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roposal of Game Programming Educ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Proposal of Game Programming Educ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9

-협력적 문제해결력 및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 모델 제안

한정민†․ 이소율†․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Proposal of Game Programming Educ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Jeong-Min Han†․ Soyul Yi†․ Young-Jun Lee†

†Dep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요 약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은 이 두 가지 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학생들에게 게임의 기 획자와 개발자의 역할을 부여해 추상화 및 자동화의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을 통해 협력적 문제해 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서 론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의 복잡성의 증가는 기존의 개인 인지에 대한 관심을 집단으로 옮겨가게 하고 있다. 이처럼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우리 사회가 새롭게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으 로 주목받고 있다[1]. 또한 컴퓨팅 사고력은 협력적 문제 해결력과 함께 2015 개정 정보 교육과정에서 강 조되고 있다[2]. 따라서 초등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컴퓨팅 사고력을 길러줄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짝 프로그 래밍이나 기존의 협동학습은 개발자들 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고려한 것으로 이미 추상화 과정을 거친 내용 에 대한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게 되어 추상화 과정에 서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을 키워주기 어렵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추상화 및 자동 화 과정 전반에 관한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사 용자와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반영하여 게 임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제안 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다른 제품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과 비교할 때, 게임 개발은 기획력, 기술력, 생산력이라는 역량이 경쟁력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3]. 기 획력은 창의성과 관련이 있으며 기술력은 소프트웨어 로서의 게임 구현 능력으로 코딩능력을 뜻한다. 생산력 은 게임을 프로젝트의 관점에서 볼 때의 능력으로 다 른 표현으로 실행력이다[3]. 이는 협력적 문제해결력 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초기의 게임제작은 뛰어난 프로그래머에 의해서 좌 지우지 되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점차 대형화되고 대규모의 자본이 들어가는 방식으로 전환되어 철저하 게 분업화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게임을 개발함에 있어 기본적인 제작진 구성은 [그림1]과 같이 프로듀서, 디 렉터, 마케터, 기획, 시나리오, 프로그래머, 아티스트, 뮤지션, 테스터 등으로 나누어진다[3][4]. 즉 하나의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능력과 이해관계가 다른 여러 사람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게임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초등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중요한 역량인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함양하 기에 좋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2)

2018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지 제22권 제2호

30

-학습 및 개발 프로세스 단계 교수․학습 활동 의사소통 도구 도입 ○ 학습의 필요성 느끼기 - 세계적인 게임회사들의 로고들을 보고 공통점 찾기 - 게임 기획 전문가에 대해서 알아보기 ○ 학습 문제 확인하기 전 개 프로세스□1 요구명세서 작성 (추상화) ○ 사용자 평가지 살펴보기 -평가지를 미리 살펴보면서 개발 과정에서 유의할 점에 대해 생각해보기 ○ 게임 개발 요구사항 명세 페 이 퍼 프로토타입 서 알아보기 -게임기획의 예 살펴보기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 예시 를 보고 작성 방법 알기 ○ 게임 개발 요구사항 작성 하기 ( 요 구 사 항 명세서) 프로세스□2 요구분석 (추상화) ○ 사용자(기획자)와 개발자 배정받기 ○ 개발자에게 요구사항 전달 하기 및 개발자로서 요구사항 전달받기 -개발자는 요구 명세서를 바 탕으로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통해 요구를 명확화하기 프로세스□3 게임 설계 (자동화) ○ 게임 코딩을 위한 알고리 즘 만들기 -사용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게임을 위한 알고리즘을 만들 기 ○ 알고리즘 검토하기 -사용자와 함께 알고리즘을 검토하기 프 로 토 타입 (블록형 EPL 화면) 프로세스□4 구현 (자동화) ○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코 딩하기 -만든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코딩하기 -구현 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드백 받기 정리 ○ 학습활동 정리 ○ 차시 안내 받기 [그림1] 기초적인 게임 제작진 구성

2.2 요구 분석

요구분석(요구사항 명세)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단계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과정이다[5]. 하지 만 많은 선행 연구 및 초등학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 육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생략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지 고 있다. 본 교육 모델의 요구분석은 게임 기획자를 개 발자(프로그래머)입장에서의 게임 사용자로 보고 기획 자의 의도와 요구를 개발자가 파악하기 위해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설정하였다.

3. 협력적 문제해결력 및 컴퓨팅 사고력

을 위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 모델

본 연구에서 조준동(2017)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 로세스와 Brookshear(2013)의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 따른 개발단계를 참고하여 개발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 육 모델은 <표1>과 같다[6][7]. <표 1>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 모델

4.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문제 해결력의 향상을 위한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게임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관심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게 임 개발에 포함된 여러 가지 요소와 특징은 학생들에 게 컴퓨팅 사고력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길러주기에 적합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화된 교육 프 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참 고 문 헌

[1] 박혜영, &임해미. (2014).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와 ATC21S

의 특징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439-462.

[2] 교육부. (2015). 2015 교육과정 총론 해설.

(3)

2018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지 제22권 제2호

31

-[3] 김광열. (2005). 경쟁력 있는 게임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모델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4] 이기욱. (2001). 컴퓨터 게임 제작사의 전문인

력 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

문, 상명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5] 최은만. (2014). 새로쓴 소프트웨어 공학. 서

울: 정익사.

[6] 조준동.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이

창의 비즈니스를 창출한다. 한국디자인진흥

원, 10, 4.

[7] Brookshear, J. G., Smith, D. T., Brylow, D.,

&이광수. (2013). 컴퓨터과학 총론. 서울: 홍

릉과학.

참조

관련 문서

introspective personality and an impulse personality, for a ego problem smoking and drinking, for a internet problem internet addiction, for a sex problem

In this study, it expect that the student's school achievement skills and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kills increase according to textbook of an

So, if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as provided the class unit art therapy program apply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developed i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area of ​​information subject on perception and

Children's experience of life sdtress: The role of family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s protective factors.. “Social competence: An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and to

공정기술에 대한 인식 부족 선진기업 흉내내기.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developed Arduino was effective in enhancing environmental literacy and cre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