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linical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Patients ’ Satisfaction after Carpal Tunnel Release -Preliminary Repor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linical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Patients ’ Satisfaction after Carpal Tunnel Release -Preliminary Report- "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VOLUME 9, NUMBER 3, SEPTEMBER 2004

Clinical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 of Patients Satisfaction after Carpal Tunnel Release -Preliminary Report-

Hyung Ho Kim, M.D., Joo Han Oh, M.D., Moon Sang Chung, M.D., Hyun Sik Gong, M.D.,

Sanglim Lee, M.D., Goo Hyun Baek,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 u r p o s e: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perioperative change of symptoms and functions in patients with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and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postoperative patients’satisfac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nine hands of 56 patients who underwent carpal tunnel release for idio- 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by one surgeon were included in the cohort. Clinical features evaluated for prognostic factor were as follows: duration of symptom, paresthesia, nocturnal pain, cold intolerance, weakness, thenar atrophy, Tinel sign, Phalen test and electrophysio- logic test. We used two forms of questionnaires (Boston questionnaire, DASH) for the prospective evaluation of patients’satisfaction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 e s u l t s: Overall symptoms and functions improved gradually after surgery. Short duration of symptom, noc- turnal pain, cold intolerance and subjective weakness

were related to postoperative satisfaction (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lectrophysiologic grades and patients’satisfaction.

Conclusion: This mid-term prospective study suggests that symptom duration, noctunal pain, cold intolerance and subjective weakness can be predictive factors influ- encing patients’satisfaction after carpal tunnel release.

As a preliminary report, however, the study needs larger investigation with sufficient follow-up.

Key Words: Carpal tunnel syndrome, Prognostic factors

수근관 증후군은 상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말초 신경 압박에 의한 신경병증으로 수부의 정중 신경 분 포지역에 저린감, 통증, 감각 이상 등의 증상과 무지 구근의 약화를 주 증상으로 한다. 이에 대한 치료로 시행되는 수근관 절개술은 수부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 는 치료법으로 그 성공률도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때로는 수술 전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 소하여 재발을 의심하게 되는 경우를 볼 수 있고, 또는 수술 후 피부 반흔의 통증을 호소하여 수근관 절개술 후 호전 여부를 판정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2. 수술 전후 증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는데, 이점 식별법(two-point dis- c r i m i n a t i o n )이나 Semmes-Weinstein monofila- m e n t pressure testing 같은 객관적 소견들은 수근 관 증후군 진단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수술 후 결 과를 예측하기는 어렵고, 또한 수술 후 임상적 결과와 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고 하였다3. 따라서 몇몇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의 반응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증상을 개별적 또는 조합으로 제시하기도 하

수근관 절개술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환자 만족도의 변화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인자 -예비적 보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김형호・오주한・정문상・공현식・이상림・백구현

통신저자: 오 주 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300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TEL: 031-787-7197, FAX: 031-787-4056 E-mail: ohjh1@snu.ac.kr

✽ 이 논문의 요지는 2004년 제 48차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 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2)

였다4 , 5. 현대 의학은 치료와 그 치료 결과에 대한 엄정 한 판정과 평가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평가는 환자들 의 증상과 기능의 관점을 고려한 환자 관점에서의 평가 를 필수로 하고 있다. 이러한 주관적 측면의 자료는 설 문지를 통해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보 스톤 설문지와 팔・견관절・수부 장애 정도( D i s a b i l i t i e 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평가지 의 유용성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고 있다6 , 7.

저자들은 특발성 수근관 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 및 수술 후 만족도를 보스톤 설문지와 D A S H 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수술 전 증상, 이학적 소견 및 전기생리학적 소견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각각 의 임상적 인자가 환자의 증상 및 기능의 변화에 시간 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전향적 연구로 연구 시작 시점인 2 0 0 3년 5월 이후 로 한 병원에서 외상성 및 종물 또는 기타 질환에 의 한 이차성 병발을 제외하고 임상소견 상 특발성 수근 관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수근관 절개술을 시행받고 최 소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추시가 가능하였던 5 6명의 환자 89 수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는 6명 (10.7%), 여자는 5 0명( 8 9 . 3 % )이었고, 연령은 최소 3 2세부터 최고 7 1세까지 평균 5 5 . 3세 이었으며, 이환 부위는 우측이 1 3명(23.2%), 좌측이 1 0명( 1 7 . 9 % ) , 양측이 3 3명( 5 8 . 9 % )이었다. 추시 기간은 수술 후 1 2 개월 이상 가능하였던 대상이 14 수부(15.7%), 9개 월까지 가능하였던 대상이 14 수부(15.7%), 6개월이 33 수부(37.1%), 3개월이 28 수부( 3 1 . 5 % )로 평균 6.5 개월 이었다. 따라서 연구 시작 후 3개월간 추시 된 경우는 89 수부, 6개월간 추시된 경우는 61 수부, 9개월은 28 수부, 12개월은 14 수부 이었다. 증상의 이환 기간은 최소 2개월에서 최대 2 5년까지 평균 4 . 3 년 이었다.

2. 평가 방법

환자 상태의 평가는 자가 작성 설문지( s e l f - a d m i n- istered questionnaire)인 보스톤 설문지와 팔・견관 절・수부 장애 정도(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평가지를 이용하였 다. 설문지는 특발성 수근관 증후군의 수술을 위해 입 원한 환자에게 수술 전에 작성하게 하였으며, 수술 후

보스턴 설문지는 증상(Boston symptom, BS)과 기능 부문(Boston function, BF)으로 나뉘어 지는 데, BS은 증상의 심각한 정도를 묻는 1 1문항으로 심 각성, 빈도, 시간, 형태를 반영하고, BF은 기능의 상 태를 묻는 8문항으로 일상 생활에서 수근관 증후군의 영향을 묻는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1점 에서 5점까지 1점 단위로 점수가 부여되어, 무증상인 경우 1점이고 가장 심한 경우 5점이 부여되며 산술 평 균을 낸 점수를 이용한다. DASH 평가지는 상지의 증 상과 기능을 묻는 총 3 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그 중 2 1개 문항은 팔, 견관절, 수부의 이상으로 인한 신체 활동의 어려움의 정도를 묻고, 5개 문항은 활동과 관련된 통증, 저린감, 무기력, 강직과 관련된 질문이며, 4개의 문항은 상지의 이상에 의한 사회 활 동, 노동, 수면, 자아상의 영향에 대한 질문이다. 각 문 항은 문제없음의 경우 1점에서 가장 심각한 5점까지 1 점단위로 점수가 부여되어 각 항목에 대한 수치를 계산 식( [ {합산점수÷총문항수} - 1 ]×2 5 )에 구하면, 결과가 0 점(장애 없음)부터 1 0 0점(매우 심각한 장애)까지 점수 로 매겨진다. 호전 정도는 수술 전 점수와 수술 후 각 시기별 점수의 차이를 구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3. 임상적 인자

임상 증상으로는 이환 기간, 이상 감각, 야간 동통, 한랭 불내성, 근력 약화를, 이학적 검사는 Tinel 징 후, Phalen 검사, 무지구 근위축의 유무를 확인하였 다. 이환 기간은 최저값과 최고값을 제외한 중간값을 구하여 단기간과 장기간으로 나누는 기준 시점으로 정 하였다. 근력 약화는 일상생활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악력 또는 파지력 약화의 유무로 기록하였다.

임상 소견상 수근관 증후군이 의심되는 환자는 수술 전에 전기 생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분류는 Bland 등8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Table 1). 이 분류법은 정상인 0단계부터 극히 심한 6단계까지 총 7단계로 분류되며 2단계 이하를 경증, 3 단계 이상을 중증으로 분류한다.

4. 치료 방법

수술적 치료는 한 술자에 의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수장부를 원위 손목금의 약 1 cm 원위부 에서 무지구 선 척측을 따라 약 2~3 cm의 종절개 후 횡수근 인대를 근위부 및 원위부로 절개하여 감압하면 서 정중 신경을 주위 조직으로부터 박리시키고 동시에 정중 신경의 운동 분지의 확인 및 이 분지에 대한 감

(3)

주간의 부목고정을 시행하였다.

5. 통계적 방법

각 임상 양상 및 전기 생리학적 검사 결과에 따른 보스톤 설문지와 DASH 평가지의 평균값의 비교는 non-parametric Wilcoxon test를 이용하였으며, 추시 기간에 따른 증상, 기능, DASH 점수의 평균값 비교는 Friedman test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05 로 하였다.

1. 평가 결과

보스톤 증상 및 기능 점수, DASH 점수 모두 시기 별 평가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 호전 양상을 나

타냈으며, 현 시점까지의 전향적 연구 상 수술 후 3 , 6, 9, 12개월에 보인 호전 정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Fig. 1).

2. 각종 임상적 인자 및 수술 후 증상, 기능, DASH 점수의 변화

이환 기간은 최저 2개월부터 최고 2 5년까지 평균 4 . 1 6년으로 중간값은 3년이었으며, 단기 이환은 3 8 수부(42.7%), 장기 이환은 51 수부( 5 7 . 3 % )이었다.

보스톤 증상 및 기능 점수, DASH 점수에서 단기간 이환된 경우가 장기간 이환된 경우보다 각 시기별 유 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상 부문 은 차이가 줄어들고 기능 부문은 차이가 벌어지는 양 상을 보였다(Table 2). 이상 감각은 총 89 수부 중 양성이 76 수부(85%), 음성이 13 수부( 1 5 % )이었으 며, DASH와 BS, BF의 각 시기별 점수차에서 불규

Table 1. Classification of electrophysiologic test in CTS

Grade 0 No neurophysiological abnormality

Grade 1 Very mild CTS

detected only in sensitive test

Grade 2 Mild CTS

antidromic sensory distal onset latency > 3.6 ms with motor terminal latency ≤ 4.5 ms

Grade 3 Moderately severe CTS

motor terminal latency > 4.5 ms and ≤ 6.5 ms with preserved index finger SNAP*

Grade 4 Severe CTS

motor terminal latency > 4.5 ms and ≤ 6.5 ms with absent sensory SNAP*

Grade 5 Very severe CTS

motor terminal latency > 6.5 ms

Grade 6 Extremely severe CTS

surface motor potential from APB< 0.2 mV

*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

abductor pollicis brevis

Table 2. Mean values of improved scores related to symptom duration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ales

Symptom duration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short long short long short long short long

Δ DASH 17.1±20.8 12.0±16.1 23.9±1.4 16.3±15.7 20.1±21.4 18.2±21.2 22.6±17.7 21.7±21.4

p value 0.047 0.075 0.066 0.012

Δ BS 1.26±0.80 1.08±0.92 1.64±0.82 1.23±0.67 1.32±0.86 1.29±0.68 1.30±0.62 1.25±0.47

p value 0.038 0.051 0.018 0.036

Δ BF 0.93±0.77 0.79±0.76 1.09±0.64 1.14±0.71 1.15±0.43 1.04±0.83 1.22±0.39 0.81±0.59

p value 0.019 0.008 0.037 0.043

mean values of preoperative score - postoperative score

(4)

칙적으로 점수 분포가 되었고, 통계학적 유의성도 갖 지 못하였다. 야간 동통은 총 89 수부 중 양성이 6 5 수부(73.0%), 음성이 24 수부( 2 7 . 0 % )이었고, 시기 별 D A S H와 B S의 점수차에서 양성인 경우가 음성인 경우에 비해 높은 회복 정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3). 그러나 B F는 3개월째 추시검 사를 제외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 a b l e 3). 한랭 불내성은 양성이 46 수부(51.7%), 음성이 43 수부( 4 8 . 3 % )이었으며, BS와 D A S H는 대부분의 시기에서 고른 점수를 나타내었고, 9개월째의 D A S H 점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평균값의 큰 변동 없이 양성인 경우가 수술 후 높은 회복 정도 를 보였다(Table 4). 그러나 B F는 6개월째 추시검사 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inel 징후는 양성이 80 수부(89.9%), 음성이 9 수 부( 1 0 . 1 % )이었으며 시기별 D A S H와 BS, BF의 점 수차에서 대부분 음성인 경우에 높은 회복 정도를 보 였으나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halen 검사는 양성이 81 수부(91%), 음성이 8 수부( 9 % )이 었으며 음성인 경우 D A S H는 전 시기에서, BS와 B F 는 9개월째와 1 2개월 째 추시검사에서 점수차가 크게 나타났으나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근력 약 화는 양성이 41 수부(46.1%), 음성이 48 수부

( 5 3 . 9 % )이었으며, 초기 평가에서는 D A S H와 BF 모 두에서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가 호전 정도가 크게 나 타났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근력 약화가 없는 경우 가 높은 회복 정도를 보였다(Table 5). BS에서는 대 부분의 시기에서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에서 점수차가 크게 나타났으나 모든 시기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 었다. 무지구 근위축은 양성이 33 수부(37.1%) 음성 이 56 수부( 6 2 . 9 % )였으며 D A S H와 B F의 평균값의 차는 시기별로 혼재된 양상을 보였고 통계학적 유의성 도 없었다. BS는 6개월 이후로 음성인 경우에서 점수 차가 크게 나타났고 1 2개월째 추시 검사에서는 통계학 적 유의성을 보였으나 나머지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기 생리학적 검사는 총 89 수부 중 80 수부에서 시행하였으며, Bland 분류상 0등급은 없었고, 1등급 이 10 수부(12.5%), 2등급이 14 수부(17.5%), 3등 급이 26 수부(32.5%), 4등급이 7 수부(8.7%), 5등 급이 1 4수부(17.5%), 6등급이 9 수부( 1 1 . 3 % )이었으 며, 경증은 24 수부(30%), 중증은 56 수부( 7 0 % )이 었다. DASH와 BS 및 B F의 각 시기별 점수차는 전 시기에서 모두 대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학적 유의성도 없었다.

Table 3. Mean values of improved scores related to nocturnal pain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ales

nocturnal pain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ΔDASH 14.8±17.5 12.7±10.6 20.4±17.8 15.5±21.2 20.7±22.0 18.5±19.6 26.2±19.3 16.7±18.5

p value 0.059 0.047 0.037 0.032

ΔBS 1.40±0.91 1.07±0.50 1.59±0.77 1.21±0.60 1.32±0.74 1.29±0.55 1.35±0.58 1.00±0.44

p value 0.041 0.038 0.068 0.48

ΔBF 0.97±0.72 0.48±0.85 1.09±0.72 1.23±0.50 1.08±0.68 1.17±0.51 0.90±0.58 1.31±0.15

p value 0.032 > 0.1 > 0.1 > 0.1

mean values of preoperative score - postoperative score

Table 4. Mean values of improved scores related to cold intolerance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ales

cold intolerance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ΔDASH 19.5±17.9 10.3±17.9 22.5±19.7 17.8±17.9 20.9±13.7 20.1±24.5 23.1±10.2 19.0±21.6

p value 0.014 0.043 > 0.1 0.041

ΔBS 1.21±0.81 1.08±0.96 1.63±0.74 1.29±0.75 1.46±0.80 1.08±0.73 1.35±0.46 1.01±0.62

p value 0.086 0.035 0.047 0.029

ΔBF 0.75±0.82 0.93±0.71 0.85±0.50 1.26±0.72 1.00±0.54 1.17±0.68 0.81±0.48 1.17±0.53

p value > 0.1 0.036 > 0.1 > 0.1

(5)

자가 작성 설문지 중 대표적인 보스톤 설문지 (Boston questionnaire)9는 다른 측정법들에 비해 수근관 증후군의 수술 후 결과 및 만족도를 잘 반영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0 , 1 1. 또한, 팔・견관절・수부의 장애 정도(Disability of Arm, Shoulder, and Hand, DASH) 평가지1 1는 주로 상지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 쓰이도록 만들어졌으며 기능과 증상, 정신 사 회학적 요소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러 문 헌에서 그 유용성을 소개하고 있으며1 2, 여러 국가에서 그 나라 언어로 바꾸어 이용하고 있다. 저자들도 이 설문 내용을 우리말로 번역하였고, 우리 실정에 맞게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이 두 설문지 모두 실용성 및 반복 측정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6, 저자들은 수근관 증후군으로 진단된 모든 환자에게 두 설문지를 활용하고 있다.

수근관 증후군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은 감각 이

상, 둔감, 동통, 야간 동통, 한랭 불내성, 근력 약화 및 무지구 근위축등이 있으며, 이학적 소견으로는 Tinel 징후, Phalen 검사에서 양성과 전기 생리학적 검사에서 운동신경 원위잠시 및 감각신경 전도속도의 증가 소견을 보인다. 이상 감각 및 Tinel 징후, Phalen 검사는 수근관 증후군 환자들이 가장 흔히 호 소하며 이학적 검사에서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어 진단에 주로 이용한다. 이들은 모두 정중 신 경의 허혈 및 변형과 연관이 있어, Kang 등1 3은 Tinel 징후나 Phalen 검사가 양성일 경우 정중 신경 의 물리적 변형, 즉 너비의 변형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Bessette 등1 4은 이상 감각이 양성인 환 자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인다고 하였으나, 저자들의 경우 이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인 듯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전체 대상 중 음성인 경우는 소수이고, 그 중 일부에서 보인 극단적 점수차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통계학적 유의성도 갖지 못하였다.

Tinel 징후와 Phalen 검사는 진단적 가치는 있지만

Table 5. Mean values of improved scor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ales

muscle weakness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positive negative ΔDASH 18.5±17.9 17.3±17.9 17.7±19.7 24.5±20.9 20.9±18.7 22.1±18.5 23.1±10.2 26.2±21.6

p value 0.071 0.031 0.025 0.038

ΔBS 1.25± 0.95 1.08±0.81 1.30±0.75 1.60±0.74 1.34±0.75 1.30±0.75 1.12±0.45 1.34±0.71

p value > 0.1 > 0.1 > 0.1 > 0.1

ΔBF 1.02±0.77 0.72±0.74 0.88±0.56 1.22±0.71 0.95±0.63 1.19±0.62 0.67±0.61 1.21±0.40

p value 0.016 0.085 0.047 0.052

mean values of preoperative score - postoperative score

Fig. 1. (A) A graph shows the changes of mean values of Boston and DASH scales. Progressive improvement was observed after carpal tunnel release. (B) A graph shows improved amount of scores at a certain follow-up period. Delta value means the dif- 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or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every follow-up.

(6)

수술 후 결과 사이의 상호 연관성은 미비하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3, 저자들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환자에서 Tinel 징후, Phalen 검사에서 양성을 보였으나 통계 학적 유의성은 갖지 못하였다.

야간 동통은 야간에 부종으로 인해 증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이는 혈관 확장과 정맥혈의 정체로 활액막내 의 혈관이 팽대되어 수근관내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신 경섬유 내초의 부종(endoneural edema)을 유발시키 고, 이것이 지속되면 섬유 아세포의 증식이 야기되며 혈관 순환은 더욱 방해를 받게 된다. 혈액 공급이 3 0 ~ 5 0 %로 감소되면 membrane transport가 방해 되어 신경전도 능력이 상실된다1 5. Nau 등1 6은 이러한 야간 동통이 수술 후 좋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소 견이라 하였고, 저자들의 경우에도 두 설문지 모두에 서 야간 동통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수술 후 호전 정도가 의미 있게 크게 나타났다. 한랭 불내 성은 그 병리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혈관운 동 교감신경 섬유들(vasomotor sympathetic f i b r e s )이 주로 정중 신경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이 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1 7, Chung 등1 8은 수 근관 절개술에 의해 한랭 불내성이 경감될 수 있다고 하였지만, 한냉 불내성과 수술 후 결과 또는 환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관성을 밝히지는 않았고 이에 관한 결과를 보고한 문헌은 없었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수술 전 한랭 불내성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수술 후 증상의 호전 정도가 의미 있게 크게 나타났다.

수부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부의 악력 및 파 지력을 이용하는 방법은 오래 전부터 이용되었다.

B e c h t o l1 9은 지배적 수부(dominant hand)가 비 지 배적 수부(non-dominant hand)에 비해 악력이 5~10% 정도 강하다고 보고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함 에 따라 악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으나 남 성인 경우 2 0대에서 4 0대, 여성인 경우 2 0대에서 6 0 대 사이의 연령군에서는 연령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고 하였다. Wintman 등5은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 수술 후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하였으며, 저자들의 연구 에서도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에서, 특히 기능적으로 수술 후 호전 정도가 적었다. 그러나, 저자들의 연구 는 객관적 검사가 아닌 주관적 증상에 의한 근력 약화 로 실제 근력 약화의 유무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현재 저자들은 보다 객관적 근력 측정법인 등척성 근 력강도 검사에 대한 추적 검사도 병행하고 있다.

P h a l e n2 0은 무지구 위축이 5 6 %의 환자에서 관찰되었 으며, 이 중 8 2 %에서 수술 후 무지구 위축의 회복을 보였고 대개 수술 후 3 ~ 1 2개월 사이에 회복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술 후 결과와의 상관 관계에서는

경우에서도 수술 후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환 기간과 수술 후 결과와의 상관 관계에서는, 유 병 기간이 길었던(보통 3 ~ 5년 기준) 환자들이 짧았던 환자들에 비해 증상이 완전 소실될 가능성이 적은 것 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 2,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이환 기 간이 짧았던 환자들이 증상 및 기능의 호전 정도가 의 미있게 크게 나타났다. 이는 병이 장기간 지속될 수록 더 많은 축삭의 손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전기 생리 학적 손상이 커져서 수술 후 회복도 오래 걸리고 성공 률도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Yu 등2 3은 그들의 연구에서 유병 기간이 6개월 미만 이었던 환자들에서 만족 정도가 기대했던 것 보다 높지 않았다고 보고하 였는데, 이차성 이득(secondary gain) 여부 등의 사 회심리학적 요인에 기인할 거라고 추측하면서 정확한 이유는 불확실하다고 하였다.

전기 생리학적 검사는 손목 관절을 통과하는 신경전 도 속도와 감각전도 속도로 구성되며 진단적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론적으로 결손 정도가 심 할수록 심한 신경병변을 나타낼 것 같으나, 수술 후 결과는 심한 신경 생리학적 결손이 있던 환자에서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서나 그 차이가 분명치 않았으며, 여러 저자들은 그 둘 간의 상호 연관성이 없다고 보고 하고 있다2 4. 또한, Nau 등1 6은 전기 생리학적 검사는 예후 인자로의 가치보다는 수술 후 신경이 적절히 감 압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더 유용한 검사라 하 였다.

평균 6 . 5개월인 현 시점까지 전향적 추시상,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환자들의 증상 및 기능이 점차 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지만(p<0.05), 각 시점( 3 , 6, 9, 12개월)에서의 호전 정도는 각 시점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p>0.05). 이러한 결과가 지속될지, 아니면 어떠한 변화를 보일 지를 알 아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며 이 환자군 의 계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적 치료의 결과에 대한 평가는 환자의 주관적 결과, 즉,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증상의 개선, 만족도 및 기능의 회복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근관 절개술 후 많은 환자에서 그 러한 주관적 결과가 좋게 나오리라 기대할 수 있지만, 특히 야간 동통과 한랭 불내성이 있는 경우, 이환 기 간이 짧은 경우, 근력 약화의 증상이 없는 경우에서 좀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7)

감사의 글

설문지 작성 및 환자들의 자료 관리에 큰 도움을 준 김혜미 P A와 임순자 연구원에 지면을 빌어 감사의 말 을 전합니다.

참고문헌

01) Palmer DH, Hanrahan LP. Social and economic costs of carpal tunnel surgery. Instr Course Lect. 1995;44:167-72.

02) Kluge W, Simpson RG, Nicol AC. Late complications after open carpal tunnel decompression. J Hand Surg Br.

1996;21:205-7.

03) Nolan III WB, Alkaitis D, Glickel SZ, Snow S.

Preoperative factors and treatment outcome following carpal tunnel release. J Hand Surg Br. 1992;17:646-50.

04) Turchin DC, Beaton DE, Richards RR. Validity of observ- er-based aggregate scoring systems as descriptors of elbow pain, function, and disability. J Bone Joint Surg Am. 1998;80:154-62.

05) Wintman BI, Winters SC, Gelberman RH, Katz JN. Carpal tunnel release: correlations with preoperative symptoma- tology. Clin orthop. 1996;326:135-45.

06) Greenslade JR, Mehta RL, Belward P, Warwick DJ. Dash and boston questionnaire assessment of carpal tunnel syn- drome outcome: what is the responsiveness of an outcome questionnaire? J Hand Surg Br. 2004;29:159-64.

07) Patterson JD, Simmons BP. Outcomes assessment in carpal tunnel syndrome. Hand Clin, 2002;18:359-63.

08) Bland JDP. A neurological grading scale for carpal tunnel syndrome. Muscle & Nerve. 2000;23:1280-3.

09) Levine DW, Simmons BP, Koris MJ, Daltroy LH, Hohl GG, Fossel AH et al.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severity of symptoms and functional sta- tus in carpal tunnel syndrome. J Bone Joint Surg Am.

1993;75:1585-92.

10) Amadio P, Silverstein M, Ilstrup D, Schleck C, Jensen L.

Outcome assessement for carpal tunnel surgery: The rela- tive responsiveness of generic, arthritis-specific, disease- specific and physical examination measures. J Hand Surg Am. 1996;21:338-46.

11) Hudak P, Amadio P, Bombardier C. Development of an upper extremity outcome measure: the DASH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America J of Indstr Med.

1996;29:602-8.

12) SooHoo NF, McDonald AP, Seiler JG, McGillvary GR.

Evaluation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ASH question- naire by correlation to the SF-36. J Hand Surg Am.

2002;27:537-541.

13) Kang ES, Kang HJ, Han SH. Relationships between oper- ative and clinical findings in carpal tunnel syndrome. J of Korean Orthop Assoc. 2000;35:897-900.

14) Bessette L, Keller RB, Lew RA, Simmons BP, Fossel AH, Mooney N et al. Prognostic value of a hand symptom dia- gram in surgery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Rheumatol.

1997;24:726-34.

15) Bora FW, Osterman AL. Compression neuropathy. Clin Orthop. 1982;163:20-32.

16) Nau HE, Lange B, Lange S. Prediction of outcome of decompression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Br. 1988;13:391-4.

17) Campero M, Verdugo RJ, Ochoa JL. Vasomotor innerva- tion of the skin of the hand: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human anatomy. J Anat. 1993;182:361-8.

18) Chung MS, Gong HS, Baek GH. Prevalence of Raynaud ’s phenomen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carpal tunnel syn- drome. J Bone Joint Surg Br. 1999;81:1017-9.

19) Bechtol CO. Grip test: The use of a dynamometer with adustable handle spacings. J Bone Joint Surg Am.

1954;36:820-32.

20) Phalen GS. The carpal tunnel syndrome. Seventeen years experien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654 hands. J Bone Joint Surg Am. 1966;48:211-28.

21) Gelberman RH, Pfeffer GB, Galbraith RT, Szabo RM, Rydevik B, Dimick M. Results of treatment of severe carpal tunnel syndrome without internal neurolysis of the median nerve. J Bone Joint surg Am. 1987;69:896-903.

22) Choi SJ, Ahn DS. Correlation of clinical history and elec- trodiagnostic abnomalities with outcome after surgery for carpal tunnel syndrome. Plast Reconstr Surg.

1998;102:2374-80.

23) Yu GZ, Firrell JC, Tsai TM. Preoperative factors and treatment outcome following carpal tunnel release. J Hand Surg Br. 1992;17:646-50.

24) Braun RM, Jackson WJ. Electrical studies as a prognostic factor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Am. 1994;19:893-900.

수치

Table 5. Mean values of improved scores related to muscle weakness i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cales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Comparison of clinical risk factors and distribution of age, sex of patients aged ≧80 years and &lt;80 years... Comparison of the stroke subtype and thrombolysis of

• When top earth condition is weak and the large cross section does not have bearing capacity, Temporary supports like rock bolts or shotcrete, 1D~2D. – Side Pilot

– Directly support earth until the shotcrete reach the required bearing capacity, distribute loads to shotcrete, and shape the tunnel cross section.

A) Clinical view of the recession defects B) Tunnel preparation with VISTA C) Deepithelialization using a high-speed handpiece at the hard palate. D)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