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문서에서 국토연구 (페이지 67-85)

↽ĞᦥChoi Kyoungah**, ᯕᯥ⠪Lee Impyeong***, ᯕ⬉ᔢLi Hyosang****

Abstract

In this study, we suggest a plan to utilize dron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tasks in Seoul. We had interviews with hands-on workers in various departments and identified their usage of drones and geo-spatial information. Most of them real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generated by drone mapping systems, but they had a difficulty in acquiring the information by themselves. Hence, we propose to build an integrated platform of drone mapping application to satisfy their common requirements and support them on applying drones to their works effectively. Based on the proposed platform, we devise application plans of drones for each department individually. By operating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se plans, we can provide the required appropriate geo-spatial information to each department timely and accumulate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areas of interest periodically. Then, they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eas using the latest information, and analyze the time sequential changes of the areas using the accumulated information. In the future, if the integrated drone mapping and application platform and its operating organization with the associated policies are established, we can expec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fficiency of the diverse administrative tasks thanks to the practical operation of drones and the utilization of the drone geo-spatial information.

Keywords: Seoul Administration Tasks, Drones, Geo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Plans, Integrated Platform, Supporting Systems

* 이 논문은 2016년 서울특별시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중앙항업() 컨소시엄. 2016. 드론을 이용한 공간정보 실증 및 활용 용역. 서울: 서울특별시 공간정보담당관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되었음.

**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연구교수(1저자) | Research Prof., Dept. of Geoinformatics, Univ. of Seoul | Primary Author

| shale@uos.ac.kr

***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교수(교신저자) | Prof., Dept. of Geoinformatics, Univ. of Seoul | Corresponding Author | iplee@uos.ac.kr

**** 서울특별시 공간정보담당관 주무관 | Manager, Geospatial Information Divis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lhs72@seoul.go.kr

Ķࢹٍĵ܃ń 

*ছߨ

드론은 관심영역에 대한 고해상도 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재난/안전, 국토, 교통, 환 경,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김민규, 정갑용, 김종배, 윤희천 2010; 김수희 2016;

김창윤, 이우식 2016; 박찬혁, 최경아, 이임평 2016;

성상민, 이재원 2016; 이인수, 이재원, 김수정, 홍순헌 2013; 최경아, 이임평 2016). 드론을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드론과 관계된 다양한 기술과 산업의 동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서는 드론의 활성화와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한 국경제 2016).

우리나라에서도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부처에 서 드론을 신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실질적으로 드 론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 하고 있다(보안뉴스 2017).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관련 정책과 조례를 제정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시범사업 을 통해 활용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아시 아경제 2016).

특히, 국토교통부는 드론 시범사업지역을 선정하 여 공역을 할당하고 새로운 드론 활용 모델을 발굴하 도록 지원하고 있다. 2015년 12월 강원 영월, 대구 달 성, 부산 해운대, 전남 고흥, 전북 전주를 선정하고 지 역적 특성에 따라 각각 산불 진화, 물품 배송, 재난 구호, 스마트 농업, 국토 조사, 시설물 안전진단 등에 드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도록 하였다(국토교통 부 2015). 최근에는 경남 고성군, 부산시 영도구, 충북 보은군 3곳이 추가로 선정되었다(국토교통부 2016).

그 밖에도 다양한 분야에 드론의 활용가능성을 확인

하고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측량 및 하상변 동조사 드론경진대회와 같은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주 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대부분의 영역이 비행금지구역 또 는 관제권에 포함되어 드론 운용에 환경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고 도시 관리와 정책 결정에 드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시정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도적 인 사례를 개발하여 세계 대도시에 드론 활용체계를 수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효율화가 가능한 서울시의 시정 업무를 발 굴하고, 이러한 업무에 드론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울 시의 드론 활용방안은 향후 드론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ଭࢺ࣑ࢫఙ࣢ন

실용적인 드론 활용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무자 들의 의견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계획이 있는지 파악하 고, 이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구 조건을 충족하면서 업무에 효율적으로 드론을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Figure 1>과 같다.

'JHVSF@ 0VS3FTFBSDI1SPDFTT

মڱۺॱ܁غИεڦॢ˚΁ėÂ܁҃টڌşъĵ߹ѓ؋

첫째, 국내외 공공부문에서 드론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조직에서 드 론 활용에 대한 수요가 있거나 예측되는 부서들을 선 별하여 면접 대상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별된 부서의 실무자와 직접적인 면접을 통 하여 현재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거나 향후 드론 을 도입하려는 계획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질문지를 작성하여 사전에 전달하고, 이 질문지에 기초하여 해 당 부서의 실무자와 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을 통하 여 드론과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드 론 도입으로 효율성이 개선될 업무를 모색하였다. 또 한 서울시 생산문서 중 드론과 관련된 문서를 조사하 고 분석하여 면접 조사 결과를 보완하였다.

셋째, 현황 파악 결과를 분석하여 실무 부서에서 드 론과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부서별 업무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정보의 유형, 시급성, 해상 도 및 정확도를 분류하였다. 공간정보를 업무에 활용 하기까지의 드론 시스템 운용 단계를 데이터 취득, 데 이터 처리, 공간정보 활용의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 다. 이와 같은 운용 단계 중에 업무특성에 따라 부서 별로 직접적으로 관여해야 할 필요가 있는 단계를 추 론하였다. 현재의 업무 환경에서는 드론 공간정보가 제공되더라도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 어려운 제약조건 들이 존재한다. 실질적인 활용을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부서별로 도출된 요구 사항을 종합하여 공통사항을 도출하였다.

넷째, 부서들의 공통된 요구사항을 충족하면서 실 무자들이 업무에 드론과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드론 활용 통합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였다. 실무자들이 드론이나 공간정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통합플랫폼을 통해 필요로 하는 드론 공간정보를 제공받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한 이러한 통합플랫폼을 기반으로 부서별 업무에 드 론을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실무자들과 함께 실 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담 당관과 공공개발센터 업무를 중심으로 드론 활용방안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드론을 활용 하여 서울시 공간정보의 최신성과 실시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최신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활용부 서에서 정책을 결정한다면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기존의 특정 목적을 위한 드론의 적용 방안 연구(김승민 2014; 손유진 2016; 신현주 2016;

윤부열, 이재원 2014; 이현석, 이희병 2015; 전자신문 2016; 정훈, 이헌규 2015)와 달리 서울시 업무 전반에 드론과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논문 이다. 다양한 서울시 업무에 드론과 공간정보를 지속 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기반으로 통합 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점에서 기존 연구와 는 차별성이 있다. 또한 연구의 진행 방법 측면에서도 담당 실무자들과 면접을 통해 업무에 대한 높은 이해 를 바탕으로 현재 업무 수행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드 론과 공간정보의 활용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ছ૷ਏ݁ߨࢫվԩ୨࣪ฆ૳෮จ

˚΁фėÂ܁҃টڌইডܓԐ

드론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개선하고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업무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울시의 드론 활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서별로 실무자와 면접을 수행하였고, 드론 관련 생산문서를 조사하였 으며, 서울시에서 수행한 유사 연구 보고서를 분석하 였다.

Ķࢹٍĵ܃ń 

ҙԴѻϸۿܓԐ

공공부문에서 드론을 활용한 국내외 사례 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면접 대상을 선정하였다. 재난, 안전, 측 량, 도시, 환경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드론을 활용하려 는 동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소방재난본부, 안전총괄본부, 공간정보담당관, 공공개발센터, 지역 발전본부, 도시계획과, 녹색에너지과, 물순환정책과 를 면접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시정 당면 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서울연구원의 도시재생연구센터와 현재 드론을 운용하여 전시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서울역사박물관, 한강드론공원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한강사업본부, 드론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는 경제진흥본부도 면접 대상으로 선정하 였다. 이상으로 드론을 활용하여 기존 업무 방식의 효 율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거나, 현재 드론 활용과 관계된 부서들을 면접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Figure 2>의 서울시 조직도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부서, 외부 본부, 출연기관이 면접 대상에 해당된다.

선정된 부서들의 업무 성격을 고려하여 관련이 높 은 부서들은 가급적 가까운 시일로 계획하여 면접을

진행하였다. 예를 들어, 공공개발센터, 지역발전본부, 도시계획과는 개발의 규모, 지역 등이 약간 상이할

진행하였다. 예를 들어, 공공개발센터, 지역발전본부, 도시계획과는 개발의 규모, 지역 등이 약간 상이할

문서에서 국토연구 (페이지 6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