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Housing in Sohawjang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Housing in Sohawjang"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소화장(昭和莊)의 주거 변용(變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Housing in Sohawjang

정미정* 유재우**1) 2) 김동철*** Jung, Mi-Jung Yoo, Jae-Woo Kim, Dong-Chul

Abstract

Built in 1944, in Busan, Sohawjang has currently remained in severe state of transformation. Sohawjang is a rare case of modern housing complex in Korea and it is a significant historic building as housing history and technique history. This study is to leave the basic data about modern housing by finding the substance of Sohawjang, a unusual case of modern housing complex in Korea, and examples of housing transformation through this study.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original shape and architectural history about Sohawjang, modern apartment building,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ransformation. For implementing, this study carried out th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experimental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study, after the independence, various cases of transformation were investigated from floor plan of Japanese middle corridor. This study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of housing by analyzing outcomes and examined the reason and characteristic of transformation. This study discovered the Sohawjang's housing transformation cases, modern housing complex, that has not been disclosed so far and draw the characteristic of transformation as the Architectural Planning.

Keyword: Sowhajang, Modernization, Modern Housing, Apartment Housing, Housing History, Transformation 주 요 어: 소화장, 근대화, 근대주거, 집합주택, 주거사, 변용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은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근대기 우리의 주거모습으로, 현재에는 가장 일반적인 주거형태로 정 착되어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에 관한 연구는 계획적 인 측면에 치우쳐져 있으며, 근대기 공동주택의 내·외 부의 형태적인 변화나 생활상의 변화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듯하다. 특히 근대기 개항지였던 부산지역의 근대화 과정을 다루는 집합주택에 관한 연 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부산은 우리나라의 최초 개항지로서 근대화의 중심에 있었으며, 부산의 다양한 역사적 특징으로 인해 많은 근 대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부산의 가장 오래된 집합주거 시설인 소화장(昭和莊,1944)1)은 현존하는 근대 *정회원(주저자),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정회원(교신저자),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 공학박사 ***정회원,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석사과정 1) 소화장과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는 1941년 건립된 청풍장 또 한 현재까지 주민들이 거주하는 가장 오래된 부산의 공동주택이 다. 청풍장도 본 연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했으나, 입주민들의 협 기 건축물 중 대단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건축물이다. 소화장은 건립 이래 60여 년 동안 주민들의 삶을 담 아내며 수많은 변용이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지속 적으로 변용되고 있다. 소화장에 관한 연구는 근대기 부산지역에 집합주택의 도입과정과 변천과정을 잘 보 여 줄 것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소화장은 관리부족에 따른 심각한 건축물 훼손과 노후 화 그리고 무분별한 증축으로 원형을 거의 알아 볼 수 없다. 부산시에서는 소화장이 가지는 역사적 가치의 보존을 위해 2006년 등록문화재 지정 대상으로 선정하 였지만, 일부 입주민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 이렇듯 소화장은 언제 멸실될지 모를 위기에 있지만 관련된 문헌 및 연구가 전무하므로 기록 및 연구가 시급히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화장의 역사적 의의를 고찰하기 위 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향후 주 민들과 협의가 이루어지는 데로 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 2) 관할구청에서는 소화장을 위험건축물로 지정하고, 재건축사 업 추진하고 있으나 입주민들의 입장 차이 등으로 무산되었다. 부산시 중구청에서는 2차례(2000, 2009) 위험건축물 안전진단 검 사 결과 위험건축물 D등급으로 판명되었다.

(2)

한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선행연구 차원에서 원형과 건립배경 등을 추정하고 현재 소화장의 변용 상황을 기록하여 남겨두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연구의 대상이 되는 소화장(昭和莊)은 1944년 집합 주택3)으로 건립되었다. 부산시 중구 남포6가에 위치하 고 있는데, 총 13개의 필지에 1개동으로 건립되어 있 다. 입지는 PIFF광장과 매우 인접해 있으나 진입도로 가 좁고 주변의 고층 건물들로 인해 인식이 쉽지 않 다. 건립 된 이래 현재까지 다양하게 변용되어 사용되 고 있으며, 수차례 증축의 흔적이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화장의 변용과정을 기록하고, 원형 을 추정하여 시대적 변화에 따른 소화장의 공간적 변 용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소화장의 원형에 대 한 기록이 전무하여, 우선 현재 사용실태를 기록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진촬영과 실측작업을 통해 소화장의 현황을 도면화 하였고, 주민들과의 인 터뷰 및 설문지를 통해 가족구성원과 거주기간, 변용 여부에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였다. 소화장은 건립 당시 주거시설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주거시설과 근린생활시설이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주거시설로 제한 하여 주거공간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소화장은 집합주택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거주자 들은 각 주호를 호수로 명칭하지 아니하고 개별적 단 독주택으로 취급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편의를 위해 건물의 정면의 좌측부터 “가~바” 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그림 1. 소화장의 주호구성도

II . 소화장의 건립배경과 원형

1. 소화장의 건립배경과 세대구성 우리나라의 최초 개항지인 부산은 일제강점기 이전 부터 외래문화가 도입되었고, 일제강점기 이후 급격한 3) 본 연구에서는 집합주택(集合住宅)의 개념을 주택건설촉진법 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 분류가 아닌, 단일세대가 거주하는 단 독주택(單獨住宅)의 반대로, 단일 건축물에서 독립된 여러세대 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의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도시화를 겪게 된다. 대륙으로의 진출을 위해 일본은 부산에 많은 근대식 도시기반 시설과 건축물들을 건설 하면서 부산항 인근지역으로 인구가 밀집되었고, 심각 한 주택난에 시달리게 되었다. 따라서 부산은 주택지 를 확보하기 위해 부산항 인근지역을 매립하고, 주택 공급을 하게 되는데, 동양척식주식회사와 그 자회사인 조선경영주식회사4)가 사업을 추진하였다. 1944년 건립 된 소화장은 조선경영주식회사의 관사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5). 그림 2. 동양척식회사 부산 출장소(좌)와 소화장 사진(우) 소화장의 위치를 살펴보면 동양척식회사(現부산근대 역사관)와 직선거리 600m이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당 시 주요 교통수단인 전차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사 가 있었던 용두산과 부평시장(現국제시장), 자갈치시장 이 인접할 뿐 만 아니라 항구를 향한 전망까지 우수한 고급 주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3. 소화장 위치도(위성사진) 소화장은 4개층으로, 전면도로에서 진입 가능한 3개 의 계단실이 있고, 각 층별로 6개의 주호가 위치하고 있다. 소화장의 이러한 규모는 1차례 수직 증축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정확한 증축의 시기 를 기록한 문헌은 없으나 입면적 요소를 통해 증축의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총 24개의 주호가 있지만, 현재는 1층과 2층 일부가 4) 조선도시경영회사의 주거지계획과 문화주택에 관한 연구, 김 주야, 한국주거 학회지 제6권 1호 조선경영주식회사는 1931년 설립되었고, 부산지점은 1940년에 설치되었다. 5) 소화장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전무하여 관련 문헌을 찾을 수 는 없었으나, 관련 신문보도와 주민들의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소화장 관련 발급서류(폐쇄등기부등본_토지, 건물) 의 일부에서 소유자가 “조선경영주식회사”로 확인되었다.

(3)

/R:방,V:베란다,T:화장실,B:욕실,K:부엌 그림 4. 소화장의 평면원형 추정(필자작성) 근린생활시설로 사용 중이며 나머지 주호가 주거시설 로 두 용도가 혼용된 주상복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2. 소화장의 원형 소화장에 관련된 문헌이 전무한 상태로 소화장의 원 형은 현장조사와 주민들의 인터뷰 및 설문지를 통해 추정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각 세대 별 공간구성은 대부분 원 형을 거의 알아 볼 수 없 을 정도로 변용되어 있었 으며, 평면적 공통점은 화 장실의 위치가 유일하였 다. 원형이 가장 잘 보존 된 주호(2-바)를 중심으로 각 주호를 조사하고, 가장 오랜 기간 거주한 입주민 과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 여 소화장의 평면을 「그 림 4」과 같이 추정할 수 있었다. 소화장의 주거공간을 살펴보면 계단실에서 진입하여 현관에 들어서면 좁은 복도를 통해 각 방과 화장실, 욕실, 주방 등으로 진입 하게 되어 있으며, 방과 방 사이에도 서로 진입이 가 능한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었고, 각 방의 바닥은 다다 미로 마감되어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안방의 역할 을 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R1에는 일본의 전통 주거에 서 볼 수 있는 床(도코)와 棚(다나)가 설치되어 있었다. 소화장의 평면은 속복도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평 면유형은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생소한 타입으로, 우리 나라의 전통주거와는 전혀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래서 해방 후 사용자가 일본인에서 한국인으로 바뀌 면서 소화장의 평면이 다양하게 변용되었다.

III. 소화장의 주거공간 변용과 특징

1. 소화장의 용도별 변용 소화장은 건립당시 3개층 규모에 18주호가 모두 주 거시설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4개층 규모에 24주호 중 일부는 근린생활시서로 사용되고 있다. 1층의 전체 (6개소)와 2층의 일부(1개소)가 근린생활 시설로 사용 중 이며, 나머지 17주호는 주거로 사용 중이다. 기존 주거시설의 저층부분이 근린생활시설로 용도가 변용된 것은 소화장이 위치한 중구 남포동 일대가 상 업밀집지역으로 발전함에 따라 주변 상권이 반영된 것 으로 보여진다. 근린생활시설의 세부 용도를 살펴보면 식당이 가장 많았고, 외에도 여관6), 세탁소, 보관업(창 고)로 사용 되고 있었다. 근린생활시설로 변용된 주호 는 용도의 변화에 따른 공간의 변용이 상당하여 소화 장 원형의 흔적은 찾아 볼 수 없었다. 주거시설로 사용 중인 17개의 주호 중에는 현재 사 용되어지고 있지 않는 공가(空家) 1주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입주해 사용되고 있다. 내부의 모습은 모두 다양 하게 변용되어 있었지만 1~2 주호에서는 다다미방과 내부 칸막이 벽을 포함해 원형의 흔적이 남아있다. 가 계 단 실 나 다 계 단 실 라 마 계 단 실 바 4 주거시설 주거시설주거시설 주거시설주거시설 주거시설 3 주거시설 주거시설주거시설 주거시설주거시설 주거시설 2 주거시설 주거시설주거시설 근린생활 (여관) 주거시설 주거시설 1 근린생활 (식당) 근린생활 (식당) 근린생활 (세탁소) 근린생활 (여관) 근린생활 (식당) 근린생활 (창고) □:주거시설 / ■:근린생활시설(2010년 7월 조사당시 기준) 그림 5. 소화장의 용도 개념도 2. 소화장의 변용 특성 1) 평면적 변용 특성 소화장은 건립 당시 주거시설이었으나, 현재 저층은 근린생활시설로 사용 중이다. 이러한 근린생활시설들 은 건물 전면에 기존 조경으로 사용되던 부분을 증축 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며, 일부는 2층까지 증축하여 주 거시설도 증축 된 예(2-가, 2-다)가 있었다. 소화장 평면의 원형은 속복도형으로 추정되었으나, 현재 속복도형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는 단 3곳 뿐 이 었으며, 이마저도 각 공간의 출입구를 없애거나 실의 용도를 달리 하는 등 다양하게 변용되어 있었다. 또한 나머지 주호들은 원형을 찾아보기 힘들 만큼 많은 변 용이 진행되어 있었다. 유형 속복도형 거실형 다가구형 주요 평면 사진 개소 3 9 5 표-1. 소화장의 평면 변용 유형 속복도형은 우리나라의 주거공간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유형으로 가장 많은 주호가 거실공간을 확보하도 6) 여관의 경우 1-라, 2-라 2개소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 계단을 설치하여 통합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4)

록 변용(거실형)하였으며, 여러 세대가 사용 가능 하도 록 변용된 유형(다가구형)도 나타났다. 거실형의 경우 대부분 R2의 벽체를 철거하여 공용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거실형은 현재 우 리나라 주거유형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다가구형의 경우는 임대가 목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 다. 독립된 1개의 주호에 2~3세대가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는데, 현재 다가구로 사용하고 있는 주 호는 전체 5주호 중 2주호에 불과 했으며, 다시 단일 세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변용되고 있었다.7) 2) 입면적 변용 특성 소화장의 입면의 변화의 가장 큰 이유는 규모의 변 화이다. 기존 3개층 규모에서 한국전쟁 직후 1개층 증 축을 하였고, 저층부 수평 증축과 설비시설의 무분별 한 노출로 입면은 최초 건립 상태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4층 증축부분 전면 증축 창호형태 표-2 소화장의 입면 변화요소 그림 6. 소화장 입면 현황 정면도(상:변경전/하:변경후) :증축부분(필자작성) 소화장을 기록된 문헌이 전무하여 증축시기를 확인 할 수는 없었지만, 3층의 파라펫 이었을 것으로 추정 되는 벽체선을 확인할 수 있고, 1~3층의 창호형태 및 위치가 4층과 상이한 점, 마감 부식 정도의 차이를 통 해 4층의 건립 시기가 상이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소화장의 외부는 몰탈 위 수성페인트로 마감되어 있 는데, 전면에 1~2층으로 증축된 부분은 화강석, 벽돌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면서 건물의 형태는 물론 마 감까지 상이하여 입면이 다소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7) 조사 기간 중 다가구형태로 남이있던 주호가 입주자의 요청 에 의해 거실형으로 변경되는 예가 있었다.

IV . 결론

본 연구에서는 근대문화유산으로서 상당한 가치를 가진 소화장의 역사적 의의를 고찰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현장조사를 통해 사진촬영과 소화장의 사용 공간을 실측하여 작성된 도면과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 해 기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소화장의 건축계획적인 원 형을 추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변용상태 를 평면 및 입면의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소화장의 변용특성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시설로 건립된 소화장은 현재 주거시설 뿐만 아니라 저층부에는 다양한 근린생활시설로 사용 중이다. 이것은 도심지라는 입지적 조건과 시대에 따 른 주변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보인다. 둘째, 소화장 조 사에서 속복도식 평면형에서 거실형, 다가구형 그리고 속복도형으로 변용되었다. 다가구형은 한국전쟁 후 극 심한 주택부족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따른 반영이라 보인다. 변용 결과 현재에는 거실형이 가장 보편적인 평면형으로 정착되어 있어 양국의 주거문화적 차별성 이 반영된 결과라 판단된다. 셋째, 조사 결과 4층 규모 의 소화장은 건립 당시 3층 규모로 건립되었고, 이후 1개층 증축된 것이다. 향후 추가적인 현장조사 및 관련문헌을 발굴하고, 현재 사용실태를 분석하여 근대기의 주생활문화와 변 용상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소화장을 건축계획적 측면뿐만 아니라 당시의 주택기술을 연구 하여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 다. 본 연구를 통해 소화장이 가지는 역사적·사회적 의 미를 고찰하고, 언제 소멸될지 모를 소화장의 역사적 인 복원이나 보존을 위한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참 고 문 헌 1. 강인호, 한필원(1999), 주거의 문화적 의미, 세진사 2. 전남일 외3(2008), 한국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3. 부산광역시(2004), 부산광역시 도시계획사 4. 부산광역시(2005), 근대문화유산조사 및 목록화 사 업보고서 5. 장림종 외(2009), 대한민국 아파트 발굴사, 효형출 판사 6. 발레리 줄레조(2002), 아파트 공화국, 후마니타스 7. 정순영·윤인석(2002), 한국 공동주택 변천에 관한 고찰, 대한 역사학회지 제11권 2호 8. 김주야(2008), 조선도시경영회사의 주거지계획과 문화주택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제6권 1호 9. 대영구조기술단(2009), 구조안전진단보고서, 부산시 중구청

참조

관련 문서

It might be assumed that in a city of social housing (where almost half of the popula- tion lives in council and subsidized rental housing) forced migrants not only receive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demand for housing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people live in

An optical/electric composite connector comprising: a first connector housing for storing thereinto an optical element;a second connector housing provided on one end of

Taylor Series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how Venture and Small-Business Executives managers can take advantage of their intuitions in situations wher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vice quality of a tennis court which is one of public sport facilities and analyze a difference in

Regarding the development plan of marine architectures and the waterfront,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lanning of housing complexes located in

“Social housing and private markets: from public economics to local housing markets”, in Social Housing in Europe Ⅱ, Edited by Scanlon, Kathleen and Whitehead, Christ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