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경연-베트남 사회과학원 간담회 참고자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경연-베트남 사회과학원 간담회 참고자료"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경연-베트남 사회과학원 간담회 참고자료

1. 기본 경제 현황

o 풍부한 양질의 노동력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앞서가는 국가 중 하나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등에 비해 월등한 경제력

Ÿ 2014년 기준 GDP는 1,878억 달러로 라오스(117억 달러), 캄보디아(169억 달러), 미얀마(653억 달러)에 비해 월등히 큰 경제 규모

Ÿ 풍부하고 젊은 노동인구 (평균연령 27.4세, 한국은 39.0세) Ÿ 현재 9,160만명의 인구(세계 13위, 독일과 비슷)

­특히 경제개방도가 높아 교역증가율이 월등한 상황

Ÿ 2014년 교역증가율은 17.1%로 라오스(1.5%), 캄보디아(8.6%), 미얀마(16.0%)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

2. 양국 관계의 발전

o 단순한 경제협력 관계를 넘어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하면서 일방적이 아닌 양방향의 경제협력 확대가 지속되고 있음

­1992년 외교관계 수립 이후 경제분야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관계 발전

<표 1> 베트남 경제 현황 및 전망

지표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실질 GDP 성장률 (%) 5.2 5.4 5.5 5.6 5.7 5.8

명목 GDP (10억 US$) 156 171 188 205 219 239

1인당 GDP (명목, US$) 1,753 1,902 2,073 2,233 2,371 2,554

소비자물가 상승률 (%) 9.1 6.6 5.2 5.2 4.9 4.7

교역 증가율 (%) 9.2 16.6 17.1 11.6 10.5 10.4

수입증가율 (%) 11.0 17.4 17.1 11.8 10.7 10.5

수출증가율 (%) 20.6 12.2 14.2 13.7 11.1 9.7

실업률 (%) 4.5 4.4 4.4 4.4 4.4 4.4

인구 (백만 명) 88.8 89.7 90.6 91.6 92.5 93.5

정부부채 (GDP 대비 %) 48.5 51.6 54.8 57.1 59.5 60.3

경상수지 (10억 US$) 9.3 9.5 7.8 7.0 5.7 2.8

자료: IMF World Economic Outlook DB

(2)

Ÿ 1992년 12월 22일 외교관계 수립 이후 2001년 8월 Tran Duc Luong 국가주석 방한 시 포괄적 동반자 관계 수립

Ÿ 2009년 5월 Nguyen Tan Dung 총리 방한을 계기로 전략적 동반자 관계 확립

­또한, 단순한 제조업 투자를 중심의 경제 관계에서 Global Value Chain 상 긴밀한 고급 경제 관계로 발전하면서 단순 외교관계를 넘어 경제, 문화분야로 확대 중 Ÿ FTA 실질 타결, 베트남 원전개발 지원, 부품소재 공동 R&D, 제조업 기술인력

양성 등 장기적이면서도 상호 호혜적인 고급 경제관계로 발전 중

3. 한-베트남 교역 현황

o 우리나라 제8위 교역국으로 2010~2013 교역 증가율은 연평균 31.3%로 우리나라의 對세계(11.9%) 및 對순아세안(15.9%) 교역 증가율을 크게 상회

<표 2> 한-베트남 관계 변천

일시 내용

(구 월남 정부)

1955.10 월남공화국 승인

1956.5 외교관계 수립

1964.9~1973.3 베트남전 참전 (6차례 걸쳐 31만 명 파병)

1975.4.30 주 베트남 대사관 철수

(베트남 정부)

1992.4.2 양국 연락대표부 설치 합의

1992.8 주 베트남 연락대표부 설치

1992.10 주한 베트남 연락대표부 설치

1992.12.22 외교관계 수립 및 대사관 설치

1993.11.19 주 호치민 총영사관 설치

2001.8 Tran Duc Luong 국가주석 방한(포괄적 동반자 관계 공동선언)

2003 Phan Van Khai 총리 방한

2004.10 노무현 대통령 국빈 방문

2005.11 Tran Duc Luong 주석 방한(부산 APEC 참석) 2009.5 Nguyen Tan Dung 총리 방한(한-아세안 정상회담) 2009.10.21 이명박 대통령 국빈 방문(FTA 논의 개시)

2011.10 Truong Tan Sang 국가주석 방한

2012.8.6 한-베트남 FTA 협상 공식 개시

2013.2 Nguyen Thien Nhan 부총리 방한 2013.8 Nguyen Thi Doan 국가부주석 방한

2013.9 박근혜 대통령 국빈 방문

2014.1 Nguyen Xuan Phuc 부총리 방한 2014.3 Phung Quang Thanh 국방장관 방한 2014.12.10 한-베트남 FTA 실질 타결

자료: KOTRA

(3)

­베트남은 우리나라 수출 6위, 수입 15위 국가로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무역수지 흑자 기록 중

Ÿ 2014년 수출은 223억5천만 달러로 6위, 수입은 79억9천만 달러로 15위 기록 Ÿ 무역수지 흑자는 143억6천만 달러 對아세안 무역수지의 약 40% 이상에 해당

­베트남 현지투자를 통해 제조·생산기지를 마련한 우리 기업들은 주로 베트남에 중간재를 수출하며 베트남으로부터 의류, 기타 섬유제품 등 완제품 소비재를 수입하는 구조를 가짐

Ÿ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주요 수출 품목은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의 중간재 비중이 크며, 특히 메모리반도체 등을 포함하는 집적회로반도체는 2010년 들어 현재까지 연평균 151.1% 증가를 기록하며 對베트남 수출을 주도

Ÿ 베트남에 우리 봉제·의류기업의 현지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우리나라의 對베트남 주요 수입 품목은 의류 및 신발 등 섬유제품으로 전체 수입의 33.3%를 차지

Ÿ 베트남 수입시장에서 우리나라는 14.6%(2014년 1~10월 기준)의 점유율을 기록, 중국(29.3%)에 이은 베트남의 제2위 수입대상국

<표 3> 한-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억 달러, %)

연도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월

수출

금액 16.9 34.3 96.5 134.6 159.4 210.9 223.5 21.7 (증가율) (16.7) (5.4) (35.0) (39.5) (18.4) (32.2) (6.0) (25.0)

순위 21 18 9 8 4 4 6 5

수입

금액 3.2 6.9 33.3 50.8 57.2 71.8 79.9 7.0

(증가율) (22.8) (3.1) (40.5) (52.6) (12.5) (25.5) (11.4) (23.6)

순위 45 35 28 23 20 16 15 15

교역

금액 20.1 41.3 129.8 185.5 216.7 282.6 303.4 28.7 (증가율) (17.5) (5.0) (36.4) (42.9) (16.8) (30.5) (7.4) (24.6)

순위 27 27 15 15 14 9 9 4

수지

금액 13.6 27.4 63.2 83.8 102.3 139.1 143.6 14.6

<증감액> <1.8> <1.6> <15.4> <20.6> <18.5> <36.7> <-4.4> <3.0>

순위 11 6 6 5 5 4 4 5

자료: KOTRA

(4)

4. 한-베트남 투자 현황

o 우리나라의 베트남 현지 투자는 182억 달러(누적기준)를 기록하며 2014년 우리의 제4대 투자 대상국으로 부상

­베트남의 저렴한 인건비 및 적극적인 해외투자 유치정책으로 약 3,320개 한국기업이 베트남에 진출하였고 제조업을 중심으로 對베트남 투자 확대

Ÿ 특히 섬유 및 전자 업체의 투자가 각각 전체 투자의 11.8%, 7.6% 차지

<표 4> 한-베트남 주요 교역 품목

(단위: 백만 달러, %)

수출 수입

품목명

2013 2014

비중 품목명

2013 2014

금액 증가 비중

금액 증가

반도체 2,901,188 2,788,953 -3.9 12.5 의류 1,682,627 2,160,376 28.4 27.0 무선통신기

1,566,043 2,270,895 45.0 10.2 신발 377,255 506,353 34.2 6.3 합성수지 1,135,908 1,187,881 4.6 5.3 목재류 231,676 350,385 51.2 4.4

편직물 941,824 978,192 3.9 4.4 무선통신기

187,740 292,117 55.6 3.7

기구부품 927,493 936,520 1.0 4.2 기타섬유제

217,263 251,851 15.9 3.2

철강판 962,506 916,671 -4.8 4.1 평판디스플

레이및센서 210,986 193,023 -8.5 2.4

자동차 437,227 713,187 63.1 3.2 원유 943158 192,244 -79.6 2.4

석유제품 787,327 600,374 -23.7 2.7 컴퓨터 71,892 173,858 141.8 2.2 평판디스플

레이및센서 1,121,010 597,334 -46.7 2.7 연체동물 132,225 167,819 26.9 2.1 플라스틱

제품 401,689 508,027 26.5 2.3 계측제어분

석기 47470 135,543 185.5 1.7 소계 11,182,215 11,498,034 2.8 51.4 소계 4,102,292 4,423,569 7.8 55.4 합계 21,087,582 22,351,690 6.0 100.0 합계 7,175,193 7,990,325 11.4 100.0 자료: KOTRA

<표 5> 한-베트남 투자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연도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Q3 누적

금액 98.7 389.0 2,158.2 1,509.0 939.1 1,458.9 1,391.3 18,187.3

순위 11 5 4 6 10 6 4 4

주: 현지법인 신고금액 기준 자료: KOTRA

(5)

o 외국인 직접투자 측면에서 보면 베트남에게 우리나라는 제1위 투자국(2014.1-11월 누계)으로 2014년 58.1억 달러의 신규 투자를 기록하며 베트남의 對세계 수출 증대에 기여

­우리기업은 베트남 현지에서 제조·생산함으로 비용 절감을 통해 대세계 수출을 확대하고자 하며 베트남은 우리 기업의 핵심적인 조립·가공단지 역할을 수행 Ÿ 2014년 삼성 및 LG전자 등 현지 공장 설립을 추진하면서 금년 들어 58.1억

달러의 투자액을 기록.

Ÿ 누적 투자액 기준으로 일본에 이어 베트남의 제2위 투자국이며 제조업 분야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외국인투자기업 수출이 베트남의 對세계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2.1%

(2014.1-10월 기준)로 베트남 현지 진출기업의 생산 활동이 베트남 수출 증대 및 국민소득 증가를 견인

Ÿ 베트남의 對세계 수출 1위 품목인 휴대전화/부품 수출액은 195억 달러로 이 중 외투기업이 99.6%를 수출

Ÿ 삼성전자는 베트남 휴대전화 수출의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까지 300억 달러 이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KOTRA)

Ÿ 베트남 섬유/의류산업의 對세계 수출액은 174억 달러로 그 중 외투기업이 수출의 59.4%를 담당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Global Supply Chain) 관점에서 베트남 현지 생산 확대는 외투기업의 설비류/원부자재 수입 수요 증가와 연계되어 우리의 對베트남 중간재 수출이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

Ÿ 특히, 베트남이 현재 참여하고 있는 TPP, EU와의 FTA 타결시 최종 완제품 수출에서 관세인하 효과가 예상되어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Global Supply Chain) 은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됨

Ÿ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의 제조업 생산기지로서의 베트남의 가치는 더욱 상승할 전망

5. 시사점 및 제언

o 한-베트남 관계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미래지향적으로 변하고 있음

(6)

­한국과의 유사성, 풍부한 인적자원 및 임금 대비 높은 생산성, global supply chain 상 유리한 측면 확대,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 확대

Ÿ (한국과의 유사성)한국인과 베트남인은 같은 한자권 유교문화로서 한국인과 비슷한 점이 많음(혈족의식, 인간관계 중시, 평등의식, 경로사상 등)

Ÿ 풍부한 인적자원과 임금 대비 높은 생산성

Ÿ 풍부하고 젊은 노동인구 (평균연령 27.4세, 한국은 39세) Ÿ 9150만명의 인구(세계 13위, 독일과 비슷함)

Ÿ 젓가락 문화로 손재주가 좋고 양손사용 등 전자제품 생산에 적함

Ÿ 베트남시장은 한국과 비교했을 때 생산성은 90%지만 급여수준은 훨씬 낮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역시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 확대 요인 중 하나

Ÿ 베트남 통관절차를 간소화 하여 베트남 최초로 삼성에서 전자통관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Ÿ 미얀마, 캄보디아보다 법적 제도마련이 원활히 진행되고 있어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됨

Ÿ 또한, 베트남 정부는 법인세를 예전 32%에서 28%를 거처 현재 22%(2013)까지 인하하였고 2016년까지 20%로 최종 인하할 계획

Ÿ 또한 추가적으로 초기 4년간은 법인세가 면제, 향후 9년간은 법인세를 50%

감면하는 파격조건 제시하여 다른 국가들과 경쟁력에서 앞서 있음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가 이동 중

Ÿ 단순 섬유 가공 위주의 제조업 투자에서 1차 금속, 전기장비 제조, 전자부품 등으로 다변화 진행 중

Ÿ 경기변동에 민감한 부동산, 건설업의 비중은 여전히 높은 편이나 점차 하락 Ÿ 제조업 이외 문화, 관광, 서비스업 등에 대한 투자기회를 모색 중

Ÿ 유통 및 서비스업에 대한 투자도 점차 증가하는 상황

Ÿ 고부가가치 제조업(전기장비 제조, 전자부품)과 서비스업 투자에 관심이 높은 편

<표 6> 한-베트남 산업별 투자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순위 1988~2014~3월 누계 2014 1~3월

1 제조업 17,723 (58.3%) 제조업 475 (88.9%) 2 부동산 6,664 (21.9%) 부동산 34 (6.4%) 3 건설업 2,321 (7.6%) 공업기술 10 (2.0%) 4 레저 918 (3.0%) 건설업 7 (1.2%) 5 운송, 물류 913 (3.0%) 호텔 3 (0.6%)

총액 30,402 534

(7)

­또한, 현재로서는 특정 대기업의 생산 및 가공기지 역할을 할 수 있는 분야에도 관심이 큰 편

Ÿ 2014년 한국이 對베트남 국별 외국인 직접투자에서 1위를 기록한 이유는 특정 대기업의 집중적인 투자 때문

Ÿ 2014년 삼성 및 LG전자 등 현지 공장 설립을 추진하면서 58.1억 달러의 투자액을 기록하여 1위

Ÿ 누적 투자액 기준으로 일본에 이어 베트남의 제2위 투자국이며 제조업 분야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Ÿ 따라서, 현재로서는 제조업 중 한국의 특정 대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분야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베트남 투자유치에 중요

o 한-베트남 FTA의 실질적 타결을 계기로 양국 교역이 증가할 전망이며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도 증대할 전망

­초기에는 베트남의 對한국 농수산물 수출이 증가하고 한국의 對베트남 제조업 부품 및 가전제품 수출이 증가할 전망

Ÿ 초기에는 열대과일 등의 수출이 증가하고 한국으로의 인력파견도 증가할 전망 Ÿ 새우에 대해 최대 1만5천 톤까지 무관세 대우, 건조 또는 냉장된 마늘․생강 추가

개방으로 베트남 수출 증가 기대

Ÿ 베트남의 對韓수입관세율이 최고 30%에 달하던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LCD/LED TV 등 고급가전 수출 확대 예상

Ÿ 전기밥솥, 믹서기, 전기다리미 등 소형가전도 최고 25%에 달하는 높은 관세 부담을 덜고 베트남 시장에 진출할 전망

Ÿ 동남아 최대 건설시장으로 평가되는 베트남에 인프라 및 도시건설 사업 분야 진출도 증가할 전망

­장기적 관점서 보면 한-아세안 FTA보다 높은 수준의 개방으로 인해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가 증가할 전망

Ÿ 베트남의 자동차부품, 서비스시장 개방으로 한국의 투자가 증가할 전망

Ÿ 특히, 현지 진출 기업의 보호 강화 등 투자환경 개선으로 인해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가 크게 증가할 전망

o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고급 인력 개발, 문화교류 등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를 확대시켜야 함

자료: Vietnam Foreign Investment Agency

(8)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 지원 지속은 한국의 對베트남 투자의 핵심

Ÿ 현재처럼 법적 안정성 제고, 기업 투자환경개선 등이 지속될 경우 베트남의 투자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

­장기적 관점에서 고급 인력개발이 중요

Ÿ 베트남도 궁극적으로는 제조업 생산기지의 역할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R&D, IT산업 및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등으로 산업범위를 확장해야 함 Ÿ 이런 의미에서 고급 인력의 지속적인 개발이 중요

­또한, 현재의 외교 및 경제통상 관계에서 사회문화 교류로 관계영역 확대 필요 Ÿ 이번 방한 일정 중 하나인 한국-베트남 미래포럼처럼 양국의 관계를 제조업

중심의 경제관계에서 사회문화 등 다방면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

o 현재 양국은 East Asian Community 내에서 안정적인 교역 및 투자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양국 모두 산업구조를 더욱 고도화 시키고 금융산업 안정성 제고를 위해 협력해야 함

­한국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으로의 다양화가 필요

Ÿ 한-베트남 FTA를 통해 아세안 지역으로 문화, 관광, 교육, 법률, 컨텐츠 등 한국의 서비스산업 시장 확대를 추진해야

­베트남은 궁극적으로 단순 제조업에서 고부가가치 제조업으로의 발전이 필요

Ÿ 동남아 국가 중 가장 고급 인력이 풍부한 베트남은 단순 전자제품 생산을 뛰어 넘어 R&D, design 등 제조업과 연관된 고부가가치 산업을 확대해야

­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는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지역 global value chain 상에서 양국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East Asian Community의 경쟁력과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 전망

­급격한 신용 증가에 따른 부동산시장의 버블, 경제성장의 전환점에서 소폭 감소한 경제성장률(연간 성장률 5%)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융시장의 안정성이 중요 Ÿ fiscal/monetary policy의 변화에 따라 시장이 더 크게 반응하고 있고 금융감독

당국의 금융규제 방향성 변화가 빈번한 것으로 외국투자자들은 판단

Ÿ 또한 리스크관리 체제 구축이 미진하고 베트남 파이낸스사의 높은 NPLs (Non-performing loan, 2011년 말 현재 3.8%) 과 유동성비율은 베트남 금융섹터의 건전성을 점점 악화

(9)

Ÿ 이는 2007~2009년 대규모 개발사업 확대로 국영은행 및 파이낸스사의 관련 대출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가격 상승세 둔화로 관련 대출의 부실화가 진행된데 기인

Ÿ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특성 상 은행부분에서 국영상업은행의 시장지배력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

Ÿ 해외투자 유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

<참고자료>

삼성전자(SEV)의 베트남 투자 사례 (2013년 현지 출장 결과)

o 베트남의 장점

­한국인과 베트남인은 같은 한자권 유교문화로서 한국인과 비슷한 점이 많음(혈족의식, 인간관계 중시, 평등의식, 경로사상 및 체면중시 사회)

­높은 인적자원: 풍부하고 젊은 노동인구 평균연령 27.4세(한국은 39세), 9150만명의 인구(세계 13위, 독일과 비슷함), 젓가락 문화로 손재주가 좋고 양손사용 등 전자제품 생산에 적함

­베트남 내 429개 대학교가 있는 바 SEV법인 대졸인력 중 베트남 10대 대학교 출신은 90.9%임

­베트남시장은 중국국경까지 150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중국에서 부품 조달 시 용이, 항구까지 120km 비행장은 30km 이내에 위치

­국내와 비교했을 때 생산성은 90%지만 급여수준은 10%(중국은 국내에 비해 1/3)

­베트남 통관절차를 간소화 하여 베트남 최초로 삼성에서 전자통관시스템을 도입

­베트남은 지난 2012년 $1,498 GDP/capita 달성하여 작년 처음으로 베트남 무역 흑자를 달성(삼성의 EPE: Export processing enterprise)를 통해 베트남 전체 수출의 11%를 차지

o 국내생산기지 해외이전 사유

­중저가 시장 공략 및 글로벌 대형 생산거점 확보 위해 해외 진출 모색

Ÿ 해외진출 당시 낮은 시장점유율을 극복하기 위해 저가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생산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베트남을 선정함

Ÿ 2억대 이상 물량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글로벌 공급 채널 확보 Ÿ 낮은 원가 및 수익성 확보 목적으로 가능한 대형 생산거점 신설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긴 가장 큰 이유는 생산원가 절감

Ÿ 구미공장에서는 불가능한 생산단가 수준을 베트남에서는 실현가능. 글로벌 가격경쟁력 확보

(10)

Ÿ 또한 국내에선 외국인근로자 규제 등 노동규제로 생산단가를 낮추기 더욱 힘듦

­메콩강 주변 동남아 주요국에 비해 베트남에 삼성전자현지법인을 설립한 이유는 베트남의 젊고 우수하며 풍부한 인적자원과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 투자지원 혜택 때문임

­국내에서 대기업의 해외진출에 비난 보다는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고 이런 이동을 support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게 가장 시급

삼성전자의 해외투자 사례

o 삼성전자 국내외 13개국에 거점 217곳, 해외인력 60% 돌파

╶ 2011년 196개에 달했던 생산법인ㆍ판매법인ㆍ연구소 등 국내외 거점이 2013년 217개로 20개가량 증가

Ÿ 스마트폰, TV, LCD, 반도체 현지 생산 및 판매 비중 증가

Ÿ 중국(시안, 텐진, 선전, 후이저우), 베트남(박닌성, 타이응엔), 인도(노이다, 첸나이), 헝 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러시아(칼루가주), 이집트(베니수에프), 핀란드, 미국 (오스틴), 브라질(캄피나스), 한국(수원, 기흥, 구미, 창원)

╶ 2012년 말 기준 총 23만 5868명 중 해외 인력 14만 5166명

o 삼성전자 해외 핸드폰 현지공장 중국, 인도, 브라질, 베트남, 한국 등 전 세계 8개 공장가동

╶ 현재 전 세계 삼성 핸드폰 월평균 3500만대 생산 (1500만대는 베트남 옌풍 공단 2단계 공장)

Ÿ 한국의 구미·창원 연간 8600만대

Ÿ 중국(3) 텐진 1억대, 중국 선전과 후이저우 Ÿ 인도(1)의 노이다(연간 3500만대~4000만대) Ÿ 브라질(1)의 캄피나스 공장 보유

Ÿ 베트남(2), 박닌성, 타이응웬(연간 2억 4천만 대)

o (중국) 시안지역, 약 70억 달러 투자. 대규모 반도체 공장 건설 중

╶ 중국 전체 외자 유치액으로 최대 수준. 삼성전자 현지투자 관련하여 200여 개 기업 동반 진출, 일자리 1만여 개 창출, GDP 120~150억 위안 증가 예상

Ÿ 시안은 중국 3대 교육도시로 40여 대학 60만여 명 재학. 대학원생 78만여 명

╶ 삼성전자의 해외 반도체 생산라인 투자로는 역대 최대 규모 Ÿ 10나노급 첨단 낸드플래시 공장.

Ÿ 2013년 말부터 10나노급 낸드플래시 본격 생산 예정

Ÿ 시안 진출의 최종 목표는 세계 최첨단 반도체 생산 공장화하는 것

o (인도) 노이다 지역 스마트폰 공장

╶ 2013년 7월 기준 50억루피 투자(한화 약 천억 원, 미화 대략 1억 달러) 휴대폰공장 증설 Ÿ 인도내수시장과 아시아 각 지역으로 수출 전망

Ÿ 인도는 중국, 미국과 함께 세계 3대 스마트폰 시장 부상(일본 4위)

╶ (인도 첸나이)에 제2공장을 건설. 2006년 기준 5년 동안 1억 달러 투자. 인도 현지 TV, 모니터 등 전자제품의 수요 대응

(11)

o (베트남) Samsung Electronics Vietnam(SEV)은 베트남 북부 박닌성 옌퐁공단 및 타이응웬성 옌빙공단 내 32억 달러 규모 투자 진행

╶ 삼성전자 베트남 현지투자는 2013년 상반기 베트남의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액(105억 달 러)의 1/3 규모

Ÿ 2013년 6월 20일 Bac Ninh 지역 프로젝트 10억 달러 증자 투자허가 취득

Ÿ 2013년 3월 Thai Nguyen 지역 20억 달러 투자; 3월 25일 시공 진행. 삼성전자의 전자 제품 조립 생산. 2015년에는 매년 1억 2000만대 휴대전화 생산 예정

╶ 타이응웬성 제2공장 완공 시 직원 5만여 명, 연간 휴대폰 2억 4000만대 생산 가능. 베트 남이 세계적인 휴대폰 생산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

Ÿ 삼성전자 제1공장은 2007~2012년 사이 12억 달러 투자하여 현재 월평균 1500만대 생 산 중

Ÿ 삼성전자 전 세계 핸드폰 총생산량 중 베트남 비중은 약 40%

Ÿ 향후 월평균 2천만 대 생산 시 베트남 비중은 대략 70%로 전망

╶ 옌풍 공단에는 다수의 국내 핸드폰 부품 생산업체 현지 동반진출

Ÿ 국내 협력업체 53개사가 동반 진출했고 현지 기업을 포함하면 약 70개 업체가 부품공 급. 현지 부품조달비율은 약 30%

Ÿ 피앤텔, 삼성광통신, 플렉스컴, 성우전자 등이 진출하여 공장 건설 중이거나 이미 가 동 중. 부품업체의 현지투자 추세 강화될 전망

╶ 국내 휴대폰 부품업체의 현지진출은 지속적으로 강화될 전망

Ÿ 중국 핸드폰의 메카 후이저우에서 9시간 거리인 하노이 인근으로 전반적인 핸드폰 global value chain 이동

Ÿ 스마트폰 생산에 필요한 고부가가치 기술을 보유한 베트남 현지기업은 제한적이어서 국내 휴대폰 부품업체의 현지진출 강화될 전망

╶ 삼성전자의 베트남 투자 이후 베트남 총수출의 약 10% 차지해 베트남 경제발전에 기여 Ÿ 삼성전자 현지투자로 인해 베트남 주축 산업으로 핸드폰 관련 부품산업 전체 수출 비

중은 20~30%, GDP의 20~25% 수준으로 증가전망

Ÿ 핸드폰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면서 베트남 성장동력으로 작용 Ÿ 베트남의 고부가가치제품 수출판도 변화 예상

╶ 주목할 만한 사실은 삼성전자의 대 베트남 투자는 싱가포르 삼성 법인의 현지투자로 간 주됨

Ÿ 싱가포르의 30억 달러 투자(신규 20억 / 증자 10억 달러)로 산정됨 Ÿ 한국의 대 베트남 투자 수치에서는 누락됨

╶ 삼성전자의 베트남 투자확대 요인은 기업법인세 인하, 투자확장에 대한 우대투자 적용, 베트남 장기투자 안정성 및 유리한 투자환경 조성

Ÿ 최근 기업 법인세법 수정안 통과됨(2014년부터 기업 법인세가 현행 25%에서 22%로 인하)

Ÿ 기존 제1공장은 생산개시 후 4년간 법인세 면제혜택 받음

Ÿ 투자확장 부분에 대한 우대 투자 적용. 특히 베트남 장기 투자에 안정적이고 유리한 투자환경 조성

o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삼성전자 헝가리법인(SEH)

╶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등 지역의 현지 TV 판매영업 결과 2007년 20억 달러 매출

(12)

Ÿ 정부 지원, 인력 수급, 공장부지 확보 혜택으로 헝가리에 제2공장 설립. 6개월 만에 공장 준공 후 생산

Ÿ 제2공장 건립 투자 금액 5600만 달러. LCD TV 제작용 SMD(칩을 심은 기판) 생산 및 LCD TV 조립

╶ (슬로바키아) 2007년 기준 6억 달러 LCD 모듈 공장 건설

Ÿ 슬로바키아 LCD TV 생산과정에 헝가리법인에서 생산된 SMD 부품사용

╶ 2007년 기준 전 세계 12개 삼성전자 생산공장 중 멕시코·헝가리·슬로바키아가 상위 3 위 생산

o (폴란드) 가전공장

╶ 2009년 11월 폴란드 가전회사 아미카 7600만 달러에 인수

o (러시아) 삼성전자 러시아 TV공장

╶ 러시아 및 동유럽 지역 TV 시장점유율 40%. 물류ㆍ자재창고를 포함해 700만대 생산능력 보유. 현지 인력을 포함해 약 2000명 종사중

Ÿ 러시아 칼루가주 현지 생산 및 판매를 통해 인지도 상승결과 TV 점유율 약 40%

Ÿ 2012년 3분기 38.3%로 높아지면서 1위(2010년 1분기 34.3%) Ÿ 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등 동유럽 지역 현지판매

Ÿ 2008년 7월 칼루가주 보르시노 공단 47만 3000㎡ 용지에서 TV 생산 착수. 모스크바 인근 칼루가주는 모스크바 서남쪽 85㎞에 위치

o (이집트) 삼성전자 이집트 TV 공장

╶ (아프리카 지역 최초) 이집트 남부 베니수에프 지역에 TV모니터 공장 2013년 완공 o (핀란드) 모바일 연구개발(R&D)센터 건립 예정

o (미국 텍사스) 삼성전자 텍사스주 오스틴 반도체공장 건설

╶ 2006년 기준 30억 달러 투자 Ÿ D램과 낸드플래시 양산

베트남 금융시장 발전 필요성 (IMF Vietnam 사무소장 면담 결과)

o 일정 수준 경제성장이 달성된 후에는 금융시장의 발전도 반드시 필요

╶ 베트남의 현안으로는 급격한 credit 증가에 따른 부동산시장의 버블, 경제성장의 전환점 에서 소폭 감소한 경제성장률(연간 성장률 5%)

Ÿ 향후 경제성장 추세를 예측하기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음

╶ 베트남정부는 외부 자극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 바 fiscal/monetary policy의 변화에 따라 시장이 더 크게 반응하고 있음

Ÿ 정치 및 금융관련 기반의 후진성으로 인해 현지 금융감독 당국의 금융규제 방향성 변 화가 빈번함

(13)

╶ 또한 리스크관리 체제 구축이 미진하고 베트남 파이낸스사의 높은 NPLs (Non-performing loan, 2011년 말 현재 3.8%) 과 유동성비율은 베트남 금융섹터의 건전성 을 점점 악화

Ÿ 이는 2007~2009년 대규모 개발사업 확대로 국영은행 및 파이낸스사의 관련 대출이 급 격히 증가하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가격 상승세 둔화로 관련 대출의 부 실화가 진행된데 기인

╶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특성 상 은행부분에서 국영상업은행의 시장지배력이 매우 높은 것 이 특징

╶ 수출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비교적 성장률이 지속되고 있는 바, 이는 베트남-specific 혹 은 투자자/정책-specific으로 파악됨

╶ 해외투자 유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금융시장의 안 정성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

참조

관련 문서

원자자성 전자 궤도 운동 전자 스핀 운동. 자기적 특성

세계 무대에서 빛을 발하는 우수한 제품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는 첨단디지털 산업의 작은 거인, 화인엠티는 체계적인 생산

청년인턴사업 관련

라즈베리파이와 하단케이스 조립 고무지지대

발효가 된 생지를 종이컵 중앙에 올려놓고 모서리 네곳을 눌러 종이컵 에 붙을정도로 구부려준다.. *오븐이 없는학교는 해동후 바로

• 이 순환적 전자 전달과 함께, 엽록체들은 스트로마 반응을 위해 서 필요한 추가의 ATP들을 만든다.... 비순환적 전자 전달과 순환적

 생산 가능인구와 피부양인구의 증가...  생산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