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ream runoff in Jeju Island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ream runoff in Jeju Island"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주도 하천의 계절별 지역별 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ream runoff in

Jeju Island

김철겸

*

, 정일문

**

, 김남원

***

Chul-Gyum Kim, Il-Moon Chung, Nam Won Kim

...

요 지

하천의 유출률은 하천의 경사, 연장, 강우특성 및 규모 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제주 도의 지역별 고도별 토양 및 강우 특성과 독특한 지형에 따른 간헐하천의 유출특성을 고려할 때 관측에 의해 유출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히나 홍수시 관측되는 유량의 불확 실성과 지역별·고도별 강우량의 편차를 고려한다면 강수대비 정확한 관측유출률의 산정 자체가 쉽지 않다. 이는 기존 관측된 유출률이 하천유역별로 대상기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통 해서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지점에서의 몇 개의 강우사상에 대한 유출률이 아닌 다양한 사상 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에 의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 구에서는 제주도 하천유역에서의 건천화 현상과 간헐적 유출특성을 모의하는데 최적화된 제주형 SWAT-K 모형을 기반으로 제주도 11개 하천유역(유역면적 30 km2 이상)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 석하였다. 유출률을 중심으로 계절별, 지역별, 하천유역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강우규모에 따른 유출 특성과 시·공간적 유출률 변화를 평가하였다. 1992∼2013년 기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제주도 전역에 대한 연간 유출률은 13.3%∼30.5% (평균 21.8%)로 나타났다. 하천유역별로는 천미 천(31.6%), 가시천(31.1%), 화북천(29.3%), 창고천(27.4%), 의귀천(27.1%)의 유출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효돈천(18.9%)와 도순천(19.0%)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1개 하 천유역에 대한 월별 평균 유출률은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높은 유출률(26.1%)을 보였다. 핵심용어 : 제주도, SWAT-K, 유출률, 간헐하천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 지역특성화사업 제주권 국토교통기술 지역거점센터 연 구과제(17RDRP-B076272-04)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요사업 “가뭄대응 중소하천 물부족 위험도 평가 및 물 확보 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연구위원⋅E-mail : cgkim@kict.re.kr **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E-mail : imchung@kict.re.kr *** 정회원⋅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E-mail : nwkim@kict.re.kr 2020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256

참조

관련 문서

기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로 인한 이상기상 현상이 급증하고 있으며, 기후 예측도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는 다양한

해수서(서해남부앞바다) 지귀도(제주도 앞바다).

제주도 기후변화 특성 분석집.. 1)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2) AWS: Automatic

해수서(서해남부앞바다) 지귀도(제주도 앞바다).

The water balance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runoff curve numbers(CN) derived from the soil classification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with the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is historical investigation using old texts relating to Jeju such as Tamlaji (‘Records of an ancient Jeju Island’),

The field contextual study about the function and words of folk songs on Jeju Island..

2-7(a) Comparison of Stream line(Bare Hull, bottom stern view)... 2-7(b) Comparison of Stream line(BF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