 대한 행동기대(Behavior Expectation)를 말한 다. 즉, 역할이란, 사회의 어떤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공통적으로 기대되는 행동 유형을 말한다. 그러므로 역할(役割)에는 ① 신 분적 지위, ② 지위에 관련된 행동의 유형, ③ 기대되는 직업 활동의 세 가

(32)

지 요소를 포함하게 되며, 역할은 기대에 의해서 규정되는데 역할 수임자가 그에게 주어진 역할을 행동하는 것을 역할수행이라 한다.9)

역할수임자(役割受任)의 역할(役割) 행위(行爲)는 여러 가지 요소(要素)가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결정된다. 역할수행(役割遂行)과 거기에 개 입되는 여러 요소(要素)의 관계를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2-1> 역할행위의 결정과정 모형

10)

조직 구성원들은 역할 수임자에게 그 지위에 상응하는 범위에서 자기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어떤 행위를 기대하게 되고, 역할 수임자는 그 기 대에 부응하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 개인이 실제로 수행하는 역할 행동은 외부에서 요구하는 역할 기대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역할 수행과정에서 수많은 요인에 의하여 개인의

9) 이형행, 교육행정, 서울; 문음사 1992, p.142.

10) Danial Katz and L.Kahn,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2nd ed. (New York:John Wiley & sons, 1978) p.196.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직적 요소 개인적 속성 대인 관계적 요소

역할 전달자

역할기대 역할기대

역할 수임자

접수된

역 할 역할행위

평 가 반 응

(33)

역할 행동과 주위의 역할 기대가 조화를 이루기도 하고 부조화를 이루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할 행동은 역할 기대에 의하여 시작하거나 변화 하는 형태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역할행동은 역할 기대에 따라 결 정되거나 혹은 역할 수행과정에서 개입되는 다른 요인에 의하여 좌우된다는 것이다11)

역할기대(役割期待)는 역할수행(役割修行)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 소(要素)일 수 있으나 그 밖에 많은 요인이 실제로 어떠한 역할행동을 하느 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행동자가 역할기대(役割期待)를 어떻게 지각 (知覺)하느냐에 따라 역할행동(役割行動)은 실제로 다양하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인성, 동기, 능력, 과거경험, 기호, 흥미, 의사소통 등의 요인이 개인 마다의 지각을 다르게 한다. 이 중에서도 인성은 개인 지각에 상당한 영향 을 주는데, 겟젤스(J.W. Getzels)는 인성(Personality)이란 말을 환경에 대 하여 독특한 반응을 하게 하는 욕구성향(Need Dispositions)을 가진 개인 (Individual)내에 존재하는 역동적 조직(Dynamic Organization)이라고 정 의하고 있다. 인성의 가장 중심적인 분석 요소는 욕구성향인데, 어떤 대상 에 대하여 일정한 방식으로 지향(Orient)하고, 행동(Act)하며, 또한 그 행 동으로부터 일정한 결과를 기대하는‘개인적 경향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선별적인 지각은 핵심적인 개념인데, 즉 사람들은 자기의 과 거 배경의 범위 내에서 세상을 지각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한 조직 내에 서 똑 같은 공식적 책임을 지고 있는 개인들이 인성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책임을 아주 다르게 지각하기도 한다.

역할지각이란, 역할행동자가 역할기대를 어떻게 지각하느냐 하는 지각의 정도를 말하며 정확한 역할지각을 하는 사람일수록 적응성이 높고 타인의 役割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는 사람은 자기의 역할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역할수행자(役割修行者)의 역할지각(役割知覺)에 따라

11) 김부용,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P.27.

(34)

역할기대(役割期待)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역할지각(役割知 覺)이 명확하고 정확할수록 기대에 따라 행동하며 동기도 강해지며 따라서 役割行動은 期待와 일치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고 그렇지 못할 경우, 즉 역 할기대(役割期待)와 역할지각(役割知覺)과의 차이가 크면 역할갈등(役割葛 藤)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12)

Roos와 Starke는 역할의 개념은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Building Block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심리학과 사회학을 가교하며, 복잡한 조직내의 개인의 행태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역할 (役割)이란 적어도 첫째 규범적 문화유형(規範的 文化類型)으로서, 둘째 직 위(職位)를 점유(占有)한 개인들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기대(期待)로서, 셋째 직위를 점유한 사람들의 실제행동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정의되어 왔다 고 말하고 있다.13)

이는 Robin의 역할이론과 이의 조사 연구 분야에서 역할, 직위, 역할행동 등의 용어가 개념 규정 없이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한 역할이론에 대한 세 가지 접근법(接近法)을 비교, 서술하고 있는 내용과 일치하고 있다.14)

Robin은 역할이란 “어떤 상호작용의 상황 속에서 한 사람에 의해 수행된 행동의 유형화된 결과”라고 정의하고 있다고 서술하면서, 그 自身은 역할을 어떤 특별한 직위와 관련된 행동에 대한 일련의 기대군이라고 정의하고 있 다.

역할개념(役割槪念)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論議)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역할이란 “어떤 실체에 의해 일정한 사람들에게 특 정한 상황 하에서 기대되는 행동”이라고 보고자 한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개념규정(槪念規定)에서도 나타나는 것이지만 역할개념을 구성하는 요소로

12) 박용헌, 학교사회, 서울; 배영사, 1984, pp.202~3.

13) Leslie L. Roos, Jr. and Frederick A. Starke, "Organization role", in paul C. Nystrom and William H. Starbyked, Hand book of Organizational Design, Oxford Univ. press. 1981, pp.290~308.

14) Stanley S. Robin, "Three Approaches to Role Theory", Rocky Mountain Social Science Journal, Vol. 3 1966. 8., pp.140~148.

(35)

서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① 어떤 초점이 되는 행위자 ② 그 행위자의 행동 ③ 그 행위자가 할 행동에 대한 기대 ④ 그 기대를 보내는 실체 ⑤ 그 행위자와 실체가 있는 상황이다. 조직은 조직구성원(組織構成員)에게 특정 역할이 주어질 때 비로소 기능을 발휘하고 운영되어 간다는 점을 생각할 때 실제의 조직상황(組織狀況)에서 역할은 조직의 중요한 구성단위임을 알 수 있고 아울러 이론분야에서의 역할개념(役割槪念)에 대한 탐구 또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역할 수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김미나(1997)의 “역할 지각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에서 해당문항을 선정 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기로 하고 측정요인은 표 2-5와 같다.

<표 2-5> 역할 수행 측정 요인

15)

역할 수행 요인 수행 요인의 내용

역할의 중요성 조직에서의 자신의 역할의 중요성, 고객과의 관계 등

역할의 과부하 지나칠 정도로 많은 고객 시술, 야유회 잡다한 많은 업무, 정보 부족 등 역할의 모호성 명확하지 않은 내용의 업무 반복 등

역할 갈등 원장, 상급자, 동료, 하급자 등과의 관계

ㄴ) 헤어디자이너의 자질(資質)

자질이란, 타고난 성질과 품격이 바탕이라고 국어사전에는 명시되어 있다.

어떤 직업이나 각자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지만, 헤어디자이너는 또 다른 특 수성을 가지고 있다.

흔히 헤어디자인을 그림이나 조각, 건축, 조경과 같이 시각을 통해 얻어지

15) 김미나(1997) “역할 지각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인용 연구자 재편집

(36)

는 조형예술이라고 한다. 그러나 헤어디자인은 일반 조형예술과는 다른 미 용만의 특성이 있는데 그것은 미용의 소재는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말이 기도 하다. 헤어디자이너는 고객의 동작이나 표정, 의복 등의 변화를 고려 해서 미를 추구해야 하고, 헤어디자이너의 의지와 상관없이 정해진 시간 안 에 고객이 원하는 작품을 완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많은 고객 을 상대하여 그 직업이나 처지에 맞게 대화를 이끌어 나가야 하므로 미용의 한계를 뛰어 넘는 헤어디자인의 역할에 따른 자질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직업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특히 헤어디자이너는 사람들의 머리를 만 지는 일을 하는 만큼 적성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적성하면 크게 3가지 특 성을 들 수 있다. 첫째 적성은 ‘연습으로 만들어진 소질적인 능력’이다. 둘 째, 적성은 미래에의 가능성이다. 셋째, 적성에는 ‘개인차’가 있다.

우리는 사람에 따라 취미 및 사고방식이 매우 각양각색이라고 말한다.

마찬가지로 적성에 있어서도 사람마다 여러 가지 소질의 정도가 다르다.

적성이란, 일반적으로 ‘적격’ ‘부적격’이란 말로 표현된다.

적성이란 잠재적인 기초능력이고 예측적인 가능성이다. 적성이 있다는 말 은 현재 그 직무를 훌륭하게 완수할 만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 아니라 이제부터 적절한 지도자나 훈련을 하면 그 직무를 훌륭하게 완수할 수 있다 는 가능성을 말하는 것으로, 적성이란 심신의 잠재력, 즉 신체적 특성, 지각 능력, 사무능력, 손재주 정도, 그리고 지능 등의 준비 소질에 성격이나 흥미 의 요소가 더해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헤어디자이너는 남다른 노력과 훈련 그리고 확고한 직업 윤리관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헤어디자이너는 아름다움에 대한 본능적인 감각과 뛰어난 미용 기술, 고객들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는 인격, 그리고 일에 대한 뚜렷한 사명 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전문 헤어디자이너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미용을 가르치는 교사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좀더 세부적으로 표현하자면, 무엇보다 자신이 미용 일을 좋아해야 하고 재미있어 해야 많은 시간 노력할

(37)

수 있고 어려움을 이겨내고 일에 심취할 수 있으며, 성실한 노력에 개인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감각과 자질, 책임의식과 교양 또한 필수적 요건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선의 능력과 자질이란, 사회의 한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사람으로 유행의 인지력을 파악하여, 유행을 명확한 형 태로 표현하고 저속한 유행 풍조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는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더불어 훌륭한 헤어디자이너가 될 수 있는 적합한 성격 또는 기호를 요약하면,

① 많은 사람들을 접촉하는 일을 좋아하는 성격

② 추상적이고 창조적인 성격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좋아하는 사람으로 지속적인 헤어디자이너의 자질 향상을 위해서는 美的 안목을 넓히고, 원만한 인격을 갖추도록 하며, 상식과 정보에 귀 기울이며 새로운 기술을 익혀서 끊 임없는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제4절 직무만족

1) 직무 만족의 개념

현대 조직사회에서 중요한 관심 중의 하나가 직무에 대한 만족여부이다.

그러나 직무만족의 개념을 한 마디로 명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다. 일반적 으로 직무만족이란 한 개인이 직무(Duty- 하나의 직업에서 요구하는 주요 한 업무 영역으로 서로 관련 있는 수행 작업들로 구성된다.)에 대해서 가지 고 있는 감정적이고 정서적인 선호도 즉, 얼마나 좋아하고 있는가를 의미한 다. 조직행동의 이론가들은 직무만족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원인과 결과는 무엇인가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다. 직무 만족은 조직에서 생활하고 있는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직무에서 의 불만족이 가져올 이직, 결근율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생각할 때 직무만 족은 중요한 영역일 수밖에 없다.16)

(38)

연구자에 따라 다소 관점의 차이가 있지만, 직무만족에 대한 개념 정의들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맥코믹과 티핀(E.J. McCormick & J. Tiffin)17)은 직무만족은 그 직무에 서 얻게 되거나 경험되는 욕구만족 정도의 함수로 보고, “직무만족이란 종 업원이 자신의 직무에 대해 가지는 특정 태도이다. 다시 말하면 직무만족은 자신의 직무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이다.”라고 정의하였다.

왝스리와 유클(Kenneth N. Wexley & Gary A. Yukl)18)은 직무만족이 란 인간의 직무에 대한 태도는 직무에 대해 가지고 있는 유쾌한 경험 혹은 불유쾌한 경험 그리고 미래 경험의 기대감을 반영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다시 요약하면, 직무만족은 직무에 대한 개인의 감정적인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즉 개인이 자신의 직무에 대해 가지는 행동이 아닌 특정적인 감정적 상태로서 자신의 직무를 얼마나 좋아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선호도이다.

또한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19)

첫째, 직무만족은 가치 판단적인 면에서 상당히 중요하다. 사람들은 대부 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내며, 직장은 단지 생계를 위한 소득을 얻는 것만이 아니라 삶의 만족을 누리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직무만족은 조직 이 사회에 대해서 가지는 사회적 책임의 한 범주로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직무만족은 정신적, 심리적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사람은 자 기 생활의 한 부분까지도 만족스럽지 않게 보아 그와는 상관없이 다른 부분 의 생활까지도 만족스럽게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직장생활의 만족 은 모든 면을 밝게 보고, 적극적으로 행동을 하게 한다.

16) 김선봉, 조직행동론, 민영사; 1996, p104.

17) E.J. McCormick & J. Tiffin, Industrial psychology, 6th ed.,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1974, pp.298~299.

18) K. N. Wexley & C. E. Schneier, Personnel Admuinisteation; An Experimental and Skill-Building Approach, 2nd 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 N.Y., 1955, pp.114~115.(이 근석, 은행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 p.5, 재인 용)

19) 허철부, 조직행위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0, p.337.

(39)

셋째, 직무만족은 신체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직무에 대한 불만은 스트레스를 쌓이게 하고 이는 인체에 많은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넷째, 관리자 가운데 직무만족이 작업자의 성과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가정 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 많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 들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이며 사려 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다섯째, 자신의 직무를 좋아하는 사람은 조직 외부 사회에 대하여 자신이 속한 조직을 호의적으로 이야기하게 된다. 이는 좋은 의미에서 공중관계 (publicrelation) 기능을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신입 조직원의 충원이 원활하게 되고, 일반대중이 그 조직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되 며, 조직 활동의 합법성과 목적이 고양된다.

여섯째, 조직의 입장에서 볼 때 직무만족이 높게 되면 이직률과 결근률이 낮아져 이에 따른 생산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곱째,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이직률과 결근률이 낮아져 이에 따른 생산성 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직무만족이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무만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행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직무만족이 어 떻게 결정되는지 구체적으로 명료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어떤 요인들이 직무만족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지 만 그러한 관계의 인과적 근거에 대한 부분을 소홀히 다루어져 오는 등 만 족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통합해줄 수 있는 포괄적인 직무태도 이론 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2) 직무만족에 관한 제이론

직무만족은 자신의 직무에 대한 호의적인 감정적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부분적으로는 동기부여 이론과도 관련을 맺고 있다. 맥코믹(E. J. McCormick) 등은 직무만족과 동기부여의 관계에 대해 “직무만족은 직무에 대하여 갖는 감

참조

관련 문서

• The sequences of Gaussian functions play a special role in connection with transforms in the limit.. • The properties which make the Gaussian functions

[r]

► Excess enthalpy da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emical engineering process design and operation.... Types

Although Korea has been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fusion power generation and Korea is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world stag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positive role of Slug and Twist in tumor invasion in CRA, and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wist and Slug expression

Effect of LRP6 on survivin expression in hypoxic cardiomyocytes (A) Expression of survivin in Ad-LRP6 and silencing LRP6 infected cardiomyocytes as determined by western

Urban freeway plays a key role in the urban transportation system and also takes a lot of share in the urban traffic generated in the big city. However,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illustration that was newly recognized, and confirmed the contribution of illustration to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