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증 정도의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통증 정도의 변화"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931

통증 정도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Pain and Change in the Severity of Pain after Hydrodistension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Cystitis

Sung Han Kim, Soo Woong Kim, Seung-June Oh

From the Department of 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Purpose: Interstitial cystitis (IC) is characterized by severe irritating void- ing symptoms as well as bladder pain without any specific causes in the bladder identified. Hydrodistension is offered as both a therapeutic and diagnostic tool in these patien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ladder pain associated with IC as well as the severity of pain after hydrodistension in patients with IC.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2005 and October 2007, 34 patients with IC who underwent hydrodistens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pain associated with IC and the severity of the pain after the hydrodistension were retrospectively evaluat- ed using a questionnaire. Assessment was performed by one interviewer in a uniform manner using a pre-designed questionnaire. The severity of pain was graded using a 10-point pain scale (between 0 for none and 10 for the most severe pain that can be imaginable).

Results: Thirty four patients (9 men and 25 females) with a mean age of 57.8±12.9 (SD) yea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median duration of their follow-up was 12.0 (range; 4-36) months. The duration of pain before hydrodistension was a mean of 3.8 years (45.9±31.5 months). The patients reported a mean 8.0 points for bladder pain before hydrodistension and 1.7 points for one week, 2.0 for one month, 2.9 for three months, 4.3 for six months, 4.4 for nine months, and 5.3 for one year after the hydro- distension. The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could tolerate their bladder pain up to a median of 2.0 (range; 0-8) points, and they reported that the relief of pain lasted for a median duration of 3.0 (range; 0-10) months after the hydrodistension.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hydrodistension was effective for relieving bladder pain after the procedure. However, its effect on pain decreased gradually over time, suggesting that hydrodistension has a therapeutic effect but these effects are time limited in patients with IC.

(Korean J Urol 2008;49:931-936)

󰠏󰠏󰠏󰠏󰠏󰠏󰠏󰠏󰠏󰠏󰠏󰠏󰠏󰠏󰠏󰠏󰠏󰠏󰠏󰠏

Key Words: Cystitis, interstitial; Hydrodistension; Pain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 49 권 제 10 호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김성한ㆍ김수웅ㆍ오승준

접수일자2008년 6월 27일 채택일자2008년 8월 4일

교신저자: 오승준

서울대학교병원 비뇨기과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

󰂕 110-744

TEL: 02-2072-2406 FAX: 02-742-4665 E-mail: sjo@snu.ac.kr 이 논문은 서울대학교병원 일반연구비 지원 (과제번호: 04-2006-086-0)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서 론

간질성방광염/방광통증후군은 방광에 세균감염 등 뚜렷 한 원인이 없는데도 심한 빈뇨, 야간뇨, 요절박 등의 배뇨

증상과 함께 치골상부, 요도, 질, 회음부 등의 통증을 특징 으로 하는 배뇨 증상군이다.1,2 이 질환에 대해 다양한 병인 론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임상적으로나 병리학적 으로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확실한 진단법과 치 료법 또한 마련되어 있지 않다.

(2)

외국 문헌을 살펴보면 1978년에 Sehn3이 수압확장술을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에게 사용한 결과를 발표한 이후로 간 질성방광염 환자에서 수압확장술의 효과는 적게는 18%에 서 많게는 77%까지 보고되었다.4-6 하지만 이 때는 수압확 장술에 대한 기준이 마련이 되지 않았으며 추적관찰기간에 대한 효능도 기록이 되어있지 않았다. 최근의 결과를 보면 2005년의 Ottem과 Teichman7은 평균 2개월의 추적기간 동 안 56%의 성공률을 보고하였고, 2002년에 Glemain 등8은 평 균 6개월 추적 기간 때에 37.7%, 1년 때에 21.9%를 보고하 였다. 이 외에도 Propert 등9이나 Sant와 LaRock10은 평균 6개 월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20%의 환자에서 증상호전이 있었 다고 하였다.

수압확장술은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에게 진단 및 치료목 적으로 시행하는 시술로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2년 Choi 등11에 의해 간질성방광염이 처음으로 문헌으 로 보고된 이래, 1996년의 Kim과 Kwon12, 1997년 Kang과 Hong13에 의해 수압확장술이 간질성방광염의 진단 및 치료 로 긍정적 결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수압확장술 이 간질성방광염/방광통증후군 환자들의 통증에 어떤 효과 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문헌정보는 매우 부족하며 우 리나라 환자들에 대한 보고는 더욱 희소하다. 이에 연구자 는 간질성방광염 환자에서 통증에 대한 기본 정보와 수압 확장술 이후 통증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여 수압확장술의 효용성을 평가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9월 이후부터 2007년 12월까지 외래를 방문하여 1988 NIDDK 진단기준14에 따른 간질성방광염/방광통증후 군 의증인 46명의 환자들 중 수압확장술을 받고 간질성방 광염으로 임상적으로 진단된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간질성방광염/방광통증후군으로 임상적 진단을 확정 받기 전에 미리 계획된 셋오더에 의거하여 병 력, 신체검진, 요검사, 요배양검사, 요결핵균 AFB 또는 PCR 검사, 요세포검사, 요속검사 및 배뇨 후 잔뇨량 검사, 3일간 의 배뇨기록, 방광경검사, 요역동학검사, KCl 검사14 등을 일괄적으로 시행 받았던 환자들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18 세 이상 연령에 해당되었으며 이전에 방사선치료 병력, 비 뇨기계 수술력, 복압성요실금, 급성요로감염, 임신, 암, 치 매 등의 신경계 질환, 조절되지 않거나 말초신경 장애가 동 반된 당뇨병, 척수손상이나 뇌혈관사고의 병력, 출혈성질 환, 정신질환, 퇴행성질환, 대사질환 등은 없었던 환자들이 었다. 환자들은 수압확장술 이후 계획된 추적관찰 일정으

로 외래에서 추적 관찰하는 환자들이었다.

진단적 목적으로 시행한 방광경검사는 국소마취 하에 쇄 석위 자세에서 시행하였다. 방광경검사에서 육주화, glomer- ulation, crack, Hunner 궤양 유무 등의 특이 이상소견들을 관 찰하였고 KCl 검사는 요절박 및 통증이 나타나게 되면 양 성으로 표시하였다. 수압확장술은 전신마취 하에 쇄석위 자세에서 다시 방광경검사를 시행하여 시술이전의 방광의 비특이적 소견을 다시 관찰하고 요세포검사를 시행 후 방 광을 완전히 비운상태에서 시행하였다. 상세한 수압확장술 은 Campbell-Walsh urology에서 소개한 방법을 따랐다.15 수압확장술 전 통증의 양상과 수압확장술 이후의 통증의 변화에 대해 후향적으로 전화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인터뷰는 한 명의 연구원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며 미리 디 자인된 지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괄 시행되었다. 설문 지 항목에는 첫 통증이 발생한 이후 본원 방문까지 걸린 기간, 본원 방문 전에 방문했던 의료기관의 수, 첫 증상 발 현 후 간질성방광염으로 진단받기까지 걸린 기간, 첫 병원 방문 당시의 진단명, 본원 방문 당시까지의 약물 복용력, 통 증의 위치, 통증의 유발요인 등에 관한 7문항과 0에서 10점 까지의 통증척도를 이용한 수압확장술 전과 후의 통증의 기간별 통증 정도 변화 (시술 전, 시술 후 1주째, 1개월째, 3개월째, 6개월째, 9개월째, 1년째), 환자가 참을 수 있는 통 증의 점수척도 (pain tolerability), 그리고 수압확장술 후 통 증에 호전이 있었던 수압확장술의 효능기간에 대한 3문항 을 합해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후향적 연구는 본원 IRB심의를 통과하였다 (심의번호 H-0706-014-210). 수압확 장술의 통증에 대한 기간별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환자들 의 통증에 대한 설문 답안을 가지고, 수압확장술 직전부터 수압확장술 이후 12개월째까지 총 7시점에서의 통증 정도 변화를 SPSS v12.0을 이용한 ANOVA를 시행하였다. 통계 처리는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연구협력센터에 의뢰하여 처 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 참가한 34명의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7.8±12.9세 (SD)였고, 이들의 평균 추적관찰 기간 은 평균 15.8 (중간값; 12.0, 범위; 4-36)개월이었으며, 이 중 남자는 9명, 여자는 25명이었다.

34명의 요역동학검사에서 불수의적 배뇨근 수축은 관찰 되지 않았고, 요세포검사는 모두 음성이었으며, 26명 (76.4%) 에게서 KCl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외래에서 시행한 방광경검사에서는 육주화, 궤양, Hunner 궤양은 각 각 2명 (5.9%), 10명 (29.4%), 27명 (79.4%)에서 관찰되었다.

(3)

Table 1. Cystoscopic findings at baseline and after hydrodistension (total 34 patients)

Mean±SD Positive (%) Outpatient-based baseline cystoscopy

Trabeculation (n) Ulcer (n)

Hunner’s lesion (n)

2 (5.9) 10 (29.4) 27 (79.4) During and after acute hydrodistension

under anesthesia Volume at leakage (ml) Maximal filling volume (ml) Hematuria at drainage Glomerulation Crack

360.5±132.5 460.0±112.3

24 (70.6)

29 (85.3) 32 (94.1) 30 (88.2) During and after refilling hydrodistension

under anesthesia Volume at leakage (ml) Maximal filling volume (ml) Hematuria at drainage Biopsy (sites)

386.7±120.4 511.6±90.1

1.7±0.9

15 (44.1)

26 (76.5) 33 (97.0)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in in 34 patients Initial diagnosis at outside hospital

Simple cystitis (%) 24/34 (70.5)

Psychogenic (%) 4/34 (11.8)

Prostatitis (%) 2/34 (5.9)

No diagnosis (%) 4/34 (11.8)

Sites of pain

Urethra (%) 24/34 (70.6)

Bladder (%) 11/34 (32.4)

Vagina/Penile tip (%) 7/34 (20.6)

Perineum (%) 6/34 (17.6)

Suprapubis (%) 4/34 (11.8)

Rectum (%) 2/34 (5.9)

Pelvis (%) 1/34 (2.9)

Previous medication

Antibiotics (%) 24/34 (70.6)

Sedatives/Analgesics (%) 9/34 (26.5)

Anticholinergics (%) 5/34 (14.7)

Elmiron (%) 4/34 (11.8)

Others (%) 4/34 (11.8)

Initial pain-inducing factor

Fatigue/Insomnia (%) 8/34 (23.5)

Neurogenic (%) 7/34 (20.6)

Therapeutic procedures/operations (%) 4/34 (11.8)

Cystitis (%) 3/34 (4.3)

Sexual intercourse (%) 1/34 (2.9)

None (%) 14/34 (41.2)

전신마취 하에 시행한 수압확장술은 두 번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였고 첫 번째 수압확장술에서는 glomerulation과 crack이 각각 32명 (94.1%)과 30명 (88.2%)에서 관찰되었다.

수압확장술은 방광 내로 평균 460.0±112.3ml의 생리식염수 를 채웠으며, 360.5±132.5ml를 충만하였을 때부터 24명 (70.6%)에게서 방광내시경 주변 요누출이 관찰되었고 수압 확장술 이후 배액된 양은 평균 457.3±133.3ml로 측정되었 다. 배액 시 29명 (85.3%)에서 혈뇨가 관찰되었다. 두 번째 수압확장술에서는 평균 511.6±90.1ml의 생리식염수를 채웠 을 때 15명 (44.1%)에게서 386.7±120.4ml부터 내시경 주변 으로 요누출이 관찰되었고 수압확장술 이후의 배액량은 평 균 498.3±131.3ml였다. 배액 시 혈뇨는 26명 (76.5%)에서 관 찰되었다 (Table 1).

환자들의 통증 발생 시기는 본원에서 시행한 처음 수압확 장술 시점으로부터 평균 45.9±31.5개월 (약 3.8년) 전이었고, 본원 방문 전에 약 3.0군데의 다른 병원을 거쳤다고 대답하 였다. 간질성방광염으로 최종 진단받기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9.9 (중간값; 12.0, 범위; 0-72)개월이었다. 처음 병원 에서 24명 (70.5%)은 단순방광염으로, 4명 (11.8%)은 신경성 원인으로, 2명 (5.9%)은 전립선염으로 진단받았고, 2명 (5.9%)은 어떠한 진단도 받지 못했다. 또한 환자들은 평균 1.4개 종류의 약을 복용하고 있었고 복용해 왔던 약으로는 항생제 11명 (70.6%), 항콜린성 약제 5명 (14.7%), Elmiron 4 명 (11.8%), 진통제 8명 (26.5%), 한약 등의 기타 약이 4명 (11.8%)이었다. 통증 부위는 평균 1.6군데였으며, 그 부위로

는 요도 24명 (70.6%), 방광 11명 (32.4%), 질/음경 7명 (20.6%), 회음부 6명 (17.6%), 상치골 4명 (11.8%), 직장 2명

(5.9%), 골반 1명 (2.9) 순이었다. 통증 유발 요인으로 평균 1.1개를 대답하였고, 피곤 및 수면부족 8명 (23.5%), 신경성 6명 (20.6%), 시술이나 수술 4명 (11.8%), 방광염 3명 (4.3%), 성접촉 1명 (2.9%)순이었고 특별한 요인이 없다고 대답한 환자가 14명 (41.2%)이었다 (Table 2).

각 시기별로 환자들의 통증 정도를 살펴보면 수압확장술 이전이 평균 8.0점이었고 수압확장술 이후 1주째가 1.7점으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술 후 1달째가 2.0점, 3개 월째가 2.9점, 6개월째가 4.3점, 9개월째가 4.4점, 12개월째 가 5.3점으로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의 정도가 유의하 게 증가했다 (Fig. 1). 환자들은 평균 3.0 (중간값; 2.0, 범위;

0-8)점 정도의 통증까지는 참을 만하다고 생각하였고 통증 에 대해 수압확장술로 효과를 본 기간은 평균 4.4 (중간값;

3.0, 범위; 0-76)개월 정도라고 생각하였다.

수압확장술 직전부터 수압확장술 이후 12개월째까지 총 7시점에서의 통증의 변화 정도는 유의수준 0.05에서 시간 에 따른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p<

0.0001), 그 추세는 3차 이상의 곡선적인 형태를 보였다. 그

(4)

Fig. 1. Change in pain score after hydrodistension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cystitis.

리고, 수압확장술 직전부터 수압확장술 이후 1주, 1개월, 3 개월, 6개월, 9개월, 그리고 12개월의 각 시점까지의 변화량 에 대하여 사후검정을 시행한 결과, 수압확장술 직전부터 수압확장술 이후 평가된 모든 여섯 시점까지의 변화량은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 찰

간질성방광염은 넓은 임상적인 의미에서는 간질성방광 염/방광통증후군으로 불리며 염증이나 종양 등과 같이 특 이 원인이 없음에도 급박뇨, 빈뇨 등의 하부요로증상과 골 반이나 회음 부위의 통증 등을 특징으로 호소하는 환자들 에게 내려지는 만성 증후군이다.16-19 간질성방광염의 진단 기준은 1988년의 National Institute of Arthritis, Diabetes, Diges- tive and Kidney Disease (NIDDK)14가 연구목적으로 규정하 였다. 그러나 너무 엄밀한 기준을 적용한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Interstitial Cystitis Data Base (ICDB) Study17 및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CS) 200216에서 임상적 진 단기준을 다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로 포함된 환 자들은 NIDDK 기준을 적용하여 진단된 환자들이다.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이 질환은 배뇨 문제뿐만 아 니라 통증에 있어서 삶의 질을 다양한 방식으로 저해시킨 다.9,20 본 연구의 통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환자들은 통증 부위로 평균 1.6군데 이상을 지목하였다. 또한 가장 많은 부 위로 요도와 방광과 질/음경 끝 등 하복부와 회음부에 위치 한 부위를 지목하였지만 특별하게 국한되어 통증을 호소하 는 부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가 느낀 통증 유발원인

은 다양하였으나 유발요인이 없는 경우도 41.2%나 되었다.

이런 이유로 간질성방광염이 흔히 과민성방광 등과 같은 다른 질병들과 혼동이 되거나 심인성 원인에 의한 배뇨이 상 상태 등과 같이 오인되어 간질성방광염으로 진단받기까 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본 연구 결과, 환자들은 상기 증상 을 호소하기 시작한 지 평균 19.9개월 이상이 지난 후에야 간질성방광염으로 진단 받았으며 단순 방광염, 심인성 원 인, 전립선염 등의 다양한 진단을 받아 평균 1.4개 종류의 약물 처방을 받아 복용하고 있었던 점에서도 최종 진단에 이르기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간질성방 광염에 대한 진단 원칙이나 치료 지침의 필요성과 함께 비 뇨기과 의사들이 간질성방광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통증에 있어서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 수 압확장술 시술 이전이 산통을 10점으로 보았을 때 평균 8.0 점으로 나왔으며 환자들이 평균 3.0점까지 통증을 참을 수 있다고 답한 것을 보면 본 연구의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에 게서 배뇨 장애뿐만 아니라 간질성방광염의 통증이 얼마나 심하게 삶의 질에 부정적으로 미치는지를 알 수 있다.

간질성방광염에 대해 아직까지 정확한 병인이나 진단법 이 밝혀지지 않은 임상적인 현실에서 이들에 대한 치료는 행동요법에서부터 방광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까지 다양 하게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수압확장술은 근본적인 치료법 은 아니나 방광경검사와 함께 진단적 및 치료적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Rovner 등21이 ICDB의 임상 자료를 재검토해 보고 다양한 진단과 치료 방법들 중에 32.9%의 환자들에서 방광내시경과 수압확장술이 가장 많 이 사용된 시술이라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수압확장술의 치료 효과에 있어서는 효과는 있지만 영구적이지 못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 구체적인 효능 또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도 수압확장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효능이 감소하며 평균 4.4개월 정도까지 통증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다른 수압확장술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7,8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시간에 맞춰 환자들의 통증에 대한 수압확장술의 치료 효과를 보 았을 때 수압확장술 이전보다는 환자의 통증 정도가 1년이 지나도 감소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면 간질성방광염에 서 수압확장술은 그 시술 절차가 간단하기 때문에 방광에 대한 수술을 하기 전에 시행 가능한, 효능 있는 치료법이라 고 할 수 있다. 물론 앞으로도 계속적인 추적관찰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통증 변화를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수압확장술의 작용기전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 실험적으로는 단순히 방광용적을 늘리기 위해 수압 확장술을 시행한 Sehn3은 1978년에 탈수초화된 운동신경 섬유들과 감각신경 섬유들이 허혈성 손상을 입어 방광 통

(5)

증이 경감된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실험관 내 실험에서 수압확장술로 인한 방광 평활근 세포들의 확장은 방광 생리학에 관여하는 생화학적 인자들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22 예를 들어,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의 소변에서 정상 군보다 방광상피세포들의 증식이 억제된 소견이 관찰되었 고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 (Hb-EGF)가 정상 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며,23 수압확장술 이후 소변에서의 Hb-EGF은 증가되고, 항증식 인자들은 감소된 결과들을 보 여주었다.24 나아가 수압확장술은 간질성방광염의 방광에 미세혈관화를 조장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었으며,25 방광 표 면에 손상을 입혀 mucin을 증가시키고,26 점막하 부종을 일 으키면서 미세 혈관들의 밀도를 의미 있게 감소시킨다는 결과도 보여주었다.27,28 하지만 이에 반해 수압확장술 전과 후에 특별한 점막하 부종과 미세혈관 밀도의 변화가 없다 고 보고된 연구 결과도 있어29 아직까지 수압확장술에 대한 정확한 치료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수압확장술로 인한 변화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는 것 이 확인이 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보여진 통증에 대한 수압확장술 효과가 점차 감소되고 통증 정도가 시간이 지 나면서 증가되는 이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 다.8,30

이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제 한점이 있다. 첫째로 환자들의 선택 오류의 가능성이다. 본 연구는 삼차 진료기관에서 이루어진 연구이므로 환자의 통 증 정도나 환자 특성이 일반적인 방광통증증후군/간질성방 광염과는 다른 심한 정도의 환자들이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은 특정 기간 내 미리 계획된 검사 계획에 따라 일관성 있게 검사를 시행 받은 모든 환자를 포함하였고 분석만 후향적으로 시행한 것이기 때문에 일단 본원에 내원한 환자 범위 내에서의 선택 오류 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된다. 두 번째로 적은 수의 환자군 과 짧은 추적관찰 기간이다. 본 연구는 술 후 특정한 시기에 시행한 단면 연구로서 환자마다 술 후 추적기간이 동일하 지 않다. 따라서 환자 수가 많지 않으면 통증 점수의 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는 앞으로 전향적으로 더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추적관찰을 계속해야 할 것이 다. 세 번째, 본 연구는 후향적인 연구로서 통증의 정도를 환자의 기억에 기초하여 평가하였으므로 회고 편견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통증에 가장 민감한 간질성방광염 환자가 자신이 겪은 통증의 정도는 다른 불편감보다는 비 교적 정확하게 표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네 번 째로 수압확장술과 비교 관찰한 대조군이 없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압확장술 전후 비교를 통하여 환자자신의 시술 전 통증 정도를 대조군으로 삼는 연구 방식을 취하였

으나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에서 치료방법으로서 수압확장 술의 효용성을 뒷받침하는 결과로서는 한계가 있다. 마지 막으로 수압확장술의 인자들 중 수압확장술의 효과와 관련 된 인자들을 평가하지 못 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간질성방광염에서 통증 관련 환자들의 통증에 대한 현황과 통증에 대한 수압확장술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파악한 연구 보고라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위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본 연구결과 간질성방광염 환자들이 질병의 임상 확정 진단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나 방광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에서 간질성방광염의 진단명 을 임상진단에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질 성방광염 환자들에서 수압확장술의 장기적인 통증 완화 효 과는 제한적이었으나 시술 전보다는 경감되는 것으로 나타 나 통증완화에 있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Fall M, Johansson SL, Aldenborg F. Chronic interstitial cystitis:

a heterogenous syndrome. J Urol 1987;137:35-8

2. Holm-Bentzen M, Jacobsen F, Nerstrom B, Lose G, Kristensen JK, Pedersen RH, et al. Painful bladder disease: clinical and pathoanatomical differences in 115 patients. J Urol 1987;138:

500-2

3. Sehn JR. Anatomic effect of distension therapy in unstable bladder: a new approach. Urology 1978;57:82-8

4. Ramsden PD, Smith JC, Dunn M, Ardran GM. Distension therapy for the unstable bladder: later results including an assessment of repeat distensions. Br J Urol 1976;48:623-9 5. Pengelly AW, Stephenson TP, Milroy EJ, Whiteside CG,

Turner-Warwick R. Results of prolonged bladder distention as treatment for detrusor instability. Br J Urol 1978;50:243-5 6. Jorgensen L, Mortensen SO, Colstrup H, Andersen JT. Bladder

distension in the management of detrusor instability. Scand J Urol Nephrol 1985;19:101-4

7. Ottem DP, Teichman JM. What is the value of cystoscopy with hydrodistension for interstitial cystitis? Urology 2005;66:

494-9

8. Glemain P, Riviere C, Lenormand L, Karam G, Bouchot O, Buzelin JM. Prolonged hydrodistention of the bladder for symptomatic treatment of interstitial cystitis: efficacy at 6 months and 1 year. Eur Urol 2002;41:79-84

9. Propert KJ, Schaeffer AJ, Brensinger CM, Kusek JW, Nyberg LM, Landis JR. A prospective study of interstitial cystitis:

results of longitudinal followup of the interstitial cystitis data

(6)

base cohort. J Urol 2000;163:1434-9

10. Sant GR, LaRock DR. Standard intravesical therapies for interstitial cystitis. Urol Clin North Am 1994;21:73-83 11. Choi HK, Kim KC, Park JH. A case report of interstitial

cystitis. Korean J Urol 1972;13:227-9

12. Kim SI, Kwon HY. Clinical results of overdistention in the treatment of interstitial cystitis. Korean J Urol 1996;37:1278- 82

13. Kang HW, Hong JY. The effects of simple hydrodistention of bladder in interstitial cystitis. Korean J Urol 1998;39:382-5 14. Gillenwater JY, Wein AJ. Summ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rthritis, diabetes,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workshop on interstitial cystiti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aryland, August 28-29, 1987. J Urol 1988;140:203-6 15. Hanno PM. Painful bladder syndrome/Interstitial cystitis and

related disorders. In: Wein AJ, Kvoussi LR, Novick AC, Partin AW, Peters CA, editors. Campbell-Walsh urology. 9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7;366-7

16. Abrams P, Cardozo L, Fall M, Griffiths D, Rosier P, Ulmsten U, et al. The standardisation of terminology in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Urology 2003;61:

37-49

17. Simon LJ, Landis JR, Tomaszewski JE, Nyberg LM. The Interstitial Cystitis Data Base (ICDB) Study. In: Sant GR, editor. Interstitial cystitis.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7;

17-24

18. Hanno P, Levin RM, Monson FC, Teuscher C, Zhou ZZ, Ruggieri M, et al. Diagnosis of interstitial cystitis. J Urol 1990;

143:278-81

19. Parsons CL. Interstitial cystiti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tic criteria in over 200 cases. Neurourol Urodyn 1990;

9:241-50

20. Held PJ, Hanno PM, Wein AJ. Epidemiology of interstitial cystitis. In: Hanno PM, Staskin DR, Krane RJ, Wein AJ, editors. Interstitial cystitis. London: Springer-Verlag; 1990;29-

48

21. Rovner E, Propert KJ, Brensinger C, Wein AJ, Foy M, Kikemo A, et al. Treatments used in women with interstitial cystitis: the interstitial cystitis data base (ICDB) study experience.

Urology 2000;56:940-5

22. Steers WD, Broder SR, Persson K, Bruns DE, Ferguson JE 2nd, Bruns ME, et al. Mechanical stretch increases secretion of parathyroid hormone-related protein by cultured bladder smooth muscle cells. J Urol 1998;160:908-12

23. Keay S, Warren JW, Zhang CO, Tu LM, Gordon DA, Whithmore KE. Antiproliferative activity is present in bladder but not renal pelvic urine from interstitial cystitis patients. J.

Urol 1999;162:1487-9

24. Keay S, Zhang CO, Kagen DI, Hise MK, Jacobs SC, Hebel JR, et al. Concentrations of specific epithelial growth factors in the urine of interstitial cystitis patients and controls. J Urol 1997;158:1983-8

25. Chai TC, Zhang CO, Shoenfelt JL, Johnson HW Jr, Warren JW, Keay S. Bladder stretch alters urinary heparin-binding epidermal growth factor and antiproliferative factor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cystitis. J Urol 2000;163:1440-4

26. Rofeim O, Shupp-Byrne D, Mulholland GS, Moldwin RM.

The effects of hydrodistention on bladder surface mucin.

Urology 2001;57(6 Suppl 1):130

27. Rosamilia A, Cann L, Dwyer P, Scurry J, Rogers P. Bladder microvasculature in women with interstitial cystitis. J Urol 1999;161:1865-70

28. Rosamilia A, Cann L, Scurry J, Rogers P, Dwyer P. Bladder microvasculature and the effects of hydrodistention in interstitial cystitis. Urology 2001;57(6 Suppl 1):132

29. Mishra N. To study the effect of hydrodistention on bladder mucosa and submucosa. Urology 2001;57(6 Suppl 1):126 30. Cole EE, Scarpero HM, Dmochowski RR. Are patient symptoms

predictive of the diagnostic and/or therapeutic value of hydrod- istention? Neurourol Urodyn 2005;24:638-42

수치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in  in  34  patients Initial  diagnosis  at  outside  hospital
Fig.  1.  Change  in  pain  score  after  hydrodistension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cystitis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2) Serum Cortisol, ACTH 3) Serum TSH and Free T4 4) Serum Prolactin and GH 5) Serum 25OHD and PTH.. What is the most common laboratory. abnormality expected in thi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 of photography and reporting activities conducted at a day care center on 5-year-old

Anoxic

By simple analysis to f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use of PERS for the recent 6 months, marital status, religion,

A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of gold-tite square abutment screws in cement-retained implant restorations.. An abutment screw loosening study of a Diam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