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Transition of the Modern Urban Landscape of Yeongdo District in Busa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andscape

문서에서 국토연구 (페이지 23-43)

႑ᩑ⦽Bae Younhan**, v࠺ḥKang Dongjin***

Abstract

Regarding Yeongdo, which is located in the original downtown in Busan, the island is uniquely one administrative district of which the unit is the Gu. And, ever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within the process of the rapid urbanization, it has been changing together while supporting the urban func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Yeongdo grows together with the original downtown, however, nowadays it has been declining and getting undervalued, although it is a place that possesses the sufficient value and identity, Hence, Yeongdo needs the process of sharing the value and looking for the identity. And, for this, the research was proceeded with a methodology that analyzes the changes of the city scenery of Yeongdo from the cultural landscape viewpoi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rrive at the special,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s of Yeongdo. The special,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s mean the identity and the independence which distinguish Yeongdo from the landscapes of the other regions. And they are the minimal,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must be protected in the future changes of the city scenery of Yeongdo. This study preserves the identity of Yeongdo, and it will be utilized as a research material for converting into an approach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 projects.

Keywords: Cultural Landscape, Urban Landscape Transition, Urban Form, Urban Characteristic, Yeongdo, Busan

* 본 논문은 배연한의 박사학위논문 부산 영도의 도시경관 변천: 문화경관적 관점과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부산 영도의 도시경관 변천: 문화경관적 관점의 일부를 활용수정하여 논문화한 것임.

** 부산발전연구원 전문위원(1저자) | Special Research Fellow,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Primary Author | byhan999@naver.com

***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교신저자) | Prof., Dept. of Urban Engineering, Kyungsung Univ. | Corresponding Author | conkang@naver.com

Ķࢹٍĵ܃ń 

매립, 동삼혁신지구, 남항수산관광단지 개발과 북항 재개발 등 대규모 토목사업이 계획 중이거나 진행되 고 있다. 도시개발이 불가피하다면 최소한 지역의 정 체성을 보존하거나 기존의 도시 맥락에서 벗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영도는 현재 개발과 보전이라는 갈림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자의 절충 안이 절실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1) 2)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목적을 가진다. 첫째, 도시사적 측면에서 영도를 공간 적으로 바라보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영도 관련 연구 는 원도심이나 부산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 족한 편이다. 그중에서도 영도의 역사와 관련한 연구 는 향토사를 비롯하여 대부분 사실의 고증과 서술에 집중되어 있어서 영도를 공간적으로 바라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도시사적 측면에서 영도의 공간적 변화 양상을 경관을 통해 분석하는 방 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영도 도시경관의 문화경관적 특성을 도출한 다. 배연한, 강동진(2013) 및 배연한(2015a; 2015b)의 선행연구는 영도 도시경관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영 도가 지금의 경관을 형성하게 된 과정을 밝히고, 이러 한 경관이 형성된 이유와 속성을 문화경관적 특성으 로 규명하였다. 이는 조선소길과 영도대교 등이 왜 주 목받게 되었는지에 대한 근거와 가치를 재규명하고, 밝혀지지 않은 내부자원과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 다. 이러한 특성들은 영도만의 정체성을 가지는 자원 으로, 향후 영도의 관리계획 수립에 주요한 근거자료 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영도 도시경관의 문화경관적 가치를 도출한 다. 문화경관적 가치는 다른 지역의 경관과 구별되는 영도만의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경관적 가치 는 영도 도시경관의 형성과 변화에 지속적으로 작용 하는 근원적 이유이며, 미래 경관 변화에도 잠재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문화경관적 가치를 도출하 여 미래 영도의 도시경관 변화에 반영하여야 할 특성 을 제시하고자 한다.

ʂԜݓইড

영도는 섬이지만 원도심에 인접하여 도심과 유사한 경관을 가지고 있다. 개항 이후 도시화가 시작되는 초 기부터 수변부는 공업지역으로 이용되었으며, 현재의 시가지는 섬이라고 느끼지 못할 정도로 개발밀도가 높다(<Figure 1, 2> 참조). 내부에는 상업공업주거 시설이 혼재되어 있고, 중심부에서는 바다에 접근하 기 어렵다. 영도가 이처럼 어지러운 경관을 갖게 된 이유는 다양한 이용가치를 지녔기 때문이며, 기능면 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기 때문이다.

영도의 가치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첫 째, 역사적 가치이다. 영도에는 동삼동패총, 이순신장 군 격전지, 절영도왜관(1601~1607), 절영진지(1881~

1895), 고구마시배지, 국영목마장, 육송조림지, 태종 대 등 다양한 유적지가 위치한다. 둘째, 기능적 가치 이다. 원도심 배후지원지로서 기능하였던 영도는 최 초의 근대 조선업 발상지이자 최초로 조선소 도크 (Dock)가 설치된 곳이다.3)또한 임시수도의 보조 기

1) 부산시 원도심은 중구, 서구, 동구 일대를 지칭하며, 최근 영도구를 포함하여 구() 통합 의견이 제시되었음.

2) 영도는 예부터 명마의 생산지로 말이 그림자를 끊을 정도로 빠르다고 하여 절영도(腱捬惱)라 불리다가, 광복 후 영도구(1957)로 불리게 . 본 논문에서는 영도로 통일하여 지칭함.

3) 비록 일본인에 의해서지만 1887년 최초의 근대식 조선소인 다나카조선소(礫刨鐛蘴昻)가 지금의 대평초등학교 자리에 세워짐. 선박을 건조하기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도크(Dock)1937년에 건설되어, 현재 한진중공업 부지에 남아 있음.

ҙԓٖʪۆŖʂʪ֨ąěѺߎЛজąěۺě۾

능, 수산업 전초기지, 피난민 및 재해민의 유입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특히 경제개발 시대에는 경제부흥의 중심산업인 수산업, 물류업, 조선업의 중 심지로 기능하였다. 셋째, 공간적 가치이다. 영도는 입지 특성상 부산항의 천연방파제 역할과 피난 및 임 시 정박항의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이는 원도심이 개 항장이 될 수 있었던 중요한 조건이었다.

따라서 개항 전부터 영도에 대한 일본정부와 자본

가의 관심이 높았다.4)그 이유로는 당시의 사회적 분 위기5)와 개발되지 않은 가용토지 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당시 영도의 가용토지는 일본 조계지(㬊㨕㉇) 배 후의 토지보다 넓었던 것으로 판단된다(<Figure 3>

참조).

영도에 대한 일본정부의 관심을 대표하는 것이 영 도대교6)와 전차이다. 일본정부 주도로 엄청난 공사비 와 인력이 투입된 한국 최초의 도개식 연륙교인 영도 대교를 건설하고 주요 중심지를 오가는 전차를 설치한 것을 보면, 당시 영도의 위상과 가치를 짐작할 수 있다.

Òȝ܁ۆ

경관은 다의적인 용어로 학문에 따라서 정의와 시각

4) 일본정부는 188512, 절영도 땅 4900평을 일본 해군의 저탄창고용으로 조차하였음. 이 과정에서 러시아도 절영도에 저탄장을 설치하려고 하였으나, 일본의 방해로 무산됨. 그 후 일본인 자본가 하사마(鏦馎昺崥铙)1892년 절영도를 5만 원에 매수하려 하였으나 자금 부족으로 실패하였음. 하사마는 1898년 절영도 국유지 135만 평을 조선정부로부터 식림대부(洈殒邳勓) 형식으로 허가받아, 그중 75만 평은 일본 육군성 요새지용으로 이용하였고, 60만 평은 광복 이전까지 개인적으로 소유하였음. 당시 절영도 전역에 외국인이 소유한 토지는 약 386필지였는데, 그중 서양인 소유 토지는 약 13필지에 불과하고 일본인이 373필지를 소유하고 있었음(부산광역시 영도구 2003).

5) 1883년 동래민란, 1894년 갑오농민전쟁 등 조선 전역에서 일본인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발생했으며, 실제로 1894년 갑오농민전 쟁이 일어난 뒤 많은 일본인들이 귀향하였음. 이러한 이유로 조선인이 적고 섬으로 이루어져 고립적인 성격을 가진 영도에 대한 일본인들 에게 관심이 높았을 것임(김경남 1999).

6) 1934년 준공 당시 명칭은 부산대교였으나, 1980년 부산대교가 완공된 이후 영도대교로 명칭을 변경함.

'JHVSF@ -PDBUJPOPG:FPOHEP

'JHVSF@ 1BOPSBNJD7JFXPGUIF:FPOHEP5PXO

Source: Reconstituted from the work of Busan Metropolitan Joongang Municipal Library 2013, no.3.

'JHVSF@$PNQBSJTPOPGUIF"WBJMBCMF-BOETPG

:FPOHEPBOEUIF0SJHJOBM%PXOUPXOJO

Ķࢹٍĵ܃ń 

이 다양하다(황기원 1989, 55-66). 또한 국가나 지역에 따라, 환경이나 주어진 조건, 문화에 따라 경관은 다양 한 모습으로 형성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도시경관 (urban landscape) 개념은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 과 역사경관의 하위 개념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과정 이 누적되어 온 결과물이며, 내외생적 요인에 의해 변화의 연속성을 갖는 대상이다. 이러한 도시경관은 지역의 여건에 따라 시기별로 특정한 사건을 겪게 되 며, 그 결과의 누적으로 주변지역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곧 도시경관 변천은 도시경관이 변화의 연 속성을 거치면서 특정한 양상을 나타내는 일련의 과 정이라 할 수 있다.

문화는 시대의 가치관에 따른 인간의 활동이며, 문 화경관은 인간의 활동에 의한 도시공간의 변화가 공 간에 누적된 것이다. 즉 문화경관은 시대의 가치관과 인간의 활동이 원동력이 되어 발생한 도시공간 변화 의 누적이다. 또한 문화경관은 변화에 의해 생성된 것 이며,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이에 일어나는 변 화의 기록이다. 이러한 문화경관은 미적으로 아름답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도시의 삶, 활동, 시간이 누적된 경 관이기에 그 자체로서 가치가 있다(<Figure 4> 참조).

도시경관이라는 용어는 ‘도시의 물적 형태와 외관’

으로 정의되며, 내용상으로 볼 때 도시형태(Urban Morphology) 개념과 거의 동의어라고 볼 수 있다 (Conzen 1981, 71-79). 또한 도시(유형)형태학이란 도 시경관의 형태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형태적 유형 의 발생 및 발달과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유제헌 1991, 6). 지리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도시경관이라는 용어는 도시의 물적형태와 외관으로 정의되며, 내용 상으로 볼 때 도시형태 개념과 거의 동의어라고 볼 수 있다(Conzen 1981, 71-79).

본 논문에서는 문화경관적 분석 대상을 도출하고 유형별 분류를 위하여 도시형태학의 분류체계를 이용 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경관과 도시형태학 의 개념 및 분석 단위가 유사하게 정의되기 때문이다.

도시형태학에서는 필지나 건물 단위의 도시의 미시적

도시형태학에서는 필지나 건물 단위의 도시의 미시적

문서에서 국토연구 (페이지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