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arison of wettability for surface of ocular prosthesis depending on different kind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arison of wettability for surface of ocular prosthesis depending on different kind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Copied!
3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의학 석사학위 논문

인공눈물 점안제 종류에 따른

의안 표면 습윤능 비교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 /의학전공

장 세 란

(3)

인공눈물 점안제 종류에 따른

의안 표면 습윤능 비교

지도교수

국 경 훈

이 논문을 의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8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의학과 /의학전공

장 세 란

(4)

장세란의 의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4년 6월 20일

(5)

i - 국문요약 -

인공눈물

점안제 종류에 따른 의안 표면 습윤능 비교

의안 착용 환자의 건성안 증상의 호전을 위해 처방되는 인공눈물 점안제 들 간에 의안 표면에 대한 습윤능 및 잔류물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확인하고자 하였다.

Sodium hyaluronate (HA) 0.1%, 0.18%, 0.3%, Carboxyl methylcellulose sodium (CMC), Hydroxymethylcelluose+Dextran (HMC), 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PG), Polysorbate 80 (PS), Povidone (Pov) 성분의 인공눈물 점안제를 선정하였으며, 일반적인 의안 제작 방법에 따라 Polymethyl-methacrylate (PMMA) 재질과 실리콘(Silicone) 재질의 편평한 직육면체 블록을 제작하였다. 두 종류의 의안 재질 블록 표면에 각각의 점안제를 23 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1 방울씩 떨어뜨린 후, 접촉각 각도계(Contact angle goniometer)로 정접촉각(static method contact angle)을 측정하여 이를 의안 재질 및 인공눈물 점안제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잔류물 측정은 페트리 접시에 표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인공눈물 점안제 3 ml 를 도포하고 상온에서 48 시간 건조시킨 후 페트리 접시 중간 지점의 빛 투과율을 측정하여 잔류물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PMMA 재질의 의안 표면에서의 접촉각은 HA 0.1%, 0.18%, 0.3%, CMC, HMC, PG, PS, Pov 성분의 점안제가 각각 순서대로 78.69°, 84.29°, 75.46°, 80.93°, 66.29°, 71.26°, 58.40°, 70.24°이었으며, silicone 재질의 표면에서는 같은 순서대로 53.68°, 60.87°, 64.46°, 62.78°, 38.89°, 63.58°, 30.68°, 51.41° 이었다. 접촉각의 크기가

(6)

ii 작을수록 습윤능이 우수함을 의미하므로 두 재질 모두에서 PS 성분의 점안제가 가장 습윤능이 우수하였으며 모든 점안제가 PMMA 재질보다 silicone 재질에서 우월한 습윤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MC 성분의 점안제가 잔류물이 많이 남아 투과율 저하가 가장 심하였다. 인공눈물 점안제의 성분 및 농도에 따라 의안 표면에 대한 습윤능 및 잔류물에 차이가 있으며, 의안 착용 환자에서 건성안 증상의 호전을 위해 인공눈물 점안제 선택 시 이를 고려할 수 있겠다. 핵심어 : 건성안, 무안구, 습윤능, 의안, 인공눈물 점안제

(7)

iii

국문요약 ··· ⅰ 차례 ··· ⅲ 그림차례 ··· ⅳ 표차례 ··· ⅴ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3 A. 재료 ··· 3 B. 방법 ··· 3 1. 습윤능 측정 ··· 3 2. 잔류물 측정 ··· 3 . Ⅲ 결과 ··· 8 A. 습윤능 ··· 8 B. 잔류물 ··· 8 . Ⅳ 고찰 ··· 14 . Ⅴ 결론 ··· 19 참고문헌 ··· 20 ABSTRACT ··· 23

(8)

iv

그림

차례

Fig. 1. Two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s ··· 6

Fig. 2.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 7

Fig. 3. Image from a contact angle goniometer ··· 9

Fig. 4. The residue of artificial tear eyedrop in petri dishes ··· 11

Fig. 5. The transmittance of artificial tear eyedrop residue in the petri dishes by using spectrometer ··· 12

(9)

v

차례

Table 1. Selected artificial tear eye drops ··· 5

Table 2. Result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 10

Table 3. Comparison of transmittance of artificial tear eyedrop residue in the petri dishes ··· 13

(10)

1

-I. 서 론

건성안은 매우 흔한 안과 질환으로 성인 인구의 약 10~20%가 건성안으로 인해 다양한 정도의 안구 불편감, 시야 흐림, 시림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Lemp, 1995) 건성안의 치료에는 인공눈물,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의 다양한 성분의 점안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인공눈물 점안제이다. 인공눈물 점안제는 매우 다양한 성분과 농도의 제제가 시판되고 있어 환자 특성 및 증상에 따라 적절한 약제의 선택이 필요한데, 각각의 점안제마다 다른 점안시의 자극감, 시야흐림, 끈적거림 등의 불편감 및 그에 따른 환자의 선호도 등이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여러 가지 눈의 질환, 산업재해, 혹은 교통사고를 비롯한 눈의 외상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시력 뿐 아니라 안구 자체를 잃게 되는 경우 안구를 제거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위해 의안을 착용하게 되며, 의안을 착용한 환자들도 뻑뻑함, 쓰라림, 눈꺼풀이 무거운 느낌 등 일반적인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Kim 등, 2010) 따라서 의안 착용 환자들도 인공눈물 점안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인공눈물 점안제의 선택에 있어 정상안 환자들과는 다른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정상안에서 건성안 증상의 호전을 위해 어떠한 성분의 인공눈물 점안제가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발표되어 있으며, (Aragona 등, 2002) 산도, 점성, 오스몰농도, 보존제 유무 등이 점안감 및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밝혀져 있는데 반해 (Asbell, 2006) 의안 착용 환자들에 있어 인공눈물 점안제의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11)

2 -의안 착용 환자에서는 정상안 환자들과 비교하여 각막의 부재로 인한 표면 감각의 차이가 있으며, 시기능이 없으므로 점안 후 시야흐림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인공눈물 점안제가 각결막 상피가 아닌 의안 표면을 고루 적셔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 정상적인 눈 깜박임에 의한 눈물 배액이 적절치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인공눈물이 결막낭 또는 의안 표면에 정체되어 의안 표면에 잔류물이 남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im 등, 2010) 다시 말해 먼저 인공눈물 점안제가 의안 표면을 고루 적실 수 있는 정도 즉, 인공눈물 점안제의 의안 표면에 대한 습윤능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습윤능이란 고체 표면에 액체가 퍼지는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Molina 등, 2001; Carre 와 Woehl, 2006; Churaev 와 Sobolev, 2007) 습윤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촉각 측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onge 등, 2001; Cheng 등, 2004; Ketelson 등, 2005) 액체가 고체 표면 위에서 열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룰 때 이루는 각을 접촉각이라고 말하며 이 때, 작은 접촉각은 높은 습윤능을, 큰 접촉각은 낮은 습윤능을 가진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습윤능의 차이는 액체 자체의 속성이 아니라 고체와의 열역학적 관계에 의해 결정되므로 의안 재질에 따라서 각 인공눈물 점안제의 접촉각 즉, 습윤능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의안의 재질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PMMA)와 실리콘 (Silicone) 표면에 대한 인공눈물 점안제의 습윤능을 각각 비교함으로써 의안 착용 환자들의 건성안의 치료제로서 인공눈물 점안제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아울러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의안 표면에 점안제의 잔류물이 남을 경우, 잔류물의 불투명성에 의한 미용적인 문제도 발생 가능할 것이므로 각 인공눈물 점안제의 잔류물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하였다.

(12)

3

-II. 재료 및 방법

A. 재료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인공눈물 점안제 중 흔히 사용되며 구하기 쉬워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성분 및 농도 별로 8 가지의 점안제를 선정하였다. (Table 1)

B. 방법

1. 습윤능 측정

일반적인 의안 제작 방법에 따라 (Raizada 와 Rani, 2007) PMMA 재질과 Silicone 재질의 편평한 직육면체 블록을 제작하고 (Figure 1) 23 게이지 바늘이 달린 3 cc 주사기에 선정된 인공눈물 점안제를 채우고 의안 블록 표면에 1 방울씩 (약 9 µl) 점적하였다. 접촉각 각도계(Phoenix 150, SEO, Gyunggido, Korea) 를 이용하여 정적 sessile drop 방법을 이용하여(Adler 등, 2008) 블록 위에서의 인공눈물 점안제 방울 이미지를 각각의 조합에서 5 장씩 촬영하였으며, 촬영은 점적 후 5 초 뒤에 시행하였다.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에서 배포한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앞서 촬영한 이미지에서 보이는 접촉각을 측정하였고 (Figure 2), 최고, 최저 각도를 제외한 중간값 측정치 3 개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2. 잔류물 측정

직경 60 mm 의 페트리 접시의 표면을 균일한 두께로 덮을 수 있도록 각각의 인공눈물 점안액 3 ml 를 서로 다른 페트리 접시에 도포하고 상온에서

(13)

4

-48 시간 건조시켰다. 각각의 페트리 접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고, 광학 분광기(Lambda 950, Perkin Elmer, Massachusetts, U.S.A.)를 이용하여 페트리 접시의 중앙 부위에서 15 mm X 5 mm 크기의 샘플빔을 통한 가시광선 파장대(330~770 nm)의 투과율을 측정 및 비교하였다. 페트리 접시 자체의 투과율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페트리 접시 덮개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결과 값을 보정하였다.

(14)

5

-Table 1. Selected artificial tear eye drops.

Artificial tears Abbreviation Trade name

Hyaluronate base

Sodium hyaluronate 0.1% HA 0.1 Hyalein mini 0.1%®, Santen

Sodium hyaluronate 0.18% HA 0.18 Hyalu mini 0.18%®, Hanmi

Sodium hyaluronate 0.3% HA 0.3 Hyaluni 0.3%®, Taejoon

Methylcelluose base

Carboxyl methylcellulose sodium CMC Refresh plus®, Samil-Allergan

Hydroxymethylcelluose+Dextran HMC Tears naturale free®, Alcon

Others

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PG Systane®, Alcon

Polysorbate 80 PS Eyedew®, JW Shinyak

(15)

6

-Fig.1. Two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s

(16)

7

-Fig. 2. Measurement of contact angle.The angle formed between the liquid/solid interface and the liquid/vapor interface is the contact angle.

(17)

8

-III. 결 과

A. 습윤능

PMMA 재질의 의안 표면에서의 접촉각은 HA 0.1%, 0.18%, 0.3%, CMC, HMC, PG, PS, Pov 성분의 점안제가 각각 순서대로 78.69°, 84.29°, 75.46°, 80.93°, 66.29°, 71.26°, 58.40°, 70.24°이었으며, Silicone 재질의 의안 표면에서는 같은 순서대로 53.68°, 60.87°, 64.46°, 62.78°, 38.89°, 63.58°, 30.68°, 51.41° 이었다. PMMA 재질에서와 실리콘 재질 모두에서 PS, HMC, Pov 순서로 접촉각이 작게 측정되어 습윤능이 우수하였으며, 모든 점안제가 PMMA 재질보다 Silicone 재질에서 접촉각이 작게 측정되어 우월한 습윤능을 보였다. (Figure 3, Table 2)

B. 잔류물

페트리 접시의 투과율에 대하여 상대적인 빛 투과율은 HA 0.1%, 0.18%, 0.3%, CMC, HMC, PG, PS, Pov 성분의 점안제가 각각 순서대로 0.66, 0.97, 0.69, 0.74, 0.01, 0.63, 0.80, 0.70 이었다.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HMC 의 잔류물이 가장 많았으며 (Figure 4),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 투과율 또한 가장 낮았다. (Figure 5, Table 3) 잔류물은 HMC 성분의 점안제가 투과율 저하가 가장 심하였다.

(18)

9

-Fig. 3. Image from a contact angle goniometer. One drop on a block that is made of PMMA and silicone materials showing contact angles,

(19)

- 10 -

Table 2. Result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Hyaluronate Methylcellulose Others

0.1% 0.18% 0.3% CMC HMC PG PS Pov

PMMA( °) 78.69 84.29 75.46 80.93 66.29 71.26 58.40 70.24 Silicone( °) 53.68 60.87 64.46 62.78 38.89 63.58 30.68 51.41

(20)

- 11 -

Fig. 4. The residue of artificial tear eyedrop in petri dishes. The artificial tear eyedrop

(21)

- 12 -

Fig. 5. Transmittance of artificial tear eyedrop residue in the petri dishes by using spectrometer. A double head arrow indicates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330~770

(22)

- 13 -

Table 3. Comparison of transmittance of artificial tear eyedrop residue in the petri dishes.

Above data means relative transmittance ratio compared with control.

Hyaluronate Methylcellulose Others Control

0.1% 0.18% 0.3% CMC HMC PG PS Pov Petri dish

(23)

- 14 -

IV. 고찰

의안을 착용한 환자들도 건성안에 의한 다양한 불편감을 호소하게 되는데, 실제로 김 등은 무안구 환자에서 정상안과 비교하여 무안구안이 건성안 증상을 더 심하게 호소하고 있으며 퓨리어 영역 빛간섭 단층촬영(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를 이용하여 측정한 눈물띠 깊이(tear meniscus depth) 와 눈물띠 높이(tear meniscus height)가 정상안보다 무안구안에서 더 얕고,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Kim 등, 2010) 의안을 착용한 눈에서 건성안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의안의 거친 표면에 의한 자극, 의안 표면의 단백질 침착, 결막낭의 염증 등으로 알려져 있다. 또, Allen 등은 무안구 환자에서 쉬르머 I, II 검사를 시행한 결과 정상안에 비하여 눈물분비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각막 부재로 인해 반사 눈물이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으며, (Allen 등, 1980) 의안을 착용한 환자들의 50% 가 이러한 눈물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 의안에 의한 눈꺼풀판의 자극, 토안, 불완전한 눈깜박임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마이봄샘의 기능부전도 의안 착용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건성안의 원인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 (Jang 등, 2013) 무안구안에서의 눈물부족은 눈물의 구성을 변화시키며 이는 결막의 염증을 유발하여 점막의 각질화, 점성 분비물 생성, 결막낭의 수축을 초래하고, 결국에는 반흔성 안검내반을 야기할 수 있다. (Saedon 와 Cheung, 2008) 따라서 건성안의 적절한 치료를 통해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안검 및 결막낭의 변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안 착용 환자들에게 적절한 인공눈물 점안제의 사용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24)

- 15 -

정상안에서의 건성안의 치료제로서 다양한 성분의 인공눈물 점안제가 시판되고 있고 그 효과에 대한 여러 연구 결과가 보고 되어 있으나 (Grene 등, 1992; Aragona 등, 2002; Brignole 등, 2005; Johnson 등, 2006) 의안 착용 환자에게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즉, 정상 각막이 아닌 의안 표면을 적셔야 한다는 점과 의안 및 눈꺼풀의 모양에 따라 눈깜빡임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및 그로 인해 눈물 배액이 충분치 않을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의안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정상안 환자들에서 인공눈물 점안제의 선택 기준으로 중요하게 생각되는 산도, 점성, 오스몰 농도, 보존제의 유무 등과 같은 인자들과는 다른 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먼저 의안 표면에 의한 마찰을 막아야 한다는 점에서 표면에 대한 습윤능이 좋은지 여부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것이며 추가로 잔류물에 의한 의안 변색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잔류물의 양상 또한 한 가지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습윤능이란 어떤 액체가 고체 표면 위로 퍼지는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Molina 등, 2001; Carre 와 Woehl, 2006; Churaev 와 Sobolev, 2007) 습윤능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접촉각을 측정하는 것인데, 그 방법으로는 고체 표면에 액체 방울을 올려 놓고 측정하는 sessile drop 방법 (Ketelson 등, 2005; Lorentz 등, 2007), 액체 내에 담궈진 고체 표면에 공기 방울을 접촉시켜 측정하는 captive bubble 방법 (Cheng 등, 2004; Maldonado-Codina 와 Morgan, 2007), 고체를 액체 내에 담궜다가 뺀 후 남아있는 액체 방울을 이용해 측정하는 Wilhelmy plate 방법 (Ram, 1997)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sessile drop 방법 (Read 등, 2011) 을 이용해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25)

- 16 - 접촉각을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측정시의 온도, 액체와 고체의 접촉 후 측정까지의 시간, 고체 표면의 거칠기, 액체 방울의 부피 등이 있다. (Chau 등, 2009; Read 등, 2011) 이러한 요인들이 적절히 통제되지 못하면 접촉각 측정값의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험실에서 측정을 시행하였고 인공눈물 점안제 방울을 의안 재질 블록 표면에 올려 놓은 후 5 초가 지난 시점으로 측정 시기를 통일하였으며, 블록 제작에 있어 세심한 연마를 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또, 실제 의안을 사용해 실험할 경우, 의안의 곡면에 방울이 놓인 위치가 일정치 못할 경우 경사로 인한 접촉각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곡면을 가진 실제 의안 대신 의안 재질로 편평한 블록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액체 방울의 부피가 10 µl 이하일 경우 액체 방울의 부피의 비균일성으로 인한 접촉각의 오류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므로 (Taylor 등, 2007; Yang 등, 2009) 실험 시 약 9 µl 의 인공눈물 점안제 방울을 사용하였으며, 1 명의 실험자가 5 번의 측정을 시행하여 중간값 3 개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정밀도를 높였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는 경우, 20° 미만의 접촉각에서는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Yuan 와 Lee, 2013) 본 실험 결과에서는 모든 결과값이 20° 이상이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PMMA 재질의 블록 표면에서의 접촉각은 PS 성분의 점안제가 가장 작아 가장 높은 습윤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HMC, Pov, PG, HA 0.3, HA 0.1, CMC, HA 0.18%의 순으로 좋은 습윤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ilicone 재질의 블록 표면에서도 PS 성분의 점안제가 가장 작은 접촉각, 즉 가장 높은 습윤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HMC, Pov 등의 순으로 좋은 습윤능을 나타내어 PMMA 와 Silicone 재질에 따른 인공눈물 점안제의 습윤능 순서는 큰 차이를

(26)

- 17 - 보이지 않았으나 같은 성분의 인공눈물 점안제의 접촉각을 재질에 따라 비교해 보면 모든 경우에서 Silicone 재질에서 더 작은 접촉각, 즉 더 좋은 습윤능을 보였는데 이는 Silicone 재질이 PMMA 재질에 비해 더 강한 친수성을 가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정 액체와 고체의 접촉각을 결정하는 인자로는 액체의 수소결합 비율, 액체의 점성, 액체와 고체의 친화도 등이 알려져 있다. (Dutcher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각 인공눈물 점안제들의 의안 표면에 대한 습윤능이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지만 실제로 그러한 차이가 어떤 특성 때문인지를 조사하지는 않았다. 추후 그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잔류물에 대한 실험에서는 HMC 성분의 점안제를 건조시킨 페트리 접시의 투과율이 가장 낮았고 HA 0.18% 성분의 점안제를 건조시킨 페트리 접시의 투과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의안 착용 환자에서 HMC 성분의 점안제를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점안제의 잔류물이 적절히 코눈물관 등을 통해 배출되거나 의안이 세척되지 않는다면 다른 인공눈물 점안제에 비해 육안으로 확인될 만한 잔류물을 남기게 되어 의안 변색 등의 미용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실험적인 결과로 실제로 눈깜박임이 불완전하고 눈물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의안 착용 환자라 할지라도 점안된 약제가 온전히 의안 표면에 잔류물을 남기지는 않을 것이라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점안제의 양이 3 ml 이며 실제 시판되는 약제들의 포장 용량이 1 회용 점안제인 경우 0.4~0.9 ml, 병 포장인 경우 5 ml 정도인 것을 고려할 때 장기간 사용하게 되는 인공눈물 점안제의 특성 상 잔류물의 영향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단, 실제 페트리

(27)

- 18 - 접시에 건조시킨 상황과 달리 실제 환자들에서는 눈물로 인해 점안제 성분이 씻겨지고 의안을 관리 및 세척하게 되므로 단순히 건조시켰을 때 추후 연구에서는 잔류물이 두껍게 남는 정도가 아닌 잔류물과 의안 재질 표면 간의 부착 정도 또는 친화도를 측정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의안 착용 환자의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정상안 환자들과 다른 여러 특성들로 인해 인공눈물 점안제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점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인공눈물 점안제의 작용 중 결막낭에 대한 윤활 작용, 항염증 작용 등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의안표면에 대한 습윤능 및 잔류물의 정도가 절대적인 선택의 기준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의안 환자들의 인공눈물 점안제 선택에 있어서도 역시 기존의 산도, 점성, 오스몰 농도, 보존제 유무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함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제 의안 착용 환자들의 상황과 비교해 볼 때, 의안 표면은 곡면이며, 점안시 중력의 영향을 받고, 눈깜박임이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실험한 상황과 다르며 이는 연구 결과를 곧바로 임상 상황에서 의안 표면의 습윤능을 나타낸다고 보는 데 있어 제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인공눈물 점안제 간의 의안 재질 표면에 대한 습윤능 및 잔류물의 정도가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토대로 추후 의안 착용 환자들을 위한 인공눈물 점안제 선택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를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후 습윤능과 건성안 증상 호전 정도의 상관관계 연구나, 분자량, 분자 구조, 오스몰 농도, 산성도, 끓는점, 점성 등 인공눈물 점안제의 특성과 습윤능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실제 의안 착용 후 인공눈물 점안제를 일정기간 점안하였을 때 의안표면에 잔존하는 침전물의 양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28)

- 19 -

V. 결론

의안 착용 환자들도 건성안 증상의 호전을 위해 인공눈물 점안제를 사용하며, 정상안과의 다른 여러 특성들로 인해 점안제의 선택에 있어 표면 습윤능과 잔류물의 정도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인공눈물 점안제 중 성분 및 농도 별로 8 가지의 점안제를 선정하여 의안 재질의 블록에 대한 습윤능을 접촉각 측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점안제들 간에 습윤능에 큰 차이를 보였다. 페트리 접시에 건조시킨 인공눈물 점안제의 잔류물의 정도에서도 빛 투과율이 큰 차이를 보이는 점안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의안 착용 환자들의 인공눈물 점안제 선택에 있어 의안 표면에 대한 습윤능 및 잔류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9)

- 20 -

고 문 헌

1. Adler M, Miller R, Weaire D: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Foreword.

Adv Colloid Interface Sci 137: 1, 2008

2. Allen L, Kolder HE, Bulgarelli EM, Bulgarelli DM: Artificial eyes and tear measurements. Ophthalmology 87: 155-157, 1980

3. Aragona P, Papa V, Micali A, Santocono M, Milazzo G: Long term treatment with sodium hyaluronate-containing artificial tears reduces ocular surface damage in patients with dry eye. Br J Ophthalmol 86: 181-184, 2002

4. Asbell PA: Increasing importance of dry eye syndrome and the ideal artificial tear: consensus views from a roundtable discussion. Curr Med Res Opin 22: 2149-2157, 2006

5. Brignole F, Pisella PJ, Dupas B, Baeyens V, Baudouin C: Efficacy and safety of 0.18% sodium hyaluronate in patients with moderate dry eye syndrome and superficial keratit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3: 531-538, 2005 6. Carre A, Woehl P: Spreading of silicone oils on glass in two geometries. Langmuir

22: 134-139, 2006

7. Chau TT, Bruckard WJ, Koh PT, Nguyen AV: A review of factors that affect contact angle and implications for flotation practice. Adv Colloid Interface Sci 150: 106-115, 2009

8. Cheng L, Muller SJ, Radke CJ: Wettability of silicone-hydrogel contact lenses in the presence of tear-film components. Curr Eye Res 28: 93-108, 2004

9. Churaev NV, Sobolev VD: Wetting of low-energy surfaces. Adv Colloid Interface

Sci 134-135: 15-23, 2007

10. Dutcher CS, Wexler AS, Clegg SL: Surface tensions of inorganic multicomponent aqueous electrolyte solutions and melts. J Phys Chem A 114: 12216-12230, 2010

(30)

- 21 -

11. Grene RB, Lankston P, Mordaunt J, Harrold M, Gwon A, Jones R: Unpreserved carboxymethylcellulose artificial tears evaluated in patients with keratoconjunctivitis sicca. Cornea 11: 294-301, 1992

12. Jang SY, Lee SY, Yoon JS: Meibomian gland dysfunction in longstanding prosthetic eye wearers. Br J Ophthalmol 97: 398-402, 2013

13. Johnson ME, Murphy PJ, Boulton M: Effectiveness of sodium hyaluronate eyedrops in the treatment of dry ey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4: 109-112, 2006 14. Ketelson HA, Meadows DL, Stone RP: Dynamic wettability properties of a soft

contact lens hydrogel.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40: 1-9, 2005

15. Kim SE, Yoon JS, Lee SY: Tear measurement in prosthetic eye users with fourier-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m J Ophthalmol 149: 602-607 e601, 2010 16. Lemp MA: Report of the National Eye Institute/Industry workshop on Clinical Trials

in Dry Eyes. CLAO J 21: 221-232, 1995

17. Lorentz H, Rogers R, Jones L: The impact of lipid on contact angle wettability.

Optom Vis Sci 84: 946-953, 2007

18. Maldonado-Codina C, Morgan PB: In vitro water wettability of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determined using the sessile drop and captive bubble techniques. J

Biomed Mater Res A 83: 496-502, 2007

19. Molina R, Comelles F, Julia MR, Erra P: Chemical Modifications on Human Hair Studied by Means of Contact Angle Determination. J Colloid Interface Sci 237: 40-46, 2001

20. Raizada K, Rani D: Ocular prosthesis. Cont Lens Anterior Eye 30: 152-162, 2007 21. Ram e: The Interpretation of Dynamic Contact Angles Measured by the Wilhelmy

Plate Method. J Colloid Interface Sci 185: 245-251, 1997

22. Read ML, Morgan PB, Kelly JM, Maldonado-Codina C: Dynamic contact angle analysis of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J Biomater Appl 26: 85-99, 2011

(31)

- 22 -

23. Saedon H, Cheung D: Occult traumatic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ausing anophthalmic socket contraction presenting 20 years later: a case report. Cutan Ocul

Toxicol 27: 87-89, 2008

24. Taylor M, Urquhart AJ, Zelzer M, Davies MC, Alexander MR: Picoliter water contact angle measurement on polymers. Langmuir 23: 6875-6878, 2007

25. Tonge S, Jones L, Goodall S, Tighe B: The ex vivo wettability of soft contact lenses.

Curr Eye Res 23: 51-59, 2001

26. Yang J, Rose FR, Gadegaard N, Alexander MR: Effect of sessile drop volume on the wetting anisotropy observed on grooved surfaces. Langmuir 25: 2567-2571, 2009 27. Yuan Y, Lee TR: Contact Angle and Wetting Properties. 51: 3-34, 2013

(32)

- 23 - - Abstract -

Comparison of wettability for surface of ocular prosthesis

depending on different kind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Seran Jang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Associate Professor Koung Hoon Kook)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wettability for surface of ocular

prosthesis and depositions depending on different kind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Methods: The artificial tear eye drops that contain sodium hyaluronate (HA) 0.1%, 0.18%,

0.3%, carboxyl methylcellulose sodium (CMC), hydroxymethylcelluose+dextran (HMC), 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PG), polysorbate 80 (PS), povidone (Pov) have been studi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s of manufacturing of ocular prosthesis, a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block that is made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silicone materials has been produced. One drop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was applied by using a 23G needle on the surface of two different blocks of artificial eyes. Then, the static method contact angle was measured by using a contact angle goniometer.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aring different materials of ocular prosthesis and artificial tear eye drops. To measure the deposits, we covered a petri dish with 3 ml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and

(33)

- 24 -

dried for 48 hours at room temperature. Then, the light transmittance at the center of the petri dish was measur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the residue.

Results: The surface with smaller contact angle showed better wettability. The best

wettability was obtained from the artificial tear eye drops that include PS components in both PMMA and silicone materials. Furthermore, the wettability of silicone materials was better than the one of the PMMA materials among all artificial tear eye drops. The largest decrease of the transparency was observed from the artificial tear eye drops containing HMC component.

Conclusions: The wettability and deposits on the surface of ocular prosthesis can vary based

on the components and concentration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on choosing the right artificial tear eye drops to improve the dry eye symptoms on patient wearing ocular prosthesis.

Key words : Anophthalmos, Artificial tear eye drop, Dry eye syndrome, Ocular prosthesis, Wettability

수치

표   차례
Table 1. Selected artificial tear eye drops.
Fig. 2.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liquid/solid interface  and the liquid/vapor interface is the contact angle
Fig. 3. Image from a contact angle goniometer. One drop on a block that is made of PMMA and silicone materials showing contact angles,
+5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refo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racture in the veneering porcelain, intraoral repair methods using surface treatment and composite resins may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prosthesis using wide two implant versus standard three implant on mandibular

Bactericidal effect of photocatalytic reactor depending on the UV-A illumination time and flow rate of V.. Bactericidal effect of photocatalytic reactor

Comparison of the monthly average difference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t Chilbaldo on foggy(f_avg) and no foggy(nf_avg) day cases from

The convex polytopes are the simplest kind of polytopes, and form the basis for several different generalizations of the concept of polytopes..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