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Copied!
6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 연구 - 서울시 실업계, 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and Recognition Concerning the Physical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김 민 우

2 0 0 2

(2)

고등학 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 연구

지 도 교 수 조 한 범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2년 12 월 31 일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체 육 교 육 학 과

김 민 우 2 0 0 2

(3)

김 민 우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02년 12 월 31 일

심사 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국문초록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 연구

김 민 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을 연구하여 인문계 고등학교의 입시위주의 수업과 교과단위의 체육수업과 취업위주 의 교육에서의 제반 문제점을 밝혀 보다 효과적으로 체육교과과정을 운영하고 관 리하여 학교체육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은 2002년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실업계 고등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11개의 교육청에서 인 문계 2개교, 실업계 2개교를 단순무선표집(random sampling)하여, 성별에 따라 200명씩 400명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자료인 ‘체육수업에 대한 고 등학생들의 인식도 조사’(강인표, 2001)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수 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학교장이나 교사와 협조를 구해 실시하였으며, 분석 가능한 자료 로 분류한 후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체의 빈도 및 이에 따라 백분율을 산출할 것 이며, 선호도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통계적 검증은 빈도분석과 χ2 (chi-square)와 T검증을 실시하였다.

(5)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의 인식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 이는 전체적으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체육수업의 선호도는 계열에 따 른 선호도는 인문계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보다 남학 생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실업계 학생들이 인문 계 학생에 비해 타 수업의 배제로 인한 체육수업 선호도가 높고,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들이 타 수업의 배제로 인한 체육수업 선호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하는 체육수업의 종목은 전체적으로 구기 종목을 선호하였고, 대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은 또한 대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둘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실업계 학생들이 인문계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인식의 차이는 부분 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은 계열에 따 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체육교사의 수용태도에 대한 인식도 계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벌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평균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체벌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성적 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의 실기평가방법에

(6)

대한 인식의 차이는 계열별,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체육성적 평가에 대한 비중의 차이 또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나 타냈다.

다섯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시설 및 기구에 대한 인 식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수업장소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남학생의 경우 체육관을 선호하는 학생이 많았으며하는 , 여학생의 경우 활동이 적은 교실이나 학교 체육시설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체육시설 및 운동기구에 대한 인식은 계열,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족시설 및 운동기구에 대한 인식은 성 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의 경우 운동장이나 장소의 부재를 안식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세면시설 등의 부대시설 에 대한 부재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목 차

국문초록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4

5.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만족도(滿足度) ···6

2. 전공만족(傳攻滿足)의 개념 ···8

3. 선행연구 ···9

Ⅲ. 연구방법 ···12

1. 연구대상 ···12

2. 조사도구 ···13

3. 조사방법 ···14

4. 자료처리 ···14

(8)

Ⅳ. 결과 및 논의 ··· 16

1.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16

2.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20

3.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31

Ⅴ. 결론 및 제언 ··· 37

1. 결 론 ···37

2. 제 언 ···38

참고문헌 ··· 39

부록 ··· 42

Abstract ··· 46

(9)

표 목 차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

표 2.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내용 ···13

표 3. 성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6

표 4. 학년별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7

표 5.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8

표 6.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9

표 7.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0

표 8.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1

표 9.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1

표 10.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1

표 1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2

표 12.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2

표 13.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3

표 14.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3

표 15.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4

표 16.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4

표 17.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5

표 18.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5

표 19.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6

표 20.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6

표 21.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26

표 22.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7

표 23.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7

(10)

표 24.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7

표 25.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8

표 26.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8

표 27.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9

표 28.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9

표 29.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0

표 30.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0

표 31.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1

표 32.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1

표 33.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사후검증 ···32

표 34.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3

표 35.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3

표 36.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사후검증 ···34

표 37.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5

표 38.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5

표 39.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사후검증 ···36

(11)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일반적인 교육의 목적은 개인으로 하여금 그 사회에서 보다 충실하게, 그리 고 완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 사회의 요구에 부합되는 방법 및 절차를 육성하는 것으로 볼 때 체육교육의 목적은 그러한 사회생활의 실험장 을 통하여 흥미를 지닌 참여자가 되어 보다 유용한 사회의 일원이 되도록 하 는 자질을 가르치는 것이다.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체육교육의 가치는 일반 교육의 가치와 동일하여야하 며, 그 효과는 교육을 받는 신체적․정신적으로 체육교육의 목표에 부합되어 야 한다. 이러한 명제 아래 체육이 신체활동을 통한 인간 행동의 변화라고 한 다며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활동에서 비롯되며 개인의 활동은 내․외적 자극 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므로 개인의 행동을 변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 서 학교체육은 학생들의 욕구와 사회의 욕구를 고찰하여 그들의 심신발달에 알맞은 신체활동과 건강생활을 계획적으로 지도하여 장차 유능한 사회인으로 서의 자질과 인격을 갖춘 인간을 만드는 의도적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한 국교육개발원.1997).

체육은 신체활동을 통하여 지․덕․체가 조화를 이루는 전인적인 인간을 기 르는데 목적을 두고 적절한 운동환경에서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신체활동을 통 하여 인간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시킴으로써 건강한 전인적 민주시민을 양성 하는 교육의 한 영역이다(윤남식.2001).

(12)

특히, 청소년기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우리 학교사회의 고등학 교 체육은 성장발달을 도모하는데 가치가 있으며, 성장과정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의 체력을 기르고, 신체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개발 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시기에 있는 고등학 교 학생들의 내재적 가능성을 인정하고 개성을 존중하며 자유인으로서의 다양 성을 인정하여 그들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소질과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 휘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환경과 여건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 체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을 통한 신체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활동 의 경험을 제공하여 심신이 조화된 개인적․사회적 태도를 육성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등학교의 체육교육은 전인교육의 발달에 필 수적인 교과목임을 다시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체육을 보면 입시위주나 취업에 의해서 행하여 지는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여 체육시간을 타 교과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체육시설 면에서는 일반 학생이 아닌 소수의 체육특기자의 체육시설물 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경에는 체육교사의 안이함, 체육의 중요성 에 대한 교육행정가나 타 교과교사의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부족, 학부모들의 무관심 등이 그러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은 7차 교육과정에서의 체육교과목이 고등학교 2, 3 학년의 경우에는 선택과목으로 분류되어 체육수업 시수가 학생들의 선택에 따 라 줄어들게 되고 또한 심화 선택에서는 체육이론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종목 별 체육 실기를 교과운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여기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정도를 재조명하여 향후 학교체육 현장에서 체육수업 지도계

(13)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 한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 업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도를 연구하였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 에서 인문계 고등학교의 입시위주의 수업과 교과단위의 체육수업과 실업계 고 등학교의 취업위주의 교육에서의 제반 문제점을 밝혀 보다 효과적으로 체육교 과과정을 운영하고 관리하여 학교체육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연구문제

설정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 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의 선호도 및 운 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성적 평가에 대한 인 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 시설 및 기구에 대

(14)

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4. 연구의 가설

본 연구는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전반적인 인 식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1.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의 선호도 및 운영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 차이에 따른 체육교사의 인식에는 차 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4.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 차이에 따른 체육 성적평가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5.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 차이에 따른 체육시설 및 기구에 대 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5. 연구의 제한점

1) 연구대상을 서울시 11개 교육청 산하에 소재 한 인문계, 실업계 고등학교 중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총 4개 학교에 한정하였으므로 자료를 고등학교 전 체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자료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15)

Ⅱ. 이론적 배경

1. 7차 교육과정 체육과의 성격

체육은 신체 활동을 통하여 인간의 행동을 올바르게 변화시키려는 계획적이 고 의도적인 교육 활동의 하나로 건강과 체력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발달을 이룩함으로써 개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증진시키며,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체육은 학습자가 신체적 강건함이 나 정교한 신체 움직임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신체적 탁월성에 도달하는 것을 넘어 학습자 신체의 본질적 의미를 추구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움직임에 담겨진 가치를 인식하고 내면화하는 데 교육의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제7차 체육과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움직임 욕구의 실현 및 체육 문화 계승, 발전이라는 내재적 가치와 체력 및 건강의 유지·증진, 정서의 순화, 사회성의 함양이라는 외재적 가치를 절충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교과의 성격을 가진다. 또, 육상, 체조, 게임 및 스포츠, 무용 등과 같은 신체 활동을 주된 교육 내용으로 하여, 신체 활동 그 자체를 위한 기능 의 습득뿐만 아니라 그에 관한 이론적 지식의 습득 및 태도의 발달을 종합적 이고 통합적으로 도모한다.

2. 7차 교육과정 체육과 개정 중점

1) 총론에서 추구하는 개정의 기본 방향 및 중점 사항이 반영되도록 함.

2) 체육 교과의 기능적, 학문적, 규범적 성격을 동시에 공유하는 종합

(16)

교과로서의 성격을 지니도록 구성함.

3) 국민공통기본 교육 과정을 하나의 체제로 보고 내용 체계를 구성 함.

4) 체육 교과를 통해 달성해야 될 목표를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능력 중심으로 진술함.

5) 체육 교과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학습 내용을 정선함으로써 학습 분량을 최적화함.

6) 영역별로 필수와 선택 내용을 제시하여 학교나 교사의 선택 폭을 넓힘.

7)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 -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을 중심으로 통합하여 제시

8)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 -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

3. 7차 교육과정 체육과 성격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을 하나의 체제로 보아 초·중· 고등학교를 묶어서 해당 교과의 보편적인 성격을 먼저 제시하고, 학교 급 별 특수 성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먼저 체육이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모두 추구하는 다양한 가 치를 성취하는 교과임을 밝히고, 가치의 구분을 확장하여 체·지·덕의 세가지 범주와 기능적(심동적), 이론적(인지적), 태도적(정의적) 측면을 포함하여 가르 칠 수 있는 통합적 성격의 종합 교과임을 강조하여 진술하였다. 또한, 미래사 회에서의 체육의 역할과 방향 그리고, 총론에서 요구하는 인간상을 적극 반영 하였다.

각 학교 급 별 특수 성격은 각 학교 수준에서 다루는 기능, 지식, 태도 면들

(17)

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이전에 배운 내용을 보다 심화 시키고, 다음에 배울 내용에 대한 준비가 되도록 목적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국민공통기본교육기간에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체육'에서는 움직임 욕구를 실현하고, 다 양한 운동을 경험하며, 기능과 체력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육학의 이 론적 지식을 습득하여 운동 상황이나 건강 생활에 적절히 적용,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즐거움, 만족을 추구하고 바람직한 사회적·윤 리적 규범들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체육과 건강'은 고등학교 2∼3학년 학생들이 여러 가지 다양한 스포츠를 생 활 속에서 쉽게 경험하고 즐기며, 자신의 건강한 생활을 유지·증진시킬 수 있 도록 하기 위하여 개설된 일반선택 과목이므로, 여러 가지 스포츠를 합리적으 로 실천하여 체력과 운동 기능을 향상시키고, 운동을 생활화하여 자신의 신체 적·정신적 건강 및 건전한 생활 태도를 지니도록 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4. 7차 교육과정 체육과 목표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목표는 개정의 기본 방향을 바탕으로 국민공통기본 교육기간을 이수하면서 최종적으로 10학년에서 보여야 할 성취 능력을 중심으 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또한, 목표 진술은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구체적인 행동 목표로 알기 쉽게 진술되도록 하였다. 체육과 교육과정 목표는 총괄 목표와 세부 목표로 구성되 어 있다. 총괄 목표는 체육과 성격의 특성에 비추어서 기능(심동적), 지식(인 지적), 태도(정의적) 영역으로 나누어 목표를 명확하게 기술하였다. 또한 세부

(18)

목표에서도 제 6차 교육과정의 경우 목표 영역의 진술이 4개 항으로 나뉘어 진술되었으나,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제 6차 목표 부문 '나'항의 '신체적인 표현 능력을 기르게 한다'를 기능적 측면의 목표에 함께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3개 항으로 축소하였다. 각각의 진술 항은 기능적(심동적) 측면의 목표, 이론 적(인지적) 측면의 목표, 그리고 태도적(정의적) 측면의 목표를 다루고 있다.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목표는 심동적인 측면에서 신체 활동 참여를 통한 움직임 욕구의 실현과 운동 기능 및 체력의 증진에, 인지적인 측면에서 운동 및 건강에 관한 지식의 이해에, 정의적인 측면에서 개인 및 사회적으로 바람 직한 태도의 함양에 두고 구성되었다.

그리고, 고등학교 2, 3학년의 일반 선택 과목인 '체육과 건강' 교육과정 목표 는 심동적인 측면에서 운동 경기 참여 및 감상 능력의 습득과 건강 생활을 위 한 체력의 증진에, 인지·정의적인 측면에서 운동의 생활화와 건전한 생활 태 도의 함양에 두고 구성되었다. 개정된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 체육의 '목표' 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움직임 욕구를 실현하고, 운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체력을 증진하며, 운동과 건강에 관한 지식을 이 해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태도를 함양한다.

1) 다양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운동 기능과 체력 및 심신의 건강을 증 진한다.

2) 운동과 건강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3) 운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태도 및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규범을 익힌다.

(19)

5. 7차 교육과정 체육과 내용

교육과정에서 다루게 되는 학습 내용은 교육 목표의 달성을 위한 직접적인 수단이기 때문에 설정된 교육 목표 달성에 적합한 학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 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에 대한 개정은 할당된 수업 시 수에 근 거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중학교 3학년의 수업 시수가 현행 주당 3시간에서 주당 2시간으로 줄어들게 됨에 따라 이를 고려하여 학습량을 선정하게 되었으 며, 학생들의 발육 발달 및 건강한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생활에서 쉽게 경험하여 즐길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 현재 6차 교육과정에서는 전 학년에 걸쳐 움직임 교 육 모형에 기초한 것에 비하여 3, 4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 모형과 발달 교육 모형을 적용하되 비 이동, 이동, 조작 움직임 관련 주제에 기초한 '기본 움직임'과 각 영역별로 다양한 활동에 기초한 '활동'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5, 6학년의 경우에는 움직임 교육과정 모형을 기본으로 하되 발달 교육 모형과 이해 중심 게임 모형에 기초하여 다양한 운동 경험을 꾀하는 '활동'중심의 내 용으로 구성함으로서 절충형의 입장을 취하도록 하였다.

7∼10학년의 경우에는 이해 중심 게임 모형에 기초하여 다양한 간이 게임 형 태의 움직임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신체 활동에 대한 흥미를 발전시켜 평생 스 포츠로의 학습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였고, 11∼12학년의 경우 선택적 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좋아하고 흥미있는 스포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스포츠교육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학습 내용의 적정화와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학습 내용과 많은 종목이 포함되어 있는 체육 교육과정

(20)

의 경우 필수·선택 과목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필요를 갖게 되었다.

총론에서 제시한 교과 내용의 최적화 및 축소 방침에 따라 체육과 교육과정도 내용 영역을 통합의 관점에 기초하여 구성하되 학년 위계가 높아질수록 점진 적인 분화의 형태를 취하도록 하였다.

내용 부분에서 제시한 중요한 변화 가운데 하나는 각 영역에 포함되는 구체 적 내용의 학습량에 관한 것이다. 지난 교육과정의 내용들이 학교의 현실적 시설 및 여건상, 또는 수업 시 수의 제한상 가르칠 수도 없는 내용들을 지나 치게 많이 나열해 놓았다는 지적이 대두됨에 따라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소한 의 공통 필수 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판단에서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 의 개념을 채택하였다. 즉, 6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최소한 반드 시 학습해야 하는 '필수 내용'을 선정하고, 그 외의 내용은 지역별, 학교별, 교 사별, 학생별 특성에 따라 '선택 내용'으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현실적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6. 7차 교육과정 체육과 내용 진술 방식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진술의 형태를 택하였다. 학년별 내용의 진술에 있어서 각 영역에 포함되는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명기하 고, 각 내용을 배움으로써 기능, 지식, 태도 면에서 구체적으로 성취해야 할 목표를 상세화하였다.( 내용+목표 ) 이론면의 목표에는 '이해'와 '적용'이라 는 두가지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 운동이나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1)

7. 7차 교육과정 체육과 교수·학습 방법

효율적인 체육 학습 지도를 위한 필수적 요소는 크게 의사 전달 능력, 학습 교재의 활용 능력, 수업 운영 능력 그리고 학습자 관리 능력의 네 가지 일반 적 범주에 대한 철저한 준비를 통해서 효과적인 학습 지도를 유도할 수 있다.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의 진술에 있어서 가장 초점을 맞 춘 것은 수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교수·학습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수업 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측면들을 여덟 가지 세부 영역으로 선별하였다.(1.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 2. 교사, 3. 학생, 4. 교수·학습 계획, 5.

교수·학습 조직, 6. 내용 영역별 지도, 7. 교수·학습에서의 유의점, 8. 교수·학 습의 자율적 운영)

선정된 세부 영역은 각각에 대한 방법적 원리들이 다소 구체적인 형태로 모 두 진술될 수는 없지만, 단지 '원리'의 형태로 일반적인 기술만이 가능하였다.

8. 7차 교육과정 체육과 평가

체육은 체·지·덕을 골고루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운동 기능, 지식 의 발달, 그리고 바람직한 태도를 균형 있게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체육이 인간의 전인 발달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운동 기능 중심의 평가에서 운동을 이 해하고 자신의 운동 능력과 조건에 적합한 운동을 선택하고 이용하는 고등 정 신 능력과 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과 같은 인지적, 정의적 목표를 종 합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제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체육 수업의 평가가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이 고 타당성 있게 실천될 수 있는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개정안의 평가

(22)

부분을 체계화시키고 명료화시킴으로써 보완하고자 하였다. 즉, 서술되는 내용 을 평가의 기본 방향, 내용 영역별 평가, 평가의 방법, 평가의 활용이라는 세 부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여 교사의 이해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하였다.

'평가의 기본 방향'항목에서는 평가의 기본 목표를 진술하고 실제로 학교에 서 평가를 행할 때 반드시 학년별, 교과별 협의회 과정을 거쳐서 마련해야 한 다는 점을 주목하여 기술하였고, '내용 영역별 평가' 항목에서는 각 내용 영역 마다 평가되는 기능, 지식, 태도의 세가지 측면들에 대한 일반적 평가 지침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항목에서는 평가의 시기와 목적에 따른 진단·형성·총괄 평가, 평 가 근거가 되는 평가 자료의 유형에 따른 질적·양적 평가, 평가의 주체에 따 른 교사 평가, 학생 평가, 그리고 평가 기준 설정에 따른 절대 평가, 상대 평 가 등의 방법을 다루고 있으며, 이 다양한 방법들을 상황에 따라 유효 적절하 게 적용하도록 설명하였다. '평가의 활용' 항목에서는 학생의 학습 성취도 향 상, 교사의 수업 능력 향상, 그리고 학생의 적성 파악과 진로지도를 위하여 평 가의 결과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함이 서술되어 있다. 특히, 평가란 교육의 종결이 아니라 교육의 순환 과정의 하나라는 점을 주목하여,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 한 유용한 도구로 적극 활용되도록 하였 다.(교육인적자원부, 7차 교육과정 개정안)

(23)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2년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실업계 고 등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11개의 교육청에서 인문계 2개교, 실업계 2개교를 단순무선표집(random sampling)하였다.

표본추출 절차는 1, 2, 3학년 남․여학생 대상으로 남학생 200명, 여학생200 명 총 400명을 무선표집 하였다. 회수된 420부의 설문지중 한 문항이라도 기 재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인문계 고등학교 남고와 여고를 대상으로 200명과 실업계 고등학교 200명씩 최종적으로 400명 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대상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 구분 사례수(명) 백분율(%)

성별 남학생

여학생

200 200

50 50

학교별 인문계

실업계

200 200

50 50

(24)

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를 연구하기위하여 자료 수집 방법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인 ‘체육수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도 조사’(강인 표, 2001)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설문 지는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고등학생들 과 현직 체육교사의 의견을 수렴하는 예비조사와 체육학 전공 전문가의 회의 를 거쳐 설문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총 1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지 구성내용 및 신뢰도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표본대상

구 성 내 용 문항수 Cronbach's α 1. 체육수업 선호도 및 체육수업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도 5 .75

2. 체육수업 효과에 대한 인식도 3 .80

3.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도 5 .76

4. 체육수업평가에 대한 인식도 3 .73

5. 체육시설 및 기구에 대한 인식도 3 .72

총 계 19 .72∼.80

(25)

3. 조사방법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 접 대상 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과 교사들의 협조를 얻어 작성한 설문지를 배 포한 후 응답요령과 주의사항을 설명한 후 자기평가 기입법 (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여 설문 지 문항에 불성실하게 작성한 것과 한 문제라도 작성하지 않은 설문지는 제외 시킨다.

4. 자료처리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를 연구를 위한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S용 SPSS PC+ 11.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된 표본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변인 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의 선호도 및 운 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T-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교사, 체육수업평가, 체육시설 및 기구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 수준으로 설정한다.

(26)

Ⅳ. 결과 및 논의

본 장에서는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 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의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의 선호도 및 운영, 체 육수업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체육교사, 체육수업평가, 체육시설 및 기구 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1.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의 차이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들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선호도 및 운영 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들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 한 후, 계열별, 성별 각각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 보았다.

1) 체육수업 선호도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선호도의 차이는 <표 3,4>에서 보는 바와 같 다.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 선호도에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 3>에서와 같이 두 집단 모두 선호정도의 중간정도의 입장이 32.5%로 가장 많 았으며, 대부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문계 고등학생의 경우 비 교적 체육수업에 대해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실업계 고등학생들은 매우 싫어하는 집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연구인 강인표(2001)의 연

(27)

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표 3.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 선호도

매우선호함 선호함 중간 싫어함 매우싫어함 계

계 열

인문계

43 36 61 27 33 200

% 10.8% 9.0% 15.3% 6.8% 8.3% 50.0%

실업계

15 49 69 24 43 200

% 3.8% 12.3% 17.3% 6.0% 10.8% 50.0%

계(%) 58(14.5) 85(21.3) 130(32.5) 51(12.8) 76(19.0) 400(100)

χ2 17.490**

**P<.01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선호도의 차이는 <표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집단간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남자 학생의 경우 체육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선호도가 매 우 낮았다.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한 결과로서 아직도 성별에 따른 체육활동정도가 다르고, 사회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잔재하는 유교적 사고 방식 때문이라 사료된다.

특히, 남학생, 여학생 모두 중간정도의 선호도에 많은 답변이 나온 것은 지금 의 체육수업 진행방식이나 교과적 특성으로는 변화의 속도가 빠른 요즘의 학 생들에게는 흥미나 동기유발에서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으 로 드러났다.

(28)

표 4.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선호도

매우 선호함 선호함 중간 싫어함 매우 싫어함 계

성 별

45 53 50 20 32 200

% 11.3% 13.3% 12.5% 5.0% 8.0% 50.0%

13 32 80 31 44 200

% 3.3% 8.0% 20.0% 7.8% 11.0% 50.0%

계(%) 58(14.5) 85(21.3) 130(32.5) 51(12.8) 76(19.0) 400(100) χ2 34.034***

*** P〈.001

2)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의 차이는 <표 5, 6>에서 보 는 바와 같다.

표 5.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 체력과

건강

스트레스 긴장해소

흥미와 소질

선생님이 좋아서

타 수업이

싫어서 계

계 열

인문계 26 14 20 20 60 140

% 9.3% 4.8% 7.3% 6.8% 22.0% 50.0%

실업계 34 8 16 3 72 133

% 12.8% 2.8% 5.8% 1.3% 27.5% 50.0%

계(%) 60(22) 22(7.5) 36(13) 23(8) 132(49.5) 273(100)

χ2 22.622***

*** P〈.001

<표 5>에서와 같이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의 차이는 통계

(29)

수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실업계 고등학생들이 인문계 학생에 비해 타 수업의 배제로 인한 체육수업 선호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인표 (2001)의 연구결과에서의 체력과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 타난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7차 교육과정을 1학년만 실시하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2 학년 까지 확대 실시되면서 인문계, 실업계 학생모두 대학진학이나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인문계보다는 실업계 학생들의 체력 과 건강을 위해서 체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 체력과

건강

스트레스 긴장해소

흥미와 소질

선생님이 좋아서

타 수업이

싫어서 계

성 별

36 14 26 12 60 148

% 12.0% 4.8% 8.5% 4.3% 20.5% 50.0%

25 8 11 10 71 125

% 10.0% 2.8% 4.5% 3.8% 29.0% 50.0%

계(%) 61(22) 22(7.5) 37(13) 22(8) 131(49.5) 273(100)

χ2 13.747**

**P<.01

<표 6>에서와 같이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의 차이 또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와 같이 49.5%의 학생들이 타 수업이 싫 어서 체육수업을 선호한다고 하였으며, 남자학생보다 여학생들이 타 수업의 배제로 인한 체육수업 선호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 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30)

3)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

계열별, 성별에 따른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의 차이는 <표 7,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열에 따라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표 7. 계열별 따라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

구기 체조 육상 투기 계절운동 계

계 열

인문계

92 38 31 11 28 200

% 23.0% 9.5% 7.8% 2.8% 7.0% 50.0%

실업계

78 25 29 19 49 200

% 19.5% 6.3% 7.3% 4.8% 12.3% 50.0%

계(%) 170(42.5) 63(15.8) 60(15) 30(7,5) 77(19.8) 400(100)

χ2 11.763*

*P<.05

<표 7>에서와 같이 구기종목(42.5%), 계절운동(19.8%), 체조(15.8%)순으로 나타났으며, 계열별로는 인문계 학생들은 구기종목(23%)과 체조(9.5%)를 선호 하는 반면, 실업계 학생들은 구기종목(19.5%)과 계절운동(12.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대부분의 학생 들이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의 한정성과 여러 명의 학생들이 같이 어울려서 할 수 있는 장점으로 구기 종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의 결과의 원인에 2002 한․일 월드컵의 한국축구 4강과 더불어 높아진 축구열기가 더해 진 결과라고 사료된다.

(31)

표 8. 성별에 따른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

구기 체조 육상 투기 계절운동 계

성 별

109 14 29 19 29 200

% 27.3% 3.5% 7.3% 4.8% 7.3% 50.0%

61 49 31 11 48 200

% 15.3% 12.3% 7.8% 2.8% 12.0% 50.0%

계(%) 170(42.5) 63(15.8) 60(15) 30(7,5) 77(19.8) 400(100) χ2 39.886***

*** P〈.001

성별에 따른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의 차이는 <표 8>에서와 같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응답률은 다음과 같이 구기종목(42.5%), 계절운동 (19.8%), 체조(15.8%)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학생들은 구기종목을 선 호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구기종목과 체조운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계열별 결과 원인과 같이 대부 분의 학생들이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의 한정성과 여러 명의 학생들이 같이 어 울려서 할 수 있는 장점으로 구기 종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는 <표 9,10>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열에 따라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의 차 이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가 있다. 인문계 학생들은 만족 (16.8%)에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실업

(32)

계 학생들은 그저 그렇다(19.3%)에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인문계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다. 이는 강인표(2001)연구와 일 치하는 결과로써 실업계 고등학생들 보다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현행 실시하 고 있는 체육수업 시수에 만족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입시위주 의 교과행정에서 체육수업에 투자할 시간의 부족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사료된 다.

표 9. 계열별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매우만족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매우불만족 계

계 열

인문계

22 67 51 38 22 200

% 5.5% 16.8% 12.8% 9.5% 5.5% 50.0%

실업계

10 57 77 27 29 200

% 2.5% 14.3% 19.3% 6.8% 7.3% 50.0%

계(%) 32(8) 124(31) 128(32) 65(16.3) 51(12.8) 400(100)

χ2 13.410**

**P<.01

성별에 따른 체육 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은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

표 10.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매우만족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매우불만족 계

성 별

26 55 60 36 23 200

% 6.5% 13.8% 15.0% 9.0% 5.8% 50.0%

6 69 68 29 28 200

% 1.5% 17.3% 17.0% 7.3% 7.0% 50.0%

계(%) 32(8) 124(31) 128(32) 65(16.3) 51(12.8) 400(100)

χ2 15.825**

**P<.01

<표10>에서 보면 남학생의 경우 그저 그렇다(15.0%)에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여학생의 경우 만족(17.3%)에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로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 보다는 체육수업시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5) 희망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계열별, 성별에 따른 희망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표 11, 12>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11. 계열별 희망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주1시간 주2시간 주3시간 주4시간 주5시간이상 계

계 열

인문계 70 43 31 23 33 200

% 17.5% 10.8% 7.8% 5.8% 8.3% 50.0%

실업계 90 46 36 14 14 200

% 22.5% 11.5% 9.0% 3.5% 3.5% 50.0%

계(%) 160(40) 89(22.3) 67(16.8) 37(9.3) 47(11.8) 400(100) χ2 12.844*

*P<.05

(34)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열에 따라 희망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 의 차이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있다.

인문계 학생들은 주1시간(17.5%)에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업 계 학생들 역시 주1시간(22.5%)에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강 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써 7차 교육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 육 수업 시수에 대부분 만족하고 있다고 사료되는 결과이다.

표 12.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주1시간 주2시간 주3시간 주4시간 주5시간이상 계

성 별

60 37 39 24 40 200

% 15.0% 9.3% 9.8% 6.0% 10.0% 50.0%

100 52 28 13 7 200

% 25.0% 13.0% 7.0% 3.3% 1.8% 50.0%

계(%) 160(40) 89(22.3) 67(16.8) 37(9.3) 47(11.8) 400(100) χ2 40.775***

*** P〈.001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별에 따라 희망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 의 차이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있다.

남학생들은 주1시간(15.0%)에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학생들 역시 주1시간(25.0%)에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강인표(2001) 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치나 선호도, 인 식의 변화를 실감하게 하는 결과이다. 지금의 학교체육에서 체육교과로는 학

(35)

생들의 흥미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라고 사료된다.

2. 고등학교 학생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들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 대한 인식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들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 한 후, 계열별, 성별 각각 T-test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써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실업계 학생들이 인문계 학생들 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여 학 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행 입시위주의 교과과정의 운 영으로 인한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에 대해서 나타내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표 13.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의 효과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

*P<.05, **P<.01

체육수업 효과인식

분류 N Mean SD SE

Mean t df Sig.

(2-tailed)

계열 인문계 200 2.96 .97 .07 -2.448 398 .015*

실업계 200 3.21 1.08 .08 -2.448 393.609 .015*

성별 남 200 2.93 1.08 .08 -3.044 398 .002**

200 3.24 .97 .07 -3.044 393.638 .002**

(36)

3. 고등학교 학생의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도 차이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들의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선호도 대한 인 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변인들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 한 후, 계열별, 성별 각각 카이스퀘어(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 았다.

1) 체육교사에 대한 느낌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표 14,15>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14. 계열에 따른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도

자상하다 딱딱하다 그저

그렇다 무섭다 근엄하다 계

계 열

인문계 38 41 82 31 8 200

% 9.5 10.3 20.5 7.8 2.0 50

실업계 18 29 70 61 22 200

% 4.5 7.3 17.5 15.3 5.5 50

계(%) 56(14.0) 70(17.5) 152(38) 92(23) 30(7.5) 400(100)

χ2 26.463***

*** P〈.001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육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경우 자상하거나 딱딱하 다, 그저 그렇다가 대부분이었으며, 실업계학생의 경우 대부분 딱딱하거나 무

(37)

섭다는 느낌으로 체육교사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 과로써 아직까지도 체육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별로 변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인식은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딱딱하거나 무서운 인식을 하였다.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써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이 6차 교육과정에서나 7차 교육과정에서도 별다른 변화가 없이 나타나는 결 과이다.

표 15.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도

자상하다 딱딱하다 그저

그렇다 무섭다 근엄하다 계

성 별

25 43 72 48 12 200

% 6.3 10.8 18 12 3 50

31 27 80 44 18 200

% 7.8 6.8 20 11 4.5 50

계(%) 56(14) 70(17.5) 152(38) 92(23) 30(7.5) 400(100)

χ2 6.095

2)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에 대한 인식도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표 16,17>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계열에 따른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에 대한 인식은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

(38)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인 학생들의 인식은 ‘실 기와 이론이 모두 부족하다’가 가장 많은 비중(29.8%)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강인표(200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써 체육교사의 수업방식이나 전문성 결여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

표 16. 계열에 따른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에 대한 인식도 만능

이다

실기만 잘한다

이론만 잘한다

둘다부족하 다

특정종목만

우수 계

계 열

인문계 41 39 22 52 46 200

% 10.3 9.8 5.5 13 11.5 50

실업계 35 39 25 67 34 200

% 19 19.5 11.8 29.8 8.5 50

계(%) 76(19) 78(19.5) 47(11.8) 119(29.8) 80(20) 400(100)

χ2 4.356

표 17.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에 대한 인식도 만능

이다

실기만 잘한다

이론만 잘한다

둘다부족하 다

특정종목만

우수 계

성 별

43 35 24 65 33 200

% 10.8 8.8 6.0 16.3 8.3 50

33 43 23 54 47 200

% 8.3 10.8 5.8 13.5 11.8 50

계(%) 76(19) 78(19.5) 47(11.8) 119(29.8) 80(20) 400(100)

χ2 5.624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실기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9)

3) 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인식도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표 18,19>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계열에 따른 체육교사의 지도능력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문계와 실업계 학생들의 평균적인 차이를 볼 때 실업계 학생들이 체육교사의 지도능력에 대해 부정적인 이식을 갖는 편이였으며, 반 면에 인문계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표 18. 계열에 따른 지도능력 인식도 매우

뛰어나다 뛰어나다 그저

그렇다 부족하다 매우

부족하다 계

계 열

인문계 29 50 34 41 46 200

% 7.3 12.5 8.5 10.3 11.5 50

실업계 16 42 34 55 53 200

% 4 10.5 8.5 13.8 13.3 50

계(%) 45(11.3) 92(23) 68(17) 96(24) 99(24.8) 400(100)

χ2 6.988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지도능력 인식도 계열과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평균적으로 남자의 경우 부족하다(12.3%), 매우 부족하다(12%), 뛰어나다(9.8%)순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매우 부족하다(12.8%) 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0)

표 19. 성별에 따른 지도능력 인식도 매우

뛰어나다 뛰어나다 그저

그렇다 부족하다 매우

부족하다 계

성 별 남

28 39 36 49 48 200

% 7 9.8 9 12.3 12 50

17 53 32 47 51 200

% 4.3 13.3 8 11.8 12.8 50

계(%) 45(11.3) 92(23) 68(17) 96(24) 99(24.8) 400(100)

χ2 5.187

4) 체육교사의 수용태도에 대한 인식도

계열별,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수용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표 20,21>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20. 계열에 따른 수용태도 인식도

매우존중 조금존중 그저

그렇다 조금무시 매우무시 계

계 열

인문계 16 43 92 26 23 200

% 4 10.8 23 6.5 5.8 50

실업계 8 25 93 28 46 200

% 2 6.3 23.3 7 11.5 50

계(%) 24(6) 68(17) 185(46.3) 54(13.5) 69(17.3) 400(100)

χ2 15.178**

**P<.01

체육교사의 수용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표 20>에서와 보는바와 같이

수치

표  4.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선호도   매우  선호함 선호함 중간 싫어함 매우  싫어함   계 성 별 남 계 45 53 50 20 32 200% 11.3%13.3%12.5%5.0%8.0%50.0% 여 계 13 32 80 31 44 200 %  3.3% 8.0% 20.0% 7.8% 11.0% 50.0% 계(%) 58(14.5) 85(21.3) 130(32.5) 51(12.8) 76(19.0) 400(100) χ 2 34.034***       *
표  8.  성별에  따른  선호하는  체육수업종목  구기 체조 육상 투기 계절운동   계 성 별 남  계 109 14 29 19 29 200% 27.3%3.5%7.3%4.8%7.3%50.0% 여  계 61 49 31 11 48 200 %  15.3% 12.3% 7.8% 2.8% 12.0% 50.0% 계(%) 170(42.5) 63(15.8) 60(15) 30(7,5) 77(19.8) 400(100)   χ 2 39.886*** ***  P〈.001 성별
표  10.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시수에  대한  인식도 매우만족 만족 그저그렇다 불만족 매우불만족   계 성 별 남 계 26 55 60 36 23 200% 6.5%13.8%15.0%9.0%5.8% 50.0% 여 계 6 69 68 29 28 200 %  1.5% 17.3% 17.0% 7.3% 7.0% 50.0% 계(%) 32(8) 124(31) 128(32) 65(16.3) 51(12.8) 400(100) χ 2 15.825** **P&lt;.01
표  30.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장소  선호도 운동장 교실 체육관 학교 체육시설 야외 계  계 열 인문계 계 18 66 70 25 21 200% 4.516.517.56.35.350 실업계 계 19 52 72 25 32 200 %  4.8 13 18 6.3 8 50 계(%) 37(9.3) 118(29.5) 142(35.5) 50(12.5) 53(13.3) 400(100) χ 2 3.999   계열에  따른  체육수업장소  선호도의  차이는  &lt;표

참조

관련 문서

Also, to look into how teachers and students feel about the open-ended questions being asked in middle school, this researcher surveyed the recognition

Thus, so as to improve the interest and confidence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to the subject of mathematics, I suggest enhancing the mathematical power

Second,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raining ter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that in export facto

especially to people who teach the biology in middle school at the moment and freshman of high school students, how do they recognition abo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compet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gender, exercise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persiste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happiness according to frequency of participation of external physical activity of female middle school

As fo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cessibility, attractiveness and comfort of physical environment, recognition an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other schoolteachers who have worked at junior high schools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