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무용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7)

<표-10>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차이

전체 χ 2 df p 관객

이 쉽게 이해 할 수

있어 야 한다

많은 관객

이 즐길

수 있어 야 한다

재미 있어 야 한다

높은 예술 성을 지녀

야 한다

춤에 대한 지식

을 얻게 해주 어야 한다

삶의 여유

와 휴식 을 주어 야 한다 사전

검사

14 13 19 13 9 3 71

5.42

4 5 .3 66 19.7

%

18.3

%

26.8

%

18.3

%

12.7

% 4.2% 100.

0%

사후 검사

15 13 12 12 9 10 71

21.1

%

18.3

%

16.9

%

16.9

%

12.7

%

14.1

%

100.

0%

전체

29 26 31 25 18 13 142 20.4

%

18.3

%

21.8

%

17.6

%

12.7

% 9.2% 100.

0%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재미있어야 한다는 응답 이 21.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 어야 한다는 응답이 20.4%, 많은 관객이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응답 이 18.3%, 높은 예술성을 지녀야 한다는 응답이 17.6%, 춤에 대한 지 식을 얻게 해주어야 한다는 응답이 12.7%, 삶의 여유와 휴식을 주어야 한다는 응답이 9.2%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차이는 p>.05로 나 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11>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소 차이

전체 χ2 df p

무용 교과 목을 독립 시켜 공연 예술 의 이해

를 넓힌

직접 참여 함으 로서 공감 대를 형성 할 수

있도 록 한다

이색 적인 공연 장소 를 모색 하여 일상 에서 쉽게 접하

게 한다

작품 위주 의 관심 에서 무용

수 위주

의 관심 으로 전환

이 필요 하다

여러 가지 대중 매체 를 이용

한 홍보 효과 를 높인

티켓 의 가격 을 조절 하여 부담 없이 공연

을 접하 도록 해야 한다

사전 검사

43 7 13 5 2 1 71

.59

1 5 .9 88 60.6

% 9.9% 18.3

% 7.0% 2.8% 1.4% 100.

0%

사후 검사

43 7 11 6 2 2 71

60.6

% 9.9% 15.5

% 8.5% 2.8% 2.8% 100.

0%

전체

86 14 24 11 4 3 142

60.6

% 9.9% 16.9

% 7.7% 2.8% 2.1% 100.

0%

<표-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 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소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무 용교과목을 독립시켜 공연예술의 이해를 넓힌다는 응답이 60.6%로 가 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색적인 공연장소를 모색하여 일상에서 쉽게 접하게 한다는 응답이 16.9%, 직접 참여함으로서 공감대를 형성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응답이 9.9%, 작품위주의 관심에서 무용수 위주 의 관심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7%, 여러 가지 대중매체를 이용한 홍보효과를 높인다는 응답이 2.8%, 티켓의 가격을 조절하여 부 담 없이 공연을 접하도록 해야 한다는 응답이 2.1%로 순으로 나타났 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을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는 데에 중요한 요 소 차이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12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

전체 χ2 df p 전혀

아니 다

아니 다

보통 이다

그렇 다

매우 그렇

다 사전

검사

8 3 25 22 13 71

.233 4 .99 4 11.3

% 4.2% 35.2% 31.0% 18.3% 100.

0%

사후 검사

7 3 25 21 15 71

9.9% 4.2% 35.2% 29.6% 21.1% 100.

0%

전체

15 6 50 43 28 142

10.6

% 4.2% 35.2% 30.3% 19.7% 100.

0%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 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보통이 35.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렇다는 응답이 30.3%,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19.7%, 전혀 아니다는 응답이 10.6%, 아니다는 응답 이 4.2%로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한국무용이 앞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될 것이라 전망 차이 는 p>.05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