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大 大 大學 學 學院 院 院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大 大 大學 學 學院 院 院"

Copied!
4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2 20 0 0 0 0 06 6 6年 年 年 2 2 2月 月 月 碩

碩 碩士 士 士學 學 學位 位 位論 論 論文 文 文

정 정 정신 신 신지 지 지체 체 체아 아 아동 동 동 언 언 언어 어 어의 의 의 화 화 화용 용 용론 론 론적 적 적 특 특 특성 성 성 분 분 분석 석 석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大 大 大學 學 學院 院 院

특 특 특수 수 수교 교 교육 육 육학 학 학과 과 과

나 나

나 수 수 수 화 화 화

(2)

정 정 정신 신 신지 지 지체 체 체아 아 아동 동 동 언 언 언어 어 어의 의 의 화 화 화용 용 용론 론 론적 적 적 특 특 특성 성 성 분 분 분석 석 석

2 2

20 0 00 0 06 6 6年 年 年 2 2 2月 月 月 日 日 日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大 大 大學 學 學院 院 院

특 특 특수 수 수교 교 교육 육 육학 학 학과 과 과

나 나

나 수 수 수 화 화 화

(3)

정 정 정신 신 신지 지 지체 체 체아 아 아동 동 동 언 언 언어 어 어의 의 의 화 화 화용 용 용론 론 론적 적 적 특 특 특성 성 성 분 분 분석 석 석

指 指

指導 導 導敎 敎 敎授 授 授 정 정 정 은 은 은 희 희 희

論 論

論文 文 文을 을 을 碩 碩 碩士 士 士學 學 學位 位 位 申 申 申請 請 請 論 論 論文 文 文으 으 으로 로 로 提 提 提出 出 出함 함 함. . . 2

2

20 0 00 0 05 5 5年 年 年 1 1 11 1 1月 月 月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大 大 大學 學 學院 院 院

특 특 특수 수 수교 교 교육 육 육학 학 학과 과 과

나 나

나 수 수 수 화 화 화

(4)

나 나

나수 수 수화 화 화의 의 의 碩 碩 碩士 士 士學 學 學位 位 位論 論 論文 文 文을 을 을 認 認 認准 准 准함 함 함. . .

委 委

委員 員 員長 長 長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敎 敎 敎授 授 授 印 印 印 委

委員 員 員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敎 敎 敎授 授 授 印 印 印 委

委員 員 員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敎 敎 敎授 授 授 印 印 印

2 2 20 0 00 0 05 5 5年 年 年 1 1 11 1 1月 月 月 日 日 日

朝 朝 朝鮮 鮮 鮮大 大 大學 學 學校 校 校 大 大 大學 學 學院 院 院

(5)

목 차

AAABBBSSSTTTRRRAAACCCTTT···ⅳⅳⅳ

Ⅰ...서서서론론론 ···111

1.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2.연구문제 ···3

3.용어의 정의 ···3

4.연구의 제한점 ···4

Ⅱ Ⅱ Ⅱ...이이이론론론적적적 배배배경경경 ···555 1.의사소통 발달 ···5

2.화용론 ···7

3.정신지체아동의 언어적 특성 ···9

Ⅲ Ⅲ Ⅲ...연연연구구구 방방방법법법 ···111333 1.연구 대상 ···13

2.검사 도구 ···14

3.연구 절차 ···16

4.자료 분석 ···17

5.자료처리 ···17

Ⅳ Ⅳ Ⅳ...연연연구구구 결결결과과과 ···111999 Ⅴ Ⅴ Ⅴ...논논논의의의 및및및 결결결론론론 ···333222 참고 문헌 ···36

(6)

표 표 표 목 목 목차 차 차

표 Ⅲ-1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13

표 Ⅲ-2의사소통 의도 분석표 ···14

표 Ⅳ-1의사소통 의도 발화수와 비율 ···19

표 Ⅳ-2SQ 상ㆍ하위집단 비교 분석표 ···26

표 Ⅳ-3SQ와 의사소통 의도와의 상관관계 ···31

(7)

그 그

그림 림 림 목 목 목차 차 차

그림 Ⅳ-1의사소통 의도 비율 ···20 그림 Ⅳ-2SQ 상ㆍ하위집단 비율 ···27

(8)

ABSTRACT

A A

An n na a al l ly y yz z zi i in n ng g g P P Pr r ra a ag g gm m ma a at t ti i ic c cC C Ch h ha a ar r ra a ac c ct t te e er r ri i is s st t ti i ic c cs s s o

o

of f ft t th h he e eL L La a an n ng g gu u ua a ag g ge e e

o o of f fC C Ch h hi i il l ld d dr r re e en n nw w wi i it t th h hM M Me e en n nt t ta a al l lR R Re e et t ta a ar r rd d da a at t ti i io o on n n. . .

Su-HwaNa

Advisor:Prof.Eun-HeeJeong MajorinSpecialEducation

GraduateSchoolofEducation,ChosunUniversity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heory of communication-ability after analysisofcommunicationintentionofmentallyretardedchildlanguage,and Westudythatmentallyretardedchildiswhathappenandhow toresponds from a listener standpoint about another person's talking and how to expressfrom aspeakerstandpointaboutanotherpersonreaction.

A questionofstudyisfollow.

First, Investigate a communication intention using self-development analysisofmentallyretardedchild.

Second, To research speaking-ability of characteristic as mentally retardedgrade,thechildrenwhoaresubjectofstudyclassifiedtwogroup according to social index, and then make a comparative study of speaking-abilitybetweengroups.

Third,Investigatecorrelationbetweencommunicationintentionandsocial

(9)

indextoresearchedchildren.

This study selected 10 elementary students in the specialschoolwho has lived jonnam,gwangju area and able to communicate with language andnonlanguage.

Wesetupvideoandrecordedchildrentotalkforcollectionofchildren's self-expressionfrom July2005toseptember2005.A recordforcollectionof children's self-expression carry out in the school,and collected natural self-expression as recorded with children,familiarteacherand class-mate duringfreetimeactivityorinteractiontime.

Self-expression of children is modified with "analysis table of speaking-ability function" and "analysis table of conversation function"

kimyoungtae(2001). We analyzed children's communication intention and then investigated between theircharacteristic and ratio,and characteristic classified by obstacle grade,also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each communicationintentionandsocialindexbytestedchildren.

Theresultofstudyisfollowing.

First,Mentally retarded children had high rate about'answering'and 'taking acopy'buthadlow rateabout'intention,thewill․ warning'or 'explain the accident or object' according to study of communication intention characteristic using self-expression analysis to mentally retarded children.Inotherword,childrenshowedpassivetalkingcharacteristic.

Second,We classified mentally retarded children with two group as socialindex,as a result,An aged children group was equally distributed throughoutanswering or say their thinking,besides,requestinformation, requestbehavior,etc,butyoungerchildren group didn'tcarry outtalking exceptansweringandtakingacopy.

(10)

Ⅰ Ⅰ Ⅰ. . .서 서 서론 론 론

1 1 1. .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필 필 필요 요 요성 성 성 및 및 및 연 연 연구 구 구 목 목 목적 적 적

의사소통이란 단순히 아동이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상호작용 측면의 능력이란 대면적인 상호작용 상황에서 언어적인 행동이나 사회적 행동 혹 은 인지적 행동의 바탕이 되는 능력을 말한다.아동들은 출생 직후부터 울음이나 웃음 등 사회적 상호작용적인 행동을 보이며,6개월 정도가 되면 엄마를 부르거나 젖을 달라고 요구하기 위해 울음이 아닌 소리내기 등으로 특정 음을 사용할 수 있 게 된다.그리고 8~10개월 정도가 되면 의사소통의 목적을 가지고 인사하기라든가 가리키기,응시하기와 같이 의도적인 발성이나 몸짓을 사용하게 된다.이처럼 아동 은 성장을 하면서 문법적 능력뿐만 아니라 대화 상황에 알맞게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화용적인 능력도 습득하게 된다.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능력도 중요하지만 화용적인 능력도 갖추어야만 한다.화용적 능력이란 화자에게 있어서는 자신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 해하는 능력을 말하며,청자에게 있어서는 화자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 을 말한다.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는 음운발달,구문발달,의미발달 등에 집중되어 왔으나,화 용적 언어 이론에 대한 관심과 함께(Searle,1969;Sadock,1974)아동의 언어 행동 중에서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Keenan,1974;Garvey, 1975;Wilcox & Webster,1980).일반적으로 심리언어학자들은 문법적 능력은 10 세를 전후로 하여 습득이 되며,화용적 능력의 습득 시기와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보았다.Hymes(1997)는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정의에서 의사소통능력은 언어를 산 출하기 위한 문법적 규칙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특정한 상황에 맞는 말을 하기 위 해 적절한 화용적 규칙에 대한 지식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그러므로 통 사구조상 완전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다 하더라도 화용론적 측면의 언어 습득이

(11)

지체되어 있을 경우에는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으며 따라서 학교 생활이나 가정생활은 물론 직업생활ㆍ사회생활에서도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다 고 할 수 있다(전병운,1994).

정신지체아동들은 말과 행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많은 곤란을 겪는다.대부분의 정신지체아동들은 사회적인 면에서 결함을 가지고 있어 언어의 사회적 사용인 화 용적 측면에서도 문제를 나타낸다.또한 정신지체아동은 낮은 지능이나 환경적 요 인으로 전반적인 언어발달 장애와 지체를 가지고 있다.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과정은 일반아동과 유사하지만,기질적 혹은 환경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언어발달의 정상 속도를 따를 수 없다(황은경,2003).정신지체 아동의 화용론적 연구로써 전병 운(1994)은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화용능력과 생활연령ㆍ사회연령ㆍ정신연령과 의 관계를 알아 본 결과 생활연령이나 정신연령보다 사회연령이 화용능력과 더 깊 은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배전자(2000)는 Searle이 제시한 화행의 분류에 기초하여 장애정도별,평균발화길이별로 비율과 특성을 알아 본 결과 요구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SQ와 MLU와도 유의한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정신지체아동의 경우에는 타인과 적절히 의사소통하는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적 기능에서 심각한 결함을 나타내고 있고,대부분 청자가 정신지체아동의 이 야기를 이해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원래의 메시지를 전달시키지 못하여 의사소통에 있어서 단절이 일어난다.그러므로 정신지체아동에게 있어서 사회에 적 응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다.또한 정신지체아동은 언어에 있어서 발달이 느리고,판에 박혀 있고,이해능력 의 부족으로 인하여 의사소통 기술을 획득하기가 어렵다.즉,언어의 사회적 사용 인 화용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의 화용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정신지체아동이 청자의 입장에서 상대방의 이야기에 어떻게 반응을 하고 화자의 입장에서 상대방 의 반응에 어떻게 표현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정신지체아동의 자발화를 통해 의사소통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나 언어치료실 등에서의 아 동들의 언어 교육프로그램 계획에 교육적 시사점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12)

2 2 2. . .연 연 연구 구 구문 문 문제 제 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아동들이 어떤 유형의 의사소통 의도들을 표현할 수 있 으며,또한 어떤 언어의 표현을 사용하여 이러한 의도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정신지체아동의 자발화 분석을 통한 의사소통 의도의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정신지체정도에 따른 화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상아동들을 사회지수 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류한 후,집단 간 화용의 특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아동들에게서 수행된 각 의사소통 의도와 사회지수와의 상관관계 계수는 어느 정도 인가?

3 3 3. . .용 용 용어 어 어의 의 의 정 정 정의 의 의

ㆍ화용론

화용론이란 화자의 언어사용과 청자의 언어이해를 언어학적 입장에서 과학적으 로 연구하는 분야이다.화자 및 청자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화 용언어의 발달은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언어에 있어서 화용론적 측면은 사 회적인 기능,즉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청자와 화자 사이에 사용되는 언어의 의 도 혹은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언어의 화용적 측면이란 실제 상황적 문맥에서 화 자와 청자 간에 사용되는 말의 기능을 의미한다.그러므로 화용적 능력이란 화자에 게 있어서는 자신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하며,청자에게 있어서 는 화자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전병운ㆍ조유진,2001).

(13)

4 4 4. .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제 제 제한 한 한점 점 점

본 연구의 제한점은 자발화 수집 장면에 있어서 대상아동의 표집과 자발화 녹화 및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대상아동 모두 동일한 상황과 장면을 통제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대화상대자가 모든 아동에게 동일하지 않았다는 점 등 자발화 수집 과정과 방법에 대해 제한점을 가지지만 대상아동과 가장 친숙한 교사와 매일 같이 지내는 또래 친구들과의 자유놀이 상황 설정을 함으로써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14)

Ⅱ Ⅱ Ⅱ. . .이 이 이론 론 론적 적 적 배 배 배경 경 경

1 1

1. . .의 의 의사 사 사소 소 소통 통 통 발 발 발달 달 달

의사소통이란 대인관계에서 사회적,정보적인 목적으로 메시지를 보내고,이를 수용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Flavell,1977).즉,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사람 간에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의미한다.따라서 의사소통이 효과적으 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음운론,어휘사전,형태 통사론적 규칙을 아는 것 이상으로 언어의 산출과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언어의 기능을 이해하는 것(화용 론),대화에 어떻게 참여하는지,과거 사건을 어떻게 말하는지 아는 것(담화지식), 그리고 어떻게 사회적 상황에 적합하고 사회적 집단이 가치 있게 평가하는 방식으 로 언어를 사용하는지(사회 언어적 지시)를 아는 것이다(Hoff,2001).

사람은 신생아 때부터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본능적인 기재를 나타낸다.이들은 언어를 습득함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 또한 발달한다.아동들은 출생 직후부터 울음,소리내기,옹알이,몸짓,미소 또는 사람 쳐다보기 등 사회적 인 상호작용적 행동들을 나타낸다.이러한 행동들은 성인에게 감정적인 표현으로 오해되어 성인을 아동에게 접근시키거나 관심을 갖게 한다.신생아기의 미분화된 울음은 1개월 정도가 되면서 차츰 신체 생리적 욕구 표현으로 바뀌고 거짓울음이 나타나게 된다.2개월이 지나면서 옹알이가 시작이 되고,옹알이의 경우 혼자 누워 있을때 옹알이를 함으로써 놀이로서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또한 성장을 하면서 주위 환경에서 많이 들었던 익숙한 음들을 더 많이 발성할 수도 있고,퇴화 될수도 있다.6개월 정도가 되면 엄마를 부르거나 젖을 달라고 요구하기 위하여 울음이 아 닌 소리내기(vocalization)로 특정한 음조와 음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Ninio &

Snow,1996).이는 6~7개월이 지나면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 형태의 활발 한 발성이 나타나게 된다.이처럼 신생아나 유아는 이러한 행동들을 의사소통을 유 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8-11개월 정도가 되면 의사소통의도를 가지고 인

(15)

사하기라든가 ‘저것이 무엇이지?’라는 의미로 사물을 가리키며 어른을 응시하기,또 는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주기,미소,모방과 같은 의도적 발성이나 몸짓을 사용한 다.말을 시작한 후에도 제스처를 계속 사용함으로써 부족한 어휘를 보완시키려고 한다.또한 주고받기나 까꿍 놀이와 같은 상호작용 형태의 참여가 가능해진다.이 러한 의사소통을 위해 나타나는 행동은 의도적이건 비의도적이건 간에 자신의 감 정이나 생리적인 상태,바람,의견,또는 인식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첫 낱말기인 12개월경에는 아이가 직접 경험한 것이나 조작해본 것 흔 히 접한 것 중에서 선택된다.또한 구체적인 참조물 있는 사물이나 사람 주로 명 사,동작이나 상태어도 나타나고,사람이나 사물,상태 및 동작의 개념적 이해를 언 어의미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의미자질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하고 특정 낱말을 비 슷한 사물에 과잉 적용하는 의미과잉확대현상이 일어난다.또한 낱말은 적지만 특 정한 상황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언어로 표현한다.의사소통 기능 중 요구하 기,이름 하기는 빈번하게 사용하고 거부하기,부르기,모방하기,대답하기 등을 사 용한다.자기중심적인 서술을 사용하기 시작한다.아동들의 언어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언어는 의사소통활동의 주요 수단이 된다.Dore(1974)는 한 낱말 시기에 나타 나는 의사소통의도의 유형을 명명하기,반복하기,대답하기,행동요구하기,대답요 구하기,부르기,인사하기,저항하기,연습하기 등의 9가지로 분류하였다.1년6개월 전후에 낱말 조합을 시작하지만 의사소통 기술은 아동이 만 2세경이 되면서 본격 적으로 발달한다.초기 낱말기의 낱말조합의 특성으로는 조사나 어미의 변화가 많 지 않고,명사,동사,형용사,부사 중심으로 두 낱말을 조합하거나 주어,목적어, 서술어,부사어 중 두 가지 문장 구성 성분 결합이 빈번하다.성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창의적인 낱말을 사용하기도 한다.이 시기에는 문법 형태소의 사용이 제한적 이고,인지적으로 사물에 이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이를 분류하기도 하고,사물 의 영속성을 인식한다.이 시기에는 요구하기,서술하기,이름붙이기 등과 같은 화 용의 기능을 사용하기도 한다.기본 문법 탐색기인 2후반부터는 한국어 문법 특성 에 맞추어 표현을 하고 명사구나 동사구를 빈번히 사용하기도 한다.아동들은 서로 이야기 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것 같고,기본 문법세련기인 4세부터는 한 문장

(16)

안에서 서로 다른 주어와 서술어가 두 개 이상 사용되는 복문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매우 긴 문장이나 발화를 대화에서 사용을 한다.또한 유치원 생활,TV시청 등을 통하여 매우 다양한 언어 경험을 통해 낱말 습득이 빠르고 소리와 의미를 연 결하는 능력이 된다.그리고 청자의 필요에 맞추어 자신의 대화를 조정하는 능력을 보인다.5세 아동의 경우 역할놀이에서 역할이 다른 사람,예를 들어 엄마와 아빠 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의사소통능력의 발 달은 5세에 끝나지 않는다.화용론,담화,사회 언어적 기술의 발달은 일생동안 계 속된다.이와 같이,언어발달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적극적 탐구자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획득해 가는 것이다.

2 2

2. . .화 화 화용 용 용론 론 론

언어를 사용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정보를 전하려 할 때,화 용론을 이용한다.각 시기의 화용의 특성을 보면 첫 낱말 시기인 12개월경의 아동 을 보면,낱말 수는 적지만 특정한 상황에서 다양한 의사소통기능을 언어로 표현을 한다고 한다.의사소통 기능 중에서 요구하기,이름 부르기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거부하기와 부르기,따라하기,대답하기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또한 자기중심적인 서술하기를 사용한다.낱말 조합기인 2세경에는 요구하기,서술하기,이름붙이기 등 을 사용하고,2세 아동은 자시 관심사를 다른 사람이 따라 주어야 대화가 매끄럽게 이어지고,3세 아동은 점차 대화자를 고려하여 대화를 하지만 여전히 자기중심적인 대화를 한다.2세 아동의 말은 낯선 사람이 50~70% 알아들을 수 있고,3세가 되면 75%를 알아들을 수 있다.이 시기에는 언어의 표현이 길어지면 낱말이나 음절을 반복하고 머뭇거리는 비유창성이 나타나기도 한다.4~5세는 자기주장과 반응이 적 절하게 되고 적극적인 대화자가 된다.대화규칙을 알고,주제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가족과의 의사소통에서 벗어나 교실이나 또래 세계에서 자신의 언어를 활발 하게 발달시키고,집단속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로 잘 표현할 수 있게 된다.5세 아동은 과거 회상과 자신의 의도를 상대방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

(17)

게 되고 상대방에 관계없이 한 주제 안에서 함께 대화 유지가 가능하다.

이처럼 화용론이란 화자의 언어사용과 청자의 언어이해를 언어학적 입장에서 과 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화용론은 언어 구조의 방식보다는 언어가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방식에 더 관심이 있다.화자 및 청자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화용언어의 발달은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청자의 태도,믿음,행동 을 바꾸기를 위하여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적,준언어적 기술을 전달함을 말한다.

이러한 화용습득은 질적인,언어습득을 의미하고 화자 및 청자의 의사소통을 위한 심층적 규칙체계라 하였다.화용론은 이러한 문법 밖에 존재하지만,의사소통능력 의 핵심요소이다.화용론은 넓은 의미로는 언어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 는 방법의 모든 측면을 포함한다.화자가 요청이나,약속,위협 등을 하기 위해 사 용되는 모든 측면을 포함한다.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화들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은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핵심적인 부분인 것이다(Foster,1990).의사소 통 능력에 대한 화용론의 관점은 Halliday(1975)가 분류한 언어의 주요기능 3가지 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그 기능은 첫째,자신의 경험을 표현하고 정보를 전달 하는 관념적 기능 둘째,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를 다듬을 수 있게 하는 대인적 기능 셋째,연속되는 생각들 사이의 연결,생각들이 표현된 맥락과 생각들 사이의 연결을 표현하는 등의 어떤 체계를 통하여 그들의 생각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텍 스트적 기능이다.화용발달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연령단계의 아동들이 어떤 유 형의 의사소통 의도들을 표현할 수 있으며,또한 어떤 언어적 산출형태를 사용하여 이러한 의도들을 표현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의사소통의도란 화자가 메 시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말한다.의사소통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의 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아동의 의도나 목적을 알 수 있어야 한다.의사소통의도의 유형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용어로 제시되었다.Holliday(1975)는 생후 10 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나타나는 의사소통 행위들을 그 기능에 따라 도구적 기능, 조정적 기능,상호작용적 기능,개인적 기능,발견적 기능,가상적 기능으로 분류하 였다(노유리,2003재인용).Dore(1974)는 한 낱말 시기에 의사소통의도 유형을 명 명하기,반복하기,대답하기,행동요구하기,대답요구하기,부르기,인사하기,저항하

(18)

기,연습하기 등의 총 9가지 범주로 구분하였고,의도의 산출 형태를 몸짓,몸짓+발 성,구어의 3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화용적 발달은 다른 언어 영역의 발달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많은 언어 발달 연구자들은 화용적 영역의 발달 은 문법 및 의미 영역들과 서로 상호작용하며,언어발달은 인지 및 사회적 능력의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 한다.

말로 하는 모든 발화는 화행(Speechact)이라 불린다.화행은 의사소통 기능에서 의 한 분석 단위를 말하는데 이는 말하는 이의 의미와 의도를 전달하는 언어 규칙 에 따라 표현되는 언어 소통의 단위며,따라서 다른 요소로 나누어진다.화행의 명 제적 힘은 그 발화의 개념적인 내용,또는 의미로 이루어진다.말하는 이가 그 명 제에 대해 지닌 태도는 의도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언표내적 힘에 있다.화행의 범 주는 표상,지시,개입,표현,서술 등의 의도를 포함한다(Searle,1965).

3 3

3. . .정 정 정신 신 신지 지 지체 체 체아 아 아동 동 동의 의 의 언 언 언어 어 어 발 발 발달 달 달 특 특 특성 성 성

정신지체아는 전반적으로 언어 발달이 지체되어 있다.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은 일반아동보다 발달 속도가 느리지만,유사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발달한다고 하 였다.Karlin과 Strazzulla(1972)는 정신지체아동의 시어기 조사에서 1세 7개월의 일 반아동이 구사하는 단어를 정신지체아동은 3세가 되어야 가능하고,일반아동의 시 어기가 평균 2세 5개월경인데 반해 정신지체아동은 5세경이라고 하였다.또한 정신 지체아동의 어휘 수는 일반아동에 비해 매우 적고,언어이해와 언어표현에서도 차 이가 나며,사용하는 단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언어능력에 심각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신지체아는 낮은 지능이나 환경적 요인 으로 인해 전반적인 언어발달 장애와 지체가 나타난다.의미론적,화용론적 측면에 서도 생활연령이 아닌 정신연령에 의해 발달한다.또한 언어발달은 정상아의 언어 발달과 양적으로 차이가 있으나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같은 방법으로 발달해 가며, 단지 발달속도가 느릴 뿐이다(Lenneberg,1964).

김영환은(1991)은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의 과정은 일반아동과 다를 바 없지

(19)

만,기질적 혹은 환경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언어발달의 정상 속도를 따를 수 없다 고 하였다.이와 같은 주장에서 정신지체아동은 정신연령에 기초하여 일반아동의 언어발달과 유사하게 언어발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최성규,1999).

언어의 의사소통 문제는 아동이 이미 획득하고 있는 수용언어와 밖으로 표출하 는 표현능력간의 상관관계를 말해주는 것이 된다.이러한 상관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 중 Miller(1981)는 정신연령이 3세~5세인 정신지체아동의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를 비교한 결과 정신지체아동이 수용언어에서 정상아동보다 약 1년,표현 언어 에서 약 2년 정도 지체되어있다고 밝히고 있어 정신지체아동은 언어이해보다 더 언어표현에 더 심각한 장애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신지체아동의 언어 기술 습득은 인지 능력의 정도와 관련이 깊은데 그 발달 단계는 정상아동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하지만 다른 영역의 늦은 인지적 발달과 상 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Miller,1978).정신지체아동의 언어 유형과 인지 발달은 항상 동일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데,이는 정신지체의 원인이 다양하므 로 지각적,인지적,정보처리기술이 달라지고 따라서 산출 및 수용언어의 특성도 다양해진다는 것이다.

정신지체아동들의 언어 사용 능력에 관한 연구 조사들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 어져 있다.말-행위(speech-act)란 화자의 말의 구문 양식과 말하는 의도와의 관계 를 말한다.정신지체아동들은 말-행위를 이해하는데 곤란을 겪는 것으로 조사 결과 가 나타났다.즉,많은 정신지체아동들은 사회적 기능에서 심각한 결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언어의 사회적 사용,즉 화용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나타낸다.화용적 능력의 결함은 발달 초기 몸짓의 사용에서부터 나타난다.경도 정신지체아동들의 첫 낱말 산출 시기는 정신연령에 준하므로 또래 일반아동들 보다 느리며 그들의 초기 낱말들은 일반아동들과 마찬가지로 낱말산출 이전에 사용하던 몸짓의 기능을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경도 정신지체아동들은 인지적 능력과 일치된 수준의 추정 능력(Owens,2002)과 관점파악 능력을 나타낸다(Bender& Carlson,1982).즉,일 반아동들은 초기 두 낱말 단계가 될 때 이 추정 능력(Presupppsitionalskills)을 습 득하기 시작하지만,정신지체아동들은 그보다 훨씬 늦게 전제 능력을 나타낸다.또

(20)

한 정신지체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referentialcommunication skill)이 지체 되어 있어,정신연령이 동일한 일반아동들에 비해 참조물을 구별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Brownell& Whiteley,1992).적절한 참조물을 선택하거나 주제를 유지하는 능력에 비하여 상황적 정보가 부족할 때 상대에게 명확한 정보를 요구하는 명료화(clarification)능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결여되어 있으며(Abbeduto etal.,1991),대화에서 부적절하거나 이미 언급되었던 한 가지 주제를 지나치게 반 복적으로 이야기하는 구어적 고착현상(verbalperseveration)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 다고 보고되었다(Owens,2002).정신지체아동들은 동일한 정신연령의 일반아동들에 비해 대화상대자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화 시 상대에 게 부적절한 반응을 하기가 쉽고,의사소통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대 화 참여 형태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또한 좀 더 소원한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Marcell& Jett,1985).

정신지체아동의 화용론적 선행연구로써,전병운(1994)은 정신지체아동 175명을 대상으로 정신지체아동의 화용능력과 생활연령ㆍ사회연령ㆍ정신연령과의 관계와 언어적 영역ㆍ준언어적 영역ㆍ비언어적 영역과의 관계를 알아 본 결과 화용의 33 개영역 중 11개가 생활연령과 관계가 있으며,정신연령은 7개영역,사회연령은 25 개영역으로 나타나서 생활연령이나 정신연령보다 사회연령이 화용 능력과 더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그리고 준언어적 영역이나 비언어적 영역보다 언어적 영역 이 사회연령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언급하였다.배전자(2000)의 정신지체아동의 화 행 습득에 관한 연구에서는 Searle이 제시한 8가지 화행의 분류를 기초로 하여 정 신지체아동 14명을 대상으로 정신지체아동의 장애정도별,평균발화길이별로 화행습 득의 비율과 그 특성을 알아보고 각 화행 수행과 장애정도 및 평균발화길이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정신지체아동은 요구하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정보 진 술하기를 다음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나타났고 장애정도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 어 알아본 바로는 SQ가 높을수록 타인의 행동이나 사건의 상황,사물의 특성,사물 의 명명하기가 이루어지고,SQ가 낮을수록 정보 진술보다는 행동을 요구하는 발화 수행이 많았다고 나타났다.마지막으로 화행과 SQ 및 MLU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21)

행위요구나 정보 진술은 SQ와 유의한 관련이 있고,MLU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정 보요구만이 유일한 상관을 보인다고 언급하였다.또한 전병운과 조유진(2001)은 정 신지체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화행별 규칙수행정도를 정신지체 정도와 평균발화길 이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화행의 규칙수행능력과 사회지수,평 균발화길이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정신지체아동은 8가지 화행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절반정도가 구성규칙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방과 원 활한 의사소통을 하게 하려면 하위 구성 규칙 준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전반적으로 정신지체아동들은 소극적인 의사소통형태를 나타내고,진 지하고 논리적으로 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언급하였다.또한 정신지체아동들 은 정신지체정도와 평균발화길이의 정도에 따라 대부분의 화행 구성 규칙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라고 언급하였다.황은경(2003)환경의 구조화가 정신지체 아 동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학령기 정신지체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지체 아동간의 의사소통 빈도,형태,의도의 양상에 대해 알아 보고,비구조화된 놀이 환경과 구조화된 놀이 환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정신지체 아동은 또래 관련 의사소통의 표현에 발달 수준보다 도 더 의미 있는 지체를 나타내고,동일한 정상 아동보다도 몸짓/발성의 형태를 좀 더 많이 사용한다고 나타났고,정신지체 아동은 또래 관련 의사소통 능력에서 양적 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지체를 보인다고 언급하였다.

(22)

Ⅲ Ⅲ Ⅲ. . .연 연 연구 구 구 방 방 방법 법 법

1 1 1. . .연 연 연구 구 구 대 대 대상 상 상

본 연구에서는 G시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 중에서 비언어적,언어적 의 사소통이 가능한 정신지체아동 10명을 선정하였다.단,자폐증이나 뇌성마비 등 다 른 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아동은 대상에서 제외하며,대상아동의 선정은 각 담임교사에게 의뢰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연령과 능력의 개인차가 심하고 대상아동에게 공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지능 검사도구가 적절하지 않음으로 해서 사회성숙도 검사(김승국 ㆍ김옥기,1985)를 실시하여 SQ를 산출하여 집단을 구성하였다.대상아동들의 특성 과 정신지체 정도에 따른 화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Q에 의하여 대상아동 10 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는데 <표 Ⅲ-1>는 SQ 50이상 상위집단과 49이하 하위집 단으로 나눈 것이다.

<표 Ⅲ-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구분

대상 연 령 성 별 SA SQ IQ 장애 정도

A 10세3개월 여 4.00 65.68 상

검불 정신지체2급 B 12세 남 3.92 65.68 검불 정신지체3급 C 7세8개월 남 3.94 63.90 검불 정신지체2급 D 10세1개월 남 3.86 63.90 검불 정신지체3급 E 7세1개월 여 3.25 50 인물화73 정신지체1급 F 10세2개월 남 3.25 42.76

검불 정신지체1급 G 10세8개월 남 3.50 41.18 검불 정신지체2급 H 8세3개월 여 2.23 37.66 검불 정신지체1급 I 6세9개월 여 1.73 27 검불 정신지체2급 J 7세11개월 남 1.76 24.01 검불 정신지체1급

(23)

2 2 2. . .검 검 검사 사 사 도 도 도구 구 구

1)사회성숙도검사

본 연구에서는 SQ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성숙도검사(김승국ㆍ김옥기,1985)를 사용하였다.검사 문항은 크게 자조,이동,작업,의사소통,자기관리,사회와의 6개 유목에 대하여 총 1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검사는 아동에 대해 잘 알고 있 는 담임교사와 부모에게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2)화용기능분석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를 김영태(2001)의 “화용기능 분석표”와 “대 화기능분석표”를 종합하여 화용기능을 분석하였다.이와 같이 종합된 의사소통 의 도 분석표는 <표Ⅲ-2>와 같다.

<표Ⅲ-2> 의사소통의도 분석표

문장 번호

발화 단위

정 보 요 구

행 동 요 구

명 료 화 요 구

주 의 집 중 요 구

사 물 사 건 진 술

반 복 하 기

설 명

부 정

자 기 생 각 진 술

의 도 및 의 지

감 정 표 현

강 조 하 기

경 고 하 기

놀 리 기

농 담 하 기

대 답 하 기

혼 잣 말

부 르 기

인 사 하 기

모 방 하 기

기 타

1 몸짓ㆍ 발성 말 계

(24)

*정보요구:예/아니요 반응요구,의문사를 이용한 질문.

예)아동:“사탕이야?” 엄마:“응”

*행동요구: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취하도록 한다.

예)아동:(자동차를 밀어달라는 의미로)“가”

*명료화요구:상대의 명료화 요구 후에 이전발화를 반복하거나 명료하게 하려는 시도.

예)엄마:“가자” 아동:“뭐라고?”

*주의집중요구:상대로부터 자신에게 주의를 집중시키려는 시도.

예)아동:“여기 봐봐.나 좀 봐봐”

*사건ㆍ사물진술:현재 존재하지 않는 사물 또는 사건/상황에 대한 진술.

예)아동:“넘어져서 아야해”

*반복하기:상대의 선행 의사소통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새로운 추가 없이 모방하는 행동.

예)어른이 “빨간 모자”라고 했을 때 “모자”라고 한다.

*설명:현재의 장소에 없거나,현재에 존재하지 않는 사물/상황/사건에 대한 설명이나 의견 또 는 이유 설명.

예)아동:“이건 공이야”(뭔가를 그리고 나서)

*부정:상대의 질문에 부정적인 대답을 하는 경우로,단,의미 없는 대답은 제외한다.

예)아동:“싫어”,“안돼”

*자기생각 진술:자신의 의견 또는 주장을 표현하거나 창유 하는 기능.

예)아동:“내꺼야”,“먹자”

*의도 및 의지: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하겠다는 의도를 표현하거나 언급.

*감정표현:자신의 생각 또는 느낌을 표현.

예)아동:“그거 좋아”,“맛있다”

*강조하기:상대에게 강하게 어필하고자하는 것을 강하게 표현하는 것.

*경고하기:문제를 지적,위험을 알리거나 또는 조심토록 주의를 주는 말.

예)아동:“조심해”,“위험해”

*놀리기:남의 흉을 보거나 놀리는 말.

예)아동:“메롱”,“바보”

*농담하기:남을 웃기려고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

예)아동:“나 아들 아니고 딸이지?”(아들인지 알면서 장난치려고)

*대답하기:상대방의 질문에 대답한다.

예)어른이 “몇 살이야?”라고 했을때 “세살”이야 라고 대답한다.

*혼잣말:동문서답,딴소리를 함.

(25)

*부르기: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한 말이나 음운패턴.

예)“엄마”라고 부름으로써 엄마를 다가오게 한다.

*인사하기:상대방에게 자신의 도착이나 출발을 알린다.

예)아동:“안녕”,“빠이 빠이”

*모방하기:상대방의 말을 모방한다.

*기타:무응답.

3 3 3. . .연 연 연구 구 구 절 절 절차 차 차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을 화용론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발화 수 집은 2005년 7월부터 9월 까지 실시되었으며 아동 당 1시간씩 5회 촬영하였다.자 발화 표본을 수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의 평상시 언어를 대표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학교에서 아동과 친밀한 교사 그리고 또래들과의 자유놀이 활동 이나 상호작용 시간 동안 비디오 녹화를 하였다.대상아동 중 4명의 아동은 자유놀 이 시간이나 쉬는 시간동안 또래 아동들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화를 수집하였고, 그 외 6명의 아동의 경우에는 쉬는 시간과 자유놀이 시간 또는 선생님과 수업시간 동안 아동들의 발화를 수집하였다.아동들의 발화 각 아동별로 따로 녹화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의 상황을 알 수 있게 단체로 비디오 녹화를 하였고 그 중에서 아동의 발화를 듣고 전사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발화 표본의 크기는 50~200개(김영태,2004)로 범위가 다양하고 2세정도의 일반 아동의 경우 30분정도에 100~200개의 발화가 되지만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는 아동 에 따라 언어 능력이 매우 다양하므로 녹화테이프 1시간으로 제한하여 5회분을 종 합하여 전사하였다.녹화 테이프는 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중지하 지 않고 연속으로 보고,의사소통 행동 분석을 위해 기록할 수 있도록 중간 중간 중지시키며 보았다.또한 녹화내용을 유형별로 분류를 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이해 가 되지 않는 장면은 반복하여 재생시켜보며 전사하였다.

언어 표본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학원에서 언어치료 교육을 전공 하는 교사의 관찰자간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신뢰도를 95%였다.

(26)

4 4 4. . .자 자 자료 료 료 분 분 분석 석 석

홍경훈과 김영태(2001)가 Dore(1978)의 대화기능 분석표를 기초로 하여 재구성한 대화기능 분석표와 화용기능 분석표를 참고하여 의사소통의 의도를 분석하였다.분 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⑴ 의사소통 행동은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행동으로 비상호적인 행동은 포함하 지 않는다.상호작용이란 신체적으로 근접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행동이나 몸짓이나 발성(gestural/vocal)또는 말(verbal)로 접근(contact)이 일어난 경우,또는 대화상대 자의 의사소통의도가 있은 후 아동이 3초 이내에 응시 또는 반응한 경우를 포함한 다.

⑵ 의사소통의도 분석은 21개로 구분한다.

⑶ 의사소통의도의 산출형태는 “몸짓이나 발성(vocalization)”이 동반된 형태,또 는 말에 동반되는 몸짓이나 발성은 “말”형태로 분석한다.그러나 알아들을 수 없 는 자곤은 말로 분석하지 않는다.

⑷ 의미 없는 상투적인 부르기(calls)는 전체 자료 10%만 분석에 포함한다.

⑸ 동일한 대상 또는 행위를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지칭하는 행동들은 한번만 기 록한다.

5 5 5. . .자 자 자료 료 료처 처 처리 리 리

의사소통의 의도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는 녹화를 한날로부터 2일 이내에 녹화테 이프를 보고 전사 하였다.발화단위를 말ㆍ몸짓으로 화용 의도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정신지체의 정도에 따른 화용적 양상을 알아보고자 SQ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의 화용의 특성은 비모수검정인 Mann Whitney분석을 하였다.이때의 백분율은 의사소통 의도별로 모든 아동의 발화 백 분율의 합을 산출하여 비교한 것이다.세 번째 연구문제인 SQ와 의사소통의도와의

(27)

상관관계는 비모수검정인 Kendall의 순위상관계수 tau-b 검정을 실시하였다.검증 은 유의수준 5% 양측검증을 실시하였다.위의 모든 자료처리는 SPSS(version 10.1)를 이용하였다.

(28)

Ⅳ Ⅳ Ⅳ. . .연 연 연구 구 구 결 결 결과 과 과

1 1 1. . .자 자 자발 발 발화 화 화 분 분 분석 석 석을 을 을 통 통 통한 한 한 의 의 의사 사 사소 소 소통 통 통의 의 의도 도 도 분 분 분석 석 석

자료로 선정 된 대상 아동들의 발화를 김영태(2001)가 제시하는 의사소통의도분 석표에 비추어 각각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결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1> 의사소통 의도 발화수와 비율(%)

대 상

정 보 요 구

행 동 요 구

명 료 화 요 구

주 의 집 중 요 구

사 건 사 물 진 술

반 복 하 기

설 명

부 정

자 기 생 각 진 술

의 도 및 의 지

감 정 표 현

강 조 하 기

경 고 하 기

놀 리 기

농 담 하 기

대 답 하 기

혼 잣 말

부 르 기

인 사 하 기

모 방 하 기

기 타

A 9(9.7)

21

(22.6)

7

(7.5)

1

(1.08)

0

(0)

1

(1.08)

0

(0)

9

(9.7)

5

(5.4)

0

(0)

2

(2.15)

1

(1.08)

2

(2.15)

0

(0)

0

(0)

28

(30.1)

0

(0)

1

(1.08)

3

(3.2)

2

(2.15)

1

(1.08)

B 9(5.1)

4

(2.3)

3

(1.7)

0

(0)

0

(0)

0

(0)

15

(8.5)

17

(9.6)

30

(16.9)

0

(0)

13

(7.3)

5

(2.8)

1

(0.56)

0

(0)

11

(6.2)

58

(32.8)

9

(5.1)

0

(0)

1

(0.56)

0

(0)

1

(0.56)

C 8(12.9)

0

(0)

3

(4.8)

0

(0)

0

(0)

1

(1.6)

0

(0)

5

(8.05)

0

(0)

0

(0)

0

(0)

0

(0)

0

(0)

0

(0)

2

(3.25)

28

(45.2)

2

(3.25)

0

(0)

4

(6.45)

5

(8.05)

4

(6.45)

D 17(9.6)

32

(18.1)

10

(5.7)

3

(1.7)

0

(0)

0

(0)

7

(40)

3

(1.7)

10

(5.7)

1

(0.6)

5

(2.82)

5

(2.8)

0

(0)

0

(0)

4

(2.3)

28

(15.8)

23

(13)

16

(9)

6

(3.4)

5

(2.8)

2

(1.1)

E 1(2.85)

0

(0)

1

(2.85)

1

(2.85)

0

(0)

0

(0)

0

(0)

0

(0)

0

(0)

0

(0)

1

(2.85)

0

(0)

0

(0)

0

(0)

0

(0)

23

(65.7)

1

(2.85)

0

(0)

2

(5.7)

4

(11.4)

1

(2.85)

F 4(2.45)

0

(0)

0

(0)

0

(0)

2

(1.23)

6

(3.7)

1

(0.63)

0

(0)

0

(0)

1

(0.63)

1

(0.63)

2

(1.23)

0

(0)

0

(0)

0

(0)

104

(64.2)

4

(2.45)

0

(0)

0

(0)

35

(21.6)

2

(1.23)

G 0(0)

6

(7.3)

0

(0)

0

(0)

0

(0)

6

(7.3)

0

(0)

3

(3.65)

0

(0)

1

(1.2)

4

(4.9)

2

(2.4)

0

(0)

0

(0)

0

(0)

22

(26.8)

25

(30.5)

0

(0)

3

(3.65)

10

(12.2)

0

(0)

H 2 8 3 1 0 0 0 0 1 0 4 0 0 0 0 45 5 0 2 9 0

(29)

<그림Ⅳ-1> 의사소통 의도 비율

<표 Ⅳ-1>을 보면 10명의 아동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난 의사소통의 의도는 대답하기(40.4%)로 나타났다.이를 정리해보면,연구 대상 아동의 자발화에 대한 의 사소통 의도의 빈도순서는 대답하기,모방하기,혼잣말,행동요구하기,정보요구하 기,자기생각 진술하기,부정ㆍ감정 표현하기,명료화요구하기,인사하기,설명,부 르기ㆍ 농담하기,반복하기ㆍ강조하기,기타(무응답),주의집중요구,의도 및 의지ㆍ 경고하기,사건 사물 진술하기,놀리기 순으로 나타났다.

(2.5) (10) (3.8)(1.25) (0) (0) (0) (0) (1.25) (0) (5) (0) (0) (0) (0) (56.3)(6.3) (0) (2.5)(11.3) (0)

I 0(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3.6)

0

(0)

3

(10.7)

0

(0)

0

(0)

0

(0)

0

(0)

19

(67.9)

0

(0)

0

(0)

0

(0)

5

(17.9)

0

(0)

J 0(0)

0

(0)

0

(0)

0

(0)

0

(0)

1

(1.6)

0

(0)

0

(0)

0

(0)

0

(0)

4

(6.45)

0

(0)

0

(0)

0

(0)

0

(0)

32

(51.6)

9

(14.5)

0

(0)

4

(6.45)

9

(14.5)

3

(4.8)

계 50(5.22)

71

(7.41)

27

(2.82)

6

(0.63)

2

(0.21)

15

(1.57)

23

(2.4)

37

(3.86)

47

(4.91)

3

(0.31)

37

(3.86)

15

(1.57)

3

(0.31)

0

(0)

17

(1.77)

387

(40.4)

78

(8.14)

17

(1.77)

25

(2.61)

84

(8.77)

14

(1.46)

(30)

이와 같은 결과를 의사소통 의도가 높은 순서대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대답하기

<표 Ⅳ-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부분에 나타난 발화는 전체 387발화에서 비 율은 40.4%로 대상 아동들의 발화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각 아동들에 따 라서 67.9%에서 15.8%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전체 아동들의 총계는 의사소통 의도의 분류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이 부분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발 화의 예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예)아동 :바지예요 김치

스읍(물을 마시는 시늉)

위의 예문은 대상아동 H의 것으로 언어치료 시간에 교사의 물음에 아이가 대답 을 하거나 그에 대한 대답으로 몸짓을 표현한 것을 기술한 것이다.

2)모방하기

대상아동 F의 경우 모방하기 부분에서 다른 아동들에 비해 많은 발화수를 보이 고 있는데 이 아동의 경우 교사와 책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아동이 교 사의 발화를 즉각 모방을 했다.모방하기의 발화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교사 :무슨색 사과였지?빨간것.그래 빨간 사과였어.

아동 :빠안것(빨간것) 교사 :과일줄까?감 주세요 아동 :감 주세요

위의 발화는 교사가 아동에게 사과가 무슨 색인지 물어 보았다.그러자 아동이 하얀색이라고 발화를 하자 교사가 빨간색이라고 넌지시 정정을 하자 재빠르게 아 동이 모방을 해서 대답을 하는 것이고,다음 발화는 교사가 질문과 답을 병행하자 아동은 자신의 생각이 아닌 그냥 교사의 말을 모방해서 대답을 해버린 예문이다.

(31)

위의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의사소통 의도의 분류 중에서 모방하기가 두 번째로 대상 아동들이 많이 사용을 한다는 비율을 보이고 있다.모방하기의 발화 수는 84 발화에 8.77%를 나타내었다.

3)혼잣말

대상 아동들에게서 세 번째로 많은 비율을 나타낸 분류는 혼잣말하기로써 78발 화로 8.14%를 보여주었다.대상아동D의 경우 혼잣말이 23발화에 13%비율을 나타 내었다.D아동의 자유놀이 시간의 혼잣말 예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아동 :왕들의 침입.다했다~아(불럭이 자신의 쪽으로 날아옴) 아동 :호호호 (웃는 시늉)

아동 :호빵이 파~악.파파파팍.

4)행동요구

이 부분에 나타난 아동들의 발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예)아동 :누나 이거 하나만 맞춰봐?

아동 :노래?(노래가 끝나자)

전자의 발화는 D아동의 발화로 누군가가 자신이 물어보면 그것을 말로나 행동으 로 맞춰주길 바라는 발화이고 다음 발화는 A아동의 발화로 노래를 듣고 있다가 노 래가 끝나자 노래가 끝났으니 다시 틀어달라고 행동을 요구하는 발화를 나타낸다.

행동을 요구하는 발화의 수는 71발화(7.41%)이고 네 번째로 높은 의사소통 의도의 를 보였다.

5)정보요구

정보요구는 50발화에 그 비율은 5.22%로 의사소통의도의 21가지 항목 중에서 5 번째로 높은 발화를 나타내었다.대상아동에게서 나타난 발화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예)아동 :어디 아퍼요?

(32)

아동 :선생님 뭐야?

앞의 발화는 A아동이 쉬는 시간에 병원 놀이를 하면서 어디가 아픈지를 물어봄 으로써 정보를 요구하는 발화이다.후자의 발화는 C아동의 발화로 언어치료시간에 아동이 책에 있는 그림을 짚으며 그려진 그림이 무엇인지 정보를 요구하는 발화이 다.

6)자기생각 진술하기

자기생각 진술하기는 47발화에 4.91%로 앞의 발화들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게 나타났다.

예)아동 :누나 뭘 만들어?누나!뭘 만들어?호빵맨 군대

위의 발화는 D아동의 발화로 블록을 가지고 놀고 있는 누나에게 뭘 만드는지 물 어보고선 대답을 듣지 않고 “호빵맨 군대”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있다.아 동은 자신이 사람모양의 블록 인형에 호빵맨..등의 이름을 붙여서 놀다가 주위에서 놀고 있는 누나에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 한 것이다.

7)부정

부정표현하기하고 감정표현은 37발화에 3.86%로 나타났으며,그렇게 높은 비율은 아니었다.이는 아동의 대화의 상황에 따라 비율의 차이가 보임을 시사한다.부정 을 표현하는 것은 “싫어”,“안해”,혹은 고개를 흔들거나 손을 젓는 몸짓을 나타냈 으며,부정발화의 특징은 부정을 한 뒤에 부정에 대한 부연 설명은 거의 없었다.

단지 부정을 표시하는 짧은 발화라는 것이 특징이었다. 웃기, 찡그리기,울기...등 은 감정표현으로 나타냈다.

8)명료화요구

<표 Ⅳ-1>에서도 나타났듯이 명료화 요구는 27발화에 2.82%의 수치상으로는 그 다지 높지는 않지만 대상아동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의 의도 분류에서 여덟 번째 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명료화 요구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33)

예)아동 :행정실?

위의 발화는 A아동의 발화로 아동이 간식을 먹고 있는데 교사가 다 먹고 나서 행정실에 심부름을 시키자 아동이 다시 재차 “행정실?”하고 명확하게 알고자하는 발화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9)인사하기

다음으로 인사하기의 발화 수는 25발화에 2.61%를 나타내고 있다.이는 특수학교 에 있는 정신지체 아동들을 대상으로 자발화를 수집하였기에 아동들이 교사와의 상호작용이나 수업 등에 있어서 인사하기의 발화가 많이 나타났다.

10) 설명

현재의 장소에 없거나,현재 존재하지 않는 사물/상황/사건에 대한 설명이나 의 견 또는 이유 설명하는 부분으로 전체 발화의 수는 23발화에 2.4%를 나타내고 있 다.

예)아동 :엄마랑 새끼 새끼 새끼 네 마리 아동 :퉤퉤퉤 했어

위의 발화 예문은 F아동의 발화로써 앞부분의 발화는 엄마와 전에 놀러 갔을 상 황을 이야기 하면서 엄마가 물위의 오리의 숫자를 물어보자 아동이 네 마리라고 말하고 그 네 마리가 어떻게 네 마리인지 엄마에게 설명을 해주는 발화이고 다음 은 마찬가지로 F아동의 발화이며 이는 과자를 먹다가 사촌 동생과 누나에게도 과 자를 나눠주라고 말을 하자 아동이 줄 수 없다고 이야기를 하고 나서 왜 그런지 설명을 하는 발화의 내용이다.

11)부르기ㆍ농담하기

부르기와 농담하기의 발화는 전체에서 17발화(1.77%)를 나타냈다.

부르기는 아동들이 거의 친구들을 부르거나 혹은 교사를 부르는 발화가 대부분 이었다.예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34)

예)아동 :선생님?

아동 :효덕,계원아

위의 발화는 D아동의 발화로써 앞의 내용은 교사에게 전에 찍은 사진을 보여 달 라고 교사를 부르는 내용이고 후자의 발화는 방과 후 시간에 남아있는 친구들을 부르는 내용이다.

농담하기는 남을 웃기려고 우스갯소리로 하는 발화를 말한다.이의 예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예)아동 :작은누나 아니어 돼지야.돼지야.인자 무조건 돼지야 인자 아동 :어디서?미국에서?

B아동의 발화로 위의 발화는 엄마와 이야기 하는 도중에 누나를 돼지로 부르고 엄마와 장난을 치는 발화이고 다음은 아동의 집에 있는 강아지가 아버지가 어디에 서 구해왔는지 알고 있으면서 엄마에게 장난으로 물어보는 발화이다.아동의 강아 지의 밥을 챙겨주지 못해서 엄마에게 혼이 날까봐 장난을 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앞의 항목들과 근소한 차이로 반복하기와 강조하기는 전체에 15발화에 1.57%을 나타냈으며,기타는 아동이 발화도 하지 않고 또한 몸짓이나 그 외에 발성을 보이 지 않는 것으로 무응답처리 된 것을 기타로 분석을 하였는데 이는 14발화로 1.46%, 주의 집중 요구는 6발화에 0.63%로 의사소통 의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의도 및 의지ㆍ경고하기는 3발화에 0.31%,사건ㆍ사물 진술은 2발화에 0.21%,놀리기는 0%의 순으로 의사소통 의도의 항목별 비율이 나타났다.

(35)

2 2 2. . .정 정 정신 신 신지 지 지체 체 체 정 정 정도 도 도별 별 별 화 화 화용 용 용의 의 의 특 특 특성 성 성

정신지체 정도에 따른 화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성숙도 검사(김승국ㆍ 김옥기,1985)를 실시하여 SQ 50이상 집단과 SQ 49이하 집단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이 결과는 <표Ⅳ-2>이고,<그림 Ⅳ-2>로 제시하였다.

<표Ⅳ-2> SQ 상ㆍ하위 집단 비교 분석표

*

*

*ppp<<< ...000555 정보 요구

행동 요구

명료 요구

주의 집중

사건 사물

반복

하기 설명 부정 자기

생각

의도 의지 SQ

상하 상 위

위 상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Mann

Whitney 의 U

2.000 9.000 2.000 7.000 10.000 8.000 9.000 3.500 7.000 10.000 유의확률

(양쪽) .026(*) .435 .022(*) .189 .317 .307 .368 .044(*) .219 .513 비율(%)40.

154.95 43 17.322.5

5 3.8 4.551.25 0 1.232.6816.412.50.6329.0

5 3.65 28 4.85 0.6 1.83

감정 표현

강조 하기

경고

하기 놀리기 농담 하기

대답

하기 혼잣말 부르기 인사 하기

모방

하기 기타 SQ 상하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상 위

하 위 Mann

Whitney 의 U

11.500 9.000 7.500 12.500 5.000 12.000 10.000 7.500 7.500 1.000 7.500 유의확

률(양쪽) .832 .432 .136 1.000 .054 .916 .599 .136 .290 .015(*) .283 비율(%)15.

1 27.

68 6.6

8 3.6

3 2.7

1 0 0 0 11.

75 0 189 .6

266 .8

24.

2 53.

75 10.

08 0 19.

31 12.

6 24.

4 77.

5 12.

016.03

(36)

<그림Ⅳ-2> SQ 상ㆍ하위 집단 비율 비교

<표Ⅳ-2>를 보면 SQ에 따른 화용의 특성 중 ‘정보요구’,‘명료화요구’,‘부정하 기’,‘모방하기’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의사소통 의도별로 비율을 보았을 때 상위 집단의 경우 ‘대답하기(189.6%)’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행동요구하기(43%)’, ‘정보 요구하기(40.15%)’, ‘부정하기 (29.05%)’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반면 하위집단의 경우는 ‘대답하기(266.8%)’,‘모방 하기(77.5%)’,‘혼잣말(53.75%)’등의 순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이를 집단별로 빈 도에 따라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1)정보요구

<표Ⅳ-2>를 보면 정보 요구하기는 상위 집단의 경우 40.15%로써 두 번째로 높 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반면에 하위 집단의 경우 4.95%로 아주 낮은 비율을 보 이고 있다.이는 통계적으로도 p<.05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2)행동요구

(37)

행동 요구하기는 <표Ⅳ-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위 집단의 경우 가장 높 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항목이다.하위 집단은 17.3%로 다른 항목들에 비해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기는 하나 많은 사용을 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3)명료화 요구

명료화 요구는 상위 집단에서는 22.5%로 나타났고,하위 집단에서는 3.8%로 약 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이는 통계적으로도 .022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4)주의 집중요구

주의 집중요구의 경우 <표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위 집단은 4.55%이고,하 위 집단은 1.25%로 차이를 거의 보이고 있지 않다.

5)사건ㆍ사물 진술하기

사건ㆍ사물 진술하기의 경우 역시 주의 집중요구하기와 같이 많은 차이를 나타 내지 않는다.상위 집단의 경우는 사건ㆍ사물 진술하기 항목을 대화에서 사용을 하 지 않았고 하위 집단의 경우도 1.25%로 거의 보이고 있지 않았다.이는 정신지체 아동들이 사건이나 사물을 진술함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6)반복하기

<표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복하기는 통계적으로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 으나 빈도를 보면,상위 집단(2.68%)에서 보다는 하위 집단(16.4%)에서 더 많이 사 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설명하기

<표Ⅳ-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설명하기는 상위 집단에서 12.5%로 더 많이 사용

(38)

을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하위 집단의 경우는 0.63%로 거의 설명하기라는 항목을 을 하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8)부정하기

부정하기는 상위 집단에서 29.05%로써 세 번째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하 위 집단의 경우는 3.65%로 많지 않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고,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다고 <표Ⅳ-2>에서 보여주고 있다.

9)자기생각 진술

<표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생각 진술하기는 상위 집단의 경우 28%이고, 하위 집단의 경우는 4.85%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빈도 상으로는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많이 사용을 하고 있다고 나타내고 있다.

10)대답하기

<표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답하기는 상위 집단(189.6%)과 하위 집단 (266.8%)이 거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으나 그래도 둘 중 하위 집단이 더 많이 사용을 하고 있다고 보여주고 있고,하위 집단의 경우 대답하기가 가장 많은 빈도 를 나타내고 있다.

11)혼잣말

혼잣말하기의 경우 하위 집단이 53.75%로 <표Ⅳ-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위 집단에서 세 번째로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상위 집단은 24.2%의 빈도를 보여 주고 있다.

12)인사하기

인사하기는 상위집단은 19.31%이고,하위 집단은 12.6%로써 두 집단 사이에서

참조

관련 문서

고발인․피해자 또는 사건관계자는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장 또는 지청장에게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③제2항에 의한 이의신청이 있는 경우 관할 지방검찰 청

severalpoul try 4,7 beef 6 ,andeggs 8 .Theyhaveoftenexami ned1-2% aceti c aci d 12 or1-2% l acti caci dsol uti on 16 wi th2-12% TSP sol uti onandreported excel l entmeatshel

그림 6.8은 PI제어에 의한 교류서보전동기의 기동특성 곡선으로 기동시 미세한 오버슈트 현상으로 불안한 기동을 하지만,추종값에 정확히 도달 함을 알 수 있었고

방열판의 열성능 향상은 그 중요성으로 인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Ledezma등은 충돌류에 노출된 핀-휜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에는 문자기반 영상 검색 (text-based i mage retri eval )과 내용기반 영상 검색(content-based i mage retri

Tabl e4. 6은 각각 자승근과 삼승근 환산거리와 진동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 는 그림이다... 5Rel ati onshi pbetweenpeakparti cl evel oci tyandsquareroot scal eddi

그림 36, 37는 정전압 및 정전류 구동회로의 출력 파형으로 채널 2은 N-MOSFET의 Gate PWM Pulse 신호를 나타내고 채널 1는 LED array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나타내며 채널

본 연구 결과 전라남도 나주지역 성인여성에 있어서 대사증후군과 정상군을 비 교하였을 때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이 많았다.따라서 대상자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