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진연구자 컬럼] 연성응집물질을 위한 이론 및 수치모사 기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신진연구자 컬럼] 연성응집물질을 위한 이론 및 수치모사 기술"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8

…NICE, 제28권 제2호, 2010

신진연구자 컬럼

서론

연성응집물질의 모델링과 이의 전산모사는 컴퓨터 성 능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연구가 쉽지 않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주로 연성응집물질이 보여주는 정적/동적 상거동이 대단히 많은 분자의 상호 작용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보여 주는 폴리머 멜트는 다음의 3가지 특징적 어려움을 가지 고 있다.

엉킴효과(entanglement effect)

매우 길거나 넓은 대표적 시간 및 공간 스케일 마이크로 혹은 나노구조를 띈 유체의 복잡한 자유에너 지 구조

이러한 특징적 어려움이 연구자들로 하여금 원자 수준 분자동력학의 이용 대신 좀 더 대단위화(coarse-grained) 된 방법론에 의존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가장 촉망받는 방법은 엉킴효과와 큰 시간/공간 스케일 문제를 부분적 으로 해결할 수 있는 멀티스케일(multi-scale) 방법론과 마이크로 혹은 나노구조를 띄는 복잡유체(complex fluid)의 자유에너지를 직접 계산할 수 있는 장이론적 (field theoretic) 방법론이다.

본 칼럼에서는 폴리머 멜트를 예로 사용해 연성응집물 질의 모델링과 전산모사 기법, 즉 대단위화된 모델 및 원 자 수준에서 메소스케일로의 멀티 스케일 방법 그리고 장이론적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연성응집물질을

위한 이론 및 수치모사 기술

2003 SK에너지 연구원

2007 Univ. of California, Santa Barbara 화학공학 박사

2010 Max Planck Institute for Polymer Research 박사후 연구원

현 재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조교수

이 원 보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wblee92@sogang.ac.kr

그림 1. PPA(primitive path analysis)에 의해 만들어진 고리모양

폴리머의 엉킴현상 스냅사진.

(2)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Vol. 28, No. 2, 2010…

209 이원보

대단위화 모델과 멀티스케일 방법

대단위화 모델은 주로 균일상(homogeneous)을 갖는 폴리머의 모사에 사용되어 왔다. 이는 폴리머 가 충분히 길어지면 원자 혹은 분자 수준의 화학적 구조와는 상관없이 보편적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가능했다. 1990년 크레머와 그레스트(Kremer- Grest)는 폴리머 멜트의 엉킴효과를 대단위화된 모 델을 사용하여 모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를 출발점으로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멜트의 정적 및 동적거동에 대해 이해의 깊이 를 더했다.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폴리 머의 보편적 특성 뿐만 아니라 원자나 분자수준의 화학적 구조에 기반한 물성에도 관심이 점점 더해지 고 있다. 이는 원자 스케일과 대단위화된 스케일을 연결해주는 스케일 브릿징(scale-bridging) 방법 즉 멀티스케일 기법으로 접근하여 해결할 수 있고 현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스케일 브릿 징 방법은 전산적 되틀맞춤이론(renormalization theory)이라 칭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다른 길이 혹은 시간 스케일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이상적으로는 이를 통해 전자-원자-대단 위-연속체(continuum) 스케일을 모두 연결할 수 있 다. 현재까지 가장 성공을 거두고 있는 분야는 원 자-대단위간 멀티스케일 전산모사이다.

폴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그림 2(B)]와 같이

먼저 어떻게 대단위화 모델의 비드(bead)를 구성할 지 결정하고[이를 맵핑(mapping)이라 함], 분자동력 학 전산모사를 기반으로 대단위화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얻은 대단위화 모델을 이용해 원자 수준의 분자 동력학으로는 연구가 불가능한 시간스케일의 전산모 사를 통해 특정 폴리머의 물성을 계산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원자 수준의 화학적 구조에 의존하는 물성은 백맵핑(back-mapping)을 통해 대단위화 모델을 원 자수준의 분자동력학 모델로 바꾸어 얻어낼 수 있다.

장이론적 방법

대단위화된 분자동력학이 주로 균일한 상을 갖는 시스템에 적용이 된다면, 장이론적 방법은 불균일 (inhomogeneous)한 상(특히 나노크기의 자기조립 구조)을 연구하는데 그 장점이 있다. 이는 복잡한 연 성응집물질 시스템을 장변환(field transformation) 을 통해 자유에너지를 쉽게 얻어 낼 수 있는 구조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변환은 [그림 2]에 서 볼 수 있듯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여러 분자 문 제를 단일 분자 문제로 바꾸어 준다. 이 단일 분자는 외부장(external field)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장이론 모델은 단순화된 분자 간 상호작용 을 적용하나 분자의 구조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 기 때문에 폴리머처럼 긴 분자(보편적 특성을 가지 는 시스템)에 적용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

그림 2. (A)특성(characteristic) 길이 및 시간 스케일에 따른 전사모사 방법, (B)폴리스타이렌의 대단위화 예.

[Macromolecules (2009) 42, 7579]

(3)

210

…NICE, 제28권 제2호, 2010

신진연구자 컬럼

1) Self-Consistent Field Theory(SCFT)

장변환을 통한 장이론 모델은 여전히 풀기가 어렵 고 많은 모사시간을 요구한다.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장이론 모델을 단순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그 중 가 장 성공적인 단순화가 평균장이론이라 불리는 SCFT이다. 수학적으로는 시스템 부피당 분자의 수 가 무한대로 갈 때의 점근(asymptotic)치가 된다. 이 러한 이유로 안부점근사(saddle point approximation) 라고도 불린다. 물리적으로 해석하면 요동 (fluctuation)효과를 배제한 결과만을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요동효과가 크게 억제되는 블록공중합체 멜 트에서는 실험결과를 거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서 초분자폴리머, 폴리머 브러쉬, 폴리 머-파티클 혼합물 등 다양한 시스템에 대한 이론 및 전산모사 기법이 개발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전해질 이온 공중합체(polyelectrolyte)와 같이 요동효과가 큰 시스템에 대해서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연구자들은 SCFT의 질 서맺음 변수(order parameter) 급수전개(exapnsion) 에 의존해야만 했다. 하지만 컴퓨터의 발전과 더불 어 능률적인 수치계산기법이 개발되었고, 이제는 거 의 근사법 없이도 모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SCFT 전산모사를 할 경우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분 은 단일 분자의 분배함수(partition function) 계산 이다. 가우시안(Gaussian) 체인 모델의 경우, 분배 함수를 구하기 위한 경로적분(path integral)을 체 인을 따라가는 변형된 퍼짐방정식(diffusion equation)으로 바꿀 수 있고, 연산자분할법(operator splitting scheme)을 이용해 능률적으로 풀 수가 있 다. 하지만 계면이 날카롭게 분리된 시스템이나 세 미유연한(semi-flexible) 폴리머는 여전히 수치적으 로 계산이 어려워 좀더 발전된(능률적인) 알고리즘 이 요구된다.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SCFT는 평균장 근사 (approximation)를 통해 얻는 장이론 모델을 단순 화한 모델이다. 이 평균장 근사는 장변수들의 한가 지 특정한 입체배열(configuration)이 분배함수를 지배한다는 가정에 기초한 것으로 장변수의 다른 입 체배열(열적요동을 나타냄)은 무시한다. 이러한 열 적요동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캘리포니아 주립대(산 타바바라)의 Fredrickson 교수팀은 최근 정확한 장 이론적 모사 기법(FTS)을 개발하였지만, 아직은 많

그림 3. 장변환을 통한 변화의 개념도.

[Macromolecules (2002) 35, 16]

그림 4. 블록공중합체 모델을 이용해 SCFT에 의해 계산된 3차원 입체구조(좌측부터 순서대로 자이로이드(gyroid), 더블

다이아몬드큐빅(double diamond cubic), 체심입방격자(body centered cubic)). [Trends in Food Sci. & Tech. (2006) 17, 220]

(4)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Vol. 28, No. 2, 2010…

211 이원보

은 계산 시간이 필요하다.

FTS 기술은 전통적 도전 과제로 현재까지도 만 족스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장 변환을 통해 얻은 해밀토니안(Hamiltonian)이 허수 부를 갖는 독특한 수학적 구조에 기인한다. 이 위상 (phase)항은 잘 알려진 부호문제(sign problem)를 일으키기 때문에 대부분의 표준적인 모사기법이 적 용되지 못한다. 따라서 부호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2) 장이론을 이용한 동력학

장이론적 방법의 서두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장이론 모델은 불균일 상을 갖는 시스템에 대해 특별한 강 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서 폴리머 장이론 을 동력학 모델로 확장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주로 불균일 폴리머 유체의 동력학과 유변학을 장이 론적 틀에 융합시키려는 시도로, 현재 이론적으로나 수치 계산적으로 많은 기초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결론

본 칼럼에서는 특히 불균일 상을 갖는 연성물질의 이론적 계산에 강점을 갖는 장이론 모델에 대해 강 조하여 설명하였고, 장이론 모델이 다양한 시스템, 요동효과, 동력학으로의 확장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도 살펴보았다.

연성응집물질의 복잡성에서 기인하는 시간과 공 간 스케일 문제는 전통적인 양자역학이나 분자동력 학과 같이 전자 혹은 원자수준의 모사로는 해결할 수가 없다. 대단위 시간/공간 스케일을 다룰 수 있는 연속체역학(continuum mechanics) 또한 균일 혹은 불균일 복잡유체(complex fluids)의 물리현상을 제 대로 설명하기 힘들다. 이런 문제는 주로 관심있는 시스템과 이용하려하는 기법의 스케일 불일치 혹은 시스템 자체가 멀티스케일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전자의 경우는 시스템이 갖는 시간/공간 스케일을 다룰 수 있는 모사기법 및 모델을 사용해 서 해결이 가능하고, 후자의 경우는 멀티스케일 기 법을 이용해 문제 해결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림 5. FTS를 이용한 전해질이온 공중합체 모사. 위의

그림은 요동효과가 없을 경우이고 아래 그림은

요동효과가 있을 때 생기는 미세 자기조립 구조

를 보여준다. [J. Chem. Phys. (2008) 128, 224908]

수치

그림 1. PPA(primitive path analysis)에 의해 만들어진 고리모양 폴리머의 엉킴현상 스냅사진.

참조

관련 문서

특히 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모바일 솔루션을 개발하 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특히 본 과정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모바일 솔루션을 개발하 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마이크로스케일 혹은 메조스케일에서 유체의 거동, 이동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러한 길이 스케일 에서 유체의 흐름과 열전달, 물질전달을 다루고

measurement)에 따라 가장 낮은 수준인 명목 척도(nominal scale), 순위척도(ordinal scale), 등간척도(interval scale), 그리고 가장 높은 수 준인 비율척도(ratio scale)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스마트워크를 위한 공간의 특성을 5개의 특성으로 재정리하였다. 첫째, 스마트워크의 가장 큰 특징인 오픈플랜을 통한 공간계획 으로 조직 간의 융합

그러나 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은 지역 간 편차가 심하고 전력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증가로 인한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됨...

어떠한 원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를 기술적으로 서술할 수 있고 어떤 재료들을 사용하여 해결방법을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할 수 있다.. 지난

일차부등식을 활용하여 우주 엘리베이터 건설의 정당성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