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지적 능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인지적 능력"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뇌성마비아의 장애유형과 조음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ies and Reading and Spelling Skills for Type of Disability

and Articulation Ability for the Cerebral Palsied

박 순 길*전 헌 선**

Park, Soon Gil Jun, Hun Sun

핵심어 : 뇌성마비아 장애유형 조음능력 인지적 능력 음운 인식 읽기 쓰기, , , , , ,

*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강사 교신저자( : gil1994@yahoo.co.kr) Department of Psychology, Kyung Nam University

** 대구대학교 치료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에 따라서 인지적 능력 음운 인식 단기 기억( , , 시지각 과 읽기 쓰기 기능 읽기 쓰기 문장 이해력 어휘력 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 ( , , , )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성마비아30명이며 장애유형별로 경직형, (23 )명 과 비경직형(7 ),조음능력별로 상위집단(17 )명 과 하위집단(13 )명 으로 구분하였다 조음능력 상위. 집단은 자음오류개수가 적은 집단 하위집단은 자음오류개수가 많은 집단이다,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차이는 숫자 단기 기억 폭이, 경직형이 비경직형보다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직형 뇌성마비아일, 수록 숫자 단기 기억 폭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은 조음 능력이 높은 집단일수, 록 음절 수 세기 숫자 단기 기억 폭 글자 단기 기억 폭이 높았다 또한 뇌성마비아, , . 는 조음 능력이 높을수록 읽기 쓰기 기능에서 어휘력 수행 능력이 우수하였다, .

셋째 뇌성마비아의 읽기와 상관이 있는 인지적 변인은 음운 인식의 음절탈락 음, , 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형태항상, , , 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으로 나타났다 쓰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변인을, , . 보면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탈락과 음절수세기가 나타났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모든, 하위변인들과 높은 상관이 있었다 문장이해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에서는 음. 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며 시지각 하위변인들과도 높은 상관이 있었다, , , ..

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 유형 시지각 유형 단기기억 유형에서 모든 하, , 위 변인들과 상관이 있었다.

Vol. 44, No. 4, pp. 127 147, 2005.

(2)

. 서 론

연구의 필요성 1.

뇌성마비아의 언어장애 특징은 언어 명료도 장애 표현 언어 장애 신경성 언어 장, , 애 언어 발달 지체 비구어의 경우 의사소통 기초 기능 장애 등이 있다 또한 뇌성마, , . 비아의 언어장애 출현율은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80% 이상의 뇌성마비아들이 언어장애를 수반한다고 볼 수 있다 최성규( , 1997;한경임, 1998).언어 장애가 수반되는 대부분의 뇌성마비아는 발성기관의 마비현상으로 인한 언어장애 발, 성기관의 운동조절 부족으로 인한 발음장애 유창성 장애 시각 또는 청각의 손상으, , 로 오는 감각장애나 뇌 손상 등으로 인한 언어발달 지체 등을 나타낸다 즉 뇌성마비. 아의 언어장애는 뇌 손상에 의한 운동장애가 원인이 되므로 언어장애 유형이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최성규( , 2001).

또한 뇌성마비아의 언어 발달은 비교적 지체되어 있는 편이다 이것은 뇌성마비가. 태내기와 신생아기 뇌 손상에 의한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성숙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따. 라서 뇌성마비아는 언어 발달 지체를 보이며 이것은 정신지체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 지며 정신지체 아동과 비슷한 언어발달 장애의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전헌선 등, ( , 그러나 많은 뇌성마비아는 인지 기능에 어려움이 없으며 표현 언어 발달에만

2004). ,

지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마비성 조음장애로 인해 운동 구어 조절. (motor 장애 때문이다

speech control) (Hardy, 1983; Lovett, 1992).

운동기능적 측면에서의 언어발달은 구어를 통한 자신의 의사전달을 하기 위해서 는 올바른 호흡 발성 공명 조음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박화문, , , ( , 2001). 발성을 하 기 위해서는 흡기에 이은 호기를 통하여 발성되어야 다음으로 조음과 발성이 이루어 진다 호흡은 본능적 행동이지만 말하기는 일정한 호흡량과 조음과 발성기관이 정확. , 성과 협응을 요구하는 복합적인 활동이다 뇌성마비의 경우 호흡 조정을 담당하는 대. 뇌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성기관인 인두 및 후두 혀 구강 등의 운동 기능 등과, , 관련된 근육 운동이 원만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난다 또한 뇌성마비아는 근육장애로. 인해 호흡 음성 조음에 장애를 갖고 있으며 신경장애로 인해 언어 습득에 영향을, , , 받게 된다 전헌선( , 1993).

(3)

유창성 장애는 말을 시작하기 어려운 경우 발성 도중에 말을 지속적으로 발성할, 수 없어서 힘들어하는 경우 낱말 또는 문장 중심의 발성보다는 한 음절씩 끊어서 말, 을 하는 장애로 경직형은 느리게 말하는데 반해 무정위 운동형은 빨리 말하거나 말 을 더듬는 현상이 발견된다 최성규( , 2001).

언어 명료도 장애는 구어를 가지고 있지만 조음 기관의 운동마비에 의하여 일어나 는 발성 언어 장애 혹은 신경성 조음 장애(dysathria)로서 수용 언어는 가능하지만 표현 언어 장애를 주로 나타낸다 전헌선 등( , 2004). 언어발달은 음운이 기초가 되어 어휘 통사 의미 등으로 연결되므로 뇌성마비아의 음운 장애는 자연히 언어발달 지, , 체로 이어진다 즉 양순음 등과 같은 단음절 중심의 발성 자체는 두 마디 그리고 세. 마디 음절의 발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말소리 산출 능력의 지체가 언어의 통사. 적 구조에 대한 이해 능력과 의미론에 따른 언어적 이행의 지체로 연결해서 해석할 수 없다 즉 심한 음운 발달 지체가 문장 구조의 습득과 문해 능력의 낮은 이해력으. 로 직결해서는 안 된다 뇌성마비아의 언어발달 지체는 발음의 명료성이나 운동능력. 의 문제점으로 해석되어야지 그러한 원인이 읽고 쓰는 능력의 부재로 연관해서는 안 된다 최성규( , 2001).

뇌성마비아는 대뇌의 병변에 따라 다양한 장애 유형을 나타내며 언어의 발달도 지 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를 장애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전헌선 등. ( , 경직형 뇌성마비아는 일반적으로 억양이 없고 단조롭고 느리게 말하 2004). (spastic)

며 노력성으로 후두에서 쥐어짜서 내는 것과 같은 소리가 특징적이며 소리의 크기, , , 높이의 조정이 나쁘다 경직형 뇌성마비아의 특징은 근 긴장도가 너무 높으며 과도. , 한 근육 긴장으로 점진적이고 유연한 운동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구어가 폭발적인 특성을 보이며 비정상적인 멈춤과 헐떡거리는 형태 또는 약하거나 실성증적인 음성, 의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지나친 긴장으로 조음 접촉을 너무 탄탄하게 하기 때. 문에 말더듬 징후와 비슷한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불수의 운동형. (athetoid)은 말에 명료도가 나쁘고 조음 장애가 많으며 기식성의 가성대 발성을 나타내기도 하고 헐, , 떡이는 모양의 잡음을 수반한 호흡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불수의 운동형 뇌성마비아. 의 특징은 목소리 크기가 약하여 속삭이는 소리 비정상적인 발성을 한다 따라서 단, . 어의 어미 음과 구의 마지막 단어가 종종 속삭이는 소리로 발성되는 것을 볼 수 있 다 운동 실조형. (ataxic)은 조음이 불명확하고 말하는 속도가 느리며 소리의 크기와, 높이는 단조롭지만 때때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소뇌 장애.

(4)

로 인한 구어가 느슨하고 리듬이 없는 특성을 보이며 로봇이 말하듯 끊어지는 듯한, 소리 즉 음절이 단절되는 발성을 특성으로 한다, .

또한 뇌성마비 아동의 문식성 발달 과정은 학령 전기 아동에 비해 학령 초기 아동 들의 문식 능력이 높고 독서시간이 길수록 문해와 독해 능력이 우수하며 경직형이, , 비경직형보다 문해 능력이 다소 우수하며 조음 능력이 우수한 아동일수록 문해와 철, 자 재인 능력도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노선옥( , 2001).

지금까지 살펴 본 뇌성마비아의 언어장애 특성들로 인해 뇌성마비아는 표현 언어 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문자언어의 발달이 음성언어의 발달과 병행한다는 선행 연구. (Durkin, 1963; Harste & Burke, 1979)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운동장애로 음성언 어의 발달에 장애가 있는 뇌성마비아는 문자언어 발달에 있어서도 일반 아동과 다른 특성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음의 문제를 가진 뇌성마비아는 분. 명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에 어려움을 가질 것이라고 예상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음. 에 문제를 가진 뇌성마비아를 대상으로 읽기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뇌성마비 아의 조음능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단어 읽기와 문장 이해력 어휘력에서 차, 이가 있는가를 밝히기 위한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특성 음운 인식 시지각 단기기억 들이( , , ) 읽기 쓰기 기능 읽기 쓰기 문장이해력 어휘력 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장애유형, ( , , , ) 별 경직형 비경직형( / ), 조음능력별 상위집단 하위집단 로 밝혀 보고 각 유형들과의 상( / ) , 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뇌성마비아의 언어기능 특성을 밝히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 2.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아의 장애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특성을 밝힌다, , . 둘째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특성을 밝힌다, , . 셋째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 .

용어 정의 3.

인지적 능력

1) (cognitive abilities)

(5)

인지적 능력이란 사물이나 사상에 대해 아는 과정이며 편집부( , 2003), 인간의 지각, 기억 판단 추리 등의 지적 정신적 작용 이정모, , , ( , 1999) 능력을 말한다 음성과 문자. 언어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으로 단기 기억 음운 인식 명명속도 등이, , 있으며 이강은( , 2004;이임숙 조증열, , 2003; Wanger & Torgesen, 1987), 본 연구에서 는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을 음운 인식 단기 기억 시지각 수행 능력으로 보았다, , .

연구 방법 .

연구 대상 1.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지체부자유 학교에 재학중인, 초등부 뇌성마비아 30명이다.

연구 도구 2.

본 연구의 연구 도구는 레이븐 지능 검사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을 측정하기 위, 해 그림자음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지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음운 인식 검사, , 단기 기억 검사 시지각 검사를 실시하였고 읽기 쓰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읽기 검, , , 사 쓰기 검사 문장 이해 검사 그림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들은 다, , , 음과 같다.

레이븐 검사 1) K-SPM

레이븐 지능 검사는 정신지체인의 유전적 K-SPM(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근원과 환경적 근원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언어적 기술과 학교에서, 습득된 지식의 여부에 의해서 주로 영향을 받는 기존의 지능검사들과는 달리 문화적, 학문적 배경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고안된 비언어적 검사로서 지각적 관계를 파악하 고 유추에 의해서 추론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임호찬( , 2004).

레이븐 검사는 연령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종류(CPM, SPM, SPM-P, APM)가 여 러 가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재학 이상의 학생에게 적용할 수 있는,

(6)

레이븐 지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이것은 임호찬 이 한국판으로 번역

K-SPM , (2004) ,

표준화한 것이다 한국가이던스( , 2004). K-SPM 레이븐 지능 검사의 장점으로는 비언 어성(non-verbal)이고 시각 장애인을 제외한 모든 장애인에게 비교적 공평하게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이다. K-SPM 5 가지 세트(A, B, C, D, 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세트는 12문항이고 전체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문항은 주어진 도형들의 관. 계를 추리해서 비어있는 곳에 들어갈 수 있는 도형을 찾아내는 검사이다 방법은 주어. 진 도형을 보고 아래에 개에서 개의 비슷한 도형을 제시한 것 중에서 찾는 것이다6 8 .

그림자음 검사 2)

그림자음 검사(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 PCAT)는 김영태(1994)가 아 동이 그림을 보면서 그것이 무엇인지를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동안 그 아동이 자음을 조음하는 능력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검사이다 이 검사에서 사용한. 21개의 그림 카드 는 글자를 모르는 아동들이 자발적인 조음 샘플을 유도해 내기 위한 것으로 아동이 주변 환경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상에서 다양한 어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그림. 들로부터 25개의 단어가 유도되는데 때로는 개의 그림에서 개의 단어가 유도되기1 2 도 한다. 25개의 단어로부터19개의 자음들이 검사되며 이들 19개의 자음들은 단어에 서 어두 어중 어말에서 나타내도록 고안되어 있다, , .

본 연구에서는25개의 단어에서 중복되는 자음을 모두 포함하여 전체 84개의 자음이 평가되었는데 그 중에서 오류가 있는 부분 중복되는 부분 포함 의 자음의 개수를 측정, ( )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은 자음 오류 개수를 나타낸다. .

인지적 능력 측정도구 3)

인지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음운 인식 검사 단기 기억 검사 시지각 검사를 인, , 지적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이 세 하위 변인은 읽기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 고되었고 김미경 서경희( , , 2003;김영우 서경희, , 2002;송종용, 1999; 신동경, 2000; 강은, 2004; 이원령, 2003; 이임숙 조증열, , 2003; 이차숙, 1999; 이혜숙, 1997;

음성과 문자 언어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 Sandberg & Hjelmquist, 1997),

인으로 단기 기억 음운 인식 명명속도 등이 있다 이강은, , ( , 2004; 이임숙 조증열, , 는 보고에 의해서 본 연구에서는 음운 인식 단기 2003; Wanger & Torgesen, 1987) , , 기억 시지각을 인지적 변인으로 보았다, .

(7)

음운 인식 측정도구 (1)

본 연구에서는 음운 인식 검사의 여러 유형 중에서 그림으로 제시할 수 있으면서, 뇌성마비아에게 가장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음절 탈락 검사 음절 수, 세기 검사 음소 변별 검사를 음운 인식 검사로 선정하였다 음운 인식을 측정하는, . 방법은 다양하게 있지만 본 연구에서 세 가지 하위요인만 측정한 이유는 음절탈락, 음소변별 검사는 일반아동이나 학습장애 읽기장애 아동들에게 일반적으로 음운 인식, 을 측정하는 과제로서 가장 많이 적용하는 방법들이고 또 음운 인식을 가장 잘 예언, 해 주는 변인들이기 때문이다 음절 수 세기 검사는. Sandberg Hjelmquist(1997) 연구에서처럼 음절 인식을 알아보는 또 다른 방법이고 뇌성마비아에게 적용하기에, 적절한 측정 과제라고 판단되었기에 음운 인식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이 뇌성마비아이기 때문에 비언어적인 검사 방법이 적절하다고 판 단하여 선행 연구 이원령( , 2003;김영우, 2002; Sandberg & Hjelmquist, 1997)를 참조 하여 모든 음운 인식 검사를 그림으로 자료화하였다 음운과 동시에 그림을 제시하여. 야 하기 때문에 단어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하지 아니한 음운, 인식 측정 방법 영역은 그림으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단어를 선정하는데 어려움 이 있었기 때문에 제외시켰다.

음운 인식 측정 도구는 본 연구자가 직접 단어 선정 및 제작하였으며 음운 인식, 검사의 하위 검사들은 다음과 같다.

음절 탈락 척도

음절 탈락 검사는 음절어로 된 의미단어로 되어 있으며 첫음절 탈락 문항 중간3 , 4 , 음절 탈락 문항 끝음절 탈락 문항으로 전체4 , 4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절 탈락. 검사에서 사용된 단어들은 선행 연구 이원령( , 2003;김영우 서경희, , 2002)의 연구에서 와 같이 그림 카드로 되어 있다.

절차는 검사자가 음절 의미단어를 불러주고 첫음절 중간음절 끝음절 중에 특정3 , , 음절을 탈락시키면 어떤 음절이 남는지를 그 음절에 해당하는 그림을 그림카드에서 아동이 찾게 하는 것이다 각 음절 탈락 검사를 하기 전에 연습 문항을 실시하여 충. 분히 이해한 다음 실시한다 카드. 1장에 3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손이나 다양한 보 완대체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해서 찾게 한다 전체 , 12장의 카드로 구성되며 맞으면 점을 주고 틀리면 점을 주게 된다 전체 점수는 점에서 점까지이다 이 척도의

1 0 . 0 12 .

신뢰도 계수(Cronbach’s ) .84α 이었다.

(8)

음절 수 세기 척도

음절 수 세기 검사는 그림카드 장에 한 개의 단어 음절1 (1 , 2음절, 3음절, 4음절 에) 해당하는 그림을 제시하고 검사자가 그림에 해당하는 단어를 읽어주면 몇 음절인지, 를 아동이 손가락이나 언어로 표현하게 한다 제시하는 카드의 음절 개수는 순서를. 섞어서 실시하고 실시 전에 연습 문항을 한다 각 음절마다 문항씩 구성되어 있으, . 3 며 전체 12문항이다 맞으면 점 틀리면 점으로 전체. 1 , 0 12점이 만점이다 이 척도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 .80α 이었다.

음소 변별 척도

음소 변별 과제는 김현자(2002)가 사용한 음운 인식 검사 50문항 중에서 본 연구의 특성에 알맞은 초성 탐지와 종성 탐지에 사용된 단어10개를 자극 단어로 사용하였다. 이 자극 단어 10개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그림 카드를 제작하였다.

그림 카드는 장의 카드에 음절로 된 개의 그림을 제시하고 검사자가 음절로1 1 3 , 1 된 단어를 불러주면 아동이 비슷하게 들리는 단어를 그림에서 찾는 것이다 음소변별. 검사는 초성 음소 변별 10문항 종성 음소 변별, 10문항으로 구성되며 검사자가 불러 주는 자극 음절은 초성 음소 변별과 종성 음소 변별이 같다 음소 변별 검사에서 사. 용되는 모든 단어는 음절로 되어 있다 즉 그림카드에 제시된 그림도 음절로 된 의1 . 1 미단어이고 검사자가 불러주는 단어도, 1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절차는 그림카드에. 있는 그림을 보면서 검사자가 각각 읽어주고 자극단어를 불러주면서 비슷하게 들리 는 그림이 어느 것인지를 찾게 한다 검사 실시 전에 연습 문항을 실시한다 맞으면. . 점 틀리면 점을 주며 초성 음소 변별 종성 음소 변별 각각 점 만점이다 음소

1 0 , 10 .

변별 검사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 .53α 이었다.

단기 기억 측정도구

(2)

단기 기억 측정 도구로는 글자 따라하기 글자 폭 과제 와 숫자 따라하기 숫자 폭( ) ( 과제 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을 할 수 있는 기억 능력은 무한할 수가 있기 때문) . 에 기억 폭(memory span)에서 만점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검사 구성. 세트를 글자 폭 세트 숫자 폭 세트로 구성을 하였으며 두 검사에서 점수 측정 방8 , 8 , 법은 같다.

글자 비단어 ( ) 폭 척도

글자 따라하기는Baddeley Gathercole, Papagno(1998), Gathercole Baddeley(1990)

(9)

는 비단어 따라하기 과제 (nonword repetition task)’를 사용하였는데 이들은 이 과제에서, 사용된 자극들이 영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단어이기 때문에 어휘적 지원(lexical support) 을 받지 못하고 따라서 순수한 음운 루프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 . 서는 글자 폭 검사를 서상록(2001)이 사용한 한글로 된 비단어 따라하기 과제를 사용하였 다 이 과제는 자음 단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 없는 글자만을 사용하였으며 비단어 중간. + , 에 의미 있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단어의 음절수는 개에서부터. 2 9 개 가 루 너 차 비 도 수 노 오 까지이며 음절수가 같은 비단어 개가 한 세트로 총( , , , , , , , , ) 2

개 세트로 이루어져 있다

8 .

절차는 실험자가 한 글자당 초가 되게 읽어주면 아동은 그것을 기억하고 있다가1 그대로 따라해야 한다. 2개의 자극으로 이루어진 각 세트에서 성공하면 음절수를 하 나씩 늘려 나간다. 2개 모두 따라하는데 실패하면 과제를 중단한다 한 음절이라도. 따라하지 못하거나 글자의 순서를 바꾸었을 경우에는 실패로 처리한다 점수는 아동. 이 개로 되어 있는 세트 중에서 하나를 따라하지 못했을 경우 점을 주고4 3 , 3개로 된 세트 중에서 하나를 성공하면 2.5점을 주게 된다.

숫자 폭 척도

단기 기억의 또 다른 측정도구인 숫자 따라하기는 서상록(2001)이 사용한 숫자 폭 과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을 제외하고 부터 까지의 숫자만 사용해서 재구0 1 9 성하여 사용하였다 절차는 초에 개의 속도로 숫자를 읽어준 다음 따라하게 한다. 1 1 . 이 과제에 사용되는 자극은 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것부터 시작하여 개까지 늘려간2 9 다 숫자의 개수가 같은 개의 자극이 한 세트이며 총 개 세트로 구성된다 비단어. 2 8 . 따라하기와 마찬가지로 한 세트에 개 모두 실패하면 중지한다 점수는 아동이 개로2 . 2 되어 세트를 모두 성공했을 경우 점을 주고2 , 3개로 된 세트 중에서 하나를 성공하면

점을 주게 된다

2.5 .

시지각 기능 검사 (3)

시지각 기능 검사(Test of Visual-Perceptual Skills(non-motor)-Revised: TVPS-R) Gardner(1982)에 의해 고안된 비운동 시지각 기능 검사 개정판(Gardner, 1996)으로 개의 하위영역을 가진다 하위 검사로는 시각 변별 시각 기억 7 . (visual discrimination),

시 공간 관계 시각 형태 항상성

(visual memory), - (visual-spatial relationship), (visual

시각 계열 기억 시각 전경 배경

form constancy), (visual sequential memory), - (visual

시각 완성 으로 구성되어 있다

figure-ground), ( visual closure) .

(10)

의 장점으로는 첫째 도형으로만 구성된 문화 초월 검사인 동시에 미국에

TVPS-R ,

서는 그 효용성과 타당도가 이미 입증된 검사이다 둘째 자극재료로 기하학적 상징. , 을 사용하며 글자와 낱말을 사용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혼동 즉 이전의 경험과 지식 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배제한 검사이다(Watson & Willows, 1995). 본 연구 에서 사용한 시지각 기능 검사는 비운동성이면서 다양한 영역을 평가하고 시각 기억, 이나 시각 계열 기억 시각 완성 등 기존의 검사에서 사용하지 않은 영역들이 포함되, 어 있다.

이 검사는 세에서4 13세까지 아동의 비운동 시지각 기능검사를 측정하기 위해 고 안되었다 전체 시행 시간은 약, 30-45분이며, 7개의 각 하위 영역은 각각16개의 문 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맞는 것이나 틀린 것을 찾도록 되어 있으며 맞으면 점 틀, , 1 , 리면 점을 주게 되며 만점은0 , 16점이다. TVPS-R(개정판 의 신뢰도) (Cronbach’s )α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 이었다

.83-.92 , (Cronbach’s ) .81-.94α .

읽기 쓰기 기능 측정도구

4) ,

읽기 쓰기 검사는 기초 학습 기능 검사 박경숙 윤점룡 박효정, ( , , , 2001)의 하위 영역 인 언어 기능 읽기( , 읽기 , 쓰기 과 그림 어휘력 검사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 , , , 백현정, 1995)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 학습 기능 검사의 언어기능에서 읽기. 은 순 수한 아동의 읽기를 검사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읽기 검사로 정의 하였고 읽기 는 문장이해력 검사로 쓰기는 쓰기 검사로 정의하여 측, , 정하였다.

자료 처리 3.

연구 대상 아동에서 조음 능력별로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장애 유형별로 경직형, 과 비경직형이 동질 집단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하였다.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은 자음 오류 개수를 말하며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을, 평균보다 자음 오류 개수가 적은 집단을 상위집단(17 ), 많은 집단을 하위 집단(13 명 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뇌성마비아의 장애유형은 뇌성마비의 신경 운동 분포) , 에 의한 분류인 경직형(23 )명 과 비경직형 명 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7 ) . 목적에 따른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변량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 .

(11)

연구 결과 .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1. ,

수행 비교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은 뇌성마비의 신경 운동 분포에 의한 분류로서 경직형 23 명과 비경직형 불수의 운동형 명 운동 실조형 명( 4 , 3 ) 7명으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면 < 3-1> 과 같다.

표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일반적 특성

< 3-1>

장애 유형

생활연령 세 ( ) 정신연령 세 ( ) 지능지수 (IQ)

M SD

범위

t M SD

범위

t M SD

범위

t

경직형

(

n

=23) 10.50 23.04 7.17- 13.83

-.66

5,95 19.81 3.17- 10.67 .58

56.67 14.71 29.00- 82.00 비경직형 .92

(

n

=7) 10.94 17.43 9.08-

12.58 5.59 16.22 4.38- 8.17 51.10 13.69 35.00- 71.00

을 보면 생활연령은 경직형이 세 비경직형이 세이며

< 3-1> 10.50 , 10.94 (t=-.66, 정신연령은 경직형이 세 비경직형이 세로 나타났으며 집단별 ns), 5.95 , 5.59 (t=.58, ns),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능지수는 경직형이. 56.67, 비경직형이 지능지수 51.10으로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92, ns). 따라서 장애유형에 따라 경직형과 비경직 형은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뇌성마비아의 장애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비교 1)

뇌성마비아의 경직형과 비경직형이 인지적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 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 3-2> 에 제시되었다.

(12)

표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집단별 차이 비교

< 3-2>

변인 경직형 (

n

=23) 비경직형 (

n

=7)

M SD M SD F

음절탈락 8.35 3.59 7.57 3.74 .25

음절수세기 8.65 4.51 7.57 3.91 .33

초성음소변별 4.04 2.18 4.86 1.57 .83

종성음소변별 3.26 1.45 3.43 1.72 .07

글자 폭 3.89 1.04 3.29 .70 2.05

숫자 폭 4.13 1.17 3.00 .71 5.80

*

시각변별 5.39 4.44 3.00 3.21 1.73

시각기억 5.78 3.79 5.57 3.46 .02

시공간관계 3.87 4.69 3.57 5.68 .02

시각형태항상성 4.52 3.07 4.86 2.19 .07

시각계열기억 4.04 3.02 2.14 1.95 2.43

시각도형배경 4.78 3.50 4.43 2.94 .06

시각완성 3.91 3.06 2.43 1.27 1.54

*

p

<.05 에서와 같이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라 단기 기억의 숫자 폭 과제

< 3-2>

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F(1, 28)=5.80, p<.05). 즉 숫자 폭 과제에서 경직형 이 비경직형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M=4.13) (M=3.00) .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차이는 숫자 단기 기억 폭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직형 뇌성마비아일수록 숫자 단기 기억 폭이 더 높, 다고 할 수 있다.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읽기 쓰기 기능 비교

2) ,

뇌성마비아의 경직형과 비경직형이 읽기 쓰기 기능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 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 3-3> 에 제시되었다.

< 3-3>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읽기 쓰기 기능 집단별 차이 비교 표 , 변인 경직형 (

n

=23) 비경직형 (

n

=7)

M SD M SD F

읽기 18.22 11.38 20.00 13.48 .12

쓰기 14.13 9.46 13.29 9.53 .04

문장이해력 7.52 10.95 4.71 5.56 .42

어휘력 61.43 29.92 62.57 18.59 .01

(13)

에서와 같이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라 읽기 쓰기 기능이 집단별

< 3-3> ,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경직형 뇌성마비아와 비경직형 뇌성마비아. 는 읽기 쓰기 문장 이해력 어휘력에서 집단별 차이가 없었다, , , .

2.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 비교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 자음오류개수 이 평균( ) (M=23.80)보다 자음 오류 개수가 적 은 집단(M=9.24)을 상위집단(n=17),자음 오류 개수가 많은 집단(M=42.85)을 하위집 (n=13)으로 나누었으며 이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면 < 3-4> 와 같다.

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일반적 특성

< 3-4>

조음 능력

생활연령 세 ( ) 정신연령 세 ( ) 지능지수 (IQ)

M SD

범위

t M SD

범위

t M SD

범위

t

상위집단

(

n

=17) 10.48 20.66 7.17- 13.25

-.44

6.04 15.76 4.23- 8.30 .63

57.63 12.97 29.00- 69.35 하위집단 .96

(

n

=13) 10.78 23.95 7.17-

13.83 5.65 22.70 3.17- 10.67 52.41 16.21 67.00- 120.00

에서와 같이 생활연령은 조음 능력이 높은 집단이 세 낮은 집단

< 3-4> 10.48 ,

10.78세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44, ns). 정신연령은 조음 능력이 높은 집 단이6.04 ,세 낮은 집단이 5.65세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63, ns). 능지수는 조음 능력이 높은 집단이 57.63이고 낮은 집단은, 52.41로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96, ns).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 상위집단과 하위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두 집단은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 비교 1)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 상위집단과 하위집단별로 인지적 능력에서 차이를 보이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 3-5> 에 제시되 었다.

(14)

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 집단별 차이 비교

< 3-5>

변인 조음능력 상 (

n

=17) 조음능력 하 (

n

=13)

M SD M SD F

음절탈락 8.71 3.24 7.46 4.01 .89

음절수세기 9.76 3.70 6.62 4.59 4.33

*

초성음소변별 4.47 1.91 3.92 2.29 .51

종성음소변별 3.71 1.21 2.77 1.69 3.13

글자 폭 4.12 .74 3.27 1.11 6.30

*

숫자 폭 4.26 1.02 3.35 1.20 6.22

*

시각변별 4.82 4.29 4.85 4.39 .00

시각기억 6.18 3.66 5.15 3.72 .57

시공간관계 4.94 4.97 2.31 4.40 2.28

시각형태항상성 4.59 1.80 4.62 3.93 .00

시각계열기억 3.76 2.49 3.38 3.45 .12

시각도형배경 4.82 2.30 4.54 4.45 .05

시각완성 3.82 2.56 3.23 3.17 .32

*

p

<.05 에서와 같이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나는지를 알

< 3-5>

아보면 음운 인식 유형의 음절 수 세기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F(1, 28)=4.33, 즉 조음 능력 상위 집단 이 하위 집단 보다 음절 수 세기 수 p<.05. (M=9.76) (M=6.62)

행 점수가 더 높았다 이것은 조음 능력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음절 수 세기를. 더 잘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기 기억 유형의 글자 폭. , F(1, 28)=6.30, p<.05,숫자 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F(1, 28)=6.22, p<.05.글자 폭 과제에서 조음 능 력 상위 집단(M=4.12)이 하위 집단(M=3.27)보다 단기 기억 폭이 높았다 숫자 폭 과. 제에서도 조음 능력 상위 집단(M=4.26)이 하위 집단(M=3.35)보다 단기 기억 폭이 더 높았다.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음절 수 세기를 잘하고, 단기 기억 폭이 더 높았다.

(15)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읽기 쓰기 기능 비교

2) ,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이 읽기 쓰기 기능에서 차이를 보이, 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을 한 결과가< 3-6> 에 제시되었다.

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읽기 쓰기 기능 집단별 차이 비교

< 3-6> ,

변인 조음능력 상 (

n

=17) 조음능력 하 (

n

=13)

M SD M SD F

읽기 21.41 10.46 15.00 12.59 2.32

쓰기 15.59 8.34 11.77 10.39 1.25

문장이해력 6.82 7.87 6.92 12.50 .00

어휘력 70.65 23.04 50.00 29.08 4.72

*

*

p

<.05 에서와 같이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라 어휘력이 집단별 차이가 유

< 3-6>

의미하였다, F(1, 28)=4.72, p<.05. 즉 조음 능력 상위 집단(M=70.65)이 하위 집단 보다 어휘력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 상위집단이 하

(M=50.00) .

위집단보다 어휘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과의 상관관계

3. ,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인 음운 인식 유형 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 , , , 종성음소변별), 단기 기억 유형 글자 폭 숫자 폭( , ), 시지각 유형 시각변별 시각기억( , , 시 공간관계 시각형태항상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 배경 시각완성 과 읽기 쓰기- , , , - , ) , 기능 읽기 쓰기 문장이해력 어휘력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면( , , , ) < 3-7> 과 같다.

(16)

< 3-7>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의 하위 변인 상관관계 표 ,

(

N

=30)

변인 읽기 쓰기 문장

이해력

음절 탈락

음절수 세 기

초성 음소

종성 음소

시각 변별

시각 기억

시공 관계

시각 형태 항상성

시각 계열 기억

시각 전경 배경

시각 완성

글자

쓰기 .75***

문장

이해력 .50**.58**

어휘력 .59**.61***.55**

음절탈락 .50**.43* .43* .66***

음절수

세기 .59**.56** .45* .57** .51**

초성음소 .43* .25 .48** .40* .49** .43* 종성음소 .27 .26 .36 .57** .54** .29 .56**

시각변별 .35 .56** .44* .52** .27 .47** .24 .10 시각기억 .41* .46* .48** .65*** .39* .45* .31 .30 .75***

시공간

관계 .42* .66***.49** .72*** .42* .47** .28 .33 .52**.56**

시각형태

항상성 .40* .36+ .49** .52** .45* .31 .29 .30 .49**.62*** .33 시각계열

기억 .49**.52** .66*** .45* .34+ .49** .48** .20 .49**.58** .52** .52**

시각전경

배경 .50**.55** .63*** .62*** .52** .39* .32 .30 .61**.57** .51** .77*** .53**

시각완성 .24 .41* .48** .48** .50** .39* .34 .42* .52**.41* .53** .56** .48** .48**

글자 폭 .36 .31 .22 .42* .40* .32 .36 .51** .19 .26 .41* -.08 .25 .03 .30 숫자 폭 .30 .29 .39* .44* .40* .38* .50** .54** .36 .24 .40* .04 .27 .22 .50

**

.78

***

*

p

<.05 **

p

<.01 ***

p

<.001 에서와 같이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 하위 변인간

< 3-7> ,

의 상관을 보면 읽기에서는 종성 음소 변별 시각변별 시각완성 글자 단기 기억 숫, , , , 자 단기 기억을 제외한 모든 인지적 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40<r<.59). 쓰기

(17)

에서는 초성 음소 변별 종성 음소 변별 시각 형태 항상성 글자 단기기억 폭 숫자, , , , 단기 기억 폭을 제외한 모든 인지적 능력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41<r<.66), 장 이해력은 종성 음소 변별 글자 단기 기억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 (.39<r<.66)과 어 휘력은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40<r<.72).

또한 읽기 쓰기 문장 이해력과 어휘력 사이에는 유의한 높은 상관을 보였다, , (.50<r<.75).

따라서 뇌성마비아의 읽기와 상관이 있는 인지적 변인은 음운 인식의 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형태항, , , , 상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으로 나타났으며 단기기억 유형에서는 유의한 상관, , , 이 나타나지 않았다.

쓰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변인을 보면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탈락과 음절수세기, 가 나타났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모든 하위변인들과 높은 상관이 있었다, .

문장이해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 , 이며 시지각 하위변인들과도 높은 상관이 있었으나 단기기억 폭에서는 유의한 상관, , 이 나타나지 않았다.

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 유형 시지각 유형 단기기억 유형에서 모든 하, , 위 변인들과 상관이 있었다.

그러므로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차이는 경직형이 비경직형 보다 숫자 단기 기억 폭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직형 뇌성마비아일, 수록 숫자 단기 기억 폭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뇌성마비아의 조음능력에 따. 라서는 조음능력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음절 수 세기를 잘하고 단기 기억 폭이, 더 높았다 읽기 쓰기 기능에서는 조음 능력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어휘력이 뛰. , 어나다고 할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아 30명을 대상으로 K-SPM 레이븐 지능 검사 그, 림자음 검사 음운 인식 검사 단기 기억 검사 시지각 검사 기초학습기능 검사의 언, , , , 어 기능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 음운 인식 검사 단기, . ( ,

(18)

기억 검사 시지각 검사 과 읽기 쓰기 기능 읽기 검사 쓰기 검사 문장 이해력 검사, ) , ( , , , 어휘력 검사 에 따라 조음 능력별 장애 유형별 차이를 보였는지를 알아보았으며) , , 뇌성마비아의 인지적 능력과 읽기 쓰기 기능 하위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첫째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차이는 숫자 단기 기억 폭이, 경직형이 비경직형보다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직형 뇌성마비아일수, 록 숫자 단기 기억 폭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은 조음 능력이 높은 집단일수, 록 음절 수 세기 숫자 단기 기억 폭 글자 단기 기억 폭이 높았다 또한 뇌성마비아, , . 는 조음 능력이 높을수록 읽기 쓰기 기능에서 어휘력 수행 능력이 우수하였다, .

셋째 뇌성마비아의 읽기와 상관이 있는 인지적 변인은 음운 인식의 음절탈락 음, , 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시각기억 시공간관계 시각형태항상, , , 성 시각계열기억 시각전경배경으로 나타났다 쓰기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변인을 보, , . 면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탈락과 음절수세기가 나타났고 시지각 유형에서는 모든 하, 위변인들과 높은 상관이 있었다 문장이해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식에서는 음절. 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이며 시지각 하위변인들과도 높은 상관이 있었으나, , , , 단기기억 폭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어휘력과 유의한 상관은 음운 인. 식 유형 시지각 유형 단기기억 유형에서 모든 하위 변인들과 상관이 있었다, , .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하여 제언을 하면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의 신경분포에 의 한 분류인 경직형과 비경직형의 장애 유형에 따라 읽기 쓰기 기능에서 차이가 나타, 나지 않았으므로 인원을 통제하여 후속 연구에서 밝힐 필요가 있다.

(19)

참 고 문 헌

김미경 서경희 , (2003).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 인식 능력과 읽기 유창성 연구 . 정서행동 ․ 장애연구 , 19(4), 381-399.

김영우 서경희 , (2002). 음운 인식 훈련이 읽기 장애 아동의 문자 해독에 미치는 영향 . 특 수교육재활과학연구 , 41(2), 115-137.

김영태 (1994). 그림자음검사 한국언어치료학회 . .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 , , (1995). 그림 어휘력 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 김현자 (2002). 유아의 한글 읽기와 음운 인식 공간개념과의 관계 , . 미간행 석

사학위 논문 경남대학교 , .

노선옥 (2001). 뇌성마비 아동의 문식성 발달 특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민중서림 편집부 편 (2003). 엣센스 국어 사전 서울 민중서림 . : .

박화문 (2001). 지체부자유아 심리.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 .

서상록 (2001). 초등학생의 학습인지구조와 한글과 영어학습 학업효능감 및 , 성적과의 관계 .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남대학교 , .

송종용 (1999). 한글 읽기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 . 신동경 (2000).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문자 학습에 미치는 효

과 .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이강은 (2004). 초등학생에서 인지 언어적 및 동기적 변인이 한글영어 읽기에 미치 - ․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남 대학교 . , .

이원령 (2003). 음운 인식 훈련이 읽기장애아동의 음운 인식과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

이원령 이상복 , (2003). 음운 인식훈련을 통한 읽기장애아동의 음운 인식 변화와 읽기능력에 관한 연구 . 정서 행동장애연구, 19(4), ․ 401-424.

이임숙 조증열 , (2003). 초등학생의 읽기와 인지적 변인들과의 인과적 관계 . 한국심리학회 지 발달 : , 16(4), 211-225.

이정모 외 (2003). 인지심리학 개정판 ( ). 서울 학지사 : .

이차숙 (1999). 유아의 음운 인식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학연

구 , 37(1), 389-406.

(20)

이혜숙 (1997).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임호찬 (2004). K- 레이븐검사 (K-SPM). 서울 한국가이던스 : .

전헌선 (1993). 뇌성마비아 언어치료를 위한 호흡훈련 프로그램 . 난청과 언어장애, 16(2), 152-159.

전헌선 노선옥 한경임 , , (2004). 뇌성마비아 언어 치료 교육. 대구 대구대학교출판부 : . 최성규 (2001). 장애아동 언어지도.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 .

Baddeley, A., Gathercole, S., & Papagno, C.(1998). The phonological loop as a language learning device.

Psychological Review, 105

, 158-173.

Gardner, M. F.(1982).

Test of Visual-Perceptual Skills(non-motor)

. San Francisco: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ublication.

Gardner, M. F.(1996).

Test of Visual-Perceptual Skills(non-motor)-Revised Manual.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Gathercole, S. E., & Baddeley, A.(1990). Phonological memory deficits in language disordered children: Is there a casual connection?.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29,

336-359.

Harste, J., Burke, C., & Woodward, V.(1994). Children's language and World : Initial encounters with print. In R. Ruddell, & H. Singer,(Eds),

Metacognition, cognition, and Human performance

. Academic Press, Inc.

Lovett, M. W.(1992). Developmental dyslexia. In : S. J. Segalowitz, I. Rapin, F., &

Boller, J. Grafman(eds.),

Handbook of Neuropsychology, 7, Child Neuropsychology

. Amsterdam : Elsevier.

Sandberg, A. D., & Hjelmquist, E.(1997). Language and literacy in nonvoca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ading and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9

, 107-133.

Wanger, R. K., & Torgesen, J. K.(1987). The nature of phonological processes and its casual role in the acquisition of reading skills.

Psychological Bulletin

,

101,

192-212.

Watson, C., & Willows, D. M.(1995). Information-processing patterns in specific

reading disability.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8,

216-231.

수치

표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른 인지적 능력 집단별 차이 비교 &lt; 3-2&gt; 변인 경직형 ( n =23) 비경직형 ( n =7) M SD M SD F 음절탈락 8.35 3.59 7.57 3.74 .25 음절수세기 8.65 4.51 7.57 3.91 .33 초성음소변별 4.04 2.18 4.86 1.57 .83 종성음소변별 3.26 1.45 3.43 1.72 .07 글자 폭 3.89 1.04 3.29 .70 2.05 숫자 폭 4.13 1.17 3
표 에서와 같이 뇌성마비아의 장애 유형에 따라 읽기 쓰기 기능이 집단별 &lt; 3-3&gt; , 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경직형 뇌성마비아와 비경직형 뇌성마비아
표 뇌성마비아의 조음 능력에 따른 인지적 능력 집단별 차이 비교 &lt; 3-5&gt; 변인 조음능력 상 ( n =17) 조음능력 하 ( n =13) M SD M SD F 음절탈락 8.71 3.24 7.46 4.01 .89 음절수세기 9.76 3.70 6.62 4.59 4.33 * 초성음소변별 4.47 1.91 3.92 2.29 .51 종성음소변별 3.71 1.21 2.77 1.69 3.13 글자 폭 4.12 .74 3.27 1.11 6.30 * 숫자 폭

참조

관련 문서

Nevertheless, It's weak for Korean students to pronouncing English words correctly because of education circumstances which is focusing on an reading

phonics and whole-word approaches, interests in reading English words, reading English with visual and auditory phoneme discrimination in element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on improving the attitudes of regular elementary school

Key words: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Kauffman Campus, critical success factors of Entrepreneurship programs, interdisciplinary entrepreneurship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structurally classifying the occupational abilities of machinery specialists who graduated technical high schools, verifying

Chapter 3 identifies phonological conditions of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and analyses correlations between social variables such as style of speech, 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The locations of aneurysms were middle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 15 patients, cerebral artery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