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Verification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pressure sensor membrane stress distribut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Verification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pressure sensor membrane stress distribution"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정밀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수치해석을 이용한 압력센서의 멤브레인 응력분포 검증

Verification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pressure sensor

membrane stress distribution

*강한 빈1, #이 석 순2, 송 주 한2, 백 인 석2, 이 동 욱2, 박 민 혁2

*H. B. Kang1, #S. S. Lee(leess@gsnu.ac.kr)2 , J. H. Song2, I. S. Pack2, D. U. Lee2, M. H. Park2

1경상대학교 기계공학과, 2경상대학교 기계공학과

Key words : Pressure Sensor, Membrane, Numerical Analysis

1. 서론 압력센서는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 는 소자로서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생체공 학용 의료기, 환경감시 및 산업체의 대규모 시스템 제어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스템의 자동화가 가속됨에 따라 효율적인 시스 템제어를 위한 고감도의 압력센서가 요구되고 있 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기적 신호방식의 압력센서에서는 미소압력의 측정이 힘들고 원격 측정에 있어서 전력공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호 전송시 잡음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다. 이에 비해 광섬유를 이용한 압력센서에서는 광섬유 그 자체가 광신호의 송수신으로 역할을 겸할 수 있으 며, 또한 주위의 전자장, 고온 및 부식 등의 열악한 화녕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은 정밀도 및 빠른 응답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사용한 압력센서에 사 용되는 금속 멤브레인 막을 컴퓨터로 형상화 하고 균일한 하중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금속 멤브레인 막의 응력 분포 특성을 수치해석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여 균일한 응력 분포를 가지는 금속 멤브레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Fig. 1 Pressure Sensor Assy’ and Membrane

Fig. 2 Complete measurement setup

2. 압력센서와 멤브레인 위의 Fig. 1은 제작한 압력센서의 형상이고, 표시 한 부분이 응력분포를 보고자하는 금속 멤브레인 이다. 왼쪽의 표시한 부분이 압력센서에서 멤브레 인이 들어가는 위치이다. Fig. 2는 압력센서를 구성 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식도이다. 금속 멤브 레인을 Fig. 3과 같이 굴곡이 있는 형상과 굴곡이 없는 즉, 평평한 형상으로 모델링을 하였다. 2가지 케이스를 두께에 따라 비교하여 각각의 응력분포 를 보고 균일한 응력분포를 가지는 형상을 선정하 고자 한다. 수치해석프로그램으로는 상용프로그 램인 ABAQUS 6.12를 사용하였고 모델링은 CATIA V5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Fig. 3 Wave and non-wave membrane shape

(2)

한국정밀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3. 결과 및 고찰 Fig. 4~7은 두께에 따른 멤브레인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Fig. 4는 0.2mm 두께를 가지는 멤브 레인 응력분포이고, Fig. 5는 0.3mm, Fig. 6은 0.4mm, Fig. 7은 0.5mm 두께를 나타낸다.

Fig. 4 Stress distribution of Thickness 0.2mm

Fig. 5 Stress distribution of Thickness 0.3mm

Fig. 6 Stress distribution of Thickness 0.4mm

Fig. 7 Stress distribution of Thickness 0.5mm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변수를 두께와 굴곡의 유무로 선정하여 각각 두께는 4가지 굴곡은 2가지의 케이 스로 총 8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초기에 목표로 한 응력분포의 균일정도는 두께가 작을수 록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굴곡의 유무를 비교했 을 때는 굴곡이 있을 때 균일한 응력분포가 나타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두께는 0.2mm일 때, 굴곡이 있는 멤브레인 형상을 선정하 게 되었다. 후기 본 연구는 2단계지역대학 육성사업(BK21)과 교 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역혁신인력양 성사업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다. 아낌없이 지원 해주신 것에 대해서 감사드린다. 참고문헌

1. R. Wolthuis et al., IEEE Trans. on Biomedical

Engineering 40(3), 298, 1993.

2. K. Seibert et al., Proc. of The 7th Int’l Conf. on Solid-State Sensors and Actuators, 690, 1995.

3. E. Singer et al., Sensors and Atuators A 41, 542, 1994. 4. T. G. Giallorenzi et al., J. Quantum Electron QE-18,

626, 1982.

5. F. Urban, J. Kadlec, R. Vlach and R. Kuchta, “Design of a Pressure Sensor Based o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Lateral Deformation, pp. 11212-11225, 2010. 6. 김영복, "광파이버 센싱기술기반 압력센서장

치," 한국동력기계공학회, pp.236-239, 2009.

수치

Fig. 2 Complete measurement setup
Fig. 4 Stress distribution of Thickness 0.2mm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analyses axis-direction velocity distribution, 2nd flowing distribution, shearing stress distribution, pressure distribution, and kinetic energy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속 및 합금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그 산 화물이 금속 표면에만 얇게 형성되어 재료의 기계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 서 내부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섭계를 통과한(또는 반사한)4가지 종류의 빛(Fi g.6) 의 세기는 입사된 빛의 파장 (λ) 과 간섭계를 구성하는 공진기(Cavi ty)의 길이 () 에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tress distribution on short implant supporting bone according to horizontal bone loss using a three-dimensional

12 As such, using finite element modeling, the effect of stress distribution around the internal non-submerged type implants on marginal bone resorption

under the transient condition using the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and predict the stress value and the dynamic stress concentration factor based on the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idual stress of the high tensile steel fillet weld was measured, and the reliability of numerical simulation was secured by

○ 회전원판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자석의 극 배치가 N-S 교대로 배치될 때 금속 고정판에 더 많은 열이 발생하여 온도상 승 속도와 폭이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