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Significance of CD24 Expression in Gastric Adenocarcinom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Significance of CD24 Expression in Gastric Adenocarcinoma"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96

서 론

CD24는 2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작은 단백 core로서 광범위하게 glycosylated되어 있으며 phosphatidylinositol anchor에 의해 세포막에 붙어 있다.(1) 이는 원래 B세포의 표지자로 동정되었으나 각종 혈액종양뿐만 아니라 몇몇 장 기의 고형성 종양에서도 발현이 보고되었으며 최근에는 난 소 및 유방의 종양에서도 발현된다고 보고된다.(2,3) CD24 는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 및 혈소판의 표면에 있는 결합 수용체(adhesion receptor) P-selectin의 ligand이기 때문에 종 양의 전이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4,5)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비소세포성 폐암, 유방암 그리고 전립선암에서 CD24의 발현은 종양의 전이능력, 환자의 생 존율 또는 종양의 재발률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하였다.(3,6,7)

선종-선암종 발생의 단계(adenoma-carcinoma sequence)로 종양의 악성화를 설명할 수 있는 위장관 상피성 종양을 대 상으로 CD24의 발현강도 및 발현양상을 양성과 악성종양, 종양의 조직학적 등급, 림프절 전이 유무 등 환자의 각종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 통계학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종양 의 발생, 악성화, 림프절 전이, 종양의 조직학적 등급 및 조 직학적 아형 등에 CD24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규 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런 결과를 토대로 CD24 발현의 평가가 악성 및 양성종양의 감별 및 종양의 예후를 가늠할 수 있는 표지자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재료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약 2년 동안 조선대학교 부속병

위선암종에서 CD24 발현의 의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및 1외과학교실

임 성 철․민 영 돈1

The Significance of CD24 Expression in Gastric Adenocarcinoma

Sung Chul Lim, M.D. and Young Don Min, M.D.

1

Purpose: CD24 is a small heavily glycosylated glycosyl-

phosphatidylinositol-linked cell surface protein expressed in hematological malignancies as well as a large variety of solid tumors. It appears to function as a ligand of P-selectin, an adhesion molecule present in activated platelets and endo- thelial cells. The authors ai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CD24 in adenomas and adenocarcinomas of the stomach and its correlation to clinicopathological data.

Methods: A series of 48 adenocarcinoma cases (advanced

gastric carcinoma: 24 cases, early gastric carcinoma: 24 cases) and 12 adenoma cases of the stomach were im- munohistochemically stained for correlation with the clinico- pathological data. The staining was evaluated as stainability (negative, weak-, moderate-, strong-positive) and staining patterns (membranous vs. intracytoplasmic), which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present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stainability of CD24 expression increased with positive nodal status in advanced gastric carcinomas (P<0.005). The stainability of CD24 in the adenocarcinoma group was much higher than in the adenoma group, but this was not statis- tically significant. Intracytoplasmic CD24 expression was demonstrated only in the adenocarcinoma group, with the exception of the adenoma group, but this als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stainability of

CD24 could be a molecular marker for gastric adenocarci- nomas which could help to predict lymphogenous meta- stasis. (J Korean Surg Soc 2005;68:296-302)

Key Words: CD24, Adenocarcinoma, Adenoma, Stomach

중심 단어: CD24, 선암종, 선종, 위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epartments of Pathology and 1Surgery,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wangju, Korea

책임저자:임성철,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588 ꂕ 501-759, 조선대학교병원 병리과 Tel: 062-230-6343, Fax: 062-234-4584 E-mail: sclim@mail.chosun.ac.kr

접수일:2004년 7월 2일, 게재승인일:2005년 1월 27일 이 논문은 2002년도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 되었음.

(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원에서 조직검사로 확진된 위의 종양 60예를 대상으로 하

였는데, 위선암종 48예(진행성 위선암종: 24예, 조기 위선암 종: 24예) 그리고, 선종 12예이다(Table 1). 선암종의 AJCC 조직학적 등급은 분화도에 따라 고분화(저등급, grade 1), 중 등도분화(중등급, grade 2) 및 저분화(고등급, grade 3)로 등 급화 하였다.(8) 국소 림프절 전이가 초래된 21예(진행성 위 선암종: 18예, 조기 위선암종: 3예)는 원발병소인 위병변과 함께 전이가 초래된 림프절을 각각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2) 연구방법

환자의 임상기록과 병리과 조직 슬라이드 파일을 후향적 으로 분석하여 각 장기의 종양을 재검토하고 나이, 성별, 원 발부위,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 및 분화도, 림프절 전이 유 무, 재발 및 생존여부 등을 확인하고,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증례를 무작위로 선택하였다.

(1) 광학현미경적 검사: 관찰 대상이 된 조직들은 10% 중 성 포르말린에 충분히 고정한 다음, 파라핀 포매에 의해 4∼5μm 두께의 절편으로 제작하고, hematoxylin-eosin 염색 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여 연구목적에 부합되

는 대표적인 부위를 선택하여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를 위한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사: 파라핀 포매 조직을 4μm 두께 로 박절하여 X-traTM슬라이드(Surgipath, Richmond, USA)에 부착하여 xylene에 탈파라핀한 뒤 무수 알코올, 90%, 75%

및 50% 에탄올에 각각 2분씩 처리하여 함수시킨 후 LSAB 방법에 의해 염색을 시행하였다. 항원성 회복을 위하여 citrate 완충액(10 mM, pH 6.0)에 슬라이드를 담가 전자오븐 에 15분간 끓인 후 실온에 방치시켜 20분간 식힌 후 50 mM Tris 완충용액(TBS, pH 7.5)으로 수세하였다. 조직절편내의 내인성 과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0.3% hydro- gen peroxide-methanol에 10분간 처리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차단항체를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뒤 1차항체 mouse monoclonal antibody CD24 Ab-2 (clone 24C02, NeoMarkers, Fremont, CA, USA)를 1시간 반응시켰다. Tris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LSAB kit (Dako, Carpinteria, CA, USA)를 이용하 여 비오틴이 함유된 2차항체를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tris 완충액으로 수세하고, peroxidase가 결합된 streptavi- din용액을 10분간 반응시켰다. Tris 완충액으로 세척 후

Table 1. Clinical, epidemiologic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60 patients with gastric neoplasm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haracteristic AGC (%) EGC (%) Adenoma (%) Total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o. of patients 24 (40) 24 (40) 12 (20) 60

Age (yrs.)

Mean 60.1 54.7 64.2

Range 25∼77 30∼71 52∼86

Gender

Male 19 (79) 15 (63) 11 (92) 45

Female 5 (21) 9 (37) 1 (8) 15

Lymph node metastasis

Yes 18 (75) 3 (13)

No 6 (25) 21 (87)

Histopathologic grade

W/D 2 (8) 6 (25) L/G 7 (58.3)

M/D 10 (42) 6 (25) H/G 5 (41.7)

P/D 12 (50) 12 (50)

Lauren's type

Intestinal 13 (54) 16 (67)

Diffuse 6 (25) 6 (25)

Mixed 5 (21) 2 (8)

Histologic type

Tubular 11 (92)*

Villous 0

Villotubular 1 (8)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C = advanced gastric carcinoma; EGC = early gastric carcinoma; W/D = well differentiated; M/D = moderately differentiated; P/D = poorly differentiated; L/G = low grade; H/G = high grade.

*A case of focal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included.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EC (3-amino-9-ethyl carbazole) kit (Dako, Carpinteria, CA,

USA)로 발색하였다. Mayer’s hematoxylin으로 대조염색을 시행하고, Universal mount (Research Genetics, Huntsville, AL, USA)로 봉입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염증이 초래된 육아조직을 이용하였 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1차항체 대신 tris 완충액을 썼다.

(3)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의 판정: 염색의 결과 판정은 주 관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환자의 임상경과를 알지 못하는 병리전문의에 의해 시행되었다. CD24에 대한 염색 결과의 판정은 세포막과 세포질내 염색을 구분하였으며 음성, 약 한 양성반응, 중등도 양성반응, 강한 양성반응으로 반정량 화 하였다. 같은 종양에서 부위별로 값의 차이가 발생할 경 우 높은 값을 대표값으로 취하였다.

(4) 통계학적 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SPSS (statistical pack- 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dows, version 7.5 (SPSS, Korea)로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P값 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 과

1) 임상병리학적 특성

진행성위암의 경우 연령분포는 25∼77세(평균연령: 60.1 세), 성비는 남녀 각각 19명과 5명이었다. 조기위암은 30∼

71세(평균연령: 54.7세), 성비는 남녀 각각 15명과 9명이었 다. 위선종은 52∼86세(평균연령: 64.2세), 성비는 남녀 각각 11명과 1명이었고 대부분(92%) 관상형(tubular type)이었으

며, 저등급 선종 7예, 고등급 선종 5예이었다(Table 1). 수술 후 경과는 대상환자 모두 생존하였으며, 진행성 위선암(림 프절 전이 양성) 2예의 경우 국소재발이 있었다.

2) CD24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1) 발현강도: 종양 주변의 정상 위점막에서도 양성발현 이 일부 관찰되었으나 이는 대부분 선와부 기저세포에서 약하게 관찰되었다. 양성 선종의 경우 음성이거나 주로 약 하거나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강양성소견을 보이 는 증례는 없었다. 한편 선암종의 경우 염색강도가 증가되 는 경향을 보여 진행성 위암의 경우 대부분 중등도 이상의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악성이 양성에 비해, 그리고 진행성암이 조기암에 비해 더욱 더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진행성암군과 조기암군을 림프절 전이 유무에 따라 세분하여 발현강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한 결과 진행성암군의 경우 림프절 전이와 발현강도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05), 조기암군 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종은 주로 세포막에 염색되었는데, 저등급 선종에 비 하여 고등급 선종의 경우 그 발현강도가 더 강한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선종의 조직학적 아 형과도 통계학적으로 무관하였다.

선암종의 조직학적 등급, Lauren의 분류형태에 따른 변화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양성종양의 경우 도 선종의 조직학적 아형 및 등급과 통계학적으로 무관하

Table 2. Immunoreactivity of CD24 in gastric neoplasm and metastatic lymph node (%)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AGC EGC Meta-LN

Immunoreactivity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denoma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LN-/LN+ LN-/LN+ AGC EGC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Negative 2 (8.3) 3 (12.5) 2 (16.7) 2 (11.1) -

1 (4.2)/1(4.2) 3 (12.5)/0

Weak 5 (20.8) 9 (37.5) 6 (50.0) - -

4 (16.7)*/1(4.2) 9 (37.5)/0

Moderate 8 (33.3) 8 (33.3) 4 (33.3) 6 (33.3)* 2 (66.7)*

1 (4.2)*/7(29.2)

7 (29.2)*/1(4.2)

Strong 9 (37.5) 4 (16.7) 0 10 (55.6) 1 (33.3)*

0/9 (37.5)* 2 (8.3)*/2(8.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6 18 21 3 12 18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C = advanced gastric carcinoma; EGC = early gastric carcinoma; Meta-LN = metastatic lymph node; LN- = negative lymph node metastasis; LN+ =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A case showed cytoplasmic as well as membranous staining, A case of focal malignant transformation was included, Two cases showed cytoplasmic as well as membranous staining.

Immunoreactiv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ositive lymph node group compared to the negative lymph node group of the advanced gastric carcinoma patients, P<0.005.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였다(Table 2).

국소재발이 발생한 2예의 진행성 위암 중 1예에서 강한 세포막 염색을 보였다.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21예의 경 우 원발병소와 전이 림프절간 CD24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 고자 각각 염색을 시행하였는데, 원발병소와 전이병소간의 유의한 발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33.3%의 일치율 을 보였다. 일부에서는 원발병소에 비하여 전이병소에서 더 강한 발현을 보이거나(3예), 더 약한 발현을 보였고(3예), 1예는 세포질 내 발현을 보이던 원발병소가 전이병소에서 는 세포막 염색만을 보였다.

(2) 발현양상: 종양 주변의 정상 위점막에서 관찰되는 양 성발현은 선와부 기저세포의 세포막에서 일부 관찰되었다.

양성 선종의 경우 모든 증례가 세포막에만 염색이 국한되 어 있었는데 내강에 연해 있는 세포막(apical staining)에 주 로 염색되었다. 한편, 선암종의 경우 대부분 세포막 염색을

보였으나, 일부에서 세포질 내 염색이 관찰되었다.

선암종의 경우 9예(19%)에서 세포질 내 염색이 관찰되었 는데, CD24의 세포질 내 염색과 종양의 악성화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진행성위암의 경우는 5예 (21%), 조기위암의 경우는 4예(17%)에서 세포질 내 염색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 고, CD24의 세포질 염색은 림프절 전이군에서 더 흔하게 발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림프절 전이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암종의 조직학적 등급, Lauren의 분류형태에 따른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 이는 없었고, 양성종양의 경우도 선종의 조직학적 아형 및 등급과 통계학적으로 무관하였다. 그러나, 선암종의 경우 분화도가 떨어질수록 세포질 내 염색이 강하고 미만성인 경향을 보였다(Fig. 1).

국소재발이 발생한 2예의 진행성 위암 중 1예에서 세포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gastric neoplasm for CD24. A: 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Cytoplasmic as well as membranous staining of tumor cells is demonstrated. B: Mucinous adenocarcinoma. Cytoplasmic staining of tumor cells is demonstrated. C: Poorly-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Cytoplasmic as well as membranous staining of tumor cells is demonstrated.

D: Adenoma. Membranous luminal border staining of tumor cells is demonstrated (LSAB method, counterstained with hematoxylin,

×200).

A

C

B

D

(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질내 염색이 관찰되었다.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21예의 경우 원발병소와 전이 림프절간 CD24 발현의 차이를 확인 하고자 각각 염색을 시행하였는데, 5예의 전이 병소(진행성 위암: 3예, 조기위암: 2예)에서 세포질내 염색이 관찰되었는 데,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Table 3).

고 찰

암발생은 체세포의 유전적 변화에 의하며 여러 가지 유 전자가 각기 서로 다른 시기에 변화를 일으켜 종양의 형성 에 작용한다. 또한 이들의 작용기전 중에서 종양유전자의 활성화와 종양억제유전자의 비활성화가 시기별로 복합적 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론은 거의 모든 종양 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사항이나, 인체에 발생하는 종 양 중에서는 대장암이 가장 많은 분자유전학적인 연구가 밝혀져 있고 이를 응용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왜 냐하면 대장암은 육안 구별이 가능한 전암병변인 선종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종-선암종 발생의 증거가 명확하며 이 를 이용한 암발생에 따른 세포의 변화를 단계적이고 체계 적으로 연구할 수 있어 인체의 종양 중에서 많은 연구결과 가 밝혀져 있고 또한 많은 응용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장암이 선종-선암종 발생의 단계를 거치며 APC (adeno- matous polyposis coli) 유전자의 소실 또는 돌연변이, DNA 메칠화의 변화, K-ras 유전자의 돌연변이, 염색체 소실,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등과 같은 다단계 유전변화가 순차적으 로 발생된다.(9) 또한, 위, 담낭의 경우도 선종-선암종 발생 의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

CD24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반 정도가 Ser과 Thr 잔기 로 되어 있는데 여기는 점액형 단백(mucin-type protein)이 작용할 수 있는 부위이다. CD24는 원래 B세포 발달과정중 초기에 발현되는 B세포 특이 표지자로 알려졌으나,(1) 호중 구에 강하게 발현되지만 정상 T세포나 단핵구에서는 발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CD24는 폐암, 신경아 세포종, 횡문근육종 및 신세포암 등과 같은 몇몇 고형성 종 양에서도 발현된다고 보고되었다.(10,11)

CD24는 활성화된 혈소판에 백혈구가 붙거나 활성화된 내피세포위에서 백혈구가 처음 회전(initial rolling)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P-selectin (CD62P)에 대한 특이 리간드(ligand)로서 작용한다.(12,13) 백혈구 P-selectin의 주 된 리간드는 cell surface mucin P-selectin glycoprotein ligand- 1 (PSGL-1)이다. PSGL-1은 없으나 CD24가 있는 유방암 세 포주를 통해 CD24가 PSGL-1을 대신할 수 있으며, 결국 CD24는 P-selectin이 있는 곳에서 종양세포가 회전할 수 있 게 함은 물론 활성화된 혈소판에 종양세포가 부착할 수 있 게 도와준다는 사실을 알았다.(5,13) 따라서 CD24는 P- selectin을 통하여 종양세포의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 으로 여겨진다.

일부 종양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CD24는 위장관 정상세포의 경우 상피세포증식을 담당하는 부위에만 제한 적으로 발현되는데 이는 세포가 증식하여 성숙되어가는 상 피에만 표면에 일과성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11) 따라서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에서 CD24의 발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선종-선암종의 단계를 거치는 전암병변인 대장 선종은 물론 위의 선종을 선암종과 비교 관찰하여 그 차이를 검토하는 것은 종양의 발생 및 진행은 물론 악성화에 CD24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좋은 척도가 되리라 여겨진다. 또한 악성의 경우 환자의 여러 가지 임상병리학적 인자에 따른 CD24 발현의 차이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종양의 진행 및 전이 등과 관련 된 CD24의 역할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정상 위, 대장, 담낭 조직이나 위, 대장 또는 담낭 종양환자의 조직을 이용한 연구보고는 아직까지 없으나, 쥐의 정상조직과 인간의 위암,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한 연 구는 보고되어 있다.(11) 이 연구에 따르면 CD24는 위장관 상피세포, 타액선의 관 및 선방 상피세포, 세기관지, 난관, 신세뇨관 등의 상피세포에 존재하였고, 위암 및 대장암 세 포주에도 존재하였다.

한편, 유방을 상대로 한 CD24 연구에서 CD24가 인체 유 방암의 표지가 될 수 있으며,(14) CD24 발현 종양세포는 혈 소판이나 혈관내피세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종양세포의 Table 3. Pattern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CD24 in gastric neoplasm and metastatic lymph node (%)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AGC EGC Meta-LN

Patter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denoma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 value

LN-/LN+ LN-/LN+ AGC EGC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embranous 4/15 19/1 12 15 1 >0.05

Intracytoplasmic 2/3 2/2 - 3 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otal 24 24 12 18 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C = advanced gastric carcinoma; EGC = early gastric carcinoma; Meta-LN = metastatic lymph node; LN- = negative lymph node metastasis; LN+ =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처음 보고하였고, 그 후 in

vitro 연구를 토대로 CD24 발현과 종양의 침습성간의 상관 관계가 발표되었으며,(15) 환자의 생존관련 자료를 토대로 유방암 환자의 새로운 예후적 표지자임이 발표되었다.(6) Kristiansen 등(3)의 연구에 따르면 막성 염색 및 세포질내 염색을 망라한 CD24 발현강도와 환자의 연령, 종양 아형, 종양 크기, 종양 등급, 그리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c- erbB2 발현간에는 어떠한 유의성도 존재하지 않았으나 림 프절 전이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CD24의 막성 발 현강도와는 이들 임상병리학적 요소들은 유의한 상관관계 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위선종 및 위선암종에서 모두 CD24가 발현 되었으나 양성에 비하여 악성의 경우 더욱 더 강하고 높은 빈도로 발현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진행성위암군의 경우 발현강도와 림프절 전이 유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더욱이 발현양상의 특이성이 관찰되었는데 선종의 경 우는 양성을 보이는 모든 증례가 세포막 염색을 보이는 반 면 세포질 내 염색은 위암군에서만 관찰되었다. 그러나, CD24의 세포질 내 염색이 조기위암군과 진행성위암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림프절 전이와도 유의한 상 관성이 없었다. 그리고, 종양 주변의 정상 점막에서는 기저 부의 증식성 상피에서만 일부 관찰되었다. 따라서, 위에서 CD24는 양성 및 악성종양의 형성에 관여하며 악성종양의 진행 및 림프절 전이에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CD24의 세포질 내 발현은 종양의 진행 및 전이에 특이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CD24의 발현강도 및 양상은 위에 발생한 선암종의 조직학적 등급과는 무관하였으며, 이들 선종의 조직학적 아형과도 무관하였다.

생존율이나 재발률 등과 같이 환자의 예후적 인자와의 관련성에 관한 결론은 수술 후 경과 기간이 너무 짧아 내릴 수 없었다. 추적 검사가 이루어진 시점까지 사망한 증례는 없었으며, 강한 세포막 염색을 보인 1예와 세포질 내 염색 을 보인 1예의 국소림프절 전이가 있는 진행성 위암 환자에 서 국소적인 재발이 발생하였는데, 이의 의의를 평가할 수 가 없었다.

원발병소와 전이병소간의 CD24 발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두 병소간의 발현 양상은 33%의 일치율을 보였 다. 그러나, 원발병소에 비하여 전이병소에서 더 강한 발현 을 보이거나, 더 약한 반응을 보였으며, 세포질 내 발현을 보이던 원발병소가 전이병소에서는 세포막 염색만을 보이 는 경우가 관찰되어 일관된 설명을 하기에는 어려운 경향 이 있었다. 그러나, 종양이 전이 직전 또는 시작단계에서 발 현되던 어떤 관련 물질이 전이 경로를 따라 국소 림프절이 나 원격장기에 이동, 부착, 정착 및 증식을 하여 전이병소를 형성하였을 때, 항상 이를 계속 발현하거나 더욱 더 강하게 발현하는 것만은 아니며, 전이과정에서 소실되거나 변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CD24는 위에서 양성 및 악성종양의 형성에 관여 함은 물론 악성종양의 진행 및 림프절 전이에 기여하는 것 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악성의 경우 환자의 생존율, 재발률 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CD24가 위선암종의 예후적 인자로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직접적 인 설명은 할 수 없고 예후인자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결 론

CD24는 위의 선종 및 선암종 모두에서 발현되었고, CD24 의 발현강도는 진행성 암에서 림프절 전이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선암종의 경우 분화도가 떨어질수록 세포 질내 염색이 강하고 미만성인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선암 종이 선종에 비해, 진행성암이 조기암에 비해 더욱 더 강한 양성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CD24는 위의 상피성 종양형성과 이들 종양의 진행, 악성화 및 림프절 전이에 관련된 것으로 여겨 지나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Pirruccello SJ, LeBien TW. The human B cell-associated antigen CD24 is a single chain sialoglycoprotein. J Immunol 1986;136:3779-84.

2) Kristiansen G, Denkert C, Schluns K, Dahl E, Pilarsky C, Hauptmann S. CD24 is expressed in ovarian cancer and is a new independent prognostic marker of patient survival. Am J Pathol 2002;161:1215-21.

3) Kristiansen G, Winzer KJ, Mayordomo E, Bellach J, Schluns K, Denkert C, et al. CD24 expression is a new prognostic mar- ker in breast cancer. Clin Cancer Res 2003;9:4906-13.

4) Aigner S, Ruppert M, Hubbe M, Sammar M, Sthoeger Z, Butcher EC, et al. Heat stable antigen (mouse CD24) supports myeloid cell binding to endothelial and platelet P-selectin. Int Immunol 1995;7:1557-65.

5) Aigner S, Ramos CL, Hafezi-Moghadam A, Lawrence MB, Friederichs J, Altevogt P, et al. CD24 mediates rolling of breast carcinoma cells on P-selectin. FASEB J 1998;12:

1241-51.

6) Kristiansen G, Schluns K, Yonwei Y, Denkert C, Dietel M, Petersen I. CD24 is an independent prognostic marker of survival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Br J Cancer 2003;88:231-6.

7) Kristiansen G, Pilarsky C, Pervan J, Sturzebecher B, Stephan C, Jung K, et al. CD24 expression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SA relapse and poor prognosis in low grade or organ confined prostate cancer. Prostate 2004;58:183-92.

(7)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8) Beahrs OH, Henson DE, Hutter RVP, Kennedy BJ, eds:

Manual for staging for cancer, 4th ed. American Joint Com- mittee on Cancer. Philadelphia: J. B. Lippincott; 1992.

9) Burt RW, DiSario JA, Cannon-Albright L. Genetics of colon cancer: impact of inheritance on colon cancer risk. Annu Rev Med 1995;46:371-9.

10) Jackson D, Waibel R, Weber E, Bell J, Stahel RA. CD24, a signal-transducing molecule expressed on human B cells, is a major surface antigen on small cell lung carcinomas. Cancer Res 1992;52:5264-70.

11) Akashi T, Shirasawa T, Hirokawa K. Gene expression of CD24 core polypeptide molecule in normal rat tissues and human tumor cell lines. Virchows Arch 1994;425:399-406.

12) Sammar M, Aigner S, Hubbe M, Schirrmacher V, Schachner M, Vestweber D, et al. Heat-stable antigen (CD24) as ligand for mouse P-selectin. Int Immunol 1994;6:1027-36.

13) Aigner S, Sthoeger ZM, Fogel M, Weber E, Zarn J, Ruppert M, et al. CD24, a mucin- type glycoprotein, is a ligand for P-selectin on human tumor cells. Blood 1997;89:3385-95.

14) Fogel M, Friederichs J, Zeller Y, Husar M, Smirnov A, Roitman L, et al. CD24 is a marker for human breast car- cinoma. Cancer Lett 1999;143:87-94.

15) Schindelmann S, Windisch J, Grundmann R, Kreienberg R, Zeillinger R, Deissler H. Expression profiling of mammary carcinoma cell lines: correlation of in vitro invasiveness with expression of CD24. Tumor Biol 2002;23:139-45.

수치

Table  1.  Clinical,  epidemiologic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60  patients  with  gastric  neoplasm
Table  2.  Immunoreactivity  of  CD24  in  gastric  neoplasm  and  metastatic  lymph  node  (%)
Fig.  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gastric  neoplasm  for  CD24.  A:  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참조

관련 문서

Results: The human breast cancer cell subline MCF-7/MX5 cells selected in the presence of 5 µg/ml mitoxantrone (MX) were more resistant to MX (15.7... Western blot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trend in incidence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tients from the Gwangju City

Frequency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s MDR1/P-glycoprotein, MRP1, and LRP in acute myeloid leukemia: a

 Often found connected to other molecules on the outsides of cells --- cellular recognition, cell signaling, cell

Fig 4 : Inhibitory effects of classified methanol extracts of Acalypha australis the COX-2 protein expression of the human oral cavity carcinoma KB cells....

4 > Effects of Taro on COX-2 expression and iNOS expression(hot water) in human thyroid cancer cells. The cells were pretreated for 48hours with either

meaningful significance and their extending method in the visual arts narrative tend to show som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from on-stage significance

iMSC‑EVs decreased itching, which was supported by reduce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mast cells in AD mouse skin; reduced IgE receptor express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