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status of the elderl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status of the elderly"

Copied!
5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구강보건교육이 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status of the elderly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3)

구강보건교육이 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status of the elderly

지도교수 송승일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7월 8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김 준 완

(4)

김준완의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송 승 일 인

심 사 위 원 이 정 근 인

심 사 위 원 지 숙 인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년 07월 8일

(5)

감사의 말씀

논문을 완성하기 전 쉽지 않은 여정 이었습니다. 하지만 저에게 힘이 되어 주신 많은 분들이 있었기에 논문도 완성하고 졸업을 할 수 있게 된거 같습 니다. 우선 논문 지도를 맡아주신 송승일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좌절하고 포기 할수 있었지만 묵묵히 믿어주시고, 힘이 되어주시 고 격려해주셔서 많은 배움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논문을 쓰는 과정에서 많 은 도움을 주신 이정근 교수님, 지숙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 전하고 싶습니 다. 그리고 석사과정을 무사히 마칠수 있게 도와주신 직장 동료분들께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항상 본인보다 자식 걱정을 먼저 하시는 부모님께 항상 감사드리며 사랑한 다는말 전해드리고, 좌절하거나 포기하려고 할 때 마다 옆에서 큰 용기를 준 양지연양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글로 전달합니다. 항상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저의 도움이 필요한 곳에 먼저 손을 내밀고 많 은 도움을 줄수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준완 올림

(6)

차 례 국문요약 Ⅰ. 서 론 ···1p 1. 연구의 필요성 ···1p 2. 연구목적 ···7p Ⅱ. 연구방법 ···8p 1. 연구설계 ···8p 2. 연구대상 ···9p 3. 연구도구 ···9p 4. 분석방법 ···11p 5. 신뢰도분석 ···11p 6. 타탕도검정 ···12p Ⅲ. 연구결과 ···14p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p 2. 구강보건인식 ···16p 3. 구강보건행위 ···20p 4. 구강보건 교육경험 ···26p 5. 구강보건 위생관리 ···28p

(7)

Ⅳ. 고찰 ···29p Ⅴ. 결론 ···31p 참고문헌 ···33p 부록 ··· 37p 영문초록 ··· 43p 표 차 례 Table 1 설문문항 ···10p Table 2 측정변수의 신뢰도 계수 ···12p Table 3 회전된 성분행렬 ···13p Table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p Table 5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수준 ···16p Table 6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 ···18p Table 7 구강보건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 ···19p Table 8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20p Table 9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21p Table 10 잇솔질 방법 ···21p Table 1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 ···23p Table 12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강위생 용품 ···26p Table 13 구강보건 교육 장소 ···26p Table 14 구강보건교육 횟수 ···27p Table 15 올바른 잇솔질 방법에 대한 교육 경험 ···27p

(8)

Table 16 구강위생상품 사용에 관한 교육 경험 ···28p Table 17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 ···28p

그 림 차 례

(9)

국문요약

구강보건교육이 노인의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구강위생관리 전공 김준완 지도 교수 송승일 이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 구강보건 인식, 구강보건행위, 구강보건 교육경험, 구강보건 위생관리에 나타나는 현 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노인의 구강보건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이다. 대상은 경기도 수원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복지관 소속(유당마 을 복지관, 서호 노인복지관, 광교 노인복지관)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 로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2016년 4월 27일부터 5월 4일까지 8일 동안 120 명 남자 32명, 여자 88명에게 일대일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에 수준은 평균 3.21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 반적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에 관해서 살펴본 결과 높은 교육수준과 연령 이 높은 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잇솔질 방법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구강위생용품은 의치세정제와 치실이 주를 이루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장소에

(10)

치과와 보건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의 특성상 움 직임을 싫어하고 이들이 주로 함께 행동하는 장소가 경로당이나 복지관이라는 점 을 고려할 때 노인들을 위한 구강 보건 교육의 장소로 경로당과 복지관을 적극 활 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횟수에 대해서 질문한 결 과 1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재의 구강보건교육은 1회성 교 육이 되고 있는데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 교육은 주기적으로 반복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육에서는 구 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육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구 강건조증에 도움이 된다, 잇몸예방에 도움이 된다,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등의 평균 점수가 2.5점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들을 위한 구강교육은 현재 보다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11)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행했고, 2017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가 14%에 이르는 고령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통상적으로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국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 이상이 되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이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일 때 초고령 사회 또는 후기고령화 사회(post-aged society)로 볼 때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 령화 사회로 진행했고, 2017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14%에 이르는 고령사 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프랑스나 미국에 비해 3배에서 10배 가 까이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시기는 비슷 하게 전망되지만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고령사회에서 초 고령 사회로 진행되는 기간이 19년, 7년으로 매우 빠르게 나타나며 가속화 되고 있는 고령화 속도에 반에 그것을 대비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개인 적 차원의 노력이 매우 미비하다. 평균수명이 늘어난 만큼 잘 먹어야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데 그중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치아 건강관리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치아가 약해지고 잇몸의 기능도 떨어져 음식 섭취가 쉽지 않으며 소화기능 도 같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치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치매와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을 정도로 치아관리는 중요하다(박성숙․박수희, 2010)

(12)

나이가 들면 입 안이 건조해지면서 침 분비가 현격하게 줄어들기 시작한 다. 또 이뇨제나 항우울제 같은 약물 복용도 구강 내 건조증을 부추기는 원 인인데 그렇게 되면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으로 변해 잇몸질환과 충치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중년 이후 잇몸이 약해지면서 잇몸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치아 사이사 이가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치아 사이로 음식물이 끼게 되면서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치실과 치간 칫솔 등의 구강 위생용품을 이용 해 치아 사이사이를 깨끗하게 관리해 주어야 한다. 또한 잇몸이 나이가 들 면서 약해지고 헐기 때문에 부드러운 칫솔이나 구강 세정기를 이용해 잇몸 을 마사지하는 것이 구강건강에 효과적이다. 나이가 들수록 치아가 많이 닳 고 깨지거나 소실될 수 있어 질기고 딱딱한 음식은 주의해야 한다. 노인들 은 전신의 기능이 크게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과 치료를 받기 전에 당뇨병, 심장병, 고혈압 등의 전신질환을 꼼꼼히 체크한 뒤 치과 치료 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1년에 1~2회 정도의 치과 검진으로 자신의 치아와 잇몸상태를 점검하고 보철물의 상태와 구강질환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필 요하다. 특히 성인에서 치아를 상실하게 되는 이유 중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가 잇몸 질환이므로 노인 치아관리에 있어서 잇몸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의 보고에 의하면 우리 국민은 나이가 증가할수 록 구강 건강의 중요성을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60세 이상 인구의 64.5%는 다른 어떤 건강문제보다도 구강건강문제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 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당수의 노인에서 이미 많은 수의 치아

(13)

가 상실되거나 치아관련 질환 때문에 음식물 섭취라는 생명유지를 위한 가 장 기본적인 욕구조차 충족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성정희, 2004).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06)에 따르면 65세 이상 전체 국민 중 치아나 틀 니 등 구강 내 문제 때문에 씹는 데에 불편함을 느낀다고 호소하는 비율이 53%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65세에서 74세 노인의 35.3%가 의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 의치 필요는 구강병이 진행되어 치아를 발거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므 로, 의치를 공급하는 정책보다 의치를 필요로 하는 노인의 수를 줄이는 예 방지향의 구강 보건정책이 필요하다(보건복지부, 2006). 구강건강은 영양 섭취와 관련하여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 및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밖에도 치 아상실에 따른 발음 및 얼굴모양의 이상은 대인 관계 및 원활한 사회생활을 제한하여 노인들을 사회로부터 소외되게 하고 고립감을 느끼게 하는 등 구 강질환은 노인들의 정신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들에 있어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것은 그들의 건강유지 및 삶의 질 향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유미선, 2007). 따라서 노인의 구 강건강상태는 노인의 삶의 질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들의 구강관련 행위와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장기환(2016)과 권영옥(2013), 한정희(2012) 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현실에 대한 자신감을 상실하거나 혹은 노인은 구강건강상태가 당연히 나쁘다는 고정관념 및 앞으로 남은 수명에 대한 불안감, 경제적 곤

(14)

란 등으로 구강 진료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있으며 실제적으로 수혜 율도 낮은 실정이다(이민영, 2005).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리 에 가장 중요한 사항은 예방진료(Scully C, et al, 2007)이나 현실적으로 관리 가 잘 되지 않아 구강질환등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현재까지 노인의 구강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에서 노은미(2010)는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는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박지영(2014)은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만족스 럽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측면 모두가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배성숙, 문하영, 문 윤미(2014) 등은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의 관련성이 있고,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그리고 구강보 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구강보건지식 p=.029, 구강건강교 육경험 p=.000로 나타나 두 변수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김영희, 이 승희, 윤현경(2014)등은 노인들의 구강 건강 인식과 구강 건강 지식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0.324로 나타나 구강보건 인식과 지식은 상관관계가 없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노은미, 전은숙, 고수연(2014) 등은 대구광역시와 경 상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동은 나이가 적을수록, 직업이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이혼을 한 경우에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은 나이가

(15)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기혼인 경우, 한 달 용돈이 많은 경우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구강보건행동을 잘 실천하는 군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보통인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구강보건행동과 관련성의 강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 감(β=0.184)과 가장 연관성이 높았고, 다음은 사회적 자기효능감(β=0.162), 신체적 자기효능감(β=0.101) 순이었다. 구강보건지식에 관한 김기욱, 김지화(2015)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 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정도와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요양보호사들의 구 강보건지식은 총점 26점 만점에 20.09점(77.2%)로, 가장 높은 지식은 ‘올바 른 칫솔질 방법’ 93.0%, 가장 낮은 지식은 ‘구강보조용품사용 지식’ 58.1%로 조사되었다.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는 사람이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가 높았으며 (P<0.001), 구강보건교육경험횟수가 많은 사람이 구강보건지식 (P<0.001), 요구도(P<0.01), 인지도(P<0.05)가 높아 유의하였다. 요양보호사들 의 구강보건인식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구강보건지식점수(P<0.01), 구강보 건교육 요구도(P<0.01)가 높을수록 구강보건인식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구강보건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로 이희성, 김한곤(2016)은 질병관리본부에 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 및 2차년도를 활용 구강검사까지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 2,38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 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가 적을수록, ST지수가 높을수록, FS-T 지

(16)

수가 높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을수록, 상악 크라운 요구도 가 낮을수 록, 상·하악 의치 요구도가 낮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씹기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을수록, 상악 크라운 요구도가 낮을수록, 상·하악 의치 요구도가 낮을수록 씹기 문제가 불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ST지수가 높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을수록, 상악 임플란트 요구도 가 낮을수록, 상악 의치 요구도가 낮을수록 말하기 문제가 불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화(2007)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건강한 편이고, 보철치가 있으며, 악 관절 이상이 없는 자가 점수가 높았으며, 구강보건실천은 건강한 편이고, 보철치가 있는 자가 점수가 높아 실천율이 좋았으며, 식생활 행태는 건강한 편이고, 치아우식증 없으며, 악관절 이상 없는 자가 점수가 좋았다. OHIP-14는 건강하다고 인지하는 자와 보철치, 결손치, 치아우식증, 치주질 환, 악관절 이상이 없는 자가 점수가 높아 좋았다. THI는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건강한 편과, 치아우식증이 없고, 악관절 이상이 없다가 점수가 높 아 구강건강상태가 좋으면 전신건강도 좋다는 결과를 보였다. QOL은 주관 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한 편과 치아우식증이 없고, 치주질환이 없는 자가 점수가 높았다. 그리고 구강보건지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OHIP-14(0.214), 식 생활행태(0.040), 구강보건지식(0.019), 구강보건실천(0.012)순으로 영향을 주

(17)

었으며, THI(0.308)는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의 일반적 특성(연령, 성별, 가족구성형태, 교육수준, 경제수준)에 따라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행위, 구 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노 인들의 구강보건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18)

구강보건인식 인구 통계적 특성 구강보건 교육경험 구강보건 위생관리 구강보건 행위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라서 구강보 건인식, 구강보건행위, 구강보건 교육경험, 구강보건 위생관리에 나타나는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노인의 구강보건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19)

2. 연구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복지관 소속(유당마을 복지관, 서호 노인복지관, 광교 노인복지관)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추출하였으며 2016년 4월 27일부터 5월 4일까지 8일 동안 120명 남자 32명, 여자 88명에게 일대일 면접설문조사를 하여 응답이 미흡한 설문 지를 제외한 설문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3. 연구도구 본 연구는 설문조사방법으로 조사 하였으며 본 연구의 도구는 김기록 (2001), 김남희(2006) 등의 구강보건지식 측정 도구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 자가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적 특성, 구강보건인식, 구강보건 행위, 구강보건교육경험실태, 구강보건 위생관리에 대한 항목으로 총 28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Table 1>

(20)

변수 문항 문항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관계 기족구성 소득수준 6문항 구강보건인식 구강검진 필요성 인식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올바른 잇솔질 방법 잇솔질 시기 구강위생용품 구강보건에 관한 관심 9문항 구강보건행위 잇솔질 횟수 잇솔질 방법 정기적 검진 구강위생용품 사용 4문항 구강보건교육 경험 실태 구강보건교육 경험여부 구강보건교육 경험 시기 · 횟수 구강보건교육 장소 올바른 잇솔질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육 5문항 구강보건 위생관리 잇몸 예방이 도움이 된다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구강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3문항 Table 1 설문문항

(21)

4. 분석방법

본 연구의 수집 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노 인들의 구강보건 인식과 구강보건 행위, 구강보건교육 경험실태, 그리고 구 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 하였고, t-test와 One-way ANOVA, Chi-square,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 였다. 5. 신뢰도 분석 신뢰성이란 어떤 검사나 측정도구가 시간․검사 실시방법․검사형식․질문항목․ 평가자에 관계없이 일관성이 있고 믿을 수 있으며,안정된 측정결과를 산출 해 낼 수 있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에는 측정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 가능성, 정확성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내적 일관성 분석방법인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한 이유는 동 일개념의 측정을 위하여 여러 개의 항목을 이용했을 경우 신뢰도를 저해하 는 항목을 찾아내어 변수에서 제거시킴으로써 변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 이다. 일반적으로 Cronbach's α 계수가 0.6이상이면 신뢰도가 충분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각 변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를 제시하여 항

(22)

목에 대한 신뢰성으로 제시하였다. 신뢰성 분석결과 Cronbach's α 계수의 값이 0.624-0.824로 나타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Table2) Table 2. 측정변수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구강보건인식 9문항 0.824 구강보건위생관리 3문항 0.624 6. 타당성 검정 타당성은 그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속성을 얼마나 정확하 게 측정하였는가를 의미한다. 설문문항의 구성형태가 얼마나 잘 구성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타당성은 크게 세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 는데 첫째, 내용 타당성(content validity)은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있는 항목 들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대표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둘째, 예측 타당성(predictive validity)은 한 속성이나 개념에 대한 측정값이 다른 속성 의 변화를 예측하는 정도에 의해 평가되는 타당도를 의미한다. 셋째, 개념 타당성(construct validity)은 측정도구가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을 측정하였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흔히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이 사용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용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23)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보건 위생관리 요인들의 개념타당성을 분 석하기 위하여 다중공선성을 제거하기 위한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 다. 그리고 세부 변수 들을 요인분석에 포함할 것인지, 제외할 것인지를 결 정하는 주요한 판단기준을 위해서 공통성(communalities)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추출값의 최소값이 .207이상 2개의 요인으로 구강보건인식, 위생 관리로 명명하였다.(Table 3) Table 3 회전된 성분행렬 요인1 요인2 공통분산 구강보건 인식 문항1 .274 .382 .505 문항2 .213 .274 .492 문항3 .279 .050 .613 문항4 .272 .110 .702 문항5 .340 .103 .560 문항6 .213 .274 .492 문항7 .369 .050 .613 문항8 .272 .110 .702 문항9 .340 .103 .560 구강보건 위생관리 문항1 .068 .115 .043 .327 .221 .207 . .622 .583 .402 문항2 문항3 eigenvalue 3.420 3.002 variance(% ) 25.648 18.761

(24)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 특성에서는 여자 73.3%(88명), 남자 26.7%(32명)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75-79세 34.2%(41명), 70-74세 28.3%(34명), 80-84세 20.8%(25명), 85세 이상 10.0%(12명), 65-69세 6.7%(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서는 무학 55.0%(66명), 초등학교졸업 16.7%(20명), 중학교졸업 15.0%(18명), 고등학교졸업 9.2%(11명), 대학이상 4.2%(5명)의 순으로 나타났 다. 배우자관계에서는 사별 63.3%(76명), 생존 26.7%(32명), 별거 10.0%(12명) 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 구성에서는 독거 44.2%(53명), 자녀와 거주 20.0%(24명), 부부거주 19.2%(23명), 부부+자녀 16.7%(20명)의 순으로 나타났 다. 소득수준에서는 없음 45.8%(55명), 81-100만원 17.5%(21명), 51-80만원 15.0%(18명), 31-50만원 11.7%(14명), 30만원 미만 10.0%(12명)의 순으로 나 타났다(Table.4).

(25)

구분 빈도(N) 백분율(%) 성별 남 32 26.7 여 88 73.3 연령 65-69세 8 6.7 70-74세 34 28.3 75-79세 41 34.2 80-84세 25 20.8 85세 이상 12 10.0 교육수준 무학 66 55.0 초등학교졸업 20 16.7 중학교졸업 18 15.0 고등학교졸업 11 9.2 대학 이상 5 4.2 배우자 관계 생존 32 26.7 별거 12 10.0 사별 76 63.3 가족 구성 독거 53 44.2 부부거주 23 19.2 자녀와 거주 24 20.0 부부+자녀 20 16.7 소득수준 없음 55 45.8 30만원 미만 12 10.0 31만원-50만원 14 11.7 Table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6)

2. 구강보건인식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수준을 살펴보기 위한 분산분석 결과 평균점수는 5 점 만점에 2.98 이상으로 평균 이상의 인식수준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잇솔질은 식사 후에 한다(M=3.94), 잇솔질은 취침 전에 한다(M=3.76), 구강보 건에 관한 정보에 관심이 많다(M=3.73), 올바른 잇솔질 방법은 잇몸을 예방 할 수 있다(M=3.72),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M=3.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강보건에 불편한 점이 생기면 치과에 간다 의 경우 2.98점으로 최하위의 점수를 보였다(Table 5) Table 5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수준 표준편차 구강보건을 위해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필요함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 올바른 잇솔질 방법은 잇몸병을 예방 할 수 있다 잇솔질은 식사 후에 한다 잇솔질은 간식 후에 한다 잇솔질은 취침전에 해야 한다 칫솔 이외에도 구강위생용품이 필요하다 구강보건에 관한 정보에 관심이 많다 구강보건에 불편한 점이 생기면 치과에 간다 3.21 3.68 3.72 3.94 3.02 3.76 3.31 3.73 2.98 0.81 0.86 1.09 0.94 1.02 0.76 0.99 0.73 1.23

(27)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수준을 살펴보면 여자(M=23.92), 남 자(M=20.34)로 나타나 여자가 남자보다 구강보건 인식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에서는 80-84세(M=18.57), 85세 이상 (M=17.65), 70-74세(M=16.94), 65-69세(M=16.08), 75세 -79세(M=14.91)의 순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에서는 초등학교 졸업(M=19.61), 무학 (M=18.43), 중학교졸업(M=18.23), 고등학교 졸업(M=16.57), 대학이상(M=15.33) 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28)

Table 6 변인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 수 범 주 N 평균 표준편차 F값 scheffe 성별 남 여 32(a) 88(b) 20.34 23.92 4.62 5.64 2.58 연령 65-69세 70-74세 75-79세 80-84세 85세 이상 8(a) 34(b) 41(c) 25(d) 12(e) 16.08 16.94 14.91 18.57 17.65 4.33 4.62 4.92 4.76 4.23 3.24 교육수준 무학 초등학교졸업 중학교졸업 고등학교졸업 대학이상 66(a) 20(b) 18(c) 11(d) 5(e) 18.43 19.61 18.23 16.57 15.33 4.21 7.26 5.34 6.51 2.26* b>a>c 배우자 생존 별거 사별 32(a) 12(b) 76(c) 13.73 12.29 15.31 4.26 5.12 5.60 1.74 가족구성 독거 부부거주 자녀와 거주 부부+자녀 53(a) 23(b) 24(c) 20(d) 13.28 11.24 13.43 11.78 4.39 5.42 6.21 4.33 1.59 소득수준 없음 30만원 미만 31-50만원 51-80만원 81-100만원 55(a) 12(b) 14(c) 18(d) 21(e) 17.77 16.32 13.84 14.21 14.02 6.50 5.42 5.01 4.05 5.07 4.43** a>b>d *p<.05, **p<.01

(29)

배우자의 상태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에서는 사별(M=15.31), 생존 (M=13.73), 별거(M=12.2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에서는 자녀와 거주(M=13.43), 독거 (M=13.28), 부부+자녀(M=11.78), 부부거주(M=11.24)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 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에서는 소득 없음(M=17.77), 30만원 미 만(M=16.31), 51-80만원(M=14.21), 81-100만원(M=14.02), 31-50만원(M=13.84)) 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p= >.05 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 있음(M=14.92), 경 험 없음(M=13.48)로 나타났다. (Table 7) Table 7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분 평균 표준편차 p-value 경험 있음 31 14.92 6.21 0.843 경험 없음 89 13.48 5.54

(30)

3. 구강보건행위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에 관해서 질문한 결과 2회 49.2%(59명), 3회 24.2%(29명), 1회 17.5%(21명), 3회 이상 9.2%(11명)의 순으로 나타났 다.(Table 8) Table 8 평균 잇솔질 횟수 수 빈도 % 1회 21 17.4 2회 59 49.2 3회 29 24.2 3회 이상 11 9.2 구강보건교육 경험자와 비경험자를 중심으로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에 대 해서서 질문한 결과 p=>.05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교육 경험자의 경우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는 2회 51.6%(16명), 3회 이상 25.8%(8명), 3회 16.1%(5명), 1화 6.5%(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 육경험이 없는 자의 경우 2회 48.3%(43명), 3회 27.0%(24명), 1화 21.3%(19 명), 3회 이상 3.4%(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9)

(31)

Table 9 경험에 따른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분 1회 2회 3회 3회 이상 합계 p-value 경험 있음 2 16 5 8 31 (6.5) (51.6) (16.1) (25.8) (25.8) 0.599 경험 없음 19 43 24 3 89 (21.3) (48.3) (27.0) (3.4) (74.2) 잇솔질 방법에 관해서 설문한 결과 위 아래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53.3%(64 명), 위 아래로 닦는다 25.0%(30명), 옆으로 닦는다 21.7%(26명)의 순으로 나 타났다.(Table 10) Table 10 잇솔질 방법 구 분 세부항목 N 빈도(%) 잇솔질 방법 옆으로 닦는다 26 21.7 위 아래로 닦는다 30 25.0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며 64 5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남자의 경우 위 아 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48.3%(28명), 위 아래로 닦는다 31.0%(18명), 옆으로 닦는다 20.7%(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58.1%(36명), 옆으로 닦는다 22.6%(14명), 위 아래로 닦는 다 19.4%(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05이므로 통계적 유의성은

(32)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잇솔질 방법을 살펴보면 65-69세의 경우 위 아래로 닦는다 50.0%(4명),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와 옆으로 닦 는다가 각각 25.0%(25명)로 나타났다. 70-74세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 가면서 닦는다 55.9%(19명), 위 아래로 닦는다 26.5%(9명), 옆으로 닦는다 17.6%(6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75-79세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가 56.1%(23명), 옆으로 닦는다 24.4%(10명), 위 아래로 닦는다 19.5%(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80-84세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가 64.0%(16명), 85세 이상에서는 옆으로 닦는다가 41.7%(5명)로 나타 났다. p=<.05이므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1)

(33)

Table 11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 분 옆으로 닦는다 위아래로 닦는다 위아래 옆으로 합계 p-value 남 12 18 28 58 (20.7) (31.0) (48.3) (48.3) 성별 여 14 12 36 62 .248 (22.6) (19.4) (58.1) (51.7) 65-69 2 4 2 8 (25.0) (50.0) (25.0) (6.7) 70-74 6 9 19 34 (17.6) (26.5) (55.9) (28.3) 연령 75-79 10 8 23 41 .003 (24.4) (19.5) (56.1) (34.2) 80-84 3 6 16 25 (12.0) (24.0) (64.0) (20.8) 85세 이상 5 3 4 12 (41.7) (25.0) (33.3) (10.0) 무학 16 6 44 66 (24.2) (9.1) (66.7) (55.0) 초등학교 졸업 4 6 10 20 (20.0) (30.0) (50.0) (16.7) 교육 중학교 졸업 3 9 6 18 .000 (16.7) (50.0) (33.3) (15.0) 고등학교졸업 2 7 2 11 (18.2) (63.6) (18.2) (9.2) 대학 이상 1 2 2 5 (20.0) (40.0) (40.0) (4.2) 생존 10 8 14 32 (31.3) (25.0) (43.8) (26.7) 배우자 별거 4 3 5 12 .312 (33.3) (25.0) (41.7) (10.0) 사별 12 19 45 76 (15.8) (25.0) (59.2) (63.3) 독거 8 15 30 53 (15.1) (28.3) (39.6) (56.6) 기족 부부거주 4 5 14 23 .198 (17.4) (21.7) (60.9) (19.2) 자녀와 거주 8 6 10 24 (33.3) (25.0) (41.7) (20.0) 부부+자녀 6 4 10 20 (30.0) (20.0) (50.0) (16.7) 없음 10 12 33 55 (18.2) (21.8) (60.0) (45.8) 30만원 미만 4 3 5 12 (33.3) (25.0) (41.7) (10.0) 소득 31만원-50만원 3 6 5 14 .224 (21.4) (42.9) (35.7) (11.7) 51만원-89만원 4 3 11 18 (22.2) (16.7) (61.1) (15.0) 81만원-100만원 5 6 10 21 (23.8) (28.6) (47.6) (17.5)

(34)

잇솔질 방법에서는 무학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66.7%(44명), 옆으로 닦는다 24.2%(16명), 위 아래로 닦는다 9.1%(6명)의 순으로 나 타났다. 초등학교 졸업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50.0%(10명), , 위 아래로 닦는다 30.0%(6명),옆으로 닦는다 20.0%(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졸업의 경우 위 아래로 닦는다 50.0%(9명),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33.3%(16명),옆으로 닦는다 16.7%(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졸업의 경우 위 아래로 닦는다 63.6%(7,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와 위 아래로 닦는다가 각각 18.2%(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 이상의 경우 위 아래로 닦는다와 위 아래 옆으 로 돌려가면서 닦는다가 각각 40.0%(2명), 옆으로 닦는다 20.0%(1명)의 순으로 나타 났다. 그리고 p=<.05이므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유무별 잇솔질 방법에서는 생존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 다 43.8%(14명), 옆으로 닦는다 31.3%(10명), 위 아래로 닦는다 25.0%(8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별거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41.7%(5명),옆으 로 닦는다 33.3%(4명), 위 아래로 닦는다 25.0%(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별의 경 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59.2%(45명), 위 아래로 닦는다 25.0%(19명), 옆으로 닦는다 15.8%(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05이므로 통계적 유의 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형에 따른 잇솔질 방법에서는 독거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 는다 39.6%(30명), 위 아래로 닦는다 28.3%(15명), 옆으로 닦는다 15.1%(8명),의 순 으로 나타났다. 부부거주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60.9%(14명), 위 아래로 닦는다 21.7%(5명), 옆으로 닦는다 17.4%(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 와 거주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41.7%(10명), 옆으로 닦는다

(35)

33.3%(8 ), 위 아래로 닦는다 25.0%(6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부+자녀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50.0%(10명), 옆으로 닦는다 30.0%(6명), 위 아래로 닦는다 20.0%(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05이므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따른 잇솔질 방법에서는 소득 없음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 서 닦는다 60.0%(33명), 위 아래로 닦는다 21.8%(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수 준이 30만원 미만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41.7%(5명), 옆으로 닦 는다 33.3%(4명), 위 아래로 닦는다 25.0%(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31 만원-50만원의 경우 위 아래로 닦는다 42.9%(6명),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 는다 35.7%(5명), 옆으로 닦는다 21.4%(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51만원 -89만원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61.1%(11명), 옆으로 닦는다 22.2%(4명), 위 아래로 닦는다 16.7%(3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81-100만 원의 경우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47.6%(10명), 위 아래로 닦는다 28.6%(6명), 옆으로 닦는다 23.8%(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05이므로 통 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1)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강위생용품에 관하여 질문한 결과 의치세정제 41.5%(56 명), 치실 17.8%(24명), 구강양치액 16.%(22명), 치간치솔 14.8%(20명), 전동치솔 5.9%(8명), 혀클리니 2.2%(3명), 구강세정기 1.5%(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2)

(36)

Table 12 사용하고 있는 구강위생용품(복수응답) 분 빈도 백분율(%) 치간 칫솔 20 14.8 치실 24 17.8 혀클리니 3 2.2 의치세정제 56 41.5 구강양치액 22 16.3 구강세정기 2 1.5 전동칫솔 8 5.9 합계 135 100.0 4. 구강보건교육 경험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장소에 대해서 질문한 결과 치과 48.4%(15명), 보건소 38.7%(12명), 경로당 복지관 12.9%(4명)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13) Table 13 구강보건교육 장소 구 분 빈도 백분율 치과 15 48.4 경로당 복지관 4 12.9 보건소 12 38.7 학교 및 기타 교육기관 -

(37)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횟수에 대해서 질문한 결 과 1회 71.0%(22명), 2회 19.4%(6명), 3-4회 9.7%(3명)의 순으로 나타났 다.(Table 14) Table 14 횟수 분 빈도 백분율 1회 22 71.0 2회 6 19.4 3-4회 3 9.6 5회 이상 합 계 31 100.0 올바른 잇솔질 방법에 대하여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서 는 있다 51.6%(16명), 없다 25.8%(8명), 모르겠다 22.6%(7명) 순으로 나타났 다.(Table 15) Table 15 올바른 잇솔질 방법에 대한 교육 경험 구 분 빈도 백분율 있다 16 51.6 없다 8 25.8 모르겠다 7 22.6

(38)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서는 예라고 대답한 경우는 38.7%(12명), 아니오 48.4%(15명), 모르겠다 12.9%(4명) 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6) Table 16 사용에 관한 교육 경험 분 빈도 백분율 예 12 38.7 아니오 15 48.4 모르겠다 4 12.9 합 계 31 100.0 5. 구강보건 위생관리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건조증 에 도움이 된다(M=3.05), 잇몸예방에 도움이 된다(M=3.01), 정신건강에 도움 이 된다(M=2.98)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7) Table 17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 평균 표준편차 잇몸예방에 도움이 된다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구강건조증에 도움이 된다 3.01 2.98 3.05 0.92 0.88 1.07

(39)

Ⅳ. 고 찰

노인의 구강보건교육이 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분산분석의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3.7점 이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노인 들의 경우 구강보건에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도 정기적인 구강검진의 필요성 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인식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 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인식수준 에서도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인구통계적 변인 중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 경 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수준을 연구한 논문으로 신화자(2011)와 성 미장(2012)의 연구가 있지만 이들 연구의 경우 연구대상자가 일반노인이 아 닌 도시취약계층과 장기요양기관의 노인들을 그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 과를 비교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에 관해서 살펴본 결과 높은 교육수준과 연령이 높은 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잇솔질 방법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김포시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연구한 채주영(2008)의 연구와 일치하 는 면이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강위생용품에 관하해서는 의치세정제와 치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구강위생용품에서 의치세정제의 비율이 상대 적으로 높다는 점은 노인들의 의치비율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40)

향후 노인들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의 중심은 의치관리 방안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교육의 중심에는 지역의 전공 학생들이 방사활동의 차 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들의 구강보건교육 장소는 치과와 보건소의 비중이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인의 특성상 움직임을 싫어하고 이들이 주로 함께 행동하는 장소가 경로당이나 복지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노인들을 위한 구강 보건 교육의 장소로 경로당과 복지관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 안을 마려할 필요가 있다.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들의 구강보건교육 횟수는 1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구강보건 교육이 1회성 교육이 되고 있을 나 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 교육은 주기적으로 반복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육에서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 육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구강교육 경 험자를 대상으로 한 현재의 교육에서 예라고 대답한 경우는 38.7%(12명), 아니오 48.4%(15명), 모르겠다 12.9%(4명)의 설문 결과에서 잘 나타나고 있 다.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구 강조정에 도움이 된다, 잇몸예방에 도움이 된다,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등의 평균 점수가 2.5점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들을 위한 구강교육은 현재 보다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41)

Ⅴ.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구강보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노인들의 구강보건 인식에 수준을 현재 보다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육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 다.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교육수준 과 소득수준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고려할 때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육은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고려한 프로그 램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구강보건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구 강보건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그 동안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의 내용의 한계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 육은 보다 현실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노인들 의 구강위생용품에서는 의치세정제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해 볼 때 향후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 구강교육에서는 의치 관련 중심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보건교육 장소로서 치과와 보건소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 교육 장소로 경로당 복지관을 교육 장소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향후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교육에서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 육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경우 구강보건교육이 노인의 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42)

첫째, 연구의 대상 선정에 있어 경기도 수원시 일부지역 노인들을 대상으 로 한정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 단위를 보다 확대하여 다양한 의견 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분석방법의 다양성 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경우 면담을 통한 설문조사에 의한 통계분석으로 하였으나 보다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질문 지를 가지고 인터뷰 등 질적인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셋째, 조사연령층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경우 연구의 그 대상 을 노인으로 한정하였으나 전 세대를 대상으로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 다.

(43)

참고문헌

강형구.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치과보건 행동에 따른 구강내 건강상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권영옥. 노인의 의치사용 만족도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3 김기욱, 김지화. 요용보호사의 노인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 연구. 한국융합화학논문지. 2015. 6(6):9-15 김남희. 김현덕 외. 서울지역 노인복지회관이용 노인의 주관적 구강 증상과 구강 건강사애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 30(2): 141-150 김영희, 이승희, 윤현경. 일부지역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과 인식 및 노 인의 의치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의료산업학회지. 2014. 8(4): 69-80 김지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계명 대학교 대학원. 2007 노은미.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노은미, 전은숙, 고수연. 노인의 구강보건 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련성. 치 위생과학회지. 2014. 14(2): 167-175 박성숙, 박수희.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인식도에 관한 연구. 고령자 치매작 업치료학회지. 2010. 4(1): 1-9 박지영.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행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 합연구. 2014. 12(5): 271-280

(44)

배성숙, 문하영, 문윤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엔 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4. 25(1): 199-206 백종욱, 노은미. 노인의 구강보건 행태와 사회적 기대감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상사회사업연구. 2010. 7(3):1-16 서혜경. 고령화 사회와 노인인권. 서울: 경춘사. 2012 성정희.노인의 구강보건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 교 대학원. 2003 원영순. 노인의 구강상태와 식습관 및 건강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 교 대학원. 2003 유미선. 일부지역 노인의 구강진료 이용행태와 관련 요인. 박사학위논문 원 광대대학교 대학원. 2006 이광재. 노인요양보험제도의 이해: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고양: 공동체. 2007 이민영. 노인 구강보건 지식, 행위, 상태 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5 이희성, 김한곤. 한국노인의 구강보건지수와 치과보철물 필요도가 구간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6. 17(1): 72-78 장기환.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행위와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6 정진아. 노인의 구강 건강영향지수와 관련 요인.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조남옥, 고성희, 김춘길, 양수, 오경옥, 이숙자, 정유진. 가족, 간병인, 간호사

(45)

가 인지하는 노인요양보호사 교육의 중요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8. 14(1):127-137. 최은미. 초등학교 아동의 구강보건교육방법에 따른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 세대학교 대학원. 1997 한석윤. 대구 경북지역 노인들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한정희. 노인의 식습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 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황지민. 노인의 구강보건 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 석사학위논 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AvcuNeal. Oral findings and health statu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60 or above. Arch Gerontol Geriatr 2005. 41:69-79.

Biazevic MG, Michel-Crosato E, Iagher F, Pooter CE, Correa SL, Grasel CE. Impact of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of Joacaba, Santa Catarina, Brazil. Pesqui Odontol Bras.2004. 18:85-91.

Daly, M. Paid work, unpaid workd and welfare : towards a frame work for studying welfare state variation, in T. Boje & A. Leira(eds). Gender, welfare state and Market : Toward a new division of labour. London; Routeledge. 2000.

(46)

ELSEVIER. 2010.

Ekanayake L, Perera I.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oral health status oral impacts experienced by older individuals in Srilanka. J Oral Rehabil. 2004, 31:831-836

(47)

안녕하십니까? 먼저 본 연구에 협조하여 주신 것에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본 설문지는 구강보건교육이 노인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고자 하는 연구입니다. 본 조사에 참여하여 작성하신 여러분의 응답내용은 절대로 연구 이 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통계적인 자료처리에만 이용될 것 입니다. 본 설문지는 특정한 답이 없으니 한 문항도 빠짐없이 솔직하게 응 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과정 김준완 드림 구강보건교육이 노인구강위생관리에 미치는 영향

설 문 지

(48)

I. 일반적 사항 1 . 성별 ① 남 ② 여 2. 나이 ① 65-69 ② 70-74 ③ 75- 79 ④ 80- 84 ⑤ 85이상 3. 교육수준 ① 무학 ② 초등학교 졸업 ③ 중학교 졸업 ④고등학교졸업 ⑤ 대학이상 4. 배우자 관계 ① 생존 ② 배우자와 별거 ③ 사별 ④ 이혼 ⑤ 이혼 ⑥ 기타 5. 가족구성형태 ① 독거 ② 부부거주 ③ 자녀와 거주 ④ 부부와 자녀거주 ⑤ 기타 6. 월평균소득 ① 없음 ② 30만원미만 ③ 30만원 - 50만원 미만 ④ 50만원 - 80만원 미만 ⑤ 80만원 - 100만원 미만 ⑥ 100만 원 이상

(49)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 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구강보건을 위해 정기적인 구강 검진이 필요하다. 2.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 다. 3. 올바른 잇솔질 방법은 잇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잇솔질은 식사 후에 해야 한다. 5. 잇솔질은 간식 후에 해야 한다. 6. 잇솔질은 취침 전에 해야 한다. 7. 칫솔 이외에도 구강위생용품이 필요하다. 8. 구강보건에 관한 정보에 관심이 많다. 9. 구강에 불편한 점이 생기면 바 로 치과에 간다. Ⅱ. 구강보건인식

(50)

Ⅲ. 구강보건 행위 1. 잇솔질은 하루 몇 회 하십니까? ① 0회 ② 1회 ③ 2회 ④ 3회 ⑤ 3회 이상 2. 잇솔질은 어떤 방법으로 하십니까? ① 옆으로 닦는다. ② 위, 아래로 닦는다. ③ 위, 아래 옆으로 돌려가면서 닦는다. 3.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하고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4. (칫솔, 치약을 제외한)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고 있습니까? (모두 표시) ① 치간 칫솔 ② 치실 ③ 혀클리너 ④ 의치세정제 ⑤ 구강양치액(ex. 가그린...) ⑥ 구강세정기 ⑦ 전동칫슬 ⑧ 기타 ⑨ 없다

(51)

Ⅳ. 구강보건교육 경험실태 1.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습니까? ① 예 (2번으로) ② 아니오(구강보건교육 요구도 문항으로) 2. 구강보건교육은 어디서 받으셨습니까? ① 치과 ② 경로당 및 복지관 ③ 보건소 ④ 학교 및 기타 교육기관 ⑤ 직장 ⑥ 기타 3. 구강보건교육은 몇 번 받으셨습니까? ① 1회 ② 2회 ③ 3-4회 ④ 5회 이상 4. 올바른 잇솔질 방법에 대해 교육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모르겠다 5.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관한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① 예 ②아니오 ③ 모르겠다

(52)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 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잇몸예방에 도움이 된다 2. 구강건조정 예방에 도움이 된다. 3.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Ⅳ.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53)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oral hygiene status of the elderly

Junwan Ki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eung-Il Song,D.D.S.,M.S.D.,Ph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oral health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recognition on oral health, oral health behaviors, experience on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management by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derived randomly from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affiliated with senior welfare center (Yudang Village Welfare Center, Seoho Senior Welfare Center, Gwanggyo Senior Welfare Center) who are living in Suwon, Gyeonggi-do. One-on-o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0 people -32 men and 88

(54)

women- for eight days, from April 27th, 2016 to May 4th, 2016.

The level of oral health awareness of the elderl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3.21. If the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brushing method according to the high level of education and the elderly showed that higher age and a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the brushing method.

Current oral hygiene was found that older people use denture cleaner, and dental floss that make up this week. For oral health education places intended for oral health education and experience showed that a high percentage of dental and health clinic. However, it is necessary to hate the nature of the movement of the elderly and the place where they act primarily to provide with a plan that can a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per path to a pla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for the elderly, given the fact that per path or welfare.

After a number of questions about oral health education targeting oral health education and experience showed that once most. In other words, the current oral health education there is a one-time oral education aimed at training the future elderly are thought to be repeated periodically. In an oral education aimed at future seniors it is expected to be included in the mandatory training on the use of oral hygiene.

Variance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management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for answers like "It helps for xerostama," "It

(55)

helps for gum," and "It helps for mental health" exceed 2.5 points. Altogether, such results show that oral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needs to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than the current

수치

Table 16 구강위생상품 사용에 관한 교육 경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p Table 17 구강보건 위생관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ble 6  변인에 따른 구강보건인식 수준  수 범  주 N 평균 표준편차 F값  scheffe 성별  남 여     32(a)     88(b)   20.34  23.92     4.62    5.64 2.58 연령  65-69세70-74세75-79세 80-84세 85세  이상            8(a)     34(b)    41(c)    25(d)    12(e)   16.08  16.94  14.91  18.57  17.65     4.33
Table 9  경험에 따른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분                                1회              2회            3회            3회  이상              합계              p-value 경험  있음                              2                  16                    5                  8
Table 11  특성에 따른 잇솔질 방법                 분                    옆으로  닦는다      위아래로  닦는다      위아래  옆으로      합계          p-value                  남                                  12                          18                                28
+2

참조

관련 문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effect of human oral cancer KB cell treated with pulsatilla koreana extract..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is

Anticancer activities of EF-24, a novel curcumin analog, on KB human. oral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Oral Health Educational Diagnosis of Dental Hygienist

The Oral health status (such as subjective oral heal th status, toothache) and oral health behaviors (such as tooth brush, or al health examination) were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on the Physical Self-Conceptual Chang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58 children from two schools that have oral health centers run by Suncheon Public Health Department,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und-finding strategies based on phonological awareness on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