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후상치조 동맥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후상치조 동맥에 관한 연구"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전산

산화

화 단

단층

층 촬

촬영

영 영

영상

상에

에서

후상

상치

치조

조 동

동맥

맥에

에 관

관한

한 연

연구

연세

세대

대학

학교

교 대

대학

학원

치의

의학

학과

유 준

준 상

(2)

전산

산화

화 단

단층

층 촬

촬영

영 영

영상

상에

에서

후상

상치

치조

조 동

동맥

맥에

에 관

관한

한 연

연구

지도

도교

교수

수 문

문 홍

홍 석

이 논

논문

문을

을 석

석사

사 학

학위

위논

논문

문으

으로

로 제

제출

출함

2

2

20

0

00

0

06

6

6년

년 1

1

12

2

2월

월 일

연세

세대

대학

학교

교 대

대학

학원

치의

의학

학과

유 준

준 상

(3)

유준상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심사위원

심사위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년 12월 일

(4)

그림 및 표 차례 --- ⅱ 국 문 요 약 ---ⅲ

Ⅰ.

.

.서

서 론

--- 1

Ⅱ .

.

.재

재 료

료 및

및 방

방 법

--- 4 1.연 구 대 상 --- 4 2.전 산 화 단 층 촬 영 --- 4 3.전산 화 단층 촬 영 영 상 평가 --- 5 4.통 계 적 분 석 --- 6

Ⅲ .

.

.

결 과

--- 8 1.후 상 치 조 동 맥 의 발 현 률 --- 8 2.후상치조 동맥의 지름과 동맥하연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 ---- 9

Ⅳ .

.

.고

고 찰

--- 13

Ⅴ.

.

.결

결론

--- 16 참 고 문 헌 --- 17 영 문 요 약 --- 22

(5)

그림

림 차

차례

례 및

및 표

표 차

차례

Figure 1.Diameter(a)& height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from thealveolarbonecrest(b) ---6 Figure2.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onCross-sectionalview(a)& Axial

view(b)---7 Figure3.ThePearsoncorrelationofthearteryfrom alveolarcrest---12

Table1.Patientsclassifiedinto4groupsbyageandgender---4 Table2.Thedetectionrate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bygender

---8 Table3.Thedetectionrate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byage

---8 Table4.a.Themeandiameter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PSAA)

---9 Table4.b.Classifiedbythediameteroftheposterioralveolarartery(PSAA)

---9 Table5.Thedistanceofalveolarcrestfrom theposteriorsuperioralveolar

artery---10 Table6.Theindependenttwo-samplet-testbyage---10 Table7.Theindependenttwo-samplet-testbygender---11

(6)

국문

문요

요약

전산

산화

화 단

단층

층 촬

촬영

영 영

영상

상에

에서

후상

상치

치조

조 동

동맥

맥에

에 관

관한

한 연

연구

일반적으로 상악동저의 함기화 현상에 의하여 상악 무치악 후방 부위에서 임 플란트를 하기에 부족한 골 높이를 가진다.따라서 상악동 거상술은 상악 무치악 후방 부위에서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하여 충분한 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행 되어진다.하지만 상악동 외측벽에서 골 절제를 시행할 때 외측 골벽에 위치한 혈 관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수술 중에 심한 출혈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시행한 한국인에서 후상치조 동맥 의 발현 빈도,크기,및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로부터 후상치조 동맥이 위치한 거리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200명을 선택하여 전산화 단층 촬 영 영상을 판독하였다.절단면 영상을 판독용 workstation(HP xw6000)에 Pieview 소프트웨어(Infinitt, Seoul, Korea)를 통하여 절단면 영상에서 2K 2Monitor(ME511L 5MP-2H,Totoku,Tokyo,Japan)로 판독을 하였다.소구치 부 위와 대구치 부위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 빈도와 지름의 크기 및 동맥의 하연 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를 측정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후상치조 동맥은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52.0%의 발현률을 보였으며 성 별에 따른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에서 남자(64.0%)가 여자(40.0%)보다 높게 나타 났다(p<0.05). 2.후상치조 동맥의 지름은 평균 1.52±0.47mm로 나타났다.후상치조 동맥 지 름을 크기에 따라 분류를 하면 1 mm보다 작은 동맥은 13.9%,1-2 mm 사이는 64.9%, 2mm이상의 동맥은 21.2%로 나타났으며 동맥 지름의 크기는 1-2 mm 사이에 가장 많았다.

(7)

3.후상치조 동맥의 하연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는 소구치 부위에서 평균 18.90±4.21mm으로 나타났고 대구치 부위에서는 평균 15.45±4.04mm으로 나타 났다.후상치조 동맥은 대구치 부위와 소구치 부위로부터 치조정까지 비슷한 거리 로 동맥이 주행하는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후상치조 동맥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발현률을 보이고 동맥 지 름의 크기는 주로 1-2mm 범위 내에 주로 분포하였다.후상치조 동맥이 치조정 으로부터 위치한 거리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소구치 부위가 대구치 부위에 비하 여 더 멀리 위치한 것을 알 수 있었다.이 외에도 후상치조 동맥의 크기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 크기와 동맥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가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통계학적으로 성별과 나이 간에 큰 연관 성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핵심 핵심 핵심 핵심 되는 되는 되는 되는 말 말 말 말 :::: 상악동 골 이식술, 후상치조 동맥, 전산화 단층 촬영

(8)

전산

산화

화 단

단층

층 촬

촬영

영 영

영상

상에

에서

후상

상치

치조

조 동

동맥

맥에

에 관

관한

한 연

연구

< 지도교수

문홍

홍석

>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유 준

준 상

I

I

I.

.

.서

서 론

상악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는 치주적 질환이나 우식에 의해 가장 많이 상 실된다(Marcus등,1996).Meskin과 Brown(1988)은 미국인 4천 400만 명에 대하 여 상악 구치부 상실률이 45-54세는 13.6%,55-64세는 18%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것을 보고하였다. 상악 후방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항상 잔존 치조골과 상악동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려하여야 한다.치주질환과 우식에 의한 치아 상실 후 골 흡수의 결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 적절한 치조골 높이를 상실하게 된 다(Pietrokovski,1975).또한 상악동의 함기화 현상으로 인하여 발치 후 치조골 폭 경과 수직적 높이가 감소하므로 임플란트 식립에 어려움이 크다(Smiler등,1992). 그래서 상실된 구치부를 수복하기 위해서 많은 치료방법들이 시도되었다.임플란 트 지지 후방연장 보철물이 상실된 구치부를 수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었지 만 후방연장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실패률이 증가하였다(Shackleton 등,1994).짧 은 임플란트 식립도 구치부 수복의 대안으로 제시되었지만 골질이 좋지 않은 경 우에는 부적합하였다(Jaffin과 Berman,1991;Friberg 등,1991).이 외에도 상악 동에 대한 처치 없이 임플란트를 상악결절 위치에 식립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악 동맥이나 그 가지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었다(Choi와 Park,2003).다른 방법

(9)

으로는 상악동 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으로 높은 성공률을 갖는 예지성 있는 술식으로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Timmenga 등, 1997 ; Raghoebar등,2001).이러한 상악동 골 이식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은 확실히 구치부 수복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부비동 중 가장 큰 상악동은 양쪽 상악골 내에 있는 공기로 찬 뼛속 공간이다. 이러한 상악동은 해부학적으로 앞,뒤,위,아래벽과 같이 4개의 벽과 바닥으로 이 루어진 피라밋 구조로 이루어졌다(McGowan 등,1993,William 등,1995).상악동 에는 배농을 하기 위해서 소공이 존재하는데 80%에서 안쪽벽(medialwall)의 윗 부분에 위치하며 배농은 주로 섬모의 운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상악동의 벽은 투조(transillumination)를 통하여 골상방과 골내로 주행하는 혈관과 신경을 관찰할 수가 있을 정도로 매우 얇아서 외과적으로 쉽게 구멍이 뚫릴 수가 있다. 상악동 의 부피는 9.5-20ml로 다양하며 평균적으로 14.75ml를 가지고 평균 크기는 수직 적으로 3.75cm,내외측으로 2.5cm,전후방으로 2.5cm이다(Hollinshead,1982).

상악동에서 상악동저는 치과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상악동저는 대개 편평 하지 않고 다소 굽어 있으며,동굴(sinus)의 안쪽벽(medialwall)일부와 볼쪽이틀 (buccoalveolarwall)벽에 의해 구성된다(윤,2002).상악동저에서 발생한 함기화 현상으로 인하여 상악동은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가능한 골 높이를 상실하게 된다.따라서 상악동저에서 상악 후방 무치악 부위의 치조정까지의 거리를 확인하는 것이 임플란트와 같은 임상적 시술에 앞서 필요한 중요한 진단 과정이다. 상악동저의 함기화 현상에 의하여 상악 무치악 후방 부위에서 임플란트를 하 기에 부족한 골 높이의 경우 상악동 거상술은 상악 무치악 후방 부위에서 성공적 인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서 충분한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시행된다.상악동 이 식술은 1970년대에 Tatum(1986)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Summers(1994)와 Fugazzotto(1999)에 의해 치조정 접근법과 Wood와 Moore(1988)와 Smiler(1997)에 의해 측방 상악동 접근법으로 발전되었다.

하지만 상악동 이식술을 위하여 측방 상악동 접근법으로 수술할 경우 이론적 으로 상악동에 분포하고 있는 작은 동맥을 손상시킬 수 있다(Dennis,2005).상악

(10)

동에는 후상치조 동맥(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눈확아래 동맥 (infraorbitalartery),측후비 동맥(posteriorlateralnasalartery)이 분포를 한다. 후상치조 동맥과 눈확아래 동맥은 상악 동맥의 세 번째 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주 행한다. 측후비 동맥은 나비입천장 동맥(sphenopalatineartery)에서 가지를 내며 주행한다.이 동맥들은 비강과 상악동을 덮고 있는 점막 하방과 골 내에 여러 개 의 가지를 형성한다(Standring,2005;Goss,1976).이러한 혈관 분포는 젊고 유치 악인 사람에게서 밀집되어 나타나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혈관의 수나 지름이 감소한다(Staudt등,1977;Braun 등,1985;Bell등,1995).후상치조 동맥과 눈 확아래 동맥은 상악동의 협측에 위치하는데 국소적인 구강 점막과 상악동의 외측 점막에 분포하며 두 개의 동맥 고리를 형성한다(Traxler등,1999). Solar등(1999)은 해부학적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시편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골내 가지를 100% 발견을 보고하였다.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기 위해 상악동의 점막과 골벽 사이를 분리하여야 하 는데 골벽에 가까이 위치한 혈관이나 골막을 분리할 때 가까이 위치한 혈관이 손 상을 받을 수가 있다(Traxler등,1999).따라서 상악동 외측벽에서 골 절제를 시 행할 때 외측 골벽에 위치한 혈관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수술 중에 심한 출혈을 야기 시킬 수 있다.손상된 혈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출혈은 혈관의 크기가 작아서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수술 중 수술 시야를 방해하여 Schneiderian막 을 거상시키는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골 이식재를 위치시키는데 방해가 될 수 있 다. Elian 등(2005)은 그의 연구에서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52.9% 정 도의 후상치조 동맥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이때 발견되지 않은 동맥은 수술 시 혈관에 손상이 가더라도 심한 출혈을 야기하지 않는다고 하였다.따라서 수술 전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미리 확인이 가능하다면 혈관 손상으로부 터 오는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후상치조 동맥 발현 빈도,크기,및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부위로부터 후상치조 동맥이 위치한 거 리를 조사하는 것이다.

(11)

I

I

II

I

I.

.

.재

재료

료 및

및 방

방법

1

1

1.

.

.연

연구

구 대

대상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하여 상악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환자들 중에서 나이와 성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 누어 각 군마다 50명씩 무작위로 총 200명을 선택하여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판독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환자의 나이 범위는 치주 질환이나 치아 우식에 의하여 상악 구치부 부위에 치아 상실로 인하여 임플란트 식립의 요구가 많다고 고려되어지는 45세에서 65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하였다.

Table1.Thepatientsclassifiedinto4groupsbyage& gender

yrs.=years

2

2

2.

.

.전

전산

산화

화 단

단층

층 촬

촬영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 방사선과에서 보유중인 CT HiSpeed Advantage전산화 단층 촬영 장치(GE MedicalSystem,Milwaukee,U.S.A)를 이 용하여 high-resolution bonealgorithm,15 cm diameterfield ofview (DFOV), 200mA,120kV,scanning time1초의 조건하에 상층두께 1mm로 연속적인 횡 단면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Gantry의 각도는 0도로 하고 reconstruction

Male Female Total 45-55yrs. 50 50 100 56-65yrs. 50 50 100 Total 100 100 200

(12)

matrix는 512×512pixel로 하였다.촬영이 완료된 후 각각의 단면 촬영 정보를 CT 에 연결된 Advantage Window workstation(GE MedicalSystem,Milwaukee, U.S.A)으로 보내 DentaScan 영상재구성 소프트웨어(GE Medical System, Milwaukee,U.S.A)를 이용하여 상악동과 상악치아의 절단면 영상(cross-sectional image)으로 재구성하였다.

절단면 영상을 판독용 workstation(HP xw6000)에 Pieview 소프트웨어(Infinitt, Seoul,Korea)를 통하여 절단면 영상을 판독하였다.판독 시 사용된 모니터는 판 독전용 모니터로서 2K 2Monitor(ME511L 5MP-2H,Totoku,Tokyo,Japan)를 이 용하였다.이 판독 모니터는 해상도가 5Megapixel(2048×2560)로 의료영상표시에 필요한 매끄럽고 정도(精度)가 높은 grayscale표시를 나타내어 일반 모니터와 달 리 정확하고 섬세한 영상을 제공한다.

3

3

3.

.

.전

전산

산화

화 단

단층

층 촬

촬영

영 영

영상

상 평

평가

후상치조 동맥이 제2 소구치부터 제2 대구치가 위치한 부위의 절단면 영상에 서 발견될 경우 동맥의 지름을 측정하였다.후상치조 동맥에 대한 계측은 Pieview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는 calibration기능을 이용하여 후상치조 동맥 지름의 크기 를 측정(Figure1.a.)하였고 후상치조 동맥의 하연부터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 의 치조정까지 수직거리를 측정하였다(Figure1.b.).협측과 구개측의 치조골 높이 가 다를 경우 두 개의 수직거리에 따른 평균값을 측정하였다.또한 Dentascan 영 상을 재구성 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artificialdefect와 실제 후상치조 동맥을 구분하기 위해서 절단면 영상(cross-sectionalview)과 축 영상(axialview)을 비교 하여 후상치조 동맥이 발견된 부위가 일치하는지 재확인을 시행하였으며 두 영상 에서 후상치조 동맥이 인접한 절단면 영상에서 연속성이 있는지 평가 후에 계측 을 시행하였다(Figure2).

(13)

(a)Diameter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b) Height from the alveolar bone crest to lower border of the posterior superior alveolarartery(h=Height)

Figure1.Measurementofthediameter(a)& heightfrom thealveolarbonecrest(b)of 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4

4

4.

.

.통

통계

계적

적 분

분석

판독한 200개의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을 구하고 환자의 성별과 나이에 따라 발현율의 차이가 있는지 Chi-Square 검정을 통하여 비교를 하였다.판독된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을 측정하고 세 범위(<1 mm ;1 mm≦PSAA 지름 ≦2mm ;2mm<)로 나누어 발현률을 구하였다.후상치조 동 맥 하연으로부터 소구치와 대구치의 치조정까지 거리를 각각 측정한 후 성별과 나이에 따른 독립된 두 집단에 대하여 차이가 있는지 t-test를 시행하였다.마지막

(14)

으로 후상치조 동맥의 하연으로부터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까지의 거리 간에 관계가 있는지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시행하였다.유의수준은 p < 0.05 로 하였다.

(a)Cross-sectionalview

(b)Axialview

(15)

I

I

II

I

II

I

I.

.

.결

결 과

1

1

1.

.

.후

후상

상치

치조

조 동

동맥

맥의

의 발

발현

현률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은 남자에서 우측은 61.0%,좌측은 67.0%,양쪽은 64.0%로 나타났고 여자에서는 우측 44.0%,좌측 36.0%,양쪽은 40.0%에서 나타났 다.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에서 남자와 여자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Table2).

Table2.The detectionrate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bygender

*:p< 0.05,**:p< 0.01,***:p< 0.001

나이에 따른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을 보면 45-55세 환자에게서 우측 56.0%, 좌측 56.0%,양쪽은 56.0%로 나타났으며 56-65세 환자에서는 우측 49.0%,좌측

Table3.The detectionrate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byage

p< 0.05 Male(%, n=100) Female(%, n=100) Total(%, n=200) Right side 61.0 * 44.0 * 52.5 Left side 67.0 *** 36.0 *** 51.5 Both side 64.0 *** 40.0 *** 52.0 45~55 years (%, n=100) 56~65 years (%, n=100) Total(%, n=200) Right side 56.0 49.0 52.5 Left side 56.0 47.0 51.5 Both side 56.0 48.0 52.0

(16)

47.0%,양쪽은 48.0%로 나타났다(Table3). 나이에 의한 두 그룹에서는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2

2.

.

.후

후상

상치

치조

조 동

동맥

맥의

의 지

지름

름과

과 동

동맥

맥 하

하연

연으

으로

로부

부터

터 치

치조

조정

정까

까지

지의

거리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은 우측 1.53±0.48 mm,좌측 1.50±0.46 mm,총 평균 1.52±0.47mm로 나타났다(Table4.a).

Table4.a.Themeandiameter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PSAA)(mm)

PSAA Dia.=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diameter Mean±SD

후상치조 동맥 지름을 크기에 따라 분류를 하면 1mm보다 작은 동맥은 13.9% 로 나타났고 1-2mm 사이는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mm이상의 동맥은 21.2%로 나타났다(Table4.b).

Table4.b.Classifiedbythediameter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PSAA)

후상치조 동맥의 하연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는 소구치 부위에서 평균

Right side Left side Total PSAA Dia. 1.53±0.48 1.50±0.46 1.52±0.47

< 1.00 mm 1.00 mm ≤PSAA≤ 2.00 mm 2.00 mm < Right side 17/105(16.2%) 64/105(61.8%) 24/105(22.9%)

Left side 12/103(11.7%) 71/103(68.9%) 20/103(19.4%) Total 29/208(13.9%) 135/208(64.9%) 44/208(21.2%)

(17)

18.90±4.21mm으로 나타났고 대구치 부위에서는 평균 15.45±4.21mm으로 나타 났다(Table5).

Table 5. The distance of the alveolar crest from the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mm)

Mean ± SD

환자의 나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시행한 t-test에서는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과 동맥 하연으로부터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까지의 높이 간에 통계적

Table6.Theindependenttwo-samplet-testbyage(mm)

PSAA Dia.= 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diameter;PMA = Premolararea;MA =Molararea Mean±SD,p< 0.05

Right side Left side Total Premolar Area 18.82±4.40 19.02±4.62 18.90±4.21 Molar Area 14.91±4.45 15.76±4.03 15.45±4.21 Group by Age 45~55 years 56~65 years PSAA Dia. Right 1.52±0.49 1.55±0.48 Left 1.58±0.44 1.41±0.46 Total 1.52±0.43 1.45±0.40 H e i g h t P M A Right 18.59±5.00 19.07±3.68 Left 19.60±4.62 18.27±4.56 Total 19.17±4.63 18.62±3.74 M A Right 15.55±4.48 14.14±4.34 Left 15.59±3.49 15.95±4.63 Total 15.83±3.68 15.02±4.43

(18)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라 나눈 경우에 후상치조 동맥 지름이 남자 보다 여자에서 작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하지만 동맥 하연으로부터의 거리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Table6,7)

Table7. Theindependenttwo-samplet-testbygender(mm)

PSAA Dia.= 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diameter;PMA = Premolararea;MA =Molararea Mean±SD,*:p< 0.05,**:p< 0.01,***:p< 0.001 후상치조 동맥 하연으로부터 대구치 부위와 소구치 부위의 치조정까지 거리간 상관관계를 보면 정의 상관관계로 소구치와 대구치에서 비슷한 거리로 동맥이 주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3). Group by Gender Male Female PSAA Dia. Right 1.64±0.47 ** 1.38±0.47 ** Left 1.54±0.49 1.43±0.39 Total 1.56±0.42 * 1.38±0.40 * H e i g h t P M A Right 18.69±4.17 18.98±4.76 Left 19.06±4.63 18.93±4.67 Total 18.93±3.96 18.87±4.63 M A Right 15.02±4.67 14.74±4.17 Left 15.72±3.99 15.82±4.15 Total 15.52±4.29 15.37±3.70

(19)

HeightPMA =Heightfrom premolararea ;HeightMA =Heightfrom molararea

Pearsoncorrelationcoefficients:0.51631(p<0.0001)

Figure3.ThePearsoncorrelationofthearteryfrom alveolarcrest H e i g h t P M A Height M A

(20)

I

I

IV

V

V.

.

.고

고찰

연령의 증가와 함께 종종 발생하는 상악동의 함기화 현상은 치조골 점막과 상 악동저 사이의 잔존골 두께가 1mm나 그 이하로 형성되어 임플란트 식립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한다(Khoury,1999).1990년대 중반 이후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수직적 골 증강술 또는 상악동 골 이식술은 상당한 성공률을 보여주었다 (Chanavaz,1996).하지만 상악동 골 이식술을 위하여 상악동 외측벽에서 골 절제 를 시행할 경우 외측벽에 위치한 혈관에 대해서 고려를 해야 한다.수술 중 외측 벽에 위치한 혈관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 출혈은 생명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이 로 인하여 수술 시야 확보에 방해를 받아 골 이식과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나이와 치아 상실과 관련하여 심하게 위축된 치조제는 이 부위 에 혈관 분포에 변화가 오는데 연령이 높고 무치악인 환자에서는 혈관의 수나 지 름이 줄어들게 된다(Watzek등,1993;Ulm 등,1993). Solar등(1999)은 상악 동맥으로부터 발생한 눈확아래 동맥과 후상치조 동맥이 골막 근처의 골외가지와 상악동 외측벽의 골내가지가 문합을 이룬다고 보고를 하 였다.그는 연구에 사용된 모든 시편에서 골내가지를 100% 발견하였으며 치조정 으로부터 18.9±2.82mm에 위치하고 골외가지는 44.4%를 발견하고 치조정으로부 터 22.75±1.49mm에 위치한다고 보고하였다. Elian 등(2005)은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과 동맥 하연으로부터의 치조정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50개의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우측에서는 51.4%,좌측에서는 54.3%,전체 52.9%의 발현률을 보고 하였다.후상치조 동맥 하연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는 우측에서 16.0±3.5 mm,좌측에서 16.7±3.0mm,전체 16.4±3.5mm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게서 촬영한 200개의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판독하 였는데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은 우측은 52.5%,좌측은 51.5%,양쪽은 52.0%로 나타났다.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를 해볼 때 발현률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이 연구에 따르면 남자와 여자 간에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 차이가 나타

(21)

나는 것으로 보이지만 환자의 나이에 따른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에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치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보다 더 세분화시켜 연령과 성별에 따른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과 지름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고 후상치조 동맥의 하연으로부터 치 조정까지의 거리에서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를 나누어서 측정을 시행하였다.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의 크기는 0.29-2.65 mm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1-2 mm 사이가 64.9%%로 가장 많았다.후상치조 동맥의 평균 지름 크기는 1.52±0.47 mm로 나타났다.2mm 이상의 동맥은 전체에서 21.2%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수술 중 이러한 동맥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많은 출혈이 야기될 수 있다.출혈 이 발생하게 되면 먼저 출혈되는 부위를 정확히 찾는 것이 중요하고 대부분 거즈 압박으로 지혈이 된다.지혈이 되지 않을 경우 전기소작을 시행하거나 골 왁스를 이용하여 지혈을 할 수가 있다. 소구치 부위에서의 거리는 평균 18.90± 4.21 mm,대구치 부위에서는 15.45± 4.04mm로 계측되었다.대구치 부위에서는 Elian 등(2005)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 값을 보이고 있으나 소구치 부위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하지만 Elian 등(2005)연구와 Solar등(1999)의 연구를 비교할 때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H.Traxler등(1999)은 상악동 거상술시 골 이식재 내에 혈관형성은 골내가지 와 골외가지의 문합과 상악동 점막(Schneiderian membrane)의 혈관에 의하여 형 성된다고 보고하였다.측방 상악동 거상술을 하는 동안 골내가지를 손상하게 되면 수술 시야 확보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골 이식재 내의 혈관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따라서 술자는 미리 후상치조의 골내가지가 손상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골절제를 시행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Smiler,1997).가급적 최소한 의 골 절제가 골 이식재 위에 골내 가지가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어 골 이식 성공 률을 높일 수 있다(Solar,1999). 본 연구에서는 후상치조 동맥이 환자 간에 차이를 보기위하여 나이와 성별에 따라 두 그룹의 비교를 시행하였다.환자 나이에 의해 나눈 그룹은 후상치조 동맥 의 지름이나 동맥 하연으로부터의 치조정까지 거리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2)

하지만 환자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지름의 크기나 치조정까지의 거리가 감소하 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환자 성별에 대하여 두 집단 간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 크기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 환자 쪽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의 절단면 영상을 이용하여 동맥 지름을 측정하는 것은 동맥의 주행 상태에 따른 측정 위치에 영향을 받는다.따라서 정확한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을 측정하 는데 한계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지름이 크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치조정까지의 거리에서는 남녀 간에 별다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이것 은 혈관이 주행하는데 있어서 해부학적 변이가 많기 때문에 크게 성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후상치조 동맥의 주행은 후상치조 동맥으로부터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의 거리에 관한 상관관계를 볼 때 소구치 부위와 대구치 부위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악동 골 이식술을 위하여 골 절제를 시행할 때 성별과 나이에 대해서는 크 게 고려를 할 필요가 없다.부가적으로 환자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후상치조 동 맥의 하연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지만 후상치조 동맥 의 지름 크기도 같이 줄어들기 때문에 출혈에 의한 합병증의 위험은 작다고 할 수 있다. 상악동 골 이식술을 하지 못하는 환자를 위하여 짧은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치 료 방법이 소개되고 최근들에 긴 임플란트에 상응하는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Franck와 David,2005).하지만 골 흡수량과 심한 상악동의 함기화 현상으로 인 하여 거의 잔존골이 1mm도 남지 않은 경우에는 상악동 이식술이 임플란트 식립 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이 연구에서는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이 52.0%였지만 실제적으로는 100%가 상악동 외측벽 내에 존재한 다. 따라서 수술 전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위치를 확인 하는 것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을 예방할 수 있고 상악동 골 이식술에 대한 예지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3)

V

V

V.

.

.결

결론

본 연구는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한국인에서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 빈도, 크기,및 소구치와 대구치로부터 후상치조 동맥이 위치한 거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후상치조 동맥은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52.0%의 발현률을 보였으며 성 별에 따른 후상치조 동맥의 발현률에서 남자(64.0%)가 여자(40.0%)보다 높게 나타 났다(p<0.05). 2.후상치조 동맥의 지름은 평균 1.52±0.47mm로 나타났다.후상치조 동맥 지 름을 크기에 따라 분류를 하면 1 mm보다 작은 동맥은 13.9%,1-2 mm 사이는 64.9%, 2mm이상의 동맥은 21.2%로 나타났으며 동맥 지름의 크기는 1-2 mm 사이가 가장 많았다. 3.후상치조 동맥의 하연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는 소구치 부위에서 평균 18.90±4.21mm으로 나타났고 대구치 부위에서는 평균 15.45±4.04mm으로 나타 났다.후상치조 동맥은 대구치 부위와 소구치 부위로부터 치조정까지 비슷한 거리 로 동맥이 주행하는 것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후상치조 동맥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발현률을 보이고 동맥 지 름의 크기는 주로 1-2mm 범위 내에 주로 분포하였다.후상치조 동맥이 치조정 으로부터 위치한 거리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소구치 부위가 대구치 부위에 비하 여 더 멀리 위치한 것을 알 수 있었다.이 외에도 후상치조 동맥의 크기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후상치조 동맥의 지름 크기와 동맥으로부터 치조정까지의 거리가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통계학적으로 성별과 나이 간에 큰 연관 성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24)

참 고

고 문

문 헌

BellWH,YouZH,FinnRA,FieldsRTh:Woundhealing aftermultisegmental LeFortIosteotomy andtransection ofthedescending palatinevessels,JOral MaxillofacSurg,53:1425-1433,1995

Braun IF,Levy S,Hoffman JC :Theuseoftransarterialmicro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hemangiomas of the perioralregion,J OralMaxillofac Surg,43:239-248,1985

ChanavazM.:Sinusgrafting relatedtoimplantology.Statisticalanalysisof15 yearsofsurgicalexperience(1979-1994),JOralImplantol,22:119-130,1996

Choi J,Park HS : The clinical anatomy of the maxillary artery in the pterygopalatinefossa,JOralMaxillofacSurg,61:72-78,2003

Dennis Flanagan : Arterial Supply of Maxillary Sinus and Potential for bleeding Complication During Lateral Approach Sinus Elevation, Implant Dentistry,Vol.14(4):336-338,2005

Franck R.,David N.:Shortimplants in the severely resorbed maxilla :A 2-yearretrospectiveclinicalstudy,Clin ImplantDen and Research,7:104-110, 2005

Friberg B,JemtT,Lekholm U :Early failures in 4641 consecutively placed Branemarkdentalimplants:astudyfrom stage1surgerytotheconnectionof

(25)

completedprostheses,IntJOralMaxillofacImplants,6:142-146,1991

FugazzottoPA :Sinusflooraugmentationatthetimeofmaxillarymolar extraction:Techniqueandreportofpreliminaryresults,IntJOralMaxillofac Implants,14:536-542,1999

GossCM :ed.Upperrespiratorytract,AnatomyoftheHumanBodybyHenry Gray,Philadelphia,PA,Lea& Fibiger,1123-1125,1967

TraxlerH.,WindischA.,GeyerhoferU.,SurdR.,SolarP.,FirbasW.:Arterial BloodSupplyoftheMaxillarySinus,ClinicalAnatomy,12:417-421,1999

Hollinshead WH :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Hollinshead WH,ed. Anatomy for Surgeons The Head and Neck.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Wikins,259-263,1982

Jaffin RA,Berman CL :TheexcessivelossofBranemark fixturesin typeIV bone:a5-yearanalysis,JPeriodontol,62:2-4,1991

Khoury F :Augmentation ofthesinusfloorwith mandibularboneblock and simultaneous implantation : A 6-year clinical investigation, Int J Oral MaxillofacImplants,14:557-564,1999

MarcusSE,DruryTF,BrownLJ,ZionGR :Toothretentionandtoothlossin the permanent dentition of adults :United States,1988-1991,J Dent Res, 75:684-695,1996

(26)

implications,1sted.,London.WrightCo.,p1-25,1993

Meskin LH,Brown LJ :Prevalence and patterns oftooth loss in the U.S. employedadultandseniorpopulations,JDentEduc,52:686-691,1988

Elian N.,Wallace S., Cho SC,JalboutZ.,Froum S.:Distribution ofthe Maxillary Artery as ItRelates to Sinus Floor Augmenttation,Quintessence, 20(5):784-787,2005

PietrokovskiJ:Thebony residualridgein man,JProsthetDent,34:456-462, 1975

Raghoebar GM, Timmenga NM, Reintsema H, Stegenga B, Vissink A : Maxillary bone grafting for insertion ofendosseous implants :results after 12-24months,ClinOralImplRes,12:279-286,2001

Shackleton JL, Carr L, Slabbert JC, Becker PJ : Survival of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related to cantilever lengths,J Prosthet Dent, 71:23-26.1994

Smiler DG :The sinus lift graft :Basic technique and variations,Pract PeriodontAesthetDent,9:885-893,1997

Solar P,Geyerhofer U,Traxler H,Windish A,Ulm C,Watzek G :Blood supply to themaxillary sinusrelevantto sinuselevation procedure,Clin Oral ImplantsRes,10:34-44,1999

(27)

fossa,Gray's Anatomy :The AnatomicalBasis ofClinicalPractice,39th ed. Edinburg,NY,Elsevier,572-579,2005

Staudt J, Breustedt A, Kunz G, Wilcke G : Untersuchungen uber die Besonderheiten der arteriellen Versorgung im Kopfbereich beim alten Menschen,VerhAnatGes,71:725-729,1977

SummersRB :Theosteotometechnique:Part3:Lessinvasivemethodsof elevatingthesinusfloor,Compendium ContEducDent,15:698-708,1994

Tatum H Jr.:Maxillary and sinus implantreconstructions,DentClin North Am,30:207-229,1986

Timmenga NM,Raghoebar GM,Boering G :Maxillary sinus function after sinus lifts for the insertion of dental implants, J Oral Maxillofac Surg, 55:936-939,1997

Ulm C,SolarP,GsellmanB,MatejkaM,WatzekG :Theedentulousmaxillary alveolar process in the region of the maxillary sinus-A study of physical dimension,IntJOralMaxillofacSurg,24:279-282,1995

Watzek G,Ulm C,Solar P,Matejka M :Surgicalcriteria for endosseous implantplacement,PractPeriodontAesthetDent,5:87-94,1993

Williams PL,Bannister LH,Berry MM,Collins P,Dyson M,Dussek JE, Ferguson MWJ:Gray'sAnatomy,38th ed.,ChurchillLivingstone,Edinburgh, p1637,1995

(28)

WoodRM,MooreDL :Graftingofthemaxillarysinuswithintraorally harvestedautogenousbonepriortoimplantplacement,IntJOralMaxillofac implants,3:209-214,1988

윤혜림,김희진,김기덕,박창서 :영상재구성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상악동과 상악동 아래벽 및 주위구조 질환의 방사선학적 평가,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32:19-25,2002

(29)

Abstract

A

A

An

n

na

a

al

l

ly

y

ys

si

s

i

is

s

so

o

of

f

ft

t

th

he

h

e

ep

p

po

o

os

s

st

t

te

e

er

r

ri

i

io

o

or

r

rs

s

su

u

up

p

pe

e

er

r

ri

i

io

or

o

r

ra

a

al

l

lv

v

ve

e

eo

ol

o

l

la

a

ar

r

ra

a

ar

r

rt

t

te

e

er

r

ry

y

yo

o

on

n

n

c

c

co

o

om

m

mp

p

pu

ut

u

t

te

e

er

r

ri

i

iz

z

ze

ed

e

d

dt

t

to

o

om

m

mo

o

og

g

gr

r

ra

a

ap

p

ph

h

hy

y

y

JoonSangRyu DepartmentofDentistry

TheGraduateSchool,YonseiUniversity

(DirectedbyProfessorHongSeokMoon)

The lack ofsufficientbone heightand bone ofpoorquality are common deterrentstotheplacementofimplantsin theedentulousposteriormaxillaby pneumatizationofmaxillarysinuses.Sinusaugmentationhasbeenapredictable surgicaltechnique for increasing the existing heightwith bone ofsufficient quality to allow for the successfulplacement of dentalimplants.But,an osteotomyinthelateralwallofthesinusispossibletoviolatetheintegrityof thevascularsupplyinthelateralbonywall,resultinginintraoperativebleeding thatmay be mild to severe in nature.The purpose ofthis study was to analysethedetection rate,size,andlocationoftheposteriorsuperiorartery of Koreanswhoweretakencomputerizedtomography.

ComputerizedtomographyandDentaScanreformattedcross-sectionalimages of200patientstreated in theDentalCollegeofYonseiUniversity weretaken foranalysis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Based on cross-sectional imagesusing thePieview program,thisstudy evaluated theposteriorsuperior alveolararteryonthe2K 2Monitor(ME511L 5MP-2H,Totoku,Tokyo,Japan).

(30)

Theresultswereasfollows:

1.Thedetectionrates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ieswere52.0% on CT imagesand themalegroup washigherthan thefemalegroup in the detectionrates(p<0.05).

2. The mean diameter of the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was 1.52(±0.47)mm.When this study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the diameter, therewere13.9% in less1mm group,64.9% in 1-2mm group,and21.2% in over3mm group(p<0.05).

3.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waslocatedanaveragedistanceof 19.53 mm(±3.66 mm)from the alveolarcrestin the premolararea and 16.52 mm(±4.20 mm)from thealveolarcrestin the molararea.The distancefrom 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wassimilarbetween premolarand molar regions.

Thisstudyfoundthedetectionrateofthemalegroupwashigherthanthat ofthefemalegroup,and thediameteroftheartery was mostly in 1-2 mm. Theresultsindicatedthatthedistanceoftheartery from premolarregion and molarregionwasvariousbutthedistancein premolarregion waslongerthan thatinmolarregion.

Inaddition,theresultsshowedthatthediameteranddistancefrom alveolar crestoftheposteriorsuperioralveolarartery werereducedasgetting old,but therewasnosignificantdifferenceingenderandage.

Key Key Key

Key words words words ::::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posterior superior alveolar words artery, computerized tomography

수치

Tabl e1.Thepati entscl assi fi edi nto4groupsbyage&amp; gender
Tabl e3.The detecti onrateoftheposteri orsuperi oral veol ararterybyage
Tabl e4. b.Cl assi fi edbythedi ameteroftheposteri orsuperi oral veol arartery(PSAA)
Tabl e6.Thei ndependenttwo-sampl et-testbyage(mm)
+2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BES 방법은 SLA 표면과 유사한 방법으로 산화알루미늄을 임플란트 표면에 분사처리 후 산처리하였다.이렇게 표면처리 된 BES가

– In an undamped mass-spring system, resonance occurs if the In an undamped mass spring system, resonance occurs if the frequency of the driving force equals the natural

Davi d 23) 는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급성 신우신염 여성 환자에 있어 시프로플록사신 을 7일간 투여한 그룹과 트리메토프림-설파메독사졸을 14일 투여한 그룹에

하지직거상 검사와 영상의학 검사상 추간판 탈출의 크기,모양,위치 등과의 상관관계에서 Thel ander등 14) 은 좌골 신경통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보존적 치 료

치과용 주조합금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국소의치 구조물,도재소부용 금속, 교정용 선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고융점에서 주조를 하여 주조체 를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적외선 검사 분야는 가스터빈 블레이드 버킷 코팅층 건전성 평가를 위해 hal ogen l amp를 사용하여 적외선 열화상을 측정하는

이에 최적의 정유 추출조건을 산출하여 산업계에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 시 왜곡이 가장 작은 상을 얻기 위해서는 각 촬영기 마다 가지는 고유한 상층 내에 환자를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