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시 수학 영역 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교시 수학 영역 2"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행위는 노송이 부재한 상황에서 노송이 느꼈던 신‘ 운 을 느껴보고자 하는 화자의 시도로 볼 수 있으며’ ,

유현한 솔바람 소리가 생길 리 없다고 한 것에는

‘ ’

자신은 노송과 달리 신운을 느낄 수 없다는 것에 대 한 인식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출제의도 외적 준거를 참고하여 작품 감상하기 45. [ ]

그을린 이마 는 농촌의 고된 상황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 ’

농민들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그들의 그을린 이마에 , 훤하게 꽃등 을 달아주는 것은 고달픈 삶을 영위하는 ‘ ’ 농민들에 대한 위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꽃등이 농민. 들의 고된 삶을 부각하는 소재라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 다.

끊기지 않고 모여 흐르 는 개울물은 고된 상황

‘ ’

속에서도 함께 생활하며 삶을 포기하지 않는 농민들 을 나타낸 것으로 농민들의 끈질길 생명력을 환기한, 다고 할 수 있다. ③ ‘뼈 으스러지게 그리워 얼싸안’ 는 것은 끊임없는 수탈로 인해 힘겨운 상황 속에서 도 공동체적 삶을 통해 고통을 감내하는 모습을 나 타낸 것으로 고된 현실 속에서 서로에게 의지하며 , 살아가는 농민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④ ‘저문 강물에 얼굴을 씻고 / 일어서서 껄껄 웃 는 지리산은 고된 삶 속에서도 넉넉한 마음으로 ’ 살아가는 농민들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수탈을 당, 하면서도 삶의 여유를 잃지 않는 농민들의 삶을 보 여준다고 할 수 있다. ⑤ ‘후레자식들이 / 퍼간다고 마를 강물인가 라고 말하는 것은 아무리 끊임없는 수’ 탈로 고통을 겪을지라도 농민들이 삶을 포기하지 않 을 것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 건강한 삶을 살아나갈 농민들에 대한 믿음을 보여준 다고 할 수 있다.

교시 수학 영역 2

• •

가 형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80

23

61

24

8

25

15

26

30

27

12

28

210

29

4

30

71

출제의도 지수함수의 극한 계산하기 1. [ ]

lim

 → 

 

lim

 →

 

× 

 

출제의도 순열 계산하기 2. [ ]

P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 자연수이므로   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미분 이해하기 3. [ ]

′ cos  따라서 ′

 

출제의도 로그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이해하기 4. [ ]

log  log , log  log 이므로 P  , Q  이다.

따라서 두 점 P, Q 사이의 거리는 

출제의도 조건부확률 이해하기 5. [ ]

P

 

 

이므로 P

   P

 

   

  

P

  P

 P

 

이므로

P

 

P

 

 × 

  

출제의도 자연수의 분할 이해하기 6.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을 세 개의 자연수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는 

출제의도 여러 가지 적분법 이해하기 7. [ ]

    라 하면 

 

이고

  

일 때   ,   일 때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이해하기 8. [ ]

 sin

  

cos 

 

sin  cos 

  cos  sin 

cos 

 sin 

 × 

  

9. 출제의도 여러 가지 미분법 이해하기[ ] 함수 가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lim

 →  

 

 ′ 

 의 양변을 미분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

따라서   ′    

10. 출제의도[ ] 로그함수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편진폭이

, 진동수가 일 때 진동가속도레벨이

이므로    log 



⋯⋯ ㉠

편진폭이

, 진동수가 일 때 진동가속도레벨이

이므로    log 



⋯⋯ ㉡

㉡  ㉠에서   

log 



 log 





  log 





 log 



따라서 

 

 × 

출제의도 정적분의 활용 이해하기 11. [ ]

포물선  의 준선의 방정식은    이다.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축 및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

  

 

     

출제의도 평면곡선의 접선 이해하기 12. [ ]

 에서  

 

∴ 

 

포물선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 

 

직선   

 가 축과 만나는 점   를

   에 대입하면   따라서   ln

출제의도 이차곡선의 성질 이해하기 13. [ ]

PF 라 하면 점 P 에서 F  까지의 거리는 점 P에서 준선    에 이르는 거리와 같으므로 FH   

PH

  

    

   삼각형 PFH의 넓이가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따라서 선분 PF의 길이는 

출제의도 도함수를 활용하여 그래프 추론하기 14. [ ]

   이라 하자.

′

    

×       

′ 에서    

 또는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의 극솟값은  

 이다.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면

 

 



O

이므로 함수 의 최솟값은  

 이다.

(2)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   ≥ 을 성립시키는 실수 의 최댓값은  

 이다.

∴      ,    

따라서 ×   



출제의도 조건부확률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15. [ ]

번째까지 시행을 한 후 시행을 멈추려면

, , , , , , 의 숫자가 적혀 있는 개의 공에서 번째 시행까지 개의 홀수가 적혀 있는 공과 개의 짝수가 적혀 있는 공을 꺼내고 번째의 시행에 짝수가 적혀 있는 공을 꺼내야 한다.

홀수 홀수 짝수 짝수를 배열하는 경우의 수는, , ,



  

홀 홀 짝 짝 의 순서로 공을 꺼낼 확률은 ( , , , )



× 

× 

× 

나머지 가지 배열의 확률도 동일하다.

번째에 짝수가 적혀 있는 공을 꺼낼 확률은 

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 × 

× 

× 

× 

× 

 

출제의도 지수함수의 미분을 활용하여 추론하기 16. [ ]

함수 가 실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함수

는 실수 전체에서 연속이다.

  가   에서 연속이므로

 ,

lim

 →

  ,

lim

 →

   

∴    

함수 가 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 ′

lim

 → 

   

lim

 → 

   

 → 

lim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따라서   

 × 

  

출제의도 이차곡선의 성질 추론하기 17. [ ]

PM PF , PM MF′ 이고 MF′ MF 이므로 삼각형 PMF는 정삼각형이고 ∠F′FP  °

MO 이므로 PF , PF′ , FF′  

 장축의 길이가      이므로  

  에서   따라서   

18. 출제의도 로그함수의 접선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ln를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 점 P  ln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ln  

  

∴   ln

점 Q  ln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ln  

   

∴    ln

   ln   ln

′ ln ln  에서   

함수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따라서 극솟값은  

출제의도 정적분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19. [ ]

선분 PQ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넓이

는

 

 



sin

 

입체도형의 부피



sin



 라 하면  

 

  일 때   ,  

 일 때   이므로

 

 sin 

  , ′ sin

′ ,   cos

 

×

cos



 

 cos

 

  

20. 출제의도 확률의 성질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주머니에서 임의로 개의 공을 동시에 꺼내는 방법의 수는 C 

)

ⅰ 연속된 세 수가   인 경우

를 제외한 개 중 개를 선택하므로 C 

)

ⅱ 연속된 세 수가   인 경우

을 제외한 개 중 개를 선택하므로 C 

연속된 세 수가 )

ⅲ       

(  , , , , ,  인 경우)

과  를 제외한 개 중 개를 선택하므로  ×C 

에 의하여 ), ), )

ⅰ ⅱ ⅲ 

 

따라서 P

 



  

21. 출제의도 평면곡선의 접선의 성질 추론하기[ ] 타원 

  은 네 점   ,    ,   ,

   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타원이다.

타원 

  과 함수   의 그래프가 접할 때 의 값을 구하자.



 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

  

 이므로 접선의 기울기는  

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

  

타원이 직선     에 접하므로



 , 

  ∴  

,  

 

은      위의 점이므로

  ∴  

O 

 

 

타원 

 이 점   을 지날 때,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함수 는  

 ,   에서 불연속이고, 불연속이 되는 모든 의 값들의 제곱의 합은

 

 

출제의도 이항정리의 뜻 이해하기 22. [ ]

다항식  의 전개식의 일반항

C C  

     ∴   

따라서 의 계수는 C×  

23. 출제의도[ ] 확률의 덧셈정리 이해하기 두 사건

,

가 서로 배반사건이므로 P

 P

 P

 

따라서   이고   

24. 출제의도[ ] 이차곡선의 성질 이해하기 두 점근선의 방정식이   ,    이므로



 ±  ∴   ⋯⋯ ㉠

점   을 지나므로 

 

  ⋯⋯ ㉡

㉠, ㉡에서  

따라서 주축의 길이는  

출제의도 여러 가지 적분법 이해하기 25. [ ]

  

  

  lnln



 ln ln  ln

 ln ln

따라서   

(3)

출제의도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성질 추론하기 26. [ ]

  cos  

의 그래프는   cos의 그래프를

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므로

주기는  치역은 ,

 

≤  ≤ 

이다.

 

cos  

의 그래프는   cos  

의 그래프에서   인 부분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켜 얻은 그래프이다.

 

cos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O  



 

cos  

의 그래프와 직선   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는 의 값은 

따라서   

이고   

출제의도 여러 가지 적분법 추론하기 27. [ ]

가 와 나 에서

( ) ( )   ,  

 ≤  ≤ 에서 함수 는 연속이고

    에서 ′≥ 이므로   따라서 함수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 

O      

  



 

sin   



  ×

 

cos  



   

따라서   ,   이고    

출제의도

28. [ ] 중복조합 이해하기 나 에서 자연수

( ) , , ,  중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 개를 선택하고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 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C 

, 가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

, 는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음이 아닌 정수

가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해의 개수는

개의 문자 ′, ′ , ′ , ′ 에서 개를 선택하는 중복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H   CC 

따라서 모든 순서쌍     의 개수는

 ×   

29. 출제의도[ ] 삼각함수의 극한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그림과 같이 선분 AB 의 중점을 O ,

선분 PB 와 호 PB 에 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삼각형 ABQ에 내접하는 원의 중심을 C ,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자.

A B

O P

C M Q

∠MOB 이고 OB  이므로 OM cos

∴  

  cos

,

 

  cos

삼각형 CAO는 ∠AOC °인 직각삼각형이고

∠CAO 

, OA 

∴  tan 

,

  tan

lim

 → 



×



lim

 → 

  cos

×  tan

lim

 →   cos

× tan

lim

 → 

 

 × sin

× 

× 

tan

×  cos

 

  × 

×   

30. 출제의도[ ] 여러 가지 미분법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라 하자.

함수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ln 

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의 꼭짓점이

의 그래프와 만날 때 정해진다.

   ≤ ln이면 두 점에서 만나고

  ln 이면 한 점에서 만날 때이다.

)

ⅰ    ≤ ln일 때

  

O

 

 



정사각형과   의 두 교점의 좌표를 와

 라 하면 두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두 교점의 좌표가 같으므로  



 이고,

    

∴    

  

)

ⅱ   ln일 때

  

 

O



 

정사각형과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 그러므로 함수 는



 

  

  

    ≤ ln

   

   ln

함수 의 도함수 ′는

′

 

 



 

     ln

 

   ln

′ln′ln 

 

 



따라서   ,   이고     

나 형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8

23

121

24

3

25

15

26

80

27

27

28

210

29

725

30

56

출제의도 지수의 성질을 알고 계산하기 1. [ ]

 × 

  ×

  ×   

출제의도 집합의 원소의 개수 계산하기 2. [ ]

   이므로 원소의 개수는 

출제의도 수열의 극한 이해하기 3. [ ]

→ ∞

lim

 

  

lim

 →∞

  

  

 

출제의도 로그의 성질 이해하기 4. [ ]

log  log log

 

 

출제의도 등비수열 이해하기 5. [ ]

등비수열

의 첫째항을 , 공비를 라 할 때,





 

에서 

 

 이므로   따라서 



 



  

(4)

출제의도 함수의 연속 이해하기 6. [ ]

함수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  에서 연속이다.

   이고

lim

 → 

   

lim

 → 

  이므로

      

∴   

가형 번과 동일

7. [ 6 ]

출제의도 명제 추론하기 8. [ ]

세 조건 , , 의 진리집합을 각각

,

,

라 하자.

명제  → ∼ 가 참이므로 대우 → ∼ 도 참이다.

그러므로

이고 명제 →가 참이므로

따라서

이 성립하므로

이다.

명제 → ∼ 가 항상 참이다.

출제의도 거듭제곱근 이해하기 9. [ ]

의 네제곱근을 라 하면

 이므로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또는    

 의 세제곱근을 라 하면

  이므로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또는           따라서  의 최댓값은 

출제의도 순열 이해하기 10. [ ]

홀수 번호가 적힌 개의 의자 중에서 개의 의자를 택하여 아버지 어머니가 앉는 경우의 수는,

P  ×   

나머지 개의 의자에 할머니 아들 딸이 앉는 경우의, , 수는 P  ×  ×   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   

11. 출제의도 급수와 일반항의 관계 이해하기[ ]

  

 

 이므로  →∞

lim

 

 

 

 이라 하면

lim

 →∞ 

 

 

 이므로

lim

 →∞

lim

 →∞

 

 

따라서

lim

→ ∞ 

출제의도 명제 추론하기 12. [ ]

두 조건 , 의 진리집합을 각각

,

라 하면

∼ 는 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값은 , ,  따라서 모든 정수 의 값의 합은 

출제의도 무리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 이해하기 13. [ ]

함수   

    의 그래프는

함수  

   의 그래프를 축에 대하여 대칭

이동한 후 축의 방향으로 만큼,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그러므로   ,    따라서     

출제의도 함수의 극한 문제해결하기 14. [ ]

점 P  를 지나고 축에 평행한 직선    와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각각 A

  

, B

   

이다.

∴ AB 

 

 

  

점 B 를 지나고 축에 평행한 직선    과 함수  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C

       

이다.

∴ BC 

 

    

따라서

lim

→ AB

BC

lim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출제의도 수열의 극한 문제해결하기 15. [ ]

OA



점 A

 

을 지나고 기울기가 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이 직선이 축과 만나는 점은 B

 

이므로

OB 



lim

 →∞OA

OB

lim

→∞

 



lim

 →∞

 

  

 

  

출제의도 로그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16. [ ]

 

,

 

이므로

 

 log

 log

 

 log



 log

 

× log

log

 

log

log

 

  

log

 



∴   

출제의도 함수 이해하기 17. [ ]

는 ‘를 로 나눈 나머지 이므로’

 ,  ,  ,  ,  이다.

함수  

는 집합

의 모든 원소 에 대하여

  ∘    ∘  를 만족시키므로

  ∘    ∘  에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에서  

 이므로   이어야 한다.

∴     

출제의도 수학적 귀납법 추론하기 18. [ ]

(1)   일 때, 좌변 ( ) 

, (우변)   

 

이므로 이 성립한다

(*) .

(2)   일 때,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이다 .

위 등식의 양변에



 

을 더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일 때도 (*)이 성립한다. 에 의하여

(1), (2)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  

 

,    

따라서 ×  

×   

출제의도 집합의 연산 이해하기 19. [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

,

,

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 

 

  

또는

 

 

 

따라서

 

 

   

출제의도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20. [ ]

그림

에서

  ×

× ×   

×  × 

   

다음은 그림

 의 일부이다.

B

A

E

D

C F

A

B  C 

D 

그림에서 AB 라 하자 두 선분 . AB, BC

(5)

각각   로 내분하는 두 점을 E, F이라 하면,

BE 

, BF 



EF

BE

BF

 



∴ A B 

  EF

 

× 



  

  AB 두 정사각형 ABCD, A B C D 은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는 ,   

 이다.

그러므로 그림

에서 새로 얻어진 모양의 도형과 그림

 에서 새로 얻어진 모양의 도형도 서로 닮음이고 닮음비가   

 이다.

따라서

은 첫째항이   이고 공비가

 

 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이다.

lim

→∞

 

  

  

 

  

출제의도 수열의 극한 문제해결하기 21. [ ]

집합

의 부분집합 중 원소의 개수가 두 개인 집합에 대하여 이 두 원소의 차가 보다 큰 임의의 두 원소를 ,   라 하자.

    이므로     ( ,  ≤    ≤ )단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개

     일 때,   

    : 개

 ≤   일 때, 는 없으므로 개

그러므로 원소의 개수가 두 개이고 이 두 원소의 차가,

보다 큰 집합

의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lim

 →∞

 × 

 

lim

 →∞

  

 

가형 번과 동일

22. [ 2 ]

출제의도 수열의 합 이해하기 23. [ ]

  

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합성함수 이해하기 24. [ ]

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함수의 극한 이해하기 25. [ ]

lim

 →

  

  

 에서

lim

 →

 

  

 이므로

lim

 →

       

∴   

lim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따라서   

출제의도 등차수열 이해하기 26. [ ]

세 실수 , ,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공차를 라 하면,     ,    

가 에서 ( ) 

× 

      

∴    나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또는   ,   ,    따라서   

출제의도

27. [ ] 유리함수의그래프를 활용하여문제해결하기 점 P의 의 좌표를 라 하자.

ⅰ   일 때,

   

O

P

R Q

  

P

 

, Q   , R

 

  

이므로

PQ   

, QR    



∴ PQ× QR 

  



  



  

≥ 

× 

    

등호가 성립하는 경우는  

, 즉  

 일 때이다.

그러므로  

 일 때, PQ× QR 는 최솟값 을 갖는다.

ⅱ   일 때, P

 



, Q   , R

 

  

이므로

ⅰ에서와 같이

  

 일 때, PQ× QR 는 최솟값 을 갖는다.

따라서 ⅰ, ⅱ에 의하여 PQ× QR 의 최솟값은 

가형 번과 동일

28. [ 28 ]

출제의도 수열의 합 문제해결하기 29. [ ]

기울기가 이고 절편이 양수인 원  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직선     이 축, 축과 만나는 점은 각각 A   , B  이고,

점 A을 지나고 기울기가 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이므로 C   

삼각형 ACB과 그 내부의 점들 중

좌표와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의 개수 

  일 때, 좌표가 인 점의 개수는 ,

좌표가  인 점의 개수는  이므로

     

  일 때, 좌표가 인 점의 개수는 ,

좌표가  인 점의 개수는 ,

좌표가  인 점의 개수는  이므로

      

  일 때, 좌표가 인 점의 개수는 ,

좌표가  인 점의 개수는 ,

좌표가  인 점의 개수는 ,

좌표가  인 점의 개수는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출제의도 함수의 연속 문제해결하기 30. [ ]

주어진 이차함수 는 축의 방정식이   이고 가 에서 방정식

( )  은 열린 구간 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가지므로

   ,      

∴     

나 에서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이고 함수 가   에서 연속이므로

  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따라서 모든 실수 의 값의 곱은 

참조

관련 문서

[r]

[r]

[r]

[r]

[r]

[r]

[r]

(1) neutral region : +, - charge의 총량이 zero로 전체적으로 전기적 중성이 영역 (2) depletion region : electron, hole이 없어져 ion화된 불순물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