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 of Health Care Program for Newly Married Couple in a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 of Health Care Program for Newly Married Couple in a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충남대학교 간호학과 박사과정생 ** 충남대학교 간호학과 교수(교신저자 E-mail: hlkim@cnu.ac.kr) 투고일: 2008년 2월 26일 심사완료일: 2008년 6월 21일

일 보건소의 신혼부부 건강프로그램의 효과

임 재 란*․김 현 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다양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건강을 위협하는 요 인이 증가함으로 국민들의 건강을 위한 보건의료가 다양 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오늘날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중요한 사업중의 하나가 모자보건(Mother and Child Health -care)사업이다.

WHO(1978)의 알마타 선언에서 ‘Health for All by the 2000’의 구호아래 일차보건의료를 주창하였고, 이를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모자보건 사업을 우 선적으로 1차 보건관리에 포함 강화시켜야 한다고 모자 보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모자보건 사업은 아동의 성장과 정부터 평생 동안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지고, 모 성의 생식보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제한된 자원과 재원의 투입으로 영구적이고 확실한 효과를 거둘 수 있 기 때문에 경제적인 보건사업으로, 또한 차세대 국민의 자질향상과 직결됨에 따라 정부가 지도력을 가지고 추진 하여야 할 기본 과업으로 선진국일수록 정책적 관심과 정부사업의 비중이 큰 분야로(Hwang, 2002) 추진되고 있다. 최근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고령 출산 경 향에 따라 모성 및 영유아의 건강요구가 다양화되고 있 으며, 특히 10대 임신, 인공임신중절, 성병 및 AIDS 감 염이 증가 등으로 청소년기부터 생식 건강관리의 필요성 이 대두되고 있다. 대외적으로 국민건강 정책에서 보다 나은 형평성을 추구하는 실천적 접근 방법으로 평생 건 강관리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국민 개개인의 평생 건강 관리의 기초가 되는 모자보건에 대한 관심(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1세기 가장 중요한 국가보건사업으로 등장한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신혼부부건강관리, 알맞 은 피임법, 계획임신 등 에서부터 시작하여 산전관리, 출 산, 영유아기의 건강관리는 삶의 준비과정 으로 지극히 중요하다고(Kim, 2001)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46년 처음 보건소가 설 치 된 이후 1948년 보건사회부 예방국 의약과에서 모자 보건을 담당하게 된 것을 시작으로 1973년에 모자보건 법이 제정되어 보건소의 주요사업 이고(Kim et al., 2002), 국민의 건강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최근까지의 모자보건의 틀을 바꾸고 새로운 모자보건사 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보건복지부 주관하에 전국 245개 보건소 중에서 23곳의 모자보건 선도보건소를 지정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14개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운영한(Hwang, 2002) 바 있으 며 이후 전국 보건소로 확산되었다. 일부 보건소에서는 모자보건사업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가족 형성시기의 건강관리로 신혼부부를 위한 건강 Community Health Nursing

(2)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Hwang, 2002)하였는데, 신혼시 기는 결혼 초 서로 성장배경이 다른 두 성인이 만나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므로 조정과 협력이 가 장 요구되는 시기로 발달 단계에 따른 결혼생활 적응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건강한 차세대의 생 산을 위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현재 국민의 건강을 증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보건 소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대 상자를 중심으로 고찰해보면 노인 대상(Son & Kim, 2001: Kim & Eom, 2004: Moon, 2004; Lee, 2007), 중년여성 대상(Kim, 2002; Jung, 2005; Lee, 2006), 성인 대상(Park, 2005; Yim, 2000), 대학생(Kang, 2003)대상으로 고혈압 등 만성질환에 대 한 영양프로그램, 체중조절 프로그램, 골다공증과 요실금 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등이 있었으며, 이외에도 보 건소가 아닌 의료 기관에서 다양하게 대상자의 건강증진 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 다(Kang & Lee, 2005; Kim, 2005).

그러나 한 나라의 건강수준의 지표가 되는 모자보건사 업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사업의 대상 자 중심이 아닌 기관 중심인 공공부문의 농촌지역 모자 보건센터를 대상으로 모자보건사업 전반에 대한 비용-효 과분석(Kim, 1992)과 1999년부터 2001년까지 모자보 건선도보건사업실시 후 선도보건사업을 실시한 보건소를 포함하여 모자보건사업 전반에 대한 평가(Hwang, 2002)가 있을 뿐 대상자를 포함한 세부사업에 대한 추 후 효과 평가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롭게 시작된 일 보건소의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추후 효과를 확인하여, 신혼기에 필요한 교육지침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근거 를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의 모자보건 사업 중 신혼부 부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 D 보건소는 1999년에서 2001년에 시행된 모자보건 선도보건소로 지정되어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3 년 동안 시행과 평가를 실시 한 후 2008년 현재 까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보건소 담당자가 매달 말 구청 호적계에 혼인신고 된 신혼부부 명단을 확보한 후 신혼부부에게 보건소에서 자체 제작한 신혼기에 필요 한 내용으로 구성된 책자와 본 프로그램의 안내문과 함 께 발송하였다. 보건소의 안내문을 받은 대상자가 보건 소에 등록과 동시에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국제모유수유, 성교육, 출산준비자 과정 전문가인 모성실 담당간호사에 의해 이 루어졌고, 등록 시 실시되는 건강검진과 자가 건강관리 를 위한 2회의 건강교육으로 구성되었다. 건강검진에는 혈액검사(CBC, LFT, B형간염항체검사, 풍진항체검사) 와 체격검사(키, 몸무게)를 실시하여 현재의 건강상태를 점검하도록 하였다. 보건소에 내소하여 등록 할 당시에 실시되는 1차 교육은 보건소에서 제작한 교육 자료로 개 별 건강교육(부부관계정립, 가족계획수립, 피임을 위한 배란주기법, 점액관찰법, 콘돔사용법등, 임신 전 관리)을 실시하고, 체온계와 콘돔을 제공하였고, 건강검진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방문한 2주 후에는 2차 교육으로 혈액검 사결과 설명과 교육(풍진으로 인한 기형아 출산예방, B 형간염수직감염 예방, 임신기관리, 모유수유 방법, 안전 한 분만법 등에 관한 소개)을 실시하였고, 보건소 제작 신혼부부건강관리 책자를 통한 자가학습을 권장하였다. 프로그램 시간은 1회당 약 40분으로 총 80분 정도가 소 요되었다. 보건소에서 자체 제작된 책자의 내용은 부부 관계정립, 가족계획(출산계획과 피임법, 유산과 자궁외 임신, 임신의 과정 등), 임신기관리(태교법, 모유수유, 산전관리, 임산부체조 및 출산준비교육) 등으로 이루어 졌다.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D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모자보건 사 업 중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군과 참여하지 않았던 비참여군 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변수인 자연분만율, 모유수 유율, 풍진․B형간염 예방접종율, 피임실천율을 추후 비 교한 조사연구이다.

(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5년 까지 D 구청 호적계 에 혼인신고 한 1800쌍의 신혼부부 중 신혼기 여성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300명과 참여하지 않은 1500명 비 참여군으로 구분된다. 참여군의 나이와 거주지역등을 고 려하여 비교군으로 참여 가능성이 낮을 것을 고려하여 600명을 짝짓기 하였고, 재혼한 자와 연구기간 중 이혼 한 자를 제외하고 1차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 중 다음의 사항을 충족하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자 료수집을 시도하였다. -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 의한 자 - 첫아이 분만이 이루어진 모성대상자 이에 분만이 이루어진 참여군 106명과 비 참여군 1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비 참여군에게는 보건소의 교육용 책자와 신혼부부건 강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한 보건소 모성대상 프로그램 안 내문이 제공되었다. 4. 자료수집방법 조사기간은 2006년 10월부터 12월까지 대상자들에 게 연구자가 직접 전화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차 대상 자 900명 모두 전화시간과 요일을 변경하여 3회 이상의 전화를 시도하여, 연결이 되지 않은 대상자는 탈락되었 다. 설문에 소요된 시간은 10-15분 정도였다. 5. 연구도구 구조화된 질문지로 프로그램내용과 관련하여 전문가2 인과 간호학교수 1인이 심의를 거쳐 작성하였다. 설문 내용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만관련 특성, 수유관련 특성, 가족계획과 피임관련 특성, B형간염 및 풍진 예방접종 등에 관한 사항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 하였다. 6.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Win 12.0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의 동질성 검사는 X²-test 검정하였다. 2) 조사대상자의 자연분만율, 모유수유율, 피임 실천율, 풍진항체보유율, 간염항체보유율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X²-test로 분석하 였다. 각 변수의 통계적 유의성 수준은 p⟨.05로 정하였다. 7.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보건소 한 곳 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으로 한정되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확대 해 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Ⅲ.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동질성 검정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한 집단으로 밝혀졌다<Table 1>. 보건소에서 제작하여 배부한 교육용 책자를 활용한 추 후 자가학습은 참여군 모두에서 이루어 졌음을 답변하였 으나 비참여군은 자료는 수령하였으나 책자를 활용한 자 가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답변하였다. 2. 신혼부부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1)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분만방법과 수유방법 비교 조사대상 두군 모두 자연분만이 제왕절개보다 많았으 나 참여군이 비참여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p=.012)를 보였다. 조사당시 대상자의 분만 후 기간이 다양하였으며 참여군의 분만 후 평균기 간은 16.79개월, 비참여군은 17.25개월이었다. 분만 후 6개월까지 각 월령별 모유수유율을 조사해본 결과 6개월 까지의 전 구간에서 참여군이 비참여군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2>. 3)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피임실천율, 풍진․B형간염 예방접종율 비교 피임실천율은 참여군 80.0%, 비참여군 78.4%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971)가 없었다. 풍진예방접종

(4)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Table 1> Homogeneity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n=106)(%) Non-participants (n=130)(%) X² P Age ≦29 42(39.6) 63(48.5) 2.267 .322 ≧30 64(60.4) 66(51.5)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17(16.0) 29(22.3) 1.548 .461

College 23(21.7) 28(21.5) ≧University 66(62.3) 73(56.2) Job Have 31(29.2) 45(34.6) .380 .403 Have not 75(70.8) 85(65.4) Religion Have 57(53.8) 54(41.5) 3.509 .061 Have not 49(46.2) 76(58.5) Income <200 26(24.5) 44(33.8) (10,000 Won) 200-249 28(26.4) 35(26.9) 250-299 18(17.0) 15(11.5) 3.330 .343 ≧300 34(32.1) 36(27.7)

<Table 2> Group Comparison of Delivery and Feeding Method Classification Participant

(n=106)(%)

Non-participant

(n=130)(%) X² P

Delivery method Normal delivery 80(75.5) 78(60.0) 6.317 .012 Cesarean section 26(24.5) 52(40.0)

Distribution of feeding method according to months

1st month Breast feeding 89(84.0) 89(68.5) 8.970 .011 (n=106*, 130**) Mixed feeding 13(12.3) 24(18.5)

Bottle feeding 4( 3.8) 17(13.1)

2nd month Breast feeding 76(80.9) 81(65.9) 6.495 .039 (n=94*, 123**) Mixed feeding 13(13.8) 26(21.1)

Bottle feeding 5( 5.3) 16(13.0)

Third month Breast feeding 67(75.3) 71(59.2) 7.105 .029 (n=89*, 120**) Mixed feeding 17(19.1) 31(25.8)

Bottle feeding 5( 5.6) 18(15.0)

Forth month Breast feeding 57(66.3) 61(50.8) 7.986 .018 (n=86*, 120**) Mixed feeding 25(29.1) 40(33.3)

Bottle feeding 4( 4.7) 19(15.8)

Fifth month Breast feeding 50(61.7) 51(45.9) 7.680 .021 (n=81*, 111**) Mixed feeding 27(33.3) 42(37.8)

Bottle feeding 4( 4.9) 18(16.2)

Sixth month Breast feeding 36(46.8) 35(32.4) 7.731 .021 (n=77*, 108**) Mixed feeding 38(49.4) 57(52.8)

Bottle feeding 3( 3.9) 16(14.8) * participants group ** non-participants group

<Table 3> Group Comparison of Contraception, Rubella and HB Vaccination Classification Participant (n=106) Non-participant (n=130) X² P Contraception Yes 85(80.2) 104(80.0) .001 .971 No 21(19.8) 26(20.0)

Rubella vaccination Yes 95(89.4) 93(71.5) 11.786 .001

No 11(10.4) 37(28.5)

HB* vaccination Yes 87(82.1) 88(67.7) 6.302 .012

No 19(17.9) 42(32.3)

(5)

여군 82.1%, 비참여군 67.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p=.012)가 있었다<Table 3>. 참여군의 경우 보건소 프로그램에 등록 당시 풍진예방 접종은 68%, 간염예방접종은 66%로 확인되었고 추후 조사에서는 참여군에서 <Table 3>과 같이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Ⅳ. 논 의

본 연구에서 보건소의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참여군과 비참여군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평가를 실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군과 비참 여군의 분만형태를 비교해 보면 참여군의 자연분만 75.5%, 비참여군 60.0%로 나타났으며, 두군 간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군의 자 연분만율은 2006년 15-44세 유배우부인을 대상으로 조 사한 Kim, Cho, Kim, Do와 Lee(2006)의 보고에서 2003년 60%, 2006년 65.0% 결과보다 높았다. 첫아 이 분만이 제왕절개인 경우 둘째아이 분만도 제왕절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는 Kim 등(2006)의 보 고와 2003년에 전체 제왕절개 분만 중 초산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53.9%이었으며, 경산인 경우 82.7%가 제왕 절개분만의 기왕력(Chung & Hwang, 2004)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감안해 볼 때 첫 아이 분만 유형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 정상분만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 다고 사료된다. 대상자의 분만 후 6개월까지의 월령별 모유수유율은 전 구간에서 참여군이 비참여군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 분만 후 6개월의 모유수유율은 참여군 에서(46.8%)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같은 기간의 모 유수유율을 조사한 Yeo(2005) 30%, Kim 등(2006) 39.2%의 연구결과 보다 높았다. 특히 WHO(2002)에 서는 아기와 어머니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는 산후 첫 6개월 동안 어떤 보충식도 주지 않고 모유 만을 주는 완전모유수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참여군의 모유수유율도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Services(2000)의 목표 50%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그

육의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참여군의 풍진항체 예방접종율은 비참여군 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 참여군의 풍진 예방접종율은 89.4%로 나 타났다.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Cho, Jung과 Lee(2005)에서 50.6%, Bae, Yang과 Hong (2000) 11.8% 보다 높게 나타났고, 예방접종 후 95% 이상에서 항체가 형성되므로, 참여군의 약 85%의 항체 형성을 예측해볼 수 있어 Park, Park, Yoo과 Lee (1997) 80.5%, Bae, Yang과 Hong(2000) 77.9%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연구의 결과보 다 본 연구에서 풍진 예방접종율이 높게 나타나고 참여 군에 추후 조사결과 풍진예방접종율이 약 23% 증가한 점은 풍진항체 유․무에 대한 혈액 검사 결과 풍진항체 가 없는 대상자에게 항체를 보유하지 않고 임신했을 경 우 태아에게 심각한 기형을 유발하는 선천성풍진증후군 에 대한 설명과 예방을 위해 풍진예방접종을 하도록 적 극 권유한 결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는 B형간염항체보유율은 1990년대 전반 에는 10.8-30.7%, 1990년대 후반에는 20.8- 50.6% 로 나타났고(Lee, 2001), 최근에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62.1%로 나타났다(Cho, 2007) 나타났다. 이 와 같이 B형간염항체 보유율의 증가는 1977년 B형간염 백신이 개발된 후 1983년부터 본격적인 예방접종이 실 시되었고, 1995년부터는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하여 전체 영유아를 대상으로 정기예방접종을 시행하여 서서 히 항체보유율이 증가(Cho, 2007)하고 있으며 접종자 의 90%이상에서 항체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 램에 참여한 대상자의 B형간염 예방접종율이 82.1%로 나타나 접종의 90%이상에서 항체가 형성되므로 참여군 의 약 74%의 항체형성을 예측해볼 수 있어, 다른 연구 결과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군 의 추후조사 결과 등록 당시 66%에서 82.1%로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고, 이것은 만성 간질환의 약 70-80%가 B형간염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되어 있어 B형 간염 수직감염 예방을 위해 B형간염항체가 없는 대상자 에게 예방접종을 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유를 실시한 결과 로 사료된다. 피임실천율은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참여군 80.2%, 비참여군 80.0%), 다른 연구에서 보다 약간 낮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임기 여성의 피임실천

(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상태를 조사한 연구에서 1976년에는 피임실천율이 44.2%, 1991년에는 79.4%, 1997년에는 80.5%, 2006년에는 79.6%(Kim et al., 2006) 이었다. Lee 등(2002)은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하는 가임기여성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 84.2%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 보다 높았는데 이는 신혼기 부부와 일반 가임부부의 임신에 대한 기대 차이인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Kim 등 (2006)의 연구에 의하면 자녀가 없는 경우의 피임실천 율이 2003년 38.7%, 2006년 35.4%로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 대상이 신혼기임에도 불구하고 피임실천율두군 모두 80%대로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현재 합계출산률이 1.1명임을 감안해 볼 때 결혼한 부부의 소자녀관을 가진 결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가정의 첫 출발 시기인 신혼기를 대상으로 한 신혼부부 건강관리 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해 본 결과 모아와 차세대의 건강향상에 기여함으로 다른 보건 소로의 확대 실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D 보건소에서 2003년에서 2005년까지 시 행된 모자보건 사업 중 신혼부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신혼 기에 필요한 교육지침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 년 10월부터 12월 까지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 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역시 일개 구에 등록된 신 혼부부 중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군 106명과 프로그램 에 참여하지 않은 비참여군 130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 차를 산출하였으며 X²-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참여군과 비참여군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효과변수인 자연분 만율은 참여군이 비참여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12), 분만 후 6개월까 지 월령별 모유수유율은 전구간에서 참여군이 비참여군 에 비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족계획실천을 위한 피임실천율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두군 모 두 피임실천율이 높았다. 풍진예방접종율(p=.001), B 형 간염예방접종율(p=.012)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위의 결과로 보건소에서 실시된 신혼부부건강관리 프 로그램은 종합적으로 보아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신혼기의 건강관리는 우리의 미래를 책임질 차 세대의 건강향상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한 비참여군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전국적으로 확대실시 하여 많은 신혼부부들이 사회의 기본을 이루는 가정의 첫출발 단계부터 참여하는 실질적인 신혼기의 건강관리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틀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References

Bae, J. M., Yang, H. J., & Hong, S. C. (2000). A survey of the prevalence of rubella antibodies in teachers of child bearing age on Cheju Island.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3(3), 280-284.

Cho, H. J., Jung, H., & Lee, C. G. (2005). A study on seroprevalence of rubella specific antibody in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8(3), 732-740.

Cho, H. M. (2007). Sero-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in Chonnam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Chung, J. J., & Hwang, J. I. (2004). Health promotion method-cesarean section.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Hwang, N. M. (2002). Overview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ies and nutri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7(6), 887-893.

Jung, M. H. (2005). A study on effect of exercise program during short term in public health center on fitness, body component and blood component in mid-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7)

for high-risk patients'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81-1090.

Kang, Y. H. (2003). Evaluation of short term weight control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follow-up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im, B. K. (2005).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program using tailored stage-matched messages to promote screening for stomach canc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2), 97-110.

Kim, J. I. (1992). Cost-effectivness analysis of MCH program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im, S. H. (2001). Mother-child health guidance

of Cheongju city. Local Administration, 50(571), 129-139.

Kim, S. K., Cho, A. J., Kim, Y. K., Do, S. R. & Lee, K. W. (2006). The survey on the national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m, S. R.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ercise video program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im, T. Y., & Eom, S. H. (2004).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mprove glycemic control aft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10(2), 205-217. Kim, Y. S., Park, J. W., Bang, K. S., Jung, S.

R., Woo, H. S., Lee, H. J., & Jang, H. S. (2002).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2), 280-

M., Lee, H. H., & Lee, J. J. (2002). A survey of the contraceptive use and attitude of 1,131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5(6), 960-966. Lee, J. S. (2007). Analysis of effect on

hypertension care by health care centers in c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buk National University, Daegu.

Lee, S. J. (2001). A study on the change of HBSAg and anti-HBs positivities for recent 15 year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Lee, S. H. (2006), The effectiveness of urinary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National Universit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on, E. H. (2004).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among adults aged 50 and ov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Park, Y. (2005).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based on nutrition education 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n big city. Unpublished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Park, Y. J., Park, K. J., Yoo, K. Y., & Lee, B. K. (1997). A study of the Rubella Antibody in Korean Fertile Women in the Last 5 Years(1992-1996).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0(1), 110-118.

Son, S. M., & Kim, M. J. (2001).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chronic disease in elderly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6(4), 668-677.

(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ervices (2000). Healthy people 2010: Vol Ⅱ objectives for improving health(part B). from http://www.health.gov/healthpeople/documen t/tableofcontents.htm#Volume2.

WHO (1978). Alma-Ata 1978 primary health care. “Health for all” series, No. 1, WHO, Geneva.

WHO (2002). Fifty fifth world health assembly A55/15 provisional agenda item.

Yeo, J. H. (2005). Influencing factors in breast feeding dur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1(2), 142-147. Yim, K. S. (2000).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the community leve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5(4), 654-661.

Abstract

-The Effect of Health Care Program

for Newly Married Couple in a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Lim, Jaeran*․Kim, Hyunli**

Purpose: The research purpose was analysis of the effect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ewly-married executed from 2003 to 2005 as a part of health care service from community health center and providing the fundamental source for health education needed during newly-married. Method: The data collection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during October to December in 2006. From the health center 106 brides who participate the program and 130 brides who didn't participate. Health care program for newly married couple were composed health examinations and health educations. Health examinations were CBC, LFT

and Ag & Ab prevallence rates of hepatitis B, rubella. Health educations were done two times, the first individual health education was done at enrolled in health center for establishment of desirable couple relationship, family planning, contraception method and management of pre-pregnancy. The second individual health education was done for explanation of blood examination results, prevention of the congenital deformity and the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management for pregnancy, breast feeding method, introduction to safety delivery method and encouraging self-study using by materials made by health center after two weeks at revisiting health center. SPSS/PC(ver. 12.0) and X²-tes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and tabulated data.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area of two groups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 As a variables of experimental effect, The natural childbirth rates of participant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participants group(p=.012). Breast feeding rates for participants group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Non- participants group. Contraception rat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ubella vaccination rates (p=.001) and The hepatitis B vaccination rates (p= .012) shows statistical differences. Conclusion: Therefore health care program for newly married couple in a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was effective generally. We supposed that explore participation ways for non- participants, expand the program to community health care center in whole country.

Key words : Natural Childbirth,

Breast-Feeding, Contraception, Rubella, Hepatitis B.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the Gwangju Education Office Employment Suppor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the health care guidelines for the muscle ma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of Korean population b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trampoline exercise on health promotion (health related fitness, blood lipi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wimming program for 12 weeks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growth hormone i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

Does informal care from children to their elderly parents substitute for formal care in Europe.. Journal of Health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