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bdominal obesity and gallbladder polyp in Korea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bdominal obesity and gallbladder polyp in Korean"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38-42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서 론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도 증가하였고 최근 건강검진센터에서는 복부 초음파 검사가 선별검 사로서 종종 시행되고 있다. 그러한 추세에 따라 담낭용종의 발견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유병률은

2003

2

.

4

%에서

2007

에는

4

.

79

%로 현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1)

비만과 관련된 암 중에서 담낭암이 보고되었는데, 그 주요 위험인 자는 담낭용종일 뿐만 아니라 조기 담낭암의

80

% 이상이 진단 당시 형태학상으로 용종성 병변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영상학적으로 담낭 용종이 진단되면 악성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들에 대한 치료 방침 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2)

이렇듯 임상적으로 중요하며 증가추세에 있는 담남용종은 기존에 알려진 위험인자로 중년 남성, 비만,

HBsAg

양성, 대사증후군 등3,

4, 5)이 있었으나 복부비만 단독으로 평가한 논문은 없었으며 또한 그

크기에 따라 위험도를 비교한 것도 없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기 존에 알려진 위험인자 외에 복부비만, 담낭용종의 크기에 따른 대사 증후군 및 비만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 담낭용 종 치료 가이드라인은

10mm

이상일 경우 수술을 권고하지만, 미국

Mayo clinic

의 보고에 의하면

6mm

~

10mm

의 용종에서도 수술 후 악성의 위험성이 발견되었으므로6) 악성화의 가능성에 의미를 두고

5mm

이하와

6mm

이상 두 그룹으로 담낭용종을 나누어 연구를 진행 하였다.

한국인의 복부비만과 담낭용종

김창록, 유형조, 한수환, 김효지

*

동수원병원 가정의학과 교실

Abdominal obesity and gallbladder polyp in Korean

Chang-Lok Kim, Hyoung-Jo Ryu, Su-Hwan Han, Hyo-Ji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ongsuwon medical center, Korea

Background: Recently, owing to the routine use of abdominal ultrasound in health care centers, the detection rate of the gallbladder polyps has increased. Gallbladder polyps are clinically important because of their differential diagnosis and because it is a risk factors of gallbladder cancer. The known risk factors for gall bladder polyps include men in their middle age, obesity, HBsAg-posi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abdominal obes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lyps.

Methods: We reviewed age, sex, and past medical history of 2,083 adults who ha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Suwon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4. We measured their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and performed lipid profiling including measurement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e patients underwent abdominal ultrasound an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normal, gallbladder polyp.

Results: Body weight (p=0.003), waist circumference (p=0.015),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p=0.003), and LDL cholesterol levels (p=0.027) of the gallbladder polyp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biphasic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p=0.003, OR 23.4) was an independent factors for an increased risk of gallbladder polyps. Alcohol and smoking history was significant in the univariate comparison, but were not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However, metabolic syndrome, obesity (body mass index [BMI] ≥25 kg/m²), and abdominal obes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allbladder polyps.

Conclusion: Male Sex, high weight, high waist circumference, high total cholesterol, high LDL cholesterol, alcohol inake, and smoking history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allbladder polyps; metabolic syndrome,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Keywords: Gallbladder polyp, metabolic syndrome, obesity, abdominal obesity

Received February 26, 2015 Revised August 13, 2015 Accepted August 19, 2015 Corresponding Author Hyo-Ji Kim

Tel: +82-32-342-2220 E-mail: kkuumy@hanmail.net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김창록 외. 한국인의 복부비만과 담낭용종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3

1

월부터

2014

12

월까지 경기도 수원에 있는 한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위해 복부 초음파와 혈액 검사를 시행 받고 담낭 관찰이 가능하였던

20

세 이상 성인 수진자 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참조하여 후향분석을 하였다. 이 중 대 사증후군의 구성요소 결과를 포함하며 나이, 키,

BMI

, 허리둘레의 정보를 알 수 있었던 자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기간 동안

2

회 이상 수진 받은 경우 가장 마지막 결과를 포함하였다. 또 한 과거 담석증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와 외국인의 경우는 제외하여 총

2

,

083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2. 방법

대상자들에 관한 성별, 연령, 과거병력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신체계측 중 키, 몸무게는 자동신체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

BMI

)는 체중(

kg

)을 신장(

m

)의 제곱 으로 나누어 구했다.

BMI

23kg

/

m

2 이상

25kg

/

m

2 미만인 경우를 과체중,

25kg

/

m

2 이상인 경우는 비만으로 정의하였다. 허리둘레는 직립자세에서 늑골 최하단 부와 장골능 최상단부의 중간지점에서 대상자가 숨을 내쉰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American Heart Association

(

AHA

)/

National Heart

,

Lung and Blood Institute

(

NHLBI

)

ATP III 2005

에서 제시한 진단기준7)에 따랐고 복부비만의 항목은 대한 비만학회 의 기준8)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1

. 허리둘레≥

90cm

(남성)

and

85cm

(여성)

2

. 중성지방≥

150mg

/

dL

또는 치료제 복용

3

.

HDL

-

C

<

40mg

/

dL

(남성), <

50mg

/

dL

(여성) 또는 치료제 복용

4

. 수축기 혈압≥

13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85mmHg

는 고혈압 치료제 복용

5

. 공복 혈당≥

100mg

/

dL

또는 당뇨병 치료제 복용

담낭용종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최소

12

시간 금식 후 동일한 초음파 기계를 사용하여

3

명의 진단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담낭 벽으 로부터 돌출된 고에코성 종괴과 후방음영을 동반하지 않으며 체위 변화에 따른 이동 없이 존재하는 경우 담낭용종이 있는 것으로 판단 하였다. 기존에 대사증후군이 담낭결석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9)가 있어 담낭용종 이외에 담낭결석을 포함한 췌담관계 질환이 함 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대상군에서 제외하였으며 담낭절제술로 인 해 담낭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도 제외하였다. 혈액검사 또한

12

간 이상의 금식 후에 시행되었으며, 생화학 검사들의 정상치는 본 원 검사실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들의 결과 분석은

SPSSWIN 21

.

0

(

SPSS Inc

.,

Chicago

,

IL

,

USA

)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담낭 용종군과 비담낭용종군의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차 이 검증인

Student t

-

test

를 실시하였다. 담낭용종의 독립인자를 구 하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biphasic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를 시행하였고, 범주형 자료에서 비모수 기법인 경우 교차분 석(

chisqure t

-

test

) 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모든 통계 자료는

P

-

value

0

.

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결론 내렸다.

결 과

1. 대상들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자는 총

2

,

083

명으로 남자는

1

,

545

명(

74

.

2

%) 여자는

538

명(

25

.

8

%)이였으며 평균 연령은

45

.

29

±

11

.

1

이었다. 평균체중

65

.

7

±

13

(

kg

)이었으며 허리둘레는

79

.

17

±

9

.

4

(

cm

)로 복부비 만은 대한 비만학회 기준으로 남자

186

명(

12

.

0

%), 여자

34

명(

6

.

3

%) 이었다. 평균 체질량 지수는

24

.

12

±

3

.

7

(

kg

/

m

2)으로 저체중그룹은

63

명(

3

.

0

%), 정상체중은

673

명(

32

.

3

%), 과체중그룹은

488

(

23

.

4

%) 명, 비만그룹은

859

명(

41

.

2

%)이었다(

Table 1

).

2. 담낭용종과 비용종군(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성 비교

연속변수를 비교하였을 때 체중의 경우 용종군(

69

.

89

±

11

.

5kg

) 은 비용종군(

64

.

99kg

±

13

.

2kg

)에 비해 많았으며, 허리둘레도 용 종군(

81

.

66

±

7

.

3cm

)은 비용종군(

78

.

75

±

9

.

7

)보다 더 길었다. 또 한 혈액검사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이 용종군(

Total cholesterol 214

.

81

±

38

.

8

,

LDL 128

.

15

±

34

.

6

)이 비용종군(

Tota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2,083)*

Characteristics Value

Gender Male Female

1545(74.2) 538(25.8)

Age, mean(SD), y 45.29(11.1)

BMI, mean(SD), kg/m² 24.12(3.7)

Abdomninal obesity Male

Female

186(12.0) 34(6.3) Obesity

Under weight(BMI <18.5) Healthy weight(BMI 18.5~22.9) Overweight(BMI 23~24.9) Obesity(BMI ≥ 25)

63(3.0) 673(32.3) 488(23.4) 859(41.2)

* Data are presented as numbers(%) unless otherwise indicated.

(3)

Chang-Lok Kim, et al. Abdominal obesity and gallbladder polyp in Korea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cholesterol 200

.

29

±

38

.

1

,

LDL 118

.

32

±

34

.

8

)보다 더 높게 측정 되었다. 비연속변수를 비교하였을 때 남성,

alcohol

smoking Hx

가 있는 경우에 용종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남성의 경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으며 나머지 변인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남성의 경우

odd ratio 23

.

4

로 여자에 비해 담낭용종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사증후군, 비만(

BMI

25kg

/

m

2), 복부비만의 경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Table 2

).

3. 담낭용종의 크기에 따른 복부비만, 대사증후군 연관성

담낭용종을

2

군으로 분류(≤

5mm

,≥

6mm

)하여 크기에 따라 대 사증후군, 복부비만의

odd ratio

를 비교하여 보았다. 담낭용종의 크 기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odd ratio

에 대하여

T

-

test

분석을 실시한 결과 ≥

6mm

인 경우에 ≤

5mm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3

). 담낭용종의 크기에 따른 복 부비만(남≥

90cm

, 여≥

85cm

)의

odd ratio

에 대하여 살펴보면, 유 의수준

p

<.

0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able 4

).

고 찰

담낭의 용종 또는 용종성 병변은 담낭 점막 위로 국한된 경계를 가진 내강으로 돌출된 병변을 말하고, 그 유병률은

0

.

03

~

6

.

9

%로 나라마다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의 유병률은 약

5

% 정도로 남자에서 흔한 병변으로 보고된다.10)

Christensen

Ishak

11) 의 조직학적 분류에 의하면 크게 양성 종양과 악성 용종으로 나누 며, 콜레스테롤 용종이 전체 담낭 용종성 변변의 약

2

/

3

가량을 차 지하는 가장 흔한 병변이다.

복부 초음파 검사는 담낭 용종의 진단과 추적 검사 시 용종 크기 의 변화 측정에도 가장 유용하고 기본이 되는 검사이며, 담낭용종 의 초음파 소견은 보통 작은 에코 덩어리로 보이며 후방음향음영이 없고, 체위의 변화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소견으로 담석과 감별을 한다.12)

담낭용종이 임상적인 주목을 받는 이유는 조기 담낭 선암종과 감 별이 어렵기 때문이며

10mm

미만의 담낭용종은 장기간의 추적 관 찰에서도 악성화되지 않고 양성의 경과를 취하지만,13)

10mm

이상 의 용종은 악성화의 위험성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현재까지의 문 헌 보고에 의하면

37

~

88

%까지 보고되고 있다. 현재 국내 담낭용 종 치료 가이드라인은

10mm

이상일 경우 수술을 권고하지만, 미 국

Mayo clinic

의 보고에 의하면

6mm

~

10mm

의 용종에서도 수술 후 악성의 위험성이 발견되었다.6) 또한 최근의 역학연구들은 비만 이 담낭암을 포함한 몇몇 암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 다.14, 15, 16)

담낭용종의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몇몇 연구에서는 생활습관, 비만, 당불내성, 혈중 지질농도 등은 용종 발생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또 다른 연구에서는

BMI

, 당불내성, 비만이 담낭용종의 위험인자라는 결과를 보여주었 다. 담낭용종의 발생에 비만의 영향이 있다는 보고4, 17)와 없다는 보

18, 19)가 모두 있는데,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건강검진 초음파

에서 발견된 담낭용종에 대해 분석한 연구에서는 나이, 성별, 흡연, Table 2. Multivariate Comparison between Cases* and Controls

(n=2,083)

P-value Odds ratio 95% C.I Lower Upper

Sex .003 23.440 3.031 181.243

Obesity(BMI ≥ 25) .869 .957 .564 1.624

Metabolic syndrom .212 .582 .249 1.361

Abdominal Obesity§ .199 .582 .249 1.361

Total Cholesterol .186 3.044 .584 15.854

LDL Cholesterol .176 .320 .061 1.668

Weight .320 1.058 .947 1.182

Hypertension .147 6.073 .531 69.528

Diabetes .999 6.605 .000 -

Alcohol .995 .000 .000 -

Smoking .998 .000 .000 -

* Cases: Patients with Gallbladder polyp

Controls: Patients without Gallbladder polyp

P-value from biphasic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nrence ≥90cm(Male) and ≥85cm(Female)

Table 3. The odds ratio according to metabolic syndro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allbladder polyps

N* Mean SD t P-value

polyp size ≤ 5mm

≥ 6mm 58 14

1.09 1.07

1.064

1.207 .045 .964

* N: numbers

P-value from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Table 4. The odds ratio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allbladder polyps

Abdominal

Obesity|| Total X2(p)

No Yes

GB polyp size

≤ 5mm

≥ 6mm 52 89.7%

11 78.6%

6 10.3%

3 21.4%

58 100.0%

14

100.0% 1.267(.260)

Total 63

87.5%

9 12.5%

72 100.0%

*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nrence ≥90cm(Male) and ≥85cm(Female)

P-value from independent two samples chi-square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4)

김창록 외. 한국인의 복부비만과 담낭용종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혈압, 허리둘레,

BMI

,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등이 담낭용종의 위험 인자임을 제시하였다.5) 여러 위험인자 중 다른 변수들을 고려하였 을 때에도 비만의 중요지표인 허리둘레와 대사증후군은 용종 발생 과 중요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체중, 허리둘레,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 남성,

alcohol

smoking Hx

가 담낭용종과 연관이 있 지만, 기존에 알려진

HBsAg

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담낭용 종의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

비만의 진단은 체질량지수 (

body mass index

,

BMI

;

kg

/

m

2)를 주로 이용하며, 우리 나라를 포함한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는 체질 량지수

23

24

.

9kg

/

m

2를 위험체중,

25kg

/

m

2 이상을 비만으로 정 의한다. 하지만 최근의 대규모 전향적 연구들은 체질량지수보다 체 지방의 분포가 질병 발생 위험을 더 잘 예측할 뿐 아니라, 체질량지 수가 정상이라도 허리둘레(

waist circumference

)나 허리-엉덩이 둘 레비(

waist hip ratio

,

WHR

)가 높으면 비만관련 질병 및 합병증 발 생 위험이 훨씬 증가함을 보여준다.20) 허리둘레는

WHR

보다 복부 내장지방 및 비만 관련 대사 이상과 연관성이 더 높으며,21) 신장에 관계없이 복부비만 정도를 잘 반영할 뿐 아니라,22) 허리둘레의 변화 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변화도 잘 반영한다.23) 따라서 허리둘레 는 임상에서 복부비만 정도를 평가하는데 현재까지 가장 유용한 도 구로 사용되고 있다.

담낭용종이

6mm

이상인 경우 악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복부비 만 여부와 함께 허리둘레, 또한 기존에 알려진 담낭용종의 위험인자 인 대사증후군을 크기에 따라

2

그룹(

5mm

이하,

6mm

이상)으로 분 류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복부비만을 대사증후군에 포 함하였으나 이번 연구에는 복부비만 단독으로 담낭용종과의 연관성 을 살펴보았으며 허리둘레는 담낭용종과 연관이 있지만, 한국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한 비만학회의 기준9)(남성≥

90cm

, 여 성≥

85cm

)으로 복부비만을 정의하였을 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 었다. 또한 대사증후군도 통계적인 의의를 갖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진자들이 일반 인구 집단을 대표할 수 없 다는 점과 흡연량과 음주량의 정량분석이 없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유병률이나 위험인자를 분석함에 있어 건 강검진 수진자들 이외에는 그 집단의 대표성을 나타내는 마땅한 대 안이 없는 현실적인 제한이 있다. 흡연과 음주는 문진으로만 이루 어져 그 정확성에 있어 의구심이 있어 이번 연구에서는 그 정량을 제외하였으나, 향후 정확하고 구체적인 문진을 통해 담낭용종과의 연관성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요 약

연구배경: 최근 건강검진센터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가 선별검사로

서 시행되고 담낭용종의 발견은 증가하고 있다. 담낭용종은 담낭암 의 위험인자일 뿐만 아니라 조기 담낭암과의 감별 때문에 그 임상적 중요한데, 그 위험인자로 중년 남성, 비만,

HBsAg

양성, 대사증후 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위험인자 외 에 그 크기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복부비만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자 한다.

방법:

2013

1

월부터

2014

12

월까지 경기도 수원에 있는 한 건 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

,

083

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고, 키, 체중, 허리둘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측정하였 다. 담낭용종의 여부는 복부 초음파를 통해 결정하였다.

결과: 담낭용종군이 비용종군(대조군)에 비해 체중은 더 높게 (

P

=

0

.

003

), 허리둘레는 더 길게(

P

=

0

.

015

) 측정되었으며 통계 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또한

Total cholesterol

(

P

=

0

.

003

)과

LDL cholesterol

(

P

=

0

.

027

)이 담낭용종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남성은 여성에 비해

odd ratio 23

.

4

로 담낭용종이 더 많이 발생 (

P

=

0

.

003

)하였다. 음주력 및 흡연력이 있는 경우가 용종군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 았다. 하지만 대사증후군, 비만(

BMI

25kg

/

m

2), 복부비만의 경우 에 있어서는 담낭용종과의 연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담낭용종의 경우 남성, 체중, 허리둘레,

Total cholesterol

,

LDL cholesterol

, 음주력 및 흡연력과 연관이 있으나 대사증후군, 비만, 복부비만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단어: 담낭용종, 허리둘레, 대사증후군, 비만, 복부비만

REFERENCES

1. Lee SB, Kang HC, Shin YT, Lee JH, Choi SI, Kim CO, Whang HJ.

Prevalence of gallbladder polyp in adults in Korea. Korean J Fam Med 2009;30:39-45.

2. Wang ZX, Chen F, Kim SH. Clinical feature of incidental gallbladder cancer diagnosed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due to gallbladder polyps. J Minim Invasive Surg 2012;15:38-43.

3. Segawa K, Arisawa T, Niwa Y, Suzuki T, Tsukamoto Y, Goto H, et al. Prevalence of gallbladder polyps among apparently healthy Japanese: ultrasonographic study. Am J Gastroenterol 1992;87:630- 633.

4. Kim SY, Lee HS, Lee YS, Chung KW, Jang BK, Chung WJ,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bladder polyp in adult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44-50.

(5)

Chang-Lok Kim, et al. Abdominal obesity and gallbladder polyp in Korea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5. Lim SH, Kim DH, Park MJ, Kim YS, Kim CH, Yim JY, et al. Is metabolic syndrom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gallbladder polyps found by ultrasonography during health screening? Gut Liver 2007;1:138-144.

6. Zielinski MD, Atwell TD, Davis PW, Kendrick ML, Que FG.

Comparison of surgically resected polypoid lesions of the gallbladder to their pre-operative ultrasound characteristics. J Gastrointest Surg 2009;13:19-25.

7.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112:2735-52.

8.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75:72-80.

9. Kim JU, Lee KM.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Gallbladder Stone. Korean J Fam Med 2009;30:610-6.

10. Park JK, Yoon YB, Kim YT, Ryu JK, Yoon WJ, Lee SH, et al.

Management strategies for gallbladder polyps: is it possible to predict malignant gallbladder polyps? Gut Liver 2008;2:88-94.

11. Christensen AH, Ishak KG. Benign tumors and pseudotomors of the gallbladder. Report of 180 cases. Arch Pathol 1970;90:423-432.

12. Choi JH, Yun JW, Kim YS, Lee EA, Hwang ST, Cho YK, et al.

Pre-operative predictive factors for gallbladder cholesterol polyps using conventional diagnostic imaging. World J Gastroenterol 2008;14:6831-6834.

13. Albores-Saaverdra J, Vardaman CJ, Vuitch F. Non-neoplastic polypoid lesions and adenomas of the gallbladder. Pathol Annu 1993;28:145-177.

14. Renahan AG, Tyson M, Egger M, Heller RF, Zwahlen M. Body- mass index and incidence of cancer: a systemic review and meta-

analysis of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Lancet 2008;371:569- 78.

15. Kuriyama S, Tsubono Y, Hozawa A, Shimazu T, Suzuki Y, Koizumi Y, et al. Obesity and risk of cancer in Japan. Int J Cancer 2005;113:148-57.

16. Larsson SC, Wolk A. Obesity and the risk of gallbladder cancer: a meta-analysis. Br J Cancer 2007;96:1457-61.

17. Shim SG, Lee KT, Lee JK, Park JH, Ryu KH, Rhee PL,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bladder polyps in health screening subjects. Korean J Med 1999;57:1014-1020.

18. Jørgensen T, Jensen KH. Polyps in the gallbladder. A prevalence study. Scand J Gastroenterol 1990;25:281-286.

19. Chen CY, Lu CL, Chang FY, Lee SD. Risk factors for gallbladder polyps in the Chinese population. Am J Gastroenterol 1997;92:2066-2068.

20. Must A, Spadano J, Coackley EH, Field AE, Colditz G, Dietz WH.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1999;282:1523-1529.

21. Despres J-P, Prud’homme D, Pouliot MC, Tremblay A, Bouchard C. Estimation of deep abdominal adipose tissue accumulation from simpl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men. Am J Clin Nutr 1991;54:471-477.

22. Han TS, Seidell JC, Currall JE, Morrison CE, Deurenberg P, Lean ME. The influences of height and age on waist circumference as an index of adiposity in adult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7;21:83-89.

23. Pouliot MC, Després J-P, Lemieux S, Moorjani MS, Bouchard C, Tremblay A, et al. Waist Circumference, Abdominal Sagittal diameter. best simple anthropometric indexes of abdominal visceral adipose tissue accumulation and related cardiovascular risk in men and women. Am J Cardiol 1994;73:460-468.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n=2,083)*
Table 4. The odds ratio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allbladder polyps

참조

관련 문서

Changes in blood components decreased in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increased in high density

(a) Low-Angle and High-Angle Boundaries (b) Special High-Angle Grain Boundaries (c) Equilibrium in

그리고 오산에서 관측된 4일 00UTC 단열선도에서 지상에서 850hPa 고도까지 강한 역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이는 925hPa에서 850hPa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The facilitation of social-emotional understanding

Subjects with a smoking period of 1 to 3 years had a high smoking cessation success rate (p=0.024), and the lower the average daily smoking amount, the higher the

[r]

For a participation item, yoga participants had a high response in appearances, exercise confidence, and health; dance sports participants, in endurance;

4)우리가 직접 만든 일루미네이터를 광고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 각 조별로 자신이 만든 일루미네이터의 장점을 소개하는 신문광고 문구를 만들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