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2013년 8월

교육학석사(기술․가정교육과)학위논문

중학생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소비성향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전공

손 조 영

(3)

중학생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소비성향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Use Realities and the Purchasing Propensity of Cosmetics in Middle school Student

-Centering Capital Area-

2013 년 8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전공

손 조 영

(4)

중학생의 화장품 사용실태 및 소비성향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정 옥 임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기술․가정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3 년 4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기술․가정교육전공

손 조 영

(5)

손조영의 교육학 석사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양남희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정옥임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옥선 인

2013 년 6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목 차

제 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 1 제2절 연구의 목적 ․․․․․․․․․․․․․․․․․․․․․․․․․․․․․․․․․․․․․․․․․․․․․․․․․․․․․․․․․․․․․․․․․․․․․․․․․․․․․․․․․․․․․․․․․․․․․․․․․․․․․․․․․․․․․․․․․․․․․․․․․․․․․․․․․․․․․․․․․․․․․․․․․․․․․․․․ 3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화장품의 정의 및 분류 ․․․․․․․․․․․․․․․․․․․․․․․․․․․․․․․․․․․․․․․․․․․․․․․․․․․․․․․․․․․․․․․․․․․․․․․․․․․․․․․․․․․․․․․․․․․․․․․․․․․․․․․․․․․․․․․․․․․․․․․․․․ 4 제2절 중학생의 화장품 관심도 및 사용실태 ․․․․․․․․․․․․․․․․․․․․․․․․․․․․․․․․․․․․․․․․․․․․․․․․․․․․․․․․․․․․․․․․․․․․․․․․․․․․․․․․․․․․․ 9 제3절 중학생의 화장품 소비성향 ․․․․․․․․․․․․․․․․․․․․․․․․․․․․․․․․․․․․․․․․․․․․․․․․․․․․․․․․․․․․․․․․․․․․․․․․․․․․․․․․․․․․․․․․․․․․․․․․․․․․․․․․․․․․․․․ 11

제 3장 연구방법 및 절차

제1절 연구대상 ․․․․․․․․․․․․․․․․․․․․․․․․․․․․․․․․․․․․․․․․․․․․․․․․․․․․․․․․․․․․․․․․․․․․․․․․․․․․․․․․․․․․․․․․․․․․․․․․․․․․․․․․․․․․․․․․․․․․․․․․․․․․․․․․․․․․․․․․․․․․․․․․․․․․․․․․․․․․․ 13 제2절 연구내용 ․․․․․․․․․․․․․․․․․․․․․․․․․․․․․․․․․․․․․․․․․․․․․․․․․․․․․․․․․․․․․․․․․․․․․․․․․․․․․․․․․․․․․․․․․․․․․․․․․․․․․․․․․․․․․․․․․․․․․․․․․․․․․․․․․․․․․․․․․․․․․․․․․․․․․․․․․․․․․ 13 제3절 분석도구 ․․․․․․․․․․․․․․․․․․․․․․․․․․․․․․․․․․․․․․․․․․․․․․․․․․․․․․․․․․․․․․․․․․․․․․․․․․․․․․․․․․․․․․․․․․․․․․․․․․․․․․․․․․․․․․․․․․․․․․․․․․․․․․․․․․․․․․․․․․․․․․․․․․․․․․․․․․․․․ 14 제4절 연구절차 ․․․․․․․․․․․․․․․․․․․․․․․․․․․․․․․․․․․․․․․․․․․․․․․․․․․․․․․․․․․․․․․․․․․․․․․․․․․․․․․․․․․․․․․․․․․․․․․․․․․․․․․․․․․․․․․․․․․․․․․․․․․․․․․․․․․․․․․․․․․․․․․․․․․․․․․․․․․․․ 14 제5절 자료분석 ․․․․․․․․․․․․․․․․․․․․․․․․․․․․․․․․․․․․․․․․․․․․․․․․․․․․․․․․․․․․․․․․․․․․․․․․․․․․․․․․․․․․․․․․․․․․․․․․․․․․․․․․․․․․․․․․․․․․․․․․․․․․․․․․․․․․․․․․․․․․․․․․․․․․․․․․․․․․․ 15 제6절 연구의 제한점 ․․․․․․․․․․․․․․․․․․․․․․․․․․․․․․․․․․․․․․․․․․․․․․․․․․․․․․․․․․․․․․․․․․․․․․․․․․․․․․․․․․․․․․․․․․․․․․․․․․․․․․․․․․․․․․․․․․․․․․․․․․․․․․․․․․․․․․․․․․․․․․․ 15

(7)

제 4장 연구결과 및 해석

제1절 응답자 특성 ․․․․․․․․․․․․․․․․․․․․․․․․․․․․․․․․․․․․․․․․․․․․․․․․․․․․․․․․․․․․․․․․․․․․․․․․․․․․․․․․․․․․․․․․․․․․․․․․․․․․․․․․․․․․․․․․․․․․․․․․․․․․․․․․․․․․․․․․․․․․․․․․․․․․․․․ 16 제2절 중학생의 화장품 사용 실태 ․․․․․․․․․․․․․․․․․․․․․․․․․․․․․․․․․․․․․․․․․․․․․․․․․․․․․․․․․․․․․․․․․․․․․․․․․․․․․․․․․․․․․․․․․․․․․․․․․․․․․․․․․․․․․․․ 17 제3절 중학생의 화장품 소비성향 ․․․․․․․․․․․․․․․․․․․․․․․․․․․․․․․․․․․․․․․․․․․․․․․․․․․․․․․․․․․․․․․․․․․․․․․․․․․․․․․․․․․․․․․․․․․․․․․․․․․․․․․․․․․․․․․․․․ 35 제4절 변인들간의 연관성 분석 ․․․․․․․․․․․․․․․․․․․․․․․․․․․․․․․․․․․․․․․․․․․․․․․․․․․․․․․․․․․․․․․․․․․․․․․․․․․․․․․․․․․․․․․․․․․․․․․․․․․․․․․․․․․․․․․․․․․․․․․․ 44

제 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및 요약 ․․․․․․․․․․․․․․․․․․․․․․․․․․․․․․․․․․․․․․․․․․․․․․․․․․․․․․․․․․․․․․․․․․․․․․․․․․․․․․․․․․․․․․․․․․․․․․․․․․․․․․․․․․․․․․․․․․․․․․․․․․․․․․․․․․․․․․․․․․․․․․․․․․ 51 제2절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5

설문지

․․․․․․․․․․․․․․․․․․․․․․․․․․․․․․․․․․․․․․․․․․․․․․․․․․․․․․․․․․․․․․․․․․․․․․․․․․․․․․․․․․․․․․․․․․․․․․․․․․․․․․․․․․․․․․․․․․․․․․․․․․․․․․․․․․․․․․․․․․․․․․․․․․․․․․․․․․․․․․․․․․․․․․․․․․․․․․․․․․․․․․․․․․․․․․․․․․․․ 58

(8)

표 목 차

<표 1> 화장품의 유형별 종류

<표 2> 사용부위와 사용목적에 따른 화장품의 분류

<표 3> 응답자 특성

<표 4>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기초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표 5> 많이 사용하는 기초화장품

<표 6>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색조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표 7> 색조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표 8> 많이 사용하는 색조화장품

<표 9>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수입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표 10> 10대 전용 화장품의 필요성

<표 11> 남학생들의 기초화장품 사용 실태

<표 12> 남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초화장품

<표 13> 남학생들의 색조화장품 사용실태

<표 14> 남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색조화장품

<표 15> 남학생들의 수입화장품 사용실태

<표 16> 남학생들의 10대 전용 화장품에 대한 인식

<표 17> 화장품 소비의 주체

<표 18> 화장품 구입 시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표 19> 화장품 관련 정보를 얻는 곳

<표 20> 저가 화장품 구매 경험

<표 21> 남학생들의 화장품 소비행동 주체 및 장소

<표 22> 남학생들이 화장품 구입 실태

<표 23> 남학생들의 저가 브랜드 화장품 구매 경험

<표 24> 남학생들의 저가 브랜드 화장품의 우수한 점과 미흡한 점

(9)

<표 25> 남학생들의 저가 화장품 비구매 이유

<표 26> 남학생들의 저가 브랜드 화장품 만족도 및 지속 구입 의향

<표 27> 10대 전용 화장품 필요 * 화장품 관련 정보 얻는 방법 교차분석

<표 28> 화장품 구매자 * 저가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표 29> 화장품 구매자에 따른 저가 화장품 품질 인식 차이

<표 30> 화장품 구매 비용 * 화장품 구입 시 중점을 두는 점 교차분석

<표 31> 합반 * 기초화장품 사용 * 10대 전용 화장품 필요성 교차분석

<표 32> 10대 전용 화장품 필요성 * 저가브랜드 화장품 구매경험

<표 33> 10대 전용 화장품 필요성 여부 * 저가브랜드 화장품 구매 만족도

<표 34> 저가브랜드 화장품 구매 만족도가 지속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10)

ABSTRACT

Use Realities and the Purchasing Propensity of Cosmetics in Middle school Student

-Centering Capital Area-

Son Jo Young Advisor : Prof. Ok-Im Jung Major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rrange data on the makeup in male &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is positioning as the important

consumer bracket in cosmetic market by analyzing the use realities and the purchaging propensity of cosmetics.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rom male &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A total of 450 were collected and 438 were used in the analysis after removing incomplete ones.

The statistics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percentag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Cronbach's ɑ), t-test, ANOVA, Chi-square analysi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progra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cosmetics in male &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ing basic cosmetics. Female

(11)

middle school students use more basic cosmetics, and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use more basic cosmetics.

Also as they have boy & girl friend use more basic cosmetics, lotion, skin, cleansing foam was used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cosmetics in male &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ing makeup cosmetic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sex, have boy & girl friend or not.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ave boy & girl friend students to use more makeup cosmetics. Out of makeup products, B.B(Blemish Balm) cream, tint, lip gloss, eyeliner were being used the mo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middle school student purchasing propensity of Cosmetics, more than half of students parents bought cosmetics in person.

As for a route of acquiring information on cosmetics, a TV commercial and sponsorship on drama. Most students were bought cosmetics when it hung up their cosmetics.

Fourth, 60.8%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ought low cost Cosmetic brand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omprises two-thirds of all total percentage. They took a positive view of low cost cosmetic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sex, allowance.

In addition 40.8%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tinuous purchase intention in low cost cosmetics, so this shows what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ed in low cost cosmetic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ge of wearing makeup will get lower gradually and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pin-offs were critical to use cosmetics. So the needs for product will get much diverse.

(12)

And there might be conflict between the students' consciousness toward color makeup and expectation by school.

It'll positive influence that tell a students about how to use basic cosmetics and makeup cosmetics properly, wash up ways and so on in Health or Home Economics Education times.

Therefore, schools need to comprehend the consciou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color makeup and establish better ways to guide them to follow the rul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primary data to develop the strategies and guideline programs for educating.

(13)

제 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현대사회는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루며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

10대 청소년은 소비시장의 주요 구매계층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는 과거보다 현재, 또 현재보다 미래에 더 가속화 될 전망이다. 10대 청소년들은 자신을 위해 다양한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데, 이 중 화장품은 필수적인 소비재로 자리 잡은 지 오래이다.

이들에게 화장품 소비가 확대된 배경에는 인터넷 문화의 활성화 및 온․오프라인 을 통한 화장품 시장유통, 저가 화장품 시장의 등장 및 확대를 들 수 있다.

그렇다면 과거와는 달리 현대 학생들은 왜 화장을 하는 것일까?

최근 10대들의 외모 관리 현상이 더욱 다양화되고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 서, 10대 청소년들에게 외모관리는 자기 정체성을 찾는 행위이자 그들의 공통적인 문화적 범주라 말할 수 있다. 외모로 자신을 표현하는 현재 10대들은 외모 관리의 절실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모관리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자본 을 투자한다.

특히 2002년부터 지속되어온 경기위축 장기화로 소비자들의 얇아진 지갑을 열기 위해 만들어진 초저가화장품은 지하철역 근처나 대형마트, 약국, 학교근처 대리점, 온라인 스토어 등 청소년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 잡았으며, 2~3000 원대 립글로스며 볼터치 등 저가 메이크업 제품들을 용돈만으로 구매가 가능하게 되었다(신경선, 2006). 이러한 변화는 전체 화장품 시장에서 10대 청소년의 화장 품 구매율을 2005년 12%에서 2007년 37%까지 성장하게 하였으며(김수향, 2009), 이 중 틴에이저(13~19세)를 대상으로 한 화장품 시장은 1,500~2,000억 원 안팎의 규모를 형성, 연간 20%의 성장률을 보여 화장품 업계에서는 10대 청소 년 화장품시장을 블루오션이라 일컫고 있다(김현욱, 2011).

(14)

이러한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화장품 시장의 발달과 세분화 움직임으로 볼 때 앞으로 청소년이 차지하는 화장품 구매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청소년들의 화장품에 대한 현황조사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주로 일반 소비 자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수행된 화장품 관련 선행연구로는 청소년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에 관한 연구(차귀옥, 2005), 여중생들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김 현욱, 2011), 여중생의 화장품 소비행동과 아이돌 연예인 모방행태(양은령, 2012), 여고생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형태에 관한 연구(엄성희, 2008), 여대생의 화장 품 구매행동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이민자, 2005), 20~30대 직장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방정원, 2005)가 있지만 대부분 성인여성과 10대 여학생으 로 한정하였다(송현영, 2013).

그러나 최근 남성들의 외모 가꾸기 열풍과 뷰티 시장의 확대에 따라, 10대 남학 생들의 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와 소비욕구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본 다. 따라서 유행에 민감하고 감성이 풍부하며, 외모 가꾸기에 관심이 많은 10대 청 소년만의 특별한 동조소비와 모방소비에 대한 파악도 이들의 소비행동 및 성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의 중학생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소비성향을 조사하 여 화장품시장에서 중요한 소비자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청소년의 화장 문화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10대 청소년들의 화장 실태 를 파악하고 올바른 화장품 사용법 및 정보제공을 위한 교육적 자료로 제공되고자 한다.

(15)

제2절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화장품의 사용실태와 소 비성향을 알아보았다.

조사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남녀학생들을 대상으 로 하였으며, 이들의 실제 사용실태와 화장품 소비성향을 학년, 지역, 이성친구 여 부, 남녀합반 여부, 가계의 월수입, 본인의 용돈액수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 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화장품 사용(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에 관해 중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학 년, 이성 친구 여부, 남녀합반 여부, 가계의 월수입, 본인의 용돈)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분석한다.

연구문제 2

화장품의 선택과 소비성향(화장품 정보습득, 화장품 선택기준, 화장품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중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련해 급부상하는 소비층인 이들의 성향을 분 석하여 10대 전용화장품 및 저가화장품산업의 필요성을 진단해본다.

(16)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화장품의 정의와 분류

화장의 사전적 의미는 ‘화장품을 바르거나 문질러 얼굴을 곱게 꾸밈’으로 정의된 다(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 송현영, ‘여중생의 화장에 대한 인식 및 화장행동 연 구’, 2013, p.6 재인용).

아름다움의 추구는 생명체의 본성이다. 인간에게는 동물이나 식물처럼 변색이나 변태의 능력이 없기에 원시시대부터 화장이라는 도구로 치장해왔다. 화장은 인간만 이 가지는 행태적 언어로 화장품을 뜻하는 영어의 ‘cosmetics'가 우주의 질서와 조 화를 나타내는 희랍어 ’kosmos(cosmos)'에서 새겨난 'kosmetikos(cosmeticos)'에 서 유래되었다는 것은 우리에게 화장의 본질을 일깨워준다. 즉 화장은 얼굴과 몸 전체를 조화롭고 아름답게 가꾸는 살아 있는 유기체의 본질적인 행위로 이것은 우 주의 순리와 질서를 따르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김주덕,『최신 화장품학』, 광 문각, 2011, p.9; 김현욱, ‘여중생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2011, p.6 재인용).

오늘날의 화장에 대한 개념은 과거와는 많이 다르다.

종교적,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며 소속집단을 표시하는 측면의 개념에서 발달하여 오늘날의 화장은 과학의 진보와 생활환경의 향상을 반영하였다.

기능적으로는 자외선과 건조한 기후로부터 피부 보호를 위해 노화를 지연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등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이용하여, 자존의 욕 구를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여겨지기까지 한다.

즉 화장은 건강과 아름다움을 만들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우리 들 인류의 생활과 발맞추어 화장 문화를 창조하는 등 그 역할은 한마디로 표현 할 수 있을 정도의 단순한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 걸친 깊이 있는 것으로 사회문화 이자 개인문화이기도 하다(김주덕,『화장품 과학 가이드 제2판』, 광문각, 2011,

(17)

p.19; 김현욱, ‘여중생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2011, p.6~7 재인용).

화장품은 얼굴에 미치는 영향과 기능을 기준으로 크게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 으로 나눌 수 있고, 화장의 과정은 화장을 하는 목적과 기능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기초화장과 색조화장으로 나눌 수 있다(이혜정, 2011).

기초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하게 미화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보전하는 것’ 이라 고 정의하고 있다. 기초 화장품의 역할은 피부 본래가 가지는 기능을 정상적으로 작용시키며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 회복하는 것이다(황정원,『화장품학』, 서울 현 문사, 1995, p.17; 이혜정, ‘화장관심도와 정보탐색에 따른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행동’, 2011, p.17 재인용).

기초화장품은 토너(toner), 스킨(skin), 로션(lotion), 세럼(serum), 크림(cream) 등으로 구분된다. 토너와 스킨은 피부결을 정돈시켜주고, 촉촉함과 수분 부여, 피부 가 거칠어짐을 방지하며 크림의 발림성을 좋게 한다. 세럼은 에센스(essence)라고 도 하며, 피부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고농축 미용액으로 피부의 건조와 거칠어짐 을 막아주고 충분한 수분공급과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통해 피부의 활력을 되찾아 부드럽고 매끄러운 피부를 유지시켜 준다. 크림은 기초손질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 바르고 유효성분이 스트레스가 쌓인 피부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왕은하, ‘화장품 포장디자인의 브랜드 퍼스낼리티 표현에 관한 연구’, 2008, p.20; 이혜정, ‘화장관심도와 정보탐색에 따른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행 동’, 2011, p.17 재인용).

색조화장품은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고나 기미, 주근깨, 잡티 등 피부 결점을 커버하여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색조 화장품’

이 있다. 메이크업 베이스(make-up base), 파운데이션(foundation), 파우더 (powder)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입술, 눈, 볼이나 손톱 등에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혈색을 좋게 하고 입체감을 부 여하여 아름답고 매력적인 용모로 보이도록 하는 포인트 색조 화장품‘이 있는데 아 이쉐도우(eyeshadow), 아이브로(eyebrow), 아이라이너(eyeliner), 마스카라

(18)

유형 세부유형 제품명 ‘예’

어린이용 제품류

어린이용 샴푸, 린스 베이비샴푸, 린스 어린이용 로션, 크림 베이비로션, 크림

어린이용 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마사지오일 어린이용 인체세정용

제품

베이비바스, 베이비바디바스, 베이비클렌저, 베이비클렌징바스, 베이비버블바스

어린이용 목욕용품류 베이비큐어솝, 베이비탑투토워쉬

목용용 제품류

목욕용 오일, 정제, 캡슐

목용용 오일, 캡슐, 바스볼, 아로마오일, 샤워오일

목용용 염류 바디솔트, 목욕소금, 마사지 솔트 바블 바스 바블바스, 클렌징바스, 크림바스 그밖의 목욕용 제품류

인체 세정용 제품류

폼클렌저 바스폼, 폼클렌징

바디클렌저

바디클렌저, 바디워시클렌저, 크림샤워, 바디샤워, 바디워시, 워시바디, 바디클린싱, 바디샴푸, 샤워젤

액상비누 훼이셜마일드, 액상향균비누, 리퀴드솝

(mascara), 립스틱(lipstick), 립글로즈・립밤(lip gloss・lip balm), 립라이너 (lipliner), 블러셔(cheeck color・blusher) 네일 컬러(manicure・pedicure) 등 이 있다(최경임 외 5인,『화장품학』, 서울:광문각, 2006, p.105~118; 이혜정, ‘화 장관심도와 정보탐색에 따른 여고생의 화장행동과 화장품 구매행동’, 2011, p.20~21 재인용).

이러한 화장제품은 사용 부위, 사용 목적 또는 제품의 구성 성분 및 용기의 형상 등에 의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연령, 성별, 피부타입, 성분, 유형 별<표 1>(식품의약품안전청, 2010년도 화장품 생산실적 보고 안내; 김현욱, ‘여중 생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2011 재인용), 사용 목적 등에 따 라 시장세분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표 1> 화장품 유형별 종류

(19)

그밖의 인체세정용 제품류 바스젤, 바디스크럽, 샤워에센스

눈 화장용 제품류

아이브라우펜슬

아이브라우, 아이브라우펜슬, 오토브라우펜슬, 오토아이펜슬, 오토아이브라우, 샤이닝 펜슬, 아이펜슬

아이라이너 아이라이너, 아이라이너펜슬, 아이라인펜슬, 메이크업 펜슬

아이쉐도 아이쉐도, 메이크업쉐도우, 칼라아이즈, 콜렉션 아이즈, 그라데이션아이스, 컬러쉐도우

마스카라 마스카라

아이메이크업 리무버 립&아이리무버, 아이메이크업리무버, 리무버포아이, 립앤아이클렌저 그밖의 눈 화장용 제품류

방향용 제품류

향수 행수, 오데퍼퓸

분말향 향낭

코롱 샤워코롱, 오테토일렛, 오데뚜왈렛, 오데코롱, 바디코롱, 코오롱, 오드보떼

그밖의 방향용 제품류

기능성 화장품

미백 미백 기능성화장품

주름개선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자외선차단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복합유형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효과 중 2가지 이상 기능성화장품

이밖에 아래 제시된 <표 2>(홍성순 ․ 박보영(1998), 여성의 색조화장 동기 에 따른 화장행동 연구,『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p.2~4, p.57 ; 전보경,

‘여중고생의 화장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여중고생의 화장품 사용을 중심으로’, 2000, p.22~23 재인용)와 같이 화장품의 사용부위와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도 있다.

<표 2> 사용부위와 사용목적에 따른 화장품의 분류

(20)

분류 사용부위 사용목적 주요제품

기초

화장품 안면용

세안, 피부청결

수성세안-비누(soap)

유성세안-클린징폼(cleansing foam), 페이셜스크럽(facial scrub), 클린징워터 (cleansing water), 클린징로션(cleansing lotion), 클린징젤(cleansing gel), 클린징크 림(cleansing cream)

피부정돈 유연화장수(skin softner), 수렴화장수(astringent) 피부보호

영양공급

로션(lotion), 크림(cream), 팩(pack), 에센스(essence)

메이크업

(색조) 화장품

안면용

베이스 메이크업

피부표현 메이크업베이스(make-up base),

파운데이션(foundation), 파우더(powder) 포인트 메이크업

눈 표현

아이쉐도우(eye shadow), 아이브로(eye brow), 아이라이너(eyeliner), 인조속눈썹 (artificial eyelashes), 마스카라(mascara) 입술 표현 립스틱(lipstick), 립글로즈 ․ 립밤(lip gloss ․

lip balm), 립라이너(lipliner) 치크(볼) 치크(cheeck color ․ blusher) 손톱

화장품 손발톱

정돈 베이스코트(basecoat)

보호, 영양공급 탑코트(topcoat)

색조 매니큐어(manicure), 패디큐어(pedicure)

두발

화장품 두발

세정 샴푸(shampoo), 헤어린스(hair rinse)

정발

헤어오일(hair oil), 헤어로션(hair lotion), 헤어스프레이(hair spray), 헤어무스(hair mousse), 헤어젤(hair gel)

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크림(hair treatment cream) 퍼머넌트

(permanent)

퍼머넌트웨이브 로션(permanent wave lotion), 헤어스트레이트(hair straight) 염색․탈색 염모제, 헤어블리치(hair bleach) 육모․양모 헤어토닉(hair tonic)

(21)

탈모․제모 탈모제, 제모제 방향

화장품 피부 향취부여

퍼퓸(perfume), 오데퍼퓸(eau de perfume), 오데토일렛(eau de toilet), 오데코롱(eau de cologne), 샤워코롱(shower cologne)

바디

화장품 전신

피부보호 영양공급

바디 오일(body oil), 바디 파우더(body powder) 피부청결 바디 클렌저(body cleanser)

바디 샴푸(body shampoo) 피부정돈 바디 로션(body lotion),

바디 크림(body cream)

제2절 중학생의 화장품 관심도 및 사용실태

정은주(2007)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외모(外貌)라는 것은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성공적인 사회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보았다.

특히 청소년기는 아동이 한 사람의 독립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준비 단계이 며 단순한 신체적, 생리적 성장뿐만 아니라 정신적, 정서적, 지적, 사회적 성숙 등 다양한 변화와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로 자기 자신에 대해 많이 생각하게 되기 때 문에 신체 발달이 급격히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청소년기의 외모는 그들의 성장 발달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정은주, 2007).

청소년들은 유행을 따라 움직이는 세대로 유행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고 패션의 흐름을 재빨리 받아들인다. 10대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동년배 친구들 즉 또래 집단으로부터 영향을 쉽게 받는다. 불안감을 공유하고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는 동 년배집단에 친밀감을 느끼게 되고 소속감, 안정감, 사회적 승인을 얻고자 또래집단 과 비슷하게 보이고자 노력한다. 청소년들은 집단 소속이 변화되면 불안감과 소속

(22)

감의 상실을 느끼게 되어 이때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의 하나인 안정감을 갈망하게 된다. 불안을 공유하고 있는 동년배 집단의 의미가 중요한 시기여서 친구 집단에 소속되고자 노력하며 타인과의 평가에 민감하다. 또한 생활의 대부분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므로 친구와 지내는 시간이 많아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다.

같은 또래가 사용하는 물건들을 구매함으로써 동질감과 또래 의식을 갖게 되고 혼 자만의 선택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가지면서 구매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된다(전보경, 2000).

이러한 시기의 중학생들은 외모관리행동 중 하나인 화장을 통하여 또래집단과 상호작용하며 자신들의 문화를 발전시켜 나간다.

먼저 기초화장에 대한 화장행동을 살펴본 결과 10대 여학생의 93.4%(차귀옥, 2005) ․ 여중생의 99.4%(양은령, 2012) ․ 여중고생들의 95.1%(전보경, 2000) ․ 여 고생의 94.8%(하주연, 2012)가 기초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초화장 품제품으로는 스킨, 로션, 자외선차단제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부분의 여중고생들은 기초화장품을 사용하여 기초화장을 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송현영, 2013).

기초화장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색조화장품 사용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양은 령(2012)의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고학년인 6학년의 절반이 넘는 69%가 색조화 장품을 사용하고, 이들 중 절반 이상의 학생이 화장품을 직접 구매한 경험이 있다 고 하였다. 이처럼 기초화장은 말 그대로 기초이고, 색조화장을 하는 연령이 낮아 졌다는 것을 새삼 실감할 수 있다.

(23)

제3절 중학생의 화장품 소비성향

2000년대에 들어와서 10대 청소년은 주체적이고 영향력 있는 소비자 군으로 등 장했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더불어 한 자녀 또는 두 자녀로 구성된 요즘 청소년들은 풍요로운 소비생활을 누리고 있다. 이들은 소비를 당연시하고, 소비 자체를 즐거움 으로 여긴다. 이러한 10대 청소년 중 고등학생만을 소비계층이라 여기던 과거와 달리 중학생들의 소비행동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황윤조(2004)는 그 당시 새로운 소비자로 급부상한 여고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화장품 사용정도, 심리적 기대요인, 여고생 소비자의 특성 및 구매행동에 대해 파 악하고자 하였다. 아름다움, 적극성, 즐거움, 예의성, 이성매력의 요인으로 나누고, 이중 화장행동을 통해 무엇을 추구하는지 알아본 결과 여고생들은 ‘아름다움’을 추 구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의 화장에 대한 박미에(2002)의 연구에서는 화장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성이 높고 동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출 횟수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특히 외출 횟수가 많은 실업계 여고생이 화장에 대한 관심 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화장에 관한 정보는 잡지에서 가장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 났고 화장품 구매와 관련하여 화장품 전문점에서 주로 구매하였으며 제품 타켓이 청소년 전용 화장품점을 선호하였고 구입 시 가장 중요한 기준은 품질이라고 답하 였다.

한미화, 이은희(2009)의 연구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고등학생이 중학생보 다,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일수록, 학생의 한 달 용돈이 3만원 이상 일수록 외모에 대한 욕구와 가치의식이 높다고 나타났다.

(24)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송현영(2013), 양은령(2012), 하주연(2012), 김현욱(2011), 이혜정(2011), 신지 현(2011), 윤슬아(2011), 황혜미(2011), 양선정(2010), 김수향(2009), 엄성희 (2009), 윤수익(2009), 이현희(2007), 신경선(2006), 차귀옥(2005), 황윤조(2005), 허진아(2004), 이연미(2003), 이명숙(2003), 박미애(2002), 김현희(2001) 등의 연 구가 있는데 연구주제가 화장품이고 연구대상이 여중고생인 것에 초점이 맞춰진 것을 보면 10대들의 소비자군이 시장세분화에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은주(2007)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남학생의 화장품 소비 행동을 포함한 연구를 하였으며, 한동조 ․ 박길순(2009)의 연구도 남고생을 대상으 로 한 것이었다. 그만큼 요즈음의 10대 청소년들 중 일부 남학생들도 화장에 관심 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화장품 사용 실태와 소비성향을 조사하고, 인구학적 요인 및 화장 동기를 몇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화장품 사용 및 소비와 관련하여 주체적인 결정을 하는 첫 시기인 중 학생의 화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그리고 저가화장품 시장에서 10 대 전용 화장품 라인의 필요성과 가정 및 학교현장에서 화장과 관련한 교육의 필 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5)

제 3장 연구방법 및 절차

제1절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의 B, D, S중학교(남학교1, 여학교1, 남녀공학1) 1학년에서 3학년까지의 남녀 중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와 구매성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2월 ~ 2013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년별(1학년 150부, 2학년 150부, 3학년 150부), 지역별(서울 225부, 경기 225부)로 배부하여 45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응답이 불완전한 12부를 제 외한 438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제2절 연구내용

문제1. 화장품 사용(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에 관해 중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학년, 이성 친구 여부, 남녀합반 여부, 가계의 월수입, 본인의 용돈)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분석한다.

문제2. 화장품의 선택과 구매성향(화장품 정보습득, 화장품 선택기준, 화장품 선 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알아본다.

문제3. 중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련해 급부상하는 소비층인 이들의 성 향을 분석하여 10대 전용화장품 및 저가화장품산업의 필요성을 진단해본다.

(26)

제3절 분석도구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도구는 화장품의 사용 실태, 화장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차귀옥(「청소년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p.84), 김수향(「여중생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p.102), 김현욱(「여중생들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 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p.121)의 것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만들었으며 문항은 총 39개로 구성하였다.

제4절 연구절차

본 연구는 2012년 11월~12월 2개월에 걸쳐 5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하였 다.

기존 연구들이 많이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화장품 시장이 워낙 급변하였기에 최 근 생겨난 화장품 업체들을 새로 포함하는 등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다.

그 결과로 얻어진 문항들로 완성된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응 답이 불완전한 12부를 제외한 438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 설정, 설문지 설계, 자료 코딩 및 분석, 결론 도출 순서로 진 행되었다.

(27)

제5절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했다.

둘째,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 검증),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했다.

셋째, 주요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제6절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조사지역이 서울과 경기 일부 수도권 지역의 남녀 중학생 438명 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에 전체 중학교 학생의 결과로 확대해석하기에는 제한 점이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남학생의 화장품 사용과 관련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 도출된 연구결과 의 비교가 용이하지 않았다.

(28)

제 4장 연구결과 및 해석

제1절 응답자 특성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특성은 다음과 같다.

<표 3> 응답자 특성

구분 빈도 퍼센트

학년

중1 146 33.3

중2 145 33.1

중3 147 33.6

성별 남자 221 50.5

여자 217 49.5

가정평균 수입

100만원 이하 18 4.1

100~200만원 86 19.6

200~300만원 132 30.1

300~400만원 85 19.4

400~500만원 81 18.5

500만원 이상 36 8.2

본인평균 용돈

없다 31 7.1

1만원 미만 37 8.4

1만원 이상~3만원 미만 70 16.0

3만원 이상~5만원 미만 110 25.1

5만원 이상 57 13.0

필요할 때마다 받는다 133 30.4

남녀합반 합반 216 49.3

비합반 222 50.7

이성친구

유 91 20.8

단순히 만나는 친구 170 38.8

무 177 40.4

전체 438 100.0

(29)

구분 기초화장품 사용여부

전체 카이제곱 아니오 (p값)

학년

중1 N 130 16 146

5.520 (0.063)

% 89.0% 11.0% 100.0%

중2 N 134 11 145

% 92.4% 7.6% 100.0%

중3 N 123 24 147

% 83.7% 16.3% 100.0%

성별

남자 N 177 44 221 29.623

(0.000***

)

% 80.1% 19.9% 100.0%

여자 N 210 7 217

% 96.8% 3.2% 100.0%

총 438명이 응답했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학년, 성별, 가정평균수입, 본인 평균용돈, 남녀합반여부, 이성친구 유무를 선정하였다.

제2절 중학생의 화장품 사용실태

1. 기초화장품 사용실태

1-1.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기초화장품 사용여부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기초화장품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성별(p=0.000), 가정 평균수입(0.015), 이성친구 여 부(p=0.000)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자(96.8%)가 남자 (80.1%)에 비해 기초화장품 사용률이 높았으며, 가정 평균수입이 높을수록 기초화 장품 사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이성친구가 있는 경우(93.4%)가 없는 경우 (79.1%)보다 기초화장품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4>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기초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30)

구분 기초화장품 사용여부

전체 카이제곱 아니오 (p값)

평균수입가정

100만원 이하 N 12 6 18

14.115 (0.015*)

% 66.7% 33.3% 100.0%

100~200만원 N 74 12 86

% 86.0% 14.0% 100.0%

200~300만원 N 114 18 132

% 86.4% 13.6% 100.0%

300~400만원 N 76 9 85

% 89.4% 10.6% 100.0%

400~500만원 N 77 4 81

% 95.1% 4.9% 100.0%

500만원 이상 N 34 2 36

% 94.4% 5.6% 100.0%

평균용돈본인

없다 N 27 4 31

4.509 (0.479)

% 87.1% 12.9% 100.0%

1만원 미만 N 30 7 37

% 81.1% 18.9% 100.0%

1만원~3만원 N 60 10 70

% 85.7% 14.3% 100.0%

3만원~5만원 N 102 8 110

% 92.7% 7.3% 100.0%

5만원 이상 N 50 7 57

% 87.7% 12.3% 100.0%

필요할 때마다 N 118 15 133

% 88.7% 11.3% 100.0%

이성친구여부

있다 N 85 6 91

24.963 (0.000***

)

% 93.4% 6.6% 100.0%

단순히 만나는 친구가 있다

N 162 8 170

% 95.3% 4.7% 100.0%

없다 N 140 37 177

% 79.1% 20.9% 100.0%

전체 387 51 438

88.4% 11.6% 100.0% -

*** p<0.001, ** p<0.01, * p<0.05

(31)

1-2. 기초화장품을 처음 사용한 시기

중학생들이 처음 기초화장품을 사용한 시기는 7세 이전이 48.8%로 가장 많았다.

김수향(2009)의 연구에서 기초화장품을 초등학교 5~6학년때 처음 사용한 여중 생이 42.1%로 가장 큰 비중으로 밝혀졌고, 김현욱(2011)의 연구에서도 초등학교 5~6학년 때 처음 사용해 본 여중생이 44.4%로 가장 많았다.

이처럼 기초화장품을 처음 접한 연령대의 연구 결과가 이전 연구된 자료들과 차 이를 보이는 이유는 기초화장품의 사용과 화장품에 대한 관심연령이 낮아지고 있 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처음 기초화장품을 접 한 시기가 빨랐다. 그리고 성별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남학생은 기초화장품을 처음 접한 시기가 7세 이전, 초등학교 1~3학년, 초등학 교 4~6학년 비율이 골고루 분포한데 반하여, 여학생들은 7세 이전이 확연하게 높 게 나타났다.

이밖에 거주지역별, 가정의 월평균 소득, 학생 개인의 용돈, 이성친구 여부, 남녀 합반, 성적 등의 요인들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사용하고 있는 기초화장품 종류

기초화장품은 세정 및 피부결 정돈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기초화장품의 종류가 많지만 그 중 남녀 중학생들이 사용 중인 기초화장품 종류로는 다음과 같이 로션을 사용하는 학생이 33.3%로 가장 많 았고, 스킨을 사용하는 학생은 26.3% 이다. 스킨과 로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

(32)

으나 로션만 사용하는 친구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5> 많이 사용하는 기초화장품

(복수응답)

구 분 빈도(명) 백분율(%)

스킨 115 26.3

로션 146 33.3

에센스 9 2.1

수분크림 8 1.8

자외선차단제(썬크림) 6 1.4

세안제(폼클렌징) 99 22.6

합계 383 87.4

2. 색조화장품 사용실태

2-1.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색조화장품 사용여부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색조화장품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표 5>와 같이, 성별(p=0.000), 이성친구 여부(p=0.000)에 따라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자(60.4%)가 남자(8.1%)에 비해 색조화장품 사 용률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이성친구가 있는 경우(49.5%)가 없는 경우(24.3%) 보다 색조화장품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3)

<표 6>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색조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구분 색조화장품 사용여부

전체 카이제곱 아니오 (p값)

학년

중1 N 60 86 146

4.927 (0.085)

% 41.1% 58.9% 100.0%

중2 N 45 100 145

% 31.0% 69.0% 100.0%

중3 N 44 103 147

% 29.9% 70.1% 100.0%

성별

남자 N 18 203 221

133.039 (0.000***)

% 8.1% 91.9% 100.0%

여자 N 131 86 217

% 60.4% 39.6% 100.0%

가정 평균수입

100만원 이하 N 4 14 18

4.277 (0.510)

% 22.2% 77.8% 100.0%

100~200만원 N 27 59 86

% 31.4% 68.6% 100.0%

200~300만원 N 46 86 132

% 34.8% 65.2% 100.0%

300~400만원 N 28 57 85

% 32.9% 67.1% 100.0%

400~500만원 N 27 54 81

% 33.3% 66.7% 100.0%

500만원 이상 N 17 19 36

% 47.2% 52.8% 100.0%

본인 평균용돈

없다 N 13 18 31

0.999 (0.963)

% 41.9% 58.1% 100.0%

1만원 미만 N 13 24 37

% 35.1% 64.9% 100.0%

1만원~3만원 N 23 47 70

% 32.9% 67.1% 100.0%

3만원~5만원 N 37 73 110

% 33.6% 66.4% 100.0%

5만원 이상 N 19 38 57

% 33.3% 66.7% 100.0%

필요할 때마다 N 44 89 133

% 33.1% 66.9% 100.0%

이성친구 여부

있다 N 45 46 91

17.376 (0.000***)

% 49.5% 50.5% 100.0%

단순히 만나는 친 구가 있다

N 61 109 170

% 35.9% 64.1% 100.0%

없다 N 43 134 177

% 24.3% 75.7% 100.0%

전체 34.0%149 66.0%289 100.0%438 -

*** p<0.001, ** p<0.01, * p<0.05

(34)

2-2. 색조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아직까지 중학생들은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여 색조화장품 사용이 높지 않았다.

그 중 기타 의견이 7.1% 차지했는데, 화장을 남자가 왜하느냐 등의 답이었다.

한국 사회 정서상 색조화장을 하는 것에 어색함을 느끼는 남학생들의 의견이 대 부분이었다.

<표 7> 색조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구 분 빈도(명) 백분율(퍼센트)

외모에 만족해서 12 2.7

피부에 좋지 않아서 69 15.8

불량 학생으로 보여서 41 9.4

학교와 부모님이 허락하지 않아서 36 8.2

귀찮아서 101 23.1

기타 31 7.1

합계 438 100.0

2-3. 사용하고 있는 색조화장품의 종류

색조화장품은 피부 결점 커버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여러 가지 종류 중 남 녀 중학생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색조화장품 종류는 아래 <표 11>과 같다.

B.B크림을 사용하는 학생이 21.9%로 가장 많았으며, 틴트가 20%, 립글로즈 15.7%, 아이라이너 11.4% 순으로 나타났다.

김현욱(2011)의 연구에서 여중생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품은 틴트15.8%, 비비 크림 14.2%, 아이라이너 13.5%, 립글로스 10.7%, 마스카라 8.9% 순으로 나타난 결과와 다르지만 남학생을 조사대상에 넣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큰 틀에서 벗어

(35)

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표 8> 많이 사용하는 색조화장품

(복수응답)

빈도(명) 백분율(퍼센트)

B.B.크림 96 21.9

메이크업베이스 25 5.7

파우더 20 4.6

아이쉐도우 10 2.8

아이라이너 50 11.4

마스카라 10 2.8

볼터치 27 6.1

아이브로우(눈썹제품) 31 7.1

립글로즈 69 15.7

틴트(립제품) 88 20

립스틱 1 0.2

네일칼라(메니큐어) 12 2.7

합계 439 100

2-4. 색조화장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색조 화장이 피부에 주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안만 잘 하면 피부에 문제는 없다가 46.6%, 피부가 점점 나빠질 것이다 27.7%,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14.9%, 지금부터 관리하면 앞으로 피부가 더 좋아 질 것이다 6.8%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현욱(2011)의 피부가 점점 나빠질 것이라고 인식하는 여중생이 74.8%로 대부분을 차지한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화장이 무조건 피부에 나쁘다는 인식이 줄어들고, 세안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서로 사료된다.

(36)

여러 통계학적 변인 중 학년에 따른 차이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년이 낮은 중학교 1학년 학생은 색조 화장이 피부를 점점 상하게 할 것이라는 인식이 많았다.

2-5. 색조화장품 사용 시기

중학생들의 42.6%의 학생이 소풍, 축제, 수련회 등 학교에서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색조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 항상 26.4%, 이성 친구를 만날 때 12.2%, 학교 등하교 할 때 10.8%, 친구를 만날 때 8.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었는데, 남학생은 77.8%가 소풍, 축 제, 수련회 등 학교에서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색조화장을 하였고, 여학생은 소풍, 축제, 수련회 등 학교에서 특별한 일이 있을 때 37.7%, 항상 30%, 학교 등하교 할 때 12.3% 학생이 색조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수입화장품 사용여부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수입화장품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표 9>과 같이 학년(p=0.017), 성별(p=0.000), 이성친구 여부(p=0.003) 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2(28.7%), 중3(25.2%)이 중1(15.1%)보다, 여자(36.0%)가 남자(10.4%)보다, 그리고 이성친구가 있는 경우(33.7%)가 없는 경우(15.3%)보다 수입화장품 사용률 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7)

<표 9>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른 수입화장품 사용여부 교차분석 수입화장품 사용여부

전체 카이제곱 아니오 (p값)

학년

중1 N 22 124 146

8.184 (0.017*)

% 15.1% 84.9% 100.0%

중2 N 41 102 143

% 28.7% 71.3% 100.0%

중3 N 36 107 143

% 25.2% 74.8% 100.0%

성별

남자 N 23 198 221

40.083 (0.000***)

% 10.4% 89.6% 100.0%

여자 N 76 135 211

% 36.0% 64.0% 100.0%

가정 평균수입

100만원 이하 N 3 13 16

8.765 (0.119)

% 18.8% 81.3% 100.0%

100~200만원 N 18 67 85

% 21.2% 78.8% 100.0%

200~300만원 N 37 94 131

% 28.2% 71.8% 100.0%

300~400만원 N 21 63 84

% 25.0% 75.0% 100.0%

400~500만원 N 18 62 80

% 22.5% 77.5% 100.0%

500만원 이상 N 2 34 36

% 5.6% 94.4% 100.0%

본인 평균용돈

없다 N 10 19 29

9.735 (0.083)

% 34.5% 65.5% 100.0%

1만원 미만 N 5 31 36

% 13.9% 86.1% 100.0%

1만원~3만원 N 13 56 69

% 18.8% 81.2% 100.0%

3만원~5만원 N 31 79 110

% 28.2% 71.8% 100.0%

5만원 이상 N 7 48 55

% 12.7% 87.3% 100.0%

필요할 때마다 N 33 100 133

% 24.8% 75.2% 100.0%

이성친구 여부

있다 N 29 57 86

11.945 (0.003**)

% 33.7% 66.3% 100.0%

단순히 만나는 친 구가 있다

N 43 127 170

% 25.3% 74.7% 100.0%

없다 N 27 149 176

% 15.3% 84.7% 100.0%

전체 99 333 432

22.9% 77.1% 100.0% -

*** p<0.001, ** p<0.01, * p<0.05

참조

관련 문서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intentions and satisfactions to classes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Second, the low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participate in e-sports and addicted to games, wherea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ception on the five-day-work-week school system, and to suggest ways of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student health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wenty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appropriat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Consciousness by studying the advisab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blended learning classes using online videos with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