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Digital Material Using by the Actual Condition of Digital Material Operation in Public Libra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Digital Material Using by the Actual Condition of Digital Material Operation in Public Library"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 운영실태에 따른

디지털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Digital Material Using by the Actual

Condition of Digital Material Operation in Public Library

노영희 (Younghee Noh)* 강필수 (Pil Soo Kang)** 김윤정 (Yoon-Jeong Kim)*** 초 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자료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관의 스마트디지털 환경을 위한 스마트도서관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디지털자료 담당자 213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 료 운영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응답 공공도서관의 80.8%가 디지털자료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평균 1.75명이 디지털자료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응답 공공도서관은 개방형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으나 5G 서비스는 11.3%만이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 공공도서관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자료는 영상 콘텐츠 (63.8%)이며, 다음으로 전자책(53.5%)과 오디오북(53.5%)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오디오북은 평균 781종, 영상 콘텐츠는 4,985종, 영상외 비도서 콘텐츠는 3,616종, 기타 디지털자료는 626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도서관 스마트디지털 환경 구축과 스마트도서관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향후 디지털 자료 활성화 방안, 스마트도서관 도입에 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introduction of smart libraries by analyzing present conditions of its operation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igital materials. For this study, a survey of actual use of digital materials is conducted for digital material rooms of public libraries in nationwide and 213 persons in charge of digital materi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found: first, 80.8% of those public libraries responding to the survey operate digital material rooms and average 1.75 person is in charge of managing digital materials and open type Wi-Fis are installed in those public libraties but only 11.3% of those libraries provide 5G services; second, it is found that the digital data which are owned by those public libraries most are video contents (63.8%), e-books (53.5%) and audio books (53.5%) in order. In addition average number of types of audio books 781, video contents 4,985, nonbook contents except for video 3,616 and other digital data 626.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introduction of smart library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other study of a plan for future revitalization of digital materials and librarians’ awareness on introduction of smart library.

키워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디지털환경, 디지털이용자

public library, multimedia center, digital environment, digital use

* **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younghee.korea@gmail.com) (제1저자) ㈜ 채움씨앤아이 대표이사(psk@cucon.co.kr) (공동저자)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연구원(onj199@kku.ac.kr) (교신저자) ■ ■ 논문접수일자: 2021년 2월 22일 ■최초심사일자 : 2021년 3월 8일 ■게재확정일자: 2021년 3월 19일 정보관리학회지, 38(1), 25-51, 2021. http://dx.doi.org/10.3743/KOSIM.2021.38.1.025

※ Copyright © 2021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atives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4.0/) which permits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at the article is properly cited, the use is non-commercial and no modifications or adaptations are made.

(2)

1. 서 론

과거 공공도서관의 전산정보실이 디지털자 료실로 탈바꿈하면서 노후한 컴퓨터가 새것으 로 바뀌고, 공간도 넓히는 등 다양한 디지털정 보 서비스를 제공하였다(강성민, 2002). 2002 년 당시 도서관의 전산정보실을 디지털자료실 이라는 이름으로 개실․확충한 후, 인천중앙도 서관은 월 이용자가 1만 4천명을 넘어 디지털 자료실 개실 이전과 비교하여 월 평균 40.2%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공 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개실 및 확충은 과거 정보화 시대의 허브센터의 역할을 하였다(강성 민, 2002). 이와 같은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자료 실 구축은 2000년 2월 1일 제5회 국무회의에서 도서관이 국민들의 정보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협의하여 도서관 정보화 종 합 대책을 수립․추진하도록 한 대통령의 지시 가 계기가 된 것이다(서여화, 2006). 그 결과, 공공도서관은 정보화 시대를 맞아 도서관 이용 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폭을 넓혀주었다. 디 지털자료실에서는 컴퓨터를 통해 원하는 자료 를 찾을 수 있고, CD나 DVD의 대출․반납 등 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정보매체의 변화는 도서관의 자원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도서 관의 서비스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통적인 도서관이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 동화도서관에서 하이브리드형 도서관, 오늘날 의 디지털도서관으로 발전되어 온 것이다(노 영희, 2016). 즉, 인터넷 환경 변화와 IT 기기 보급의 확대는 공공도서관을 디지털환경으로 서 정보화 시대의 허브센터라는 역할을 부여 하였으며, 디지털 정보제공과 원격 공유성 문 서의 DB, 네트워크화된 멀티미디어 정보(한 상완, 1998)를 제공하였고, 디지털자료 및 디 지털콘텐츠의 열람과 이용자서비스 폭을 넓혀 주는 등 도서관에 영향을 미쳤다. 더 나아가 최 근 10년간 디지털기술은 모바일, 클라우드, IoT, 인공지능(AI), 로봇 등 자동화, 지능화가 가속 되면서(김형택, 2017), 도서관은 다시 4차 산 업혁명시대의 도래에 따른 변화에 적응과 대 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도서관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디지털 기술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스마트도서관 을 구축하고자 하고 있다.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에서도 도서관 인프라 확대라는 정책 과제 수행을 위해 스마트도서관 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을 추진과제로 설정하였다. 4차 산업 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범국가적 추진체계 마 련과 최신 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스마트도서관 구현이 필요해짐에 따라, 스마트도서관 모델 구축 및 시범사업 추진과 모바일 디지털 서비 스 강화, 인공지능(L-AI)과 사물인터넷(IoT) 기반 도서관 서비스 환경 구축 등을 세부추진 과제로 추진한다는 것이다(도서관정보정책위 원회, 20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 기 위하여 도서관의 스마트디지털 환경을 구축 하고 스마트도서관의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자 료 이용활성화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 이에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 담당 인력 및 장비 현황, 디지털콘텐츠 현황 등의 운영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3)

2. 선행연구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과 디 지털도서관의 실태분석과 스마트도서관과 관 련하여 수행된 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 용은 다음과 같다. 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및 디지털도서관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로 이지원, 김수정(2013) 은 사이버대학 디지털도서관 현황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사이버대학 도서관 담 당자 설문 및 방문 면담, 도서관 홈페이지 내용 분석 등을 조사하였다. 현황과 사례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대학 디지털도서관 개선 을 위한 제도 및 정책 제안, 사이버대학들을 위 한 호스팅 방식의 디지털도서관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서은경(2016)은 대학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보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디지털콘텐츠를 구축하고 있는 4년제 대학의 대학도서관 중 102 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디지털보존 요건에 대한 담당자의 인식과 디지털보존 실무 현황 및 수준 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규모와 콘텐츠 규모가 크면 클수록 디지털보존 수준에 대한 평 가는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현재의 국내 대학도 서관의 디지털보존 수준은 미흡하다고 보았다. 스마트도서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시스템 및 기술적인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RFID 및 USN,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플랫폼, IoT 기반의 스마트도서관 정보서비스시스템 구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으나(노동조, 손 태익, 2016; 민병원, 오용선, 2012; 이주화, 이 명숙, 2010; 이창수, 박상균, 안재명, 2012),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들 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디지털도서관 서비 스, 스마트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영희(2014a)는 최첨단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도서관서비스들을 발굴 하고 이러한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 도서관 적 용가능성을 밝혀내기 위해 차세대디지털도서 관을 논하고 있는 주요 논문과 기술관련 기사 및 논문 등 미래의 도서관에 응용될 수 있는 주 요 기술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디지 털도서관의 핵심적인 기술, 개념, 도구는 클라 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 실, 상황인식기술, 구글글래스, 혁명적 디스플 레이기술, 개방형의 연결된 콘텐츠제공방식이 될 것이라 주장하였다. 이와 함께, 김태영 외 (2017)의 연구에서는 도서관 스마트 디바이스 유형을 모바일․태블릿, 가상현실․증강현실 디바이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 이스, 3D 프린터․스캐너로 도출하였으며, 문 헌조사 및 온라인 조사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 스를 적용한 국내외 도서관 서비스 현황을 분석 하였다. 현황분석 결과와 실무자의 의견 수렴을 토대로 도서관 구성요소인 시설과 장서, 사서, 이용자를 기준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의 적용방 안을 제안하였다. 무인 스마트도서관에 관한 연구로 곽승진, 손 청기, 장근영(2018)은 무인 스마트도서관의 이 용과 운영사항,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미디 어 약자를 위한 편의기능 개선, 무인 스마트도 서관에 대한 홍보, 체계적인 운영 매뉴얼의 비 치, 도서 확충 및 관리와 체계적인 계획과 기준 에 따라 설치위치 설정 등의 무인 스마트도서 관 개선방안을 주장하였다.

(4)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의 디지 털자료(실), 디지털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를 대 상으로 이용 현황 및 만족도 등을 조사․연구 와 스마트도서관의 시스템 구현 및 개발 측면 의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 트도서관에 대한 서비스 또한 기술과 디바이스 측면에서 다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스 마트도서관의 도입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사서 를 대상으로 디지털자료의 운영실태를 조사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3. 연구방법

3.1 연구 질문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자료 관 리 인력, 디지털자료 관련 장비, 디지털콘텐츠 등의 운영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디지털자 료 이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 였으며, 도서관의 스마트디지털 환경 구축과 함께 스마트도서관 도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RQ 1: 전국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자료의 관리 인력 및 장비 현황은 어떠한가? ∙RQ 2: 전국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콘텐츠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3.2 연구방법 및 절차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 관리 및 운영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첫째, 공공도서관 디지털자 료실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디지털자료실 실태를 파 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전국 공공도서관을 선별하여 총 295개 디지털 자료실 및 디지털자료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 인 조사를 실시하여 운영실태를 파악하였다. 3.2.1 현황조사 대상 선정 및 진행 절차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 295개관을 선별하여, 디지털자료실 및 디지털 자료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디지털자료 실 태조사를 수행하였다. 295개 도서관의 디지털 자료실 및 디지털자료 담당자를 대상으로 온라 인 설문지를 개발하여 배포하였으며, 2020년 9 월 17일부터 10월 29일까지 총 213부의 설문지 가 회신되었다. 총 72.2%의 회신율로 나타났다 (<표 1> 참조). 3.2.2 현황조사 내용 설문지 구성은 이지원, 김수정(2013), 서은경 (2016), 노영희(2014b) 김태영 외(2017), 곽승 진, 손청기, 장근영(2018) 등의 선행연구를 기반 으로, 기존 진행되어 온 대학도서관 등의 디지털 콘텐츠, 디지털 도서관 등에 대한 연구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 담당자 를 대상으로 디지털자료에 대한 현황을 조사했다 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디지털자료 실태조사 설문지는 크게 디지털자료 담당 인력 및 장비 현황, 디지털자료 콘텐츠 현황으로 구분 하였다. 첫째, 디지털자료 담당 인력 및 장비 현황 은 담당자의 인력 현황과 디지털자료실의 장비, 공간 구성, 그리고 인터넷과 와이파이, 5G 서비

(5)

구분 내용 조사 대상 전국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디지털자료 담당자 표본 수 213명 표본추출 방법 전수 접촉 후 유효표본 추출 응답률 72.2% 자료수집 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조사 표본 추출틀 전국 공공도서관 선별 리스트(295개 도서관) 조사 기간 2020년 9월 17일 ~ 2020년 10월 29일 <표 1>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 실태조사 설계 구분 조사 항목 문항 수 디지털자료 담당 인력 및 장비 현황 디지털자료실 담당 인력 현황(직렬, 인원수) 8 도서관 인터넷 속도 수준 디지털자료실 시설 현황(면적, 이용자용 좌석수) 디지털자료실 공간 구성 디지털자료실 장비 구비 수 향후 3년 이내에 디지털자료실 폐지 및 리모델링 계획 개방형 와이파이 구축 여부, 구축 범위, 설치 개수 5G 서비스 도입 여부, 5G 서비스 제공 범위, 5G 구축 계획 디지털 콘텐츠 현황 전자책, 정기간행물 구입관리 여부 6 구입 및 구독 중인 디지털자료 중 전자책, 정기간행물 현황 전자책, 정기간행물외 구입 관리하는 디지털자료 유형 디지털자료 유형별 수량 디지털자료 유형별 열람 서비스 형태 디지털자료 전용 단말기 구비 및 단말기(디바이스, 전용기기 등) 유형(*데스크톱 PC, 노트북 및 태블릿PC 제외) <표 2> 설문 구조도 스 현황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디지 털콘텐츠 현황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책, 정기간행물 등의 디지털자료와 전용 단말기 유 형 및 현황 등으로 구분하였다(<표 2> 참조).

4. 분석 결과

4.1 응답자 특성 응답자는 총 213명이며, 소속기관별, 디지털 자료실 운영 여부, 지역, 직렬, 직급, 디지털자료 실 좌석수, 면적별 현황은 다음 <표 3>과 같다. 4.2 디지털자료 담당 인력 및 장비 현황 4.2.1 디지털자료 운영 여부 설문 응답 공공도서관의 80.8%가 디지털자 료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 역유형별로는 군(읍면지역) 소재 공공도서관 의 디지털자료실 운영 비율(69.6%)이 다른 지 역유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구분 사례수 % 전체 213 100 소속기관별 지자체 139 65.3 교육청 74 34.7 디지털자료실 운영 여부별 디지털자료실 운영 172 80.8 디지털자료실 비운영 41 19.2 지역유형별 서울특별시 27 12.7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4 16.0 중소도시 96 45.1 군(읍면지역) 56 26.3 지역별 서울 27 12.7 경기 38 17.8 강원 18 8.5 충청 27 12.7 호남 38 17.8 영남 65 30.5 직렬별 사서 149 70.0 행정 25 11.7 전산 29 13.6 기타 10 4.7 직급별 6급 21 9.9 7급 76 35.7 8급 47 22.1 9급 42 19.7 기타 27 12.7 디지털자료실 좌석수별 9석 이하 15 7.0 10~29석 64 30.0 30~59석 63 29.6 60석 이상 30 14.1 디지털자료만 관리 41 19.2 디지털자료실 면적별 잘 모름/13~70㎡ 53 24.9 71~150㎡ 39 18.3 151~300㎡ 47 22.1 301㎡ 이상 33 15.5 디지털자료 관리 41 19.2 <표 3> 세부 집단별 특성 지역별로 살펴보면, 호남 지역 공공도서관 의 디지털자료실 운영 비율(65.8%)이 다른 지역에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표 4> 참조). 4.2.2 디지털자료 담당 인력 디지털자료실 담당 인력은 도서관 담당인원 전체 중 평균 1.75명이 디지털자료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 중 0.95명이 사서직인

(7)

구분 사례수 디지털자료실 운영 디지털자료실 비운영 % % 전체 213 80.8 2.0 소속기관 지자체 139 82.0 18.0 교육청 74 78.4 21.6 지역유형별 서울 27 85.2 14.8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4 91.2 8.8 중소도시 96 82.3 17.7 군(읍면지역) 56 69.6 30.4 지역별 서울 27 85.2 14.8 경기 38 89.5 10.5 강원 18 77.8 22.2 충청 27 88.9 11.1 호남 38 65.8 34.2 영남 65 80.0 20.0 <표 4> 디지털자료실 운영 여부 구분 사례수 사서직 전산직 기타 담당인원 전체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전체 213 0.95 0.23 0.57 1.75 소속기관 지자체 139 0.92 0.31 0.64 1.87 교육청 74 1.00 0.09 0.43 1.53 디지털자료실 운영여부 운영 172 0.91 0.24 0.67 1.83 비운영 41 1.12 0.20 0.12 1.44 지역유형별 서울 27 1.85 0.41 0.26 2.52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4 1.00 0.18 0.71 1.88 중소도시 96 0.80 0.29 0.63 1.72 군(읍면지역) 56 0.73 0.09 0.54 1.36 지역별 서울 27 1.85 0.41 0.26 2.52 경기 38 0.82 0.32 0.68 1.82 강원 18 0.89 0.06 0.83 1.78 충청 27 0.96 0.22 0.70 1.89 호남 38 0.84 0.26 0.58 1.68 영남 65 0.72 0.15 0.49 1.37 <표 5> 디지털자료실 담당 인력 것으로 나타났다. 전산직은 0.23명으로 다른 직 렬에 비해 낮으며, 기타 직렬은 행정직, 시설직, 통신직, 공익요원, 기간제 직원 등인 것으로 파 악되었다. 디지털자료실 운영여부에 따라 디지털자료 를 운영하는 경우(기타 0.67명)가 그렇지 않은 경우(기타 0.12명)보다 기타 직렬 인력이 더 많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5> 참조).

(8)

4.2.3 관내 인터넷 속도 공공도서관 평균 인터넷 속도는 385.3Mbps 로 조사되었다. 지역유형별로는 광역시 및 특 별자치시 지역(평균 466.7Mbps)의 관내 인터 넷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6> 참조). 디지털자료실 면적별로는 면적이 301㎡ 이 상인 경우 평균 486.4Mbps로 가장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4.2.4 관내 개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현황 관내 개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현황은 개 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여부와 구축 범위, 공 유기 설치 대수로 구분하여 질의하였다. 먼저, 개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여부를 파 악한 결과, 응답 도서관의 97.2%가 이용자를 위 한 개방형 와이파이가 구축되어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고,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서 관은 2.8%로 나타났다. 지역유형별로 살펴보면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개방형 와이파이 설치비율은 일관되게 90%를 상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표 7> 참조). 다음으로 개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범위 를 질의한 결과, 개방형 와이파이 설치 도서관 의 77.8%에서 관내 전 지역 와이파이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유형별로 살펴보면, 광역시 및 특별자치 시(65.6%) 소재 공공도서관은 관내 전 지역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비율이 다른 지역 유 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분 사례수 99 Mbps 이하 100~499 Mbps 500~999 Mbps 1000Mbps 이상 잘 모름 인터넷 속도 % % % % % 평균 전체 207 27.2 30.0 17.4 20.2 5.2 385.3 소속기관 지자체 134 29.5 29.5 14.4 22.3 4.3 386.4 교육청 73 23.0 31.1 23.0 16.2 6.8 383.3 지역 유형별 서울 27 14.8 44.4 25.9 11.1 3.7 341.3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2 20.6 20.6 29.4 26.5 2.9 466.7 중소도시 95 26.0 28.1 16.7 22.9 6.3 413.9 군(읍면지역) 53 39.3 32.1 7.1 16.1 5.4 307.8 지역별 서울 27 14.8 44.4 25.9 11.1 3.7 341.3 경기 36 21.1 23.7 26.3 23.7 5.3 447.7 강원 17 50.0 16.7 16.7 11.1 5.6 267.9 충청 26 25.9 40.7 11.1 14.8 7.4 316.2 호남 38 28.9 28.9 10.5 21.1 10.5 402.5 영남 63 29.2 27.7 15.4 26.2 1.5 417.2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 모름/13~70㎡ 50 30.2 34.0 18.9 13.2 3.8 297.4 71~150㎡ 39 23.1 33.3 15.4 20.5 7.7 399.6 151~300㎡ 46 25.5 31.9 19.1 17.0 6.4 369.4 301㎡ 이상 32 18.2 30.3 21.2 30.3 0.0 486.4 디지털자료만 관리 40 36.6 19.5 12.2 24.4 7.3 420.5 <표 6> 관내 인터넷 속도

(9)

구분 사례수 와이파이 설치 와이파이 비설치 % % 전체 213 97.2 2.8 소속기관 지자체 139 96.4 3.6 교육청 74 98.6 1.4 지역유형별 서울 172 97.1 2.9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41 97.6 2.4 중소도시 27 100.0 0.0 군(읍면지역) 34 94.1 5.9 지역별 서울 96 99.0 1.0 경기 56 94.6 5.4 강원 27 100.0 0.0 충청 38 94.7 5.3 호남 18 94.4 5.6 영남 27 96.3 3.7 <표 7> 개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여부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호남(78.9%) 및 영 남(66.7%)의 경우 공공도서관 관내 전 지역에 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비율이 다른 지 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반면, 서울(88.9%)의 공공도서관은 다 른 지역에 비해 관내 전 지역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 다(<표 8> 참조). 개방형 와이파이(Wifi) 공유기 설치 대수를 분석한 결과, 개방형 와이파이 설치 도서관에는 평균 9.2대의 와이파이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유형별로는 군(읍면지 구분 사례수 관내 일부 지역 관내 전 지역 % % 전체 207 22.2 77.8 소속기관 지자체 134 20.9 79.1 교육청 73 24.7 75.3 지역유형별 서울 27 11.1 88.9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2 34.4 65.6 중소도시 95 23.2 76.8 군(읍면지역) 53 18.9 81.1 지역별 서울 27 11.1 88.9 경기 36 16.7 83.3 강원 17 17.6 82.4 충청 26 19.2 80.8 호남 38 21.1 78.9 영남 63 33.3 66.7 <표 8> 개방형 와이파이(Wifi) 구축 범위

(10)

구분 사례수 1~4대 5~9대 10~14대 15대 이상 잘 모름 설치 대수 % % % % % 평균 전체 207 38.6 24.2 16.4 20.3 0.5 9.2 소속 기관 지자체 134 36.6 25.4 14.9 22.4 0.7 9.6 교육청 73 42.5 21.9 19.2 16.4 0.0 8.6 지역 유형별 서울 27 14.8 18.5 29.6 37.0 0.0 14.6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2 37.5 21.9 21.9 18.8 0.0 10.1 중소도시 95 30.5 26.3 15.8 26.3 1.1 10.0 군(읍면지역) 53 66.0 24.5 7.5 1.9 0.0 4.6 지역별 서울 27 14.8 18.5 29.6 37.0 0.0 14.6 경기 36 16.7 22.2 25.0 33.3 2.8 12.2 강원 17 64.7 23.5 0.0 11.8 0.0 5.6 충청 26 57.7 26.9 3.8 11.5 0.0 7.3 호남 38 55.3 15.8 21.1 7.9 0.0 6.7 영남 63 36.5 31.7 12.7 19.0 0.0 8.6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 모름/13~70㎡ 50 50.0 30.0 16.0 2.0 2.0 5.8 71~150㎡ 39 46.2 17.9 20.5 15.4 0.0 8.4 151~300㎡ 46 26.1 26.1 8.7 39.1 0.0 12.5 301 ㎡ 이상 32 15.6 21.9 21.9 40.6 0.0 14.2 디지털자료만 관리 40 50.0 22.5 17.5 10.0 0.0 6.6 <표 9> 개방형 와이파이(Wifi) 공유기 설치 대수 역) 소재 공공도서관의 공유기 설치 대수(평균 4.6대)가 다른 지역유형의 공유기 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평균 14.6대)․경 기(12.2대) 지역 도서관의 공유기 설치 대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한, 디지털 자료실의 면적이 넓어질수록(도서 관의 규모가 커질수록) 공유기 설치 대수도 많 아지는 경향을 보였다(<표 9> 참조). 4.2.5 관내 5G 서비스 제공 여부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 팅, 로봇공학 등 신기술과 결합하여 모든 제품 과 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 화하는 등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할 것으로 주 목받고 있는 5G(5세대 이동통신)(국회도서관, 2019)에 대한 서비스 여부를 질의하였다. 그 결 과, 전체 응답 공공도서관 213개관 중 11.3%의 도서관에서만이 5G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5G 서비스를 도입하지 않은 경우 50.8%가 도 입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G 서비스 도입 비율은 지자체 소속 공공도 서관(13.7%), 지역유형별로는 서울(18.5%) 외 에는 중소도시(12.5%) 지역 소재 공공도서관의 5G 서비스 도입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 로 파악되었다. 지역별로는 영남(33.3%), 경기(15.8%) 지역 소재 공공도서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표 10> 참조).

(11)

구분 사례수 5G 서비스 도입 5G 서비스 비도입 % % 전체 213 11.3 88.7 소속기관 지자체 139 13.7 86.3 교육청 74 6.8 93.2 지역유형별 서울 27 18.5 81.5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2 5.9 94.1 중소도시 95 12.5 87.5 군(읍면지역) 53 8.9 91.1 지역별 서울 27 18.5 81.5 경기 38 15.8 84.2 강원 18 11.1 88.9 충청 27 11.1 88.9 호남 38 7.9 92.1 영남 63 33.3 66.7 <표 10> 관내 5G 서비스 제공 여부 4.2.6 디지털자료실 면적 및 좌석 수 디지털자료실 면적 및 좌석 수에 대해 질의 한 결과, 응답한 도서관 172개관이 디지털자료 실을 운영하는 경우 디지털자료실 면적은 평균 187.4㎡이며, 평균 39.4석이 구비되어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소속기관별로 분석한 결과, 지자체 공공도서 관보다는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이 평균과 좌 석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유형별로는 군(읍면지역) 소재 공공도서 관 디지털자료실의 규모가 다른 지역유형에 비 해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 지역 디지털자료실 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으 며, 평균적인 좌석 수 역시 더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표 11> 참조). 4.2.7 디지털자료실 공간 구성 현황 디지털자료실 공간 구성에 대한 172개관의 응답 결과, 디지털자료실의 주요 구성 공간은 멀 티미디어 열람실과 교육․학습 공간으로 나타 났다. 디지털자료실에는 별도로 멀티미디어 열 람실(64.0%)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많 았으며, 다음으로는 교육 및 학습 공간(33.1%) 이 구비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별도의 공간은 없지만 좌석별로는 구분된 경우도 16.3%로 조 사되었다.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보다는 지자체 공공 도서관의 경우에 학습 및 교육 공간(36.8%)을 확보한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지 역유형별로는 중소도시 지역 공공도서관의 경우 다른 지역유형에 비해 이용자 휴식공간(13.9%) 을 확보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강원․충청 지역에서 학습 및 교육 공간을 확보한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강원․영남 지 역 공공도서관에서는 이용자 휴식공간을 확보 한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 되었다(<표 12> 참조).

(12)

구분 사례수 디지털자료실 면적 다지털자료실 좌석수 평균(㎡) 평균(석) 전체 172 187.4 39.4 소속기관 지자체 114 192.7 40.8 교육청 58 176.7 36.7 지역유형별 서울 27 209.0 52.8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2 206.5 47.1 중소도시 95 204.0 43.1 군(읍면지역) 53 126.6 18.3 지역별 서울 23 209.0 52.8 경기 34 242.1 51.1 강원 14 210.0 43.7 충청 24 202.0 29.8 호남 25 121.6 25.1 영남 52 161.1 36.3 <표 11> 디지털자료실 면적 및 좌석 수 구분 사례수 멀티미디어 열람실 학습 및 교육 공간 이용자 휴식 공간 멀티미디어 제작편집실 좌석별 구분 공간 구분 없음 % % % % % % 전체 172 64.0 33.1 9.3 5.2 16.3 31.4 소속 기관 지자체 114 64.0 36.8 9.6 4.4 13.2 33.3 교육청 58 63.8 25.9 8.6 6.9 22.4 27.6 지역 유형별 서울 23 82.6 30.4 8.7 8.7 30.4 21.7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1) 51.6 25.8 3.2 6.5 16.1 41.9 중소도시 (79) 58.2 35.4 13.9 6.3 17.7 30.4 군(읍면지역) (39) 74.4 35.9 5.1 0.0 5.1 30.8 지역별 서울 23 82.6 30.4 8.7 8.7 30.4 21.7 경기 34 61.8 35.3 11.8 8.8 11.8 41.2 강원 14 57.1 42.9 14.3 7.1 14.3 21.4 충청 24 66.7 41.7 4.2 4.2 16.7 29.2 호남 25 48.0 24.0 4.0 0.0 4.0 44.0 영남 52 65.4 30.8 11.5 3.8 19.2 26.9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53 60.4 24.5 7.5 0.0 9.4 43.4 71~150㎡ 39 59.0 30.8 2.6 7.7 5.1 33.3 151~300㎡ 47 66.0 34.0 10.6 0.0 23.4 25.5 301㎡ 이상 33 72.7 48.5 18.2 18.2 30.3 18.2 <표 12> 디지털자료실 공간 구성 현황(복수응답) 4.2.8 디지털자료실 장비 구비 현황 디지털자료실에서 가장 많이 구비하는 장비 는 이용자용 데스크톱 컴퓨터(99.4%)로, 평균 26.1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으로 프린터(63.4%)와 스캐너(63.4%), TV/모 니터(57.6%) 순으로 파악되었다.

(13)

구비 수량 역시 데스크톱 컴퓨터(26.1대)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TV/모니터(7.3대)의 수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장비는 발표용 스크린, 빔프로젝터, 팩스, 전자책 전용 단말기, CD플레이어, DVD플레이어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유형별로는 군(읍면지역) 소재 공공도 서관의 데스크톱 컴퓨터(평균 14.3대) 및 TV/ 모니터(평균 1.2대) 보유 수량이 다른 지역유 형에 비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 지역의 데스크톱 컴 퓨터와 TV/모니터 보유 수량이 다른 지역에 비 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외 지역으로는 강원․영남 지역의 데스크톱 컴퓨터와 TV/모 니터 수량이 충청․호남 지역에 비해 많은 것으 로 나타났다(<표 13> 참조). 4.2.9 디지털자료실 향후 리모델링 계획 디지털자료실 운영 도서관의 76.7%는 디지 털자료실에 대한 리모델링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6.3%만이 3년 이내 리모델링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폐지 계획에 있는 도서 관이 7.0%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도서관(1998년 개관)의 경우 리모델링 후 2020 년 11월 재개관 예정이었으며, 조사에 참여한 공 공도서관 중에는 2021년 리모델링이 계획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속기관별로는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이 리 모델링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20.7%로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 구분 사례수 데스크톱 컴퓨터 프린터 스캐너 TV/ 모니터 복합기 복사기 기타 평균(대) 평균(대) 평균(대) 평균(대) 평균(대) 평균(대) 평균(대) 전체 172 26.1 0.9 0.8 7.3 0.5 0.2 2.5 소속 기관 지자체 114 26.7 0.8 0.8 7.7 0.6 0.2 2.7 교육청 58 25.1 1.0 0.9 6.4 0.4 0.3 2.1 지역 유형별 서울 23 34.4 1.3 1.2 10.0 0.6 0.3 2.3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1 29.0 1.2 1.0 8.2 0.5 0.3 3.2 중소도시 79 28.5 0.8 0.9 9.1 0.5 0.2 3.0 군(읍면지역) 39 14.3 0.4 0.3 1.2 0.5 0.1 1.2 지역별 서울 23 34.4 1.3 1.2 10.0 0.6 0.3 2.3 경기 34 34.3 0.9 1.2 11.6 0.8 0.1 2.2 강원 14 26.7 0.6 0.8 6.5 0.4 0.1 5.7 충청 24 20.2 0.8 0.4 1.6 0.5 0.2 0.9 호남 25 20.8 0.8 0.4 4.1 0.3 0.2 3.6 영남 52 22.4 0.8 0.8 7.6 0.4 0.2 2.3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53 15.3 0.7 0.5 2.9 0.3 0.2 1.7 71~150㎡ 39 20.8 0.6 0.6 4.6 0.5 0.2 2.5 151~300㎡ 47 28.2 0.9 0.8 8.3 0.6 0.1 3.3 301㎡ 이상 33 47.0 1.4 1.5 15.8 0.7 0.3 2.9 <표 13> 디지털자료실 장비 구비 현황

(14)

구분 사례수 계획 없음 리모델링 계획 있음 폐지 계획 있음 % % % 전체 172 76.7 16.3 7.0 소속기관 지자체 114 80.7 14.0 5.3 교육청 58 69.0 20.7 10.3 지역 유형별 서울 23 78.3 17.4 4.3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1 74.2 19.4 6.5 중소도시 79 78.5 13.9 7.6 군(읍면지역) 39 74.4 17.9 7.7 지역별 서울 23 78.3 17.4 4.3 경기 34 88.2 8.8 2.9 강원 14 71.4 7.1 21.4 충청 24 70.8 25.0 4.2 호남 25 76.0 20.0 4.0 영남 52 73.1 17.3 9.6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53 81.1 13.2 5.7 71~150㎡ 39 82.1 10.3 7.7 151~300㎡ 47 68.1 21.3 10.6 301㎡ 이상 33 75.8 21.2 3.0 <표 14> 디지털자료실 향후 리모델링 계획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유형별로는 중소도시 지역 소재 공공도 서관의 리모델링 계획 비율(13.9%)이 다른 지 역유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청․호남 지역 공공도서관에 서 리모델링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자료실 면적이 151㎡ 이상으로 비 교적 디지털자료실 규모가 큰 경우에 리모델링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14> 참조). 4.3 디지털자료 보유 현황 4.3.1 디지털자료 유형별 보유 비율 공공도서관의 주요 디지털자료는 영상 콘텐 츠와 오디오북 및 전자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13개의 응답 내용 을 살펴보면,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보유 하고 있는 디지털자료는 영상 콘텐츠(63.8%) 이며, 다음으로는 전자책(53.5%)과 오디오북 (53.5%) 순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은 전자책(63.3%) 과 오디오북(61.2%)의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 로 높은 반면,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영상 콘텐츠(73.2%)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지털자료실을 운영하는 경우에 전자책 (56.4%) 보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 면, 디지털자료만 관리하는 경우에는 영상 콘 텐츠(71.6%) 보유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지역유형별로는 서울특별시와 중소도시 지 역의 경우 전자책과 오디오북의 보유 비율이

(15)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영 상 콘텐츠는 서울특별시와 광역시 및 특별자치 시 지역에서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호남 지역은 다른 지 역에 비해 전자책(65.8%)과 오디오북(68.4%)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 으며, 영남 지역은 서울․경기 지역을 제외하 면 영상 콘텐츠(69.2%) 보유 비율이 다른 지 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디지털자료실 면적별로 살펴보면, 자료실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정기간행물과 오 디오북 보유 비율 역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 다(<표 15> 참조). 4.3.2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보유 현황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보유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자책․정기간행물 보유 수량 및 보유 유형과 수량, 유형,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전용 단말기 구비 여부,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구입 사(유통업체) 등에 대해 질의하였다. 먼저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의 전체 수량과 유 형을 살펴보면, 전자책은 평균 9,597종을 보유하 고 있으며 정기간행물은 평균 1,222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간행물은 전자책에 비 해 유통사 서버를 통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6> 참조).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보유 수량의 경우, 전자 책은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1,220종)에서 보 구분 사례수 전자책 정기간행물 오디오북 영상 콘텐츠 영상 외 비도서 기타/ 무응답 % % % % %) % 전체 213 53.5 18.3 53.5 63.8 10.3 10.8 소속기관 지자체 139 63.3 18.7 61.2 59.7 5.8 10.1 교육청 74 35.1 17.6 39.2 71.6 18.9 12.2 디지털 자료실 운영 172 56.4 18.6 53.5 61.6 11.0 13.4 비운영 41 41.5 17.1 53.7 73.2 7.3 0.0 지역 유형별 서울 27 63.0 25.9 51.9 70.4 22.2 11.1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2 44.1 8.8 50.0 70.6 5.9 17.6 중소도시 95 57.3 22.9 60.4 59.4 11.5 10.4 군(읍면지역) 53 48.2 12.5 44.6 64.3 5.4 7.1 지역별 서울 27 63.0 25.9 51.9 70.4 22.2 11.1 경기 38 55.3 23.7 52.6 55.3 15.8 15.8 강원 18 44.4 33.3 44.4 66.7 0.0 16.7 충청 27 55.6 29.6 44.4 66.7 3.7 11.1 호남 38 65.8 13.2 68.4 55.3 18.4 5.3 영남 65 43.1 6.2 52.3 69.2 3.1 9.2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53 43.4 7.5 41.5 58.5 11.3 18.9 71~150㎡ 39 51.3 10.3 53.8 59.0 10.3 2.6 151~300㎡ 47 72.3 27.7 59.6 66.0 12.8 14.9 301㎡ 이상 33 60.6 33.3 63.6 63.6 9.1 15.2 디지털자료만 관리 41 41.5 17.1 53.7 73.2 7.3 0.0 <표 15> 디지털자료 유형별 보유 비율(복수응답)

(16)

구분 전자책 정기간행물

평균 평균

사례수 114 39

보유 수량

총 자료보유량(2020년 8월 기준) 9,597종 1,222종 1종 당 구매 copy(2020년 기준) 2copy 16copy 연간 구독계약 종수(2020년 기준) 1,143종 1,179종 보유 유형 (합계 100%) 자체 서버 66.1% 21.9% 유통사 서버 33.9% 78.1% <표 16>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전체 보유 수량 및 유형 유하거나 구독하고 있는 종수가 상대적으로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정기간행물은 교육 청 소속 공공도서관(2,622종)에서 보유하거나 구독하는 종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유형별로는 전자책 평균 보유량은 중소 도시 지역(12,146종)이 가장 많고, 정기간행물 보유 종수는 군(읍면지역) 소재 공공도서관 (2,140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연간 평균 구독계약 종수(143종)는 이에 미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전자책 평균 보유량은 경기 지 역(14,325종)이 가장 많고, 정기간행물 연간 평 균 구독계약 종수는 강원 지역(2,236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17> 참조). 구분 전자책 정기간행물 사례수 총자료 보유량 1종당 구매copy 연간 구독 계약 종수 사례수 총자료 보유량 1종당 구매copy 연간 구독 계약 종수 평균(종) 평균(copy) 평균(종) 평균(종) 평균(copy) 평균(종) 전체 114 9,597 2 1,143 39 1,222 16 1,179 소속 기관 지자체 88 10,138 2 1,220 26 686 12 457 교육청 26 7,766 2 884 13 2,293 23 2,622 디지털 자료실 운영 97 10,156 2 921 32 1,468 11 1,355 비운영 17 6,409 2 2,414 7 96 31 375 지역 유형별 서울 17 8,606 2 1,419 7 1,032 1 1,611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5 7,316 3 3,616 3 101 1 181 중소도시 55 12,146 2 871 22 1,143 1 1,507 군(읍면지역) 27 6,298 2 152 7 2,140 31 143 지역별 서울 17 8,606 2 1,419 7 1,032 1 1,611 경기 21 14,325 3 716 9 1,096 36 1,291 강원 8 9,660 3 114 6 108 55 2,236 충청 15 7,162 2 303 8 1,794 1 95 호남 25 8,934 2 2,818 5 25 1 410 영남 28 8,533 2 547 4 3,858 6 1,712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3 9,686 2 2,533 4 113 72 145 71~150㎡ 20 7,118 2 264 4 1,471 1 1,471 151~300㎡ 34 9,783 2 416 13 1,921 3 1,950 301㎡ 이상 20 14,370 3 582 11 1,424 1 1,049 디지털자료만 관리 17 6,409 2 2,414 7 96 31 375 <표 17>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보유 수량

(17)

다음으로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보유 유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자책은 자체 서버(66.1%), 정기간행물은 유통사 서버(78.1%)에 보유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디지털자료실 운영 시 전자책은 자체 서버 67.4%, 정기간행물은 자체 서버 26.7%로 디지 털자료실 운영 시 자체 서버 보유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8> 참조).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전용 단말기 구비 여 부를 파악한 결과, 전자책과 정기간행물 모두 모든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며, 정기간행물은 전자책에 비해 전용 단말기에서 만 이용가능한 경우(23.1%)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은 교육청 소속 공공 도서관에 비해 전자책의 경우 모든 단말기에서 이용가능하다는 응답(86.4%)이 더 많았으며, 정 기간행물은 전용 단말기에서만 이용가능하다는 응답(26.9%)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9> 참조).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구입사(유통업체)의 경우, 전자책 주요 유통사는 교보문고(68.4%), 예스24(43.9%) 및 북큐브(41.2%)인 것으로 나 타났다.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에서는 예스24(53.3%) 와 북큐브(57.7%)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보면 경기․호남지역에서는 교 보문고, 예스24는 강원․영남 지역에서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0> 참조). 구분 전자책 정기간행물 사례수 자체 서버 유통사 서버 사례수 자체 서버 유통사 서버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전체 114 66.1 33.9 39 21.9 78.1 소속 기관 지자체 88 60.8 39.2 26 21.2 78.8 교육청 26 84.0 16.0 13 23.3 76.7 디지털 자료실 운영 97 67.4 32.6 32 26.7 73.3 비운영 17 58.8 41.2 7 0.0 100.0 지역 유형별 서울 17 59.1 40.9 7 0.0 100.0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5 66.7 33.3 3 66.7 33.3 중소도시 55 67.9 32.1 22 20.6 79.4 군(읍면지역) 27 66.7 33.3 7 28.6 71.4 지역별 서울 17 59.1 40.9 7 0.0 100.0 경기 21 71.4 28.6 9 22.2 77.8 강원 8 87.5 12.5 6 16.7 83.3 충청 15 56.7 43.3 8 18.8 81.3 호남 25 56.0 44.0 5 40.0 60.0 영남 28 74.5 25.5 4 50.8 49.3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3 53.7 46.3 4 12.5 87.5 71~150㎡ 20 70.0 30.0 4 25.0 75.0 151~300㎡ 34 72.1 27.9 13 23.3 76.7 301㎡ 이상 20 72.7 27.3 11 36.4 63.6 디지털자료만 관리 17 58.8 41.2 7 0.0 100.0 <표 18>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보유 유형

(18)

구분 전자책 정기간행물 사례수 범용 이용 범용+ 전용 전용 단말기만 잘 모름 사례수 범용 이용 범용+ 전용 전용 단말기만 % % % % % % % 전체 114 83.3 8.8 5.3 2.6 39 69.2 7.7 23.1 소속 기관 지자체 88 86.4 8.0 4.5 1.1 26 65.4 7.7 26.9 26 73.1 11.5 7.7 7.7 13 76.9 7.7 15.4 교육청 디지털 자료실 운영 97 84.5 9.3 4.1 2.1 32 75.0 6.3 18.8 비운영 17 76.5 5.9 11.8 5.9 7 42.9 14.3 42.9 지역 유형별 서울 17 70.6 17.6 11.8 0.0 7 57.1 14.3 28.6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5 100.0 0.0 0.0 0.0 3 100.0 0.0 0.0 중소도시 55 80.0 7.3 7.3 5.5 22 63.6 27.3 9.1 27 88.9 11.1 0.0 0.0 7 85.7 14.3 0.0 군(읍면지역) 지역별 서울 17 70.6 17.6 11.8 0.0 7 57.1 14.3 28.6 경기 21 90.5 4.8 0.0 4.8 9 66.7 11.1 22.2 강원 8 37.5 62.5 0.0 0.0 6 83.3 16.7 0.0 충청 15 93.3 0.0 0.0 6.7 8 87.5 0.0 12.5 호남 25 88.0 0.0 12.0 0.0 5 40.0 0.0 60.0 영남 28 89.3 3.6 3.6 3.6 4 75.0 0.0 25.0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3 82.6 13.0 4.3 0.0 4 63.3 6.7 30.0 71~150㎡ 20 80.0 10.0 5.0 5.0 4 75.0 25.0 0.0 151~300㎡ 34 82.4 8.8 5.9 2.9 13 100.0 0.0 0.0 301㎡ 이상 20 95.0 5.0 0.0 0.0 11 100.0 0.0 0.0 디지털자료만 관리 17 76.5 5.9 11.8 5.9 7 100.0 0.0 0.0 <표 19>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전용 단말기 구비 여부 구분 전자책 사례수 교보 문고 예스24 북큐브 웅진 OPMS 우리 전자책 누리 미디어 알라딘 ECO 영풍 문고 북토비 한국학 술정보 기타 % % % % % % % % % % % % 전체 114 68.4 43.9 41.2 20.2 19.3 6.1 5.3 3.5 3.5 2.6 2.6 17.5 소속 기관 지자체 88 68.2 40.9 36.4 14.8 17.0 3.4 3.4 4.5 1.1 3.4 1.1 13.6 교육청 26 69.2 53.8 57.7 38.5 26.9 15.4 11.5 0.0 11.5 0.0 7.7 30.8 디지털 자료실 운영 97 67.0 42.3 42.3 22.7 19.6 3.1 5.2 4.1 4.1 2.1 3.1 18.6 비운영 17 76.5 52.9 35.3 5.9 17.6 23.5 5.9 0.0 0.0 5.9 0.0 11.8 지역유 형별 서울 17 52.9 35.3 17.6 17.6 11.8 0.0 0.0 5.9 0.0 0.0 5.9 17.6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5 66.7 40.0 46.7 26.7 6.7 13.3 0.0 6.7 0.0 6.7 6.7 13.3 중소도시 55 80.0 52.7 43.6 27.3 32.7 5.5 9.1 1.8 7.3 3.6 1.8 21.8 군(읍면지역) 27 55.6 33.3 48.1 3.7 3.7 7.4 3.7 3.7 0.0 0.0 0.0 11.1 지역별 서울 17 52.9 35.3 17.6 17.6 11.8 0.0 0.0 5.9 0.0 0.0 5.9 17.6 경기 21 90.5 23.8 14.3 23.8 38.1 0.0 4.8 0.0 4.8 9.5 0.0 23.8 강원 8 50.0 100 25.0 25.0 37.5 12.5 0.0 0.0 0.0 0.0 0.0 25.0 충청 15 60.0 33.3 60.0 26.7 6.7 0.0 0.0 6.7 0.0 0.0 0.0 26.7 호남 25 92.0 40.0 56.0 8.0 8.0 20.0 4.0 0.0 4.0 4.0 0.0 4.0 영남 28 50.0 57.1 57.1 25.0 21.4 3.6 14.3 7.1 7.1 0.0 7.1 17.9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3 87.0 34.8 43.5 8.7 13.0 4.3 4.3 4.3 4.3 4.3 4.3 .0 71~150㎡ 20 55.0 35.0 35.0 20.0 30.0 5.0 5.0 0.0 0.0 0.0 10.0 25.0 151~300㎡ 34 67.6 52.9 47.1 32.4 11.8 0.0 8.8 2.9 8.8 0.0 0.0 20.6 301㎡ 이상 20 55.0 40.0 40.0 25.0 30.0 5.0 0.0 10.0 0.0 5.0 0.0 30.0 디지털자료만 관리 17 76.5 52.9 35.3 5.9 17.6 23.5 5.9 0.0 0.0 5.9 0.0 11.8 <표 20> 전자책 구입사(유통업체)

(19)

정기간행물을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정기간 행물 유통사는 누리미디어(23.1%), 한국학술 정보(17.9%) 및 모아진(15.4%) 순으로 조사 되었다.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에서는 누리미 디어(38.5%)와 한국학술정보(38.5%)의 점유 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지역은 누리미디어 (42.9%)가 가장 높은 반면, 경기 지역은 한국 학술정보(33.3%)와 모아진(33.3%), 강원 지 역은 특히 누리미디어의 점유율이 50%로 나 타나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21> 참조). 4.3.3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외 디지털자료 보유 현황 전자책․정기간행물 외 디지털자료 보유 수 량과 디지털자료 열람 서비스 형태, 디지털자료 용 보유 단말기(디바이스) 유형으로 구분하여 전 자책․정기간행물 외 디지털자료 보유 현황을 파악하였다. 전자책 및 정기간행물 외 디지털자료 보유 수 량을 살펴보면, 오디오북은 평균 781종, 영상 콘 텐츠는 4,985종, 영상외 비도서 콘텐츠는 3,616 종, 기타 디지털자료는 626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정기간행물 사례수 누리 미디어 한국학 술정보 모아진 교보 문고 예스24 플랜 디엠 북큐브 다하미 퍼시픽 미디어 웅진 OPMS 학술 교육원 기타 % % % % % % % % % % % % 전체 39 23.1 17.9 15.4 12.8 12.8 10.3 7.7 7.7 7.7 5.1 5.1 23.1 소속 기관 지자체 26 15.4 7.7 15.4 15.4 11.5 7.7 7.7 11.5 11.5 3.8 3.8 19.2 교육청 13 38.5 38.5 15.4 7.7 15.4 15.4 7.7 0.0 0.0 7.7 7.7 30.8 디지털 자료실 운영 32 21.9 18.8 12.5 15.6 12.5 12.5 9.4 6.3 9.4 6.3 3.1 25.0 비운영 7 28.6 14.3 28.6 0.0 14.3 0.0 0.0 14.3 0.0 0.0 14.3 14.3 지역 유형별 서울 7 42.9 14.3 0.0 0.0 14.3 0.0 0.0 14.3 0.0 0.0 0.0 28.6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3 0.0 0.0 33.3 0.0 0.0 33.3 0.0 0.0 0.0 0.0 0.0 33.3 중소도시 22 27.3 27.3 13.6 18.2 9.1 13.6 13.6 9.1 4.5 4.5 9.1 27.3 군(읍면지역) 7 0.0 0.0 28.6 14.3 28.6 0.0 0.0 0.0 28.6 14.3 0.0 0.0 지역별 서울 7 42.9 14.3 0.0 0.0 14.3 0.0 0.0 14.3 0.0 0.0 0.0 28.6 경기 9 22.2 33.3 33.3 11.1 0.0 0.0 11.1 0.0 11.1 0.0 22.2 11.1 강원 6 50.0 33.3 33.3 0.0 16.7 33.3 0.0 0.0 0.0 0.0 0.0 0.0 충청 8 0.0 0.0 0.0 25.0 25.0 12.5 0.0 0.0 25.0 12.5 0.0 25 호남 5 20.0 0.0 0.0 20.0 0.0 0.0 20.0 20.0 0.0 0.0 0.0 40.0 영남 4 0.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0.0 25.0 0.0 50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 /13~70㎡ 4 0.0 0.0 25.0 50.0 25.0 0.0 25.0 0.0 25.0 0.0 0.0 0.0 71~150㎡ 4 25.0 0.0 50.0 0.0 0.0 0.0 0.0 0.0 0.0 0.0 25.0 50.0 151~300㎡ 13 30.8 30.8 0.0 7.7 15.4 15.4 7.7 15.4 7.7 15.4 0.0 30.8 301㎡ 이상 11 18.2 18.2 9.1 18.2 9.1 18.2 9.1 0.0 9.1 0.0 0.0 18.2 디지털자료만 관리 7 28.6 14.3 28.6 0.0 14.3 0.0 0.0 14.3 0.0 0.0 14.3 14.3 <표 21> 정기간행물 구입사(유통업체)

(20)

지자체 소속에 비해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이 전자책․정기간행물 이외의 디지털자료를 더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디지털자료실을 운영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영상 콘텐츠(5,289종)와 영상 외 비도서 콘텐츠(3,762종)의 평균 종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유형별로 보면 오디오북 평균 보유량은 중소도시 지역(913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보면 오디오북 평균 보유량은 영남 지역(896종)이 가장 많고, 영상 콘텐츠 평 균 보유량은 서울 지역(6,992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22> 참조). 전자책․정기간행물 이외의 디지털자료에 대 한 열람 서비스 형태를 살펴보면, 오디오북은 주로 스트리밍(70.2%)과 다운로드(50.9%) 방식으로 열람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소속기관별로 분석한 결과, 지자체 소속 공공 도서관은 스트리밍(75.3%)과 다운로드(52.9%),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비도서 대출(58.6%) 형태로 서비스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지역유형별로 보면 중소도시 지역에서는 다 른 지역에 비해 스트리밍(77.6%)과 다운로드 (55.2%) 형태로 서비스하는 비율이 다른 지역 에 비해 높은 반면, 군(읍면지역)은 다른 지역 구분 오디오북 동영상 콘텐츠 동영상 외 비도서 기타 사례수 평균(종) 사례수 평균(종) 사례수 평균(종) 사례수 평균(종) 전체 114 781 136 4,985 22 3,616 6 626 소속 기관 지자체 85 712 83 4,383 8 2,411 5 746 교육청 29 990 53 5,922 14 4,274 1 146 디지털 자료실 운영 92 750 106 5,289 19 3,762 6 626 비운영 22 908 30 3,895 3 2,526 0 0 지역 유형별 서울 14 762 19 6,992 6 3,602 3 781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7 632 24 5,302 24 12,500 1 76 중소도시 58 913 57 5,737 57 3,330 2 746 군(읍면지역) 25 586 36 2,620 36 362 0 0 지역별 서울 14 762 19 6,992 6 3,602 3 781 경기 20 857 21 6,525 6 5,692 0 0 강원 8 802 12 3,755 0 0 2 746 충청 12 431 18 3,013 1 1,081 1 76 호남 26 742 21 3,908 7 2,350 0 0 영남 34 896 45 5,015 2 920 0 0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2 354 31 3,740 6 995 1 1,346 71~150㎡ 21 588 23 3,916 4 2,582 0 0 151~300㎡ 28 926 31 5,989 6 4,241 3 569 301㎡ 이상 21 1,056 21 7,896 3 7,302 2 76 디지털자료만 관리 22 908 30 3,895 3 2,526 0 0 <표 22> 전자책․정기간행물 외 디지털자료 보유 수량

(21)

에 비해 비도서 대출 형태로 오디오북을 서비 스하는 비율(48.0%)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스트리밍(85.0%)과 다운로드(65.0%) 형 태로 서비스하는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대로 영․호남 지역은 다 른 지역에 비해 비도서 대출 형태로 오디오북을 서비스하는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표 23> 참조). 동영상 콘텐츠의 열람 서비스 형태를 살펴보 면, 동영상 콘텐츠 대부분이 비도서 대출(91.3%) 형태로 서비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 면 다운로드는 0.7%로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다운로드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은 스트리밍 (26.5%),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비도서 대 출(98.1%) 형태로 서비스하는 비율이 높은 것 으로 조사되었다(<표 24> 참조). 전자책․정기간행물 이외 디지털자료용 보 유 단말기(디바이스) 유형으로 오디오북용으 로는 별다른 단말기(디바이스)를 보유하지 않 고 있는 가운데 CD플레이어(11.4%)와 키오스 크(5.3%)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 로 파악되었다. 구분 오디오북 사례수 스트리밍 다운로드 비도서 대출 잘 모름 % % % % 전체 114 70.2 50.9 36.0 1.8 소속기관 지자체 85 75.3 52.9 28.2 1.2 교육청 29 55.2 44.8 58.6 3.4 디지털 자료실 운영 92 69.6 47.8 31.5 2.2 비운영 22 72.7 63.6 54.5 0.0 지역 유형별 서울 14 71.4 42.9 35.7 0.0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7 58.8 52.9 29.4 0.0 중소도시 58 77.6 55.2 32.8 3.4 군(읍면지역) 25 60.0 44.0 48.0 0.0 지역별 서울 14 71.4 42.9 35.7 0.0 경기 20 85.0 65.0 25.0 0.0 강원 8 87.5 37.5 12.5 0.0 충청 12 75.0 58.3 16.7 0.0 호남 26 80.8 57.7 46.2 3.8 영남 34 47.1 41.2 47.1 2.9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2 68.2 40.9 40.9 4.5 71~150㎡ 21 52.4 52.4 38.1 0.0 151~300㎡ 28 75.0 50.0 28.6 3.6 301㎡ 이상 21 81.0 47.6 19.0 0.0 디지털자료만 관리 22 72.7 63.6 54.5 0.0 <표 23> 오디오북 보유 수량

(22)

구분 동영상 콘텐츠 사례수 스트리밍 다운로드 비도서 대출 % % % 전체 136 21.3 0.7 91.9 소속기관 지자체 83 26.5 0.0 88.0 교육청 53 13.2 1.9 98.1 디지털 자료실 운영 106 24.5 0.9 91.5 비운영 30 10.0 0.0 93.3 지역 유형별 서울 19 15.8 0.0 94.7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24 25.0 0.0 91.7 57 22.8 0.0 89.5 중소도시 군(읍면지역) 36 19.4 2.8 94.4 지역별 서울 19 15.8 0.0 94.7 경기 21 23.8 0.0 90.5 강원 12 16.7 0.0 91.7 충청 18 11.1 5.6 100.0 호남 21 28.6 0.0 90.5 영남 45 24.4 0.0 88.9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31 19.4 0.0 90.3 71~150㎡ 23 26.1 0.0 87.0 151~300㎡ 31 32.3 0.0 90.3 301㎡ 이상 21 19.0 4.8 100.0 디지털자료만 관리 30 10.0 0.0 93.3 <표 24> 동영상 콘텐츠 보유 수량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오디오북용 단말 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로 CD플레이어 (1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자체 소속 공 공도서관이 교육청 소속에 비해 보다 다양한 오 디오북용 단말기(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CD플레이어(10.6%) 외에는 키오스크(7.1%) 구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유형별로는 광역시 밑 특별자치시 지역 에서 CD플레이어(23.5%)와 키오스크(11.8%) 구비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충청 지역은 CD플레이어 (16.7%), 영남 지역은 키오스크(11.8%) 구비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표 25> 참조).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 동영상 콘텐츠용으로 는 주로 DVD플레이어(58.8%)를 보유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 관의 DVD플레이어 구비 비율(62.7%)이 교육 청 소속 공공도서관(52.8%)에 높은 것으로 조 사되었다. 지역유형별로는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지역 의 DVD플레이어 구비 비율(70.8%)이 다른 지 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별로 보면 영남 지역의 DVD플레이어 구비 비율(64.4%)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표 26> 참조).

(23)

구분 오디오북 사례수 CD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용 단말기 MP3 플레이어 PMP 기타 없음 % % % % % % % 전체 114 11.4 5.3 3.5 0.9 0.9 3.5 78.1 소속 기관 지자체 85 10.6 7.1 4.7 1.2 1.2 1.2 77.6 교육청 29 13.8 0.0 0.0 0.0 0.0 10.3 79.3 디지털 자료실 운영 92 12.0 5.4 3.3 0.0 1.1 2.2 78.3 비운영 22 9.1 4.5 4.5 4.5 0.0 9.1 77.3 지역 유형별 서울 14 7.1 7.1 0.0 0.0 0.0 0.0 85.7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17 23.5 11.8 0.0 0.0 0.0 0.0 64.7 중소도시 58 6.9 3.4 5.2 1.7 1.7 5.2 81.0 군(읍면지역) 25 16.0 4.0 4.0 0.0 0.0 4.0 76.0 지역별 서울 14 7.1 7.1 0.0 0.0 0.0 0.0 85.7 경기 20 15.0 0.0 0.0 5.0 0.0 0.0 85.0 강원 8 0.0 0.0 0.0 0.0 0.0 0.0 100.0 충청 12 16.7 0.0 16.7 0.0 8.3 0.0 58.3 호남 26 11.5 3.8 7.7 0.0 0.0 7.7 73.1 영남 34 11.8 11.8 0.0 0.0 0.0 5.9 76.5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22 4.5 4.5 9.1 0.0 4.5 4.5 72.7 71~150㎡ 21 14.3 9.5 0.0 0.0 0.0 4.8 76.2 151~300㎡ 28 10.7 7.1 0.0 0.0 0.0 0.0 82.1 301㎡ 이상 21 19.0 0.0 4.8 0.0 0.0 0.0 81.0 디지털자료만 관리 22 9.1 4.5 4.5 4.5 0.0 9.1 77.3 <표 25> 오디오북 단말기(디바이스) 유형 구분 동영상 콘텐츠 사례수 DVD 플레 이어 휴대용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 레이어 셋탑박스 기타 없음 % % % % % % % 전체 136 58.8 1.5 0.7 0.7 0.7 3.7 39.7 소속 기관 지자체 83 62.7 2.4 1.2 0.0 1.2 2.4 36.1 교육청 53 52.8 0.0 0.0 1.9 0.0 5.7 45.3 디지털 자료실 운영 106 66.0 1.9 0.0 0.9 0.9 2.8 33.0 비운영 30 33.3 0.0 3.3 0.0 0.0 6.7 63.3 지역 유형별 서울 19 47.4 0.0 0.0 5.3 0.0 0.0 57.9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24 70.8 4.2 0.0 0.0 0.0 4.2 29.2 중소도시 57 57.9 1.8 1.8 0.0 1.8 5.3 35.1 군(읍면지역) 36 58.3 0.0 0.0 0.0 0.0 2.8 44.4 지역별 서울 19 47.4 0.0 0.0 5.3 0.0 0.0 57.9 경기 21 57.1 4.8 0.0 0.0 4.8 14.3 33.3 강원 12 50.0 0.0 8.3 0.0 0.0 0.0 41.7 충청 18 61.1 0.0 0.0 0.0 0.0 0.0 38.9 호남 21 61.9 4.8 0.0 0.0 0.0 4.8 38.1 영남 45 64.4 0.0 0.0 0.0 0.0 2.2 35.6 디지털 자료실 면적별 잘모름/13~70㎡ 31 54.8 3.2 0.0 0.0 0.0 3.2 38.7 71~150㎡ 23 56.5 4.3 0.0 0.0 0.0 4.3 39.1 151~300㎡ 31 77.4 0.0 0.0 0.0 0.0 0.0 25.8 301㎡ 이상 21 76.2 0.0 0.0 4.8 4.8 4.8 28.6 디지털자료만 관리 30 33.3 0.0 3.3 0.0 0.0 6.7 63.3 <표 26> 동영상 콘텐츠 단말기(디바이스) 유형

(24)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자료 운영실태에 따른 현황을 분석하여 디지털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 을 모색하고 이와 함께 스마트도서관 도입을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자 하였다. 이에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 담당 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자료 이용 활성화 방안은 제시 하였다. 첫째, 디지털자료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 문적인 디지털자료의 운영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인력과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 디지털자료 운영 인력은 평균 1.75명이 디지털자료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 중 0.95명이 사서직인 것으 로 나타났다. 전산직은 0.23명으로 다른 직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군(읍면지 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투입 인력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서직 투입 인력 역시 많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신기술 등장에 따른 디지털정보화 격차 해소에 대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미래창조과 학부는 「국가정보화 기본법」에 따라 정보화 교 육, 정보화기기 개발․보급, 웹 근성 제고, 정보 격차 실태조사 등 4가지 정보격차 해소 정책 추 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서관정보정책 위원회, 2019). 도서관에서도 환경변화에 따라 새롭게 도입되는 디지털 기기, 각종 DB와 자료 의 디지털화 등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담 인력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스마트디지털 환경을 위한 스마트도서 관 도입을 위해 5G 구축 및 서비스 제공을 추 진해야 한다. 5G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 인프 라로서 10개 산업 영역과 스마트시티, 비도시 지역, 스마트홈, 스마트오피스 등 4개 생활기반 영역에서 변화를 유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회도서관, 2019). 도서관에서도 4차 산업혁 명과 스마트도서관 도입을 위해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응 답 공공도서관은 개방형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으나 5G 서비스는 11.3%만이 도입하여 아직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응답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개별 도서관에는 아직 와이파이 도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구축 된 경우라 하더라도 도서관별로 서비스품질(속 도 등)이 천차만별이다. 이에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타났다. 5G 등 의 서비스를 개별 도서관에서 구축하기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중앙정부 등에서 5G 구축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여 평준화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디지털콘텐츠 이용을 위하여 다양한 단 말기(디바이스)를 구비해야 한다. 디지털자료 및 콘텐츠의 경우 공공도서관이 가장 많이 보유 하고 있는 디지털자료는 영상 콘텐츠(63.8%) 이며, 다음으로는 전자책(53.5%)과 오디오북 (53.5%)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지털자료 용 단말기 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동영상 콘텐츠 용 보유 단말기를 제외하면 과반수 이상이 보유 단말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디지 털자료 및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을 높이기 위해 서는 단말기 구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 운영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디지털 자료 및 콘텐츠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자료의 전문 인력 배치와 도서관 5G 도입, 다

(25)

양한 디지털용 단말기 구비를 통한 다양한 디 지털 서비스를 제공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인다. 이와 함께 향후 스마트 도서관 도입 을 위하여 디지털 자료 활성화 방안, 스마트도 서관 도입에 관한 사서의 인식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참 고 문 헌

강성민 (2002).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에 이용자들 북적북적. 출판저널, 320, 18-18. 곽승진, 손청기, 장근영 (2018). 무인 스마트도서관에 대한 사용성 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2), 103-123.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103 국회도서관 (2019.03.28). 국회도서관, 「상상이 현실이 되는 5G 총분석」 팩트북 발간. 국회도서관, 출처: https://www.assembly.go.kr/assm/notification/news/news01/bodo/bodoView.do?bbs_id

=ANCPUBINFO_07&bbs_num=46347&no=6430&CateGbn=&Gbntitle=$paramMa

p.Gbntitle. 2019.03.28 김태영, 박태연, 양동민, 오효정 (2017). 도서관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현황분석 및 서비스 적용방 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4), 203-22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4.203 김형택 (2017).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의 접근. 2017 IT산업 메가트렌드. 서울: 한국정보산업연 합회. 노동조, 손태익 (2016).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4), 301-3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4.301 노영희 (2014a). 차세대디지털도서관의 발전방향논의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7-40.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007 노영희 (2014b).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Y세대 이용자의 요구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3), 29-63.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029 노영희 (2016). 차세대 디지털 도서관의 이해. 서울: 청람.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9). 2019-2023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민병원, 오용선 (2012). 모바일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도서관 정보서비스시스템의 구현.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49-250. 서여화 (2006). 지식: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 실태 분석과 정책대안 모색: 경남지역 공공도서관 을 대상으로. 디지틀도서관, 44, 32-93. 서은경 (2016). 대학도서관에서의 디지털보존 실태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1), 269-292.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269

(26)

이주화, 이명숙 (2019). IoT 기반의 효율적인 스마트도서관 자원 관리 시스템 개발. 디지털산업정보학 회논문지, 15(2), 1-9. https://doi.org/10.17662/KSDIM.2019.15.2.001 이지원, 김수정 (2013). 사이버대학 디지털도서관 현황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지, 47(4), 79-102.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079 이창수, 박상균, 안재명 (2012). RFID 및 USN을 이용한 스마트 도서관리 시스템 개발. 정보처리학회논 문지 D, 19(3), 247-256. https://doi.org/10.3745/KIPSTD.2012.19D.3.247 한상완 (1998).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 환경 변화와 그 대응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2), 97-120. • 국문 참고문헌에 대한 영문 표기

(English translation of references written in Korean)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9). 2019-2023 third library development plan. Seoul: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Han, Sang Wan (1998). A study the changing library environment and its preparation in digital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2(2), 97-120. Kang, Sungmin (2002). Public library digital data room is crowded with users.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 320, 18-18.

Kim, Hyung-taek (2017). Approach to digital transformation. 2017 IT Industry Megatrend. Seoul: The Federation of on Korean Information Industries.

Kim, Tae-Young, Park, Tae-Yeon, Yang, Dongmin, & Oh, Hyo-Jung (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strategies of the smart devices in the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4), 203-226.

https://doi.org/10.4275/KSLIS.2017.51.4.203

Kwak, Seung-Jin, Son, Chung-Ki, & Jang Geun-yeong (201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sability of unmanned smart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2), 103-123.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103

Lee, ChangSoo, Park, Sang-Kyoon, & Ah, Jae-Myung (2012). Ntelligent library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USN. The KIPS Transactions: Part D, 19D(3), 247-256. https://doi.org/10.3745/KIPSTD.2012.19D.3.247

Lee, Ji-Won & Kim, Soojung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s of digital libraries in cyber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4), 79-102.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079

(27)

system based on Io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15(2), 1-9. https://doi.org/10.17662/KSDIM.2019.15.2.001

Min, Byoung-Won & Oh, Yong-Sun (2012).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smart library based on mobile cloud.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249-250.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2019.03.28).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A total analysis of 5G where imagination becomes reality」 Publication of fact book.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Available: http://www.assembly.go.kr/assm/notification/news/news01/ bodo/bodoView.do?bbs_id=ANCPUBINFO_07&bbs_num=46347&no=6430&CateGbn

=&Gbntitle=$paramMap.Gbntitle. 2019.03.28

Noh, Dong-Jo & Son, Tae-Ik (2016). A study on the internet of things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ocused on s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4), 301-32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4.301 Noh, Younghee (2014a). A stud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7-40. https://doi.org/10.3743/KOSIM.2014.31.2.007

Noh, Younghee (2014b). A study analyzing y generation users' needs for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29-63.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029

Noh, Younghee (2016). Understanding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Seoul: Cheong-ram. Seo, Eun-Gyoung (2016). An analysis on digital preservation practice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1), 269-292.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269

Seo, Yeo-hwa (2006). Knowledge: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gital data room of public libraries and seeking policy alternatives: For public libraries in Gyeongnam area. Digital library, 44, 32-93.

참조

관련 문서

In an all-solid-state lithium-sulfur battery manufactured using a composite solid electrolyte, the ratio of carbon, a conductive material added to improve the

If the desired part of the molding material can be heated to a desired degree by using the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device, it will contribute

The effects of recycling on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new and clinically used stainless steel orthodontic brackets: an in vitro study. Material testing of

That is, the expansion of material by high temperature and distortion by cooling during welding process is caused by tensile and compressive residual stresses in welding

In this study, the existing material of the air conditioner compressor and Al6061 material were appli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fluid-structure coupling analysis using

‘the special law for digital switchover’ states that is the general planning for vitalization of digital switchover, the program schedule of digital broadcast

Digital images were obtained by taking digital impressions with a dental model scanner(S600 ARTI model scanner, Zirkonzhan, South Tyrol, Italy) after connecting the own

 Engineering stress - The applied load, or force, divided by the origi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terial..  Engineering strain - The amount that a material deforms 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