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ased model.

For the verification of a prototype model of ACTOR, the study have analyzed travel behaviors for office workers, needed to analyze the most complex simulation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travel mode choice model was required to improve, however, there were no problem on part of time use and activity such as arrival time on working place, commuting travel start time, activities other than working and so on. The study evaluates effects of flexible working policy by ACTO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ctivity based model on the policy decision. The results prove its effectiveness: Comparing to the traditional four step models’

forecasting results, ACTOR can estimate its effects in detail and it helped to evaluate the alleviating effects of traffic congestion more concretely. To be specific, ACTOR can forecast travels on each mode of transport and show secondary effects on individual activity and time use.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ctivity based model by adopting its prototype model, ACTOR, and evaluating the effects of various social changes which traditional models could not evaluate.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on using this activity based models to the real practice. First, it is required to build more sophisticated behavior models in the future. Note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focused on the estimation and construction of activity based model. Second, in-depth activity based survey is required to capture the behavior pattern which current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could not investigated. Third, it is required to improve simulation model’s user interface and build efficient environment for performing simulation by adopting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Lastly, the study suggested that continuous investment and development with the long term plan is essential to construct the national dimension simulation model that developed countries operate and actively adopted it to the nation’s future plan.

A P P E N D I X

부록1.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기초자료 분석결과

1. 기초자료 분석

1) 기초자료

○ 본 연구는 2010년 수도권(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을 대상으로 한 가구통행실태조사 의 원시자료(수도권교통본부, 2010)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석 목적에 맞게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통행기반(trip-based) 자료를 활동기반 (activity-based) 자료로 변환하여 이용함

(1) 가구통행실태조사

○ 가구통행실태조사 내용

- 가구통행실태조사는 가구 속성과 각 가구원들의 통행행태에 대한 조사로서 해당지역 거주민이 직접 작성하는 형태로 실시되는데 주요 조사내용은 가구 현황조사, 가구원특성조사, 개인별 통행특성조사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항목 의 세부조사내용은 다음과 같음

조사항목 조사내용 가구

현황조사

· 가구원수, 6세 미만 아동수, 차량 종류별 보유대수

· 주택종류, 주택점유 형태, 가구월평균소득

· 집에서 걸어서 이용 가능한 지하철/전철/버스정류장명 및 소요시간 등 가구원

특성조사

· 가구주와의 관계, 출생년도, 성별, 운전면허증 유무, 직업, 고용형태, 근무형태

· 가구원별 직장 및 학교의 주소/건물명 개인별

통행특성조사

· 통행일자, 조사당일 통행유무(미통행사유 포함), 가구주와의 관계

· 출발지 및 도착지,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 통행목적, 통행수단

· 탑승인원, 고속도로 및 유료도로 이용여부(이용시 출발 및 도착시 요금소)

<표 1> 가구통행실태조사 내용 (이백진 외, 2013)

○ 가구통행실태조사 방법

- 가구통행실태조사는 2010년 10월 중순 평일(화~목)을 기준으로 모든 가구원 들에 대해 하루 동안의 통행을 기록하도록 조사됨

- 조사방법은 인구센서스 조사원, 읍ㆍ면ㆍ동의 행정조직 및 부녀회 등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각 가구에서 직접 기입하는 Self-Survey 형태 로 조사되었음. 조사결과 누락항목이 있는 경우 설문지에 기입된 연락처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여 보완됨

(2) 기초자료 설정

○ 본 연구의 기초자료는 가구통행실태 원시자료를 활동기반(activity-based) 형태로 변환하였으며, 변환하는 과정 중 가구, 개인 속성들의 누락, 이상치 및 논리오류 등을 검토하여 제외하였음

○ 또한, 개인 통행 데이터 중 동일 목적통행에 환승이 포함된 수단통행들을 ‘2011년 여객 기종점 통행량(O/D) 전수화 및 장래수요예측, 제2편 장래수요예측 및 네트워 크, 한국교통연구원, 2012’의 주수단 구분 기준을 이용하여 대표수단 통행으로 통합함

○ 특히 가장 많은 논리오류는 개인속성 중 직업항목의 기타로 입력된 데이터이며, 제외한 이유는 개별 통행에 등교, 출근 등 논리 오류들이 혼재되어 있어 제외하였음.

이러한 오류 데이터들은 추후 구축될 모델들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하는 가구 전체를 제외하였음

○ 본 연구에 이용된 데이터는 가구통행실태 원시자료 대비 가구 수 73.4%, 가구원 수 71.7%, 통행 수 75.9%인 개별 통행 1,045,868 통행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함

구분 가구통행실태

원시자료(A) 본 연구 기초자료(B) 비율(B/A) (%)

가구 표본 수 226,563 가구 166,401 가구 73.4

가구원 표본 수 661,779 인 474,701 인 71.7

개별 통행 표본 수 1,378,627 통행 1,045,868 통행 75.9

<표 2> 기초자료 표본 수 비교

(3) 기초자료의 특성

○ 가구(HOUSEHOLD) 특성

- 가구 특성은 개인들의 활동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에서는 166,401 가구의 표본을 분석함

- 가구원수별 가구분포는 4인 가구가 3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인 가구 23.7%, 2인 가구 20.5%, 1인 가구 14.0%의 순으로 분석됨 - 가구원수별 가구당 활동횟수는 가구 구성원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나 7인

이상 가구에서 감소하였고, 가구당 평균 활동횟수는 5.81회로 분석됨

구분 1 2 3 4 5 6 7+ Total

가구원

빈도 23,290 34,129 39,425 55,542 12,331 1,585 99 166,401 비율 14.0% 20.5% 23.7% 33.4% 7.4% 1.0% 0.1% 100.0%

활동 수 46,249 120,888 218,661 447,965 117,249 15,544 931 967,487 가구당 활동 수 1.99 3.54 5.55 8.07 9.51 9.81 9.40 5.81

<표 3> 가구원수별 가구분포 및 활동 횟수

- 소득수준별 가구분포는 200만원~300만원 미만이 28.1%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300만원~500만원 미만 27.67%, 100만원~200만원 미만 9.8% 순으 로 분석됨

- 소득수준별 가구당 활동횟수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나 1,000만원 이상 가구에서 감소함

구분 가구 수

활동 수 가구당

활동 수 

빈도 비율(%)

100만원미만 20,858 12.6% 65,209 3.13

100만원~200만원미만 32,747 19.8% 150,688 4.60

200만원~300만원미만 46,607 28.1% 273,434 5.87

300만원~500만원미만 45,660 27.6% 326,128 7.14

500만원~1000만원미만 17,540 10.6% 132,471 7.55

1000만원 이상 2,220 1.3% 15,674 7.06

165,632 100.0% 963,604 5.81 

<표 4> 소득수준별 가구분포 및 활동 횟수

(2) 가구원(PERSON) 특성

○ 가구원 특성은 개인들의 활동패턴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로서 본 연구에서는 474,701 가구원 표본을 분석함

○ 연령별 가구원 분포는 40대가 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대 18.0%, 30대 17.0%, 50대 14.8% 순으로 분석됨

○ 연령대별 인당 활동횟수는 10대 미만과 10대에서 2.67회, 2.51회로 높게 분석되었으 며,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인당 활동횟수는 감소하였고, 인당 평균 활동횟수는 2.04회로 분석됨

 구분 가구원 수

활동 수 인당

활동 수

빈도 비율(%)

9세 이하 27,756 5.8 74,214 2.67

10세 ~ 19세 이하 85,586 18.0 214,995 2.51

20세 ~ 29세 이하 48,209 10.2 89,409 1.85

30세 ~ 39세 이하 80,549 17.0 157,789 1.96

40세 ~ 49세 이하 103,095 21.7 211,987 2.06

50세 ~ 59세 이하 70,192 14.8 132,623 1.89

60세 ~ 69세 이하 37,766 8.0 61,644 1.63

70세 이상 21,514 4.5 24,826 1.15

474,667 100.0 967,487 2.04

<표 5> 연령별 가구원분포 및 활동 횟수

○ 성별 가구원 분포는 여성이 51.2%로 남성 48.8% 보다 높게 분석되었고, 인당 활동횟수는 남성이 2.19회, 여성이 1.90회로 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구분 가구원 수

활동 수 인당 활동 수

 빈도수 비율(%)

남성 231,545 48.8% 506,594 2.19

여성 243,122 51.2% 460,893 1.90

474,667 100.0% 967,487  2.04

<표 6> 성별 가구원분포 및 활동 횟수

○ 운전면허 보유여부 가구원 분포는 운전면허 보유가 56.2%로 높게 분석되었고, 인당 활동횟수는 운전면허 미보유 가구원의 활동횟수가 2.05회로 운전면허 보유 가구원에 비해 약간 높게 분석되었음

구분 가구원 수

활동 수 인당 활동 수

 빈도수 비율(%)

운전면허 미보유 208,029 43.8% 427,428 2.05

운전면허 보유 266,638 56.2% 540,059 2.03

474,667 100.0% 967,487 2.04

<표 7>운전면허 보유여부 가구원분포 및 활동 횟수

○ 직업을 학생, 주부/무직, 직장인으로 재분류한 가구원 분포는 직장인 비율이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부/무직 28.6%, 학생 26.5% 순으로 분석됨

○ 직업별 인당 활동횟수는 학생 2.49회, 직장인 2.17회, 주부/무직 1.41회 순으로 분석되었음

구분 가구원 수

활동 수 인당 활동 수

 빈도수 비율(%)

학생 125,741 26.5% 313,488 2.49

주부 / 무직 135,859 28.6% 191,395 1.41

직장인 213,067 44.9% 462,604 2.17

474,667 100.0% 967,487 2.04

<표 8> 직업별 가구원분포 및 활동 횟수

(3) 개별 활동(ACTIVITY) 특성

○ 개별 활동 특성은 개인들이 결정한 활동패턴으로 본 연구에서는 1,045,868활동 데이터 중 가정 이외에서 이루어진 967,847개 활동 표본을 분석하였음

○ 활동유형은 가구통행실태조사 원시자료의 10개 통행목적을 9개 활동유형으로 재분류한 활동유형 분포는 가정활동 46.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사(출근)활 동 19.0%, 학교활동 12.0% 순으로 분석되었음

○ 이용교통수단은 가구통행실태조사 원시자료의 18개 교통수단을 5개 이용교통수단 으로 재분류한 이용교통수단 분포는 도보 35.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승용차 25.70%, 버스 18.6% 순으로 분석되었음

○ 활동 유형별 이용교통수단 분포를 살펴보면, 배웅, 회사(출근), 업무 및 회사(귀사) 활동들은 승용차, 가정(귀가), 학교, 쇼핑 및 기타 활동은 도보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높게 분석되었음

 구분

이용교통수단

도보 승용차 승용차

동승 버스 전철/

지하철

활동 유형

배웅 빈도 151 9,423 0 69 0 9,643

비율 1.6% 97.7% 0.0% 0.7% 0.0% 100.0% 1.0%

가정

빈도 161,541 108,459 33,674 86,303 55,089 445,066

46.0%

비율 36.3% 24.4% 7.6% 19.4% 12.4% 100.0%

회사 (출근)

빈도 27,817 81,201 8,251 32,863 34,168 184,300

19.0%

비율 15.1% 44.1% 4.5% 17.8% 18.5% 100.0%

학교 빈도 73,187 638 9,130 22,532 10,265 115,752

12.0%

비율 63.2% 0.6% 7.9% 19.5% 8.9% 100.0%

학원 빈도 28,679 1,692 12,100 9,017 2,494 53,982 비율 53.1% 3.1% 22.4% 16.7% 4.6% 100.0% 5.6%

업무 빈도 3,758 18,231 1,601 2,353 2,117 28,060 비율 13.4% 65.0% 5.7% 8.4% 7.5% 100.0% 2.9%

<표 9> 활동유형별 이용교통수단

 구분

이용교통수단

도보 승용차 승용차

동승 버스 전철/

지하철

(귀사) 비율 16.6% 61.7% 6.4% 8.0% 7.3% 100.0%

쇼핑 빈도 12,224 5,921 2,010 6,683 1,963 28,801 비율 42.4% 20.6% 7.0% 23.2% 6.8% 100.0% 3.0%

기타 빈도 37,798 17,777 9,084 19,772 9,624 94,055 비율 40.2% 18.9% 9.7% 21.0% 10.2% 100.0% 9.7%

빈도 346,518 248,395 76,376 180,244 116,314 967,847

100.0%

비율 35.8% 25.7% 7.9% 18.6% 12.0% 100.0%

○ 활동 유형별 활동시작 시간대 분포는 배웅활동 오전 8시~9시(19.1%), 가정활동 오후 6시~7시(13.9%), 회사(출근)활동 오전 8시~9시(42.7%), 학교활동 오전 8시~9시(64.4%), 학원활동 오후 3시~4시(15.9%), 업무활동 오전 10시~11시 (13.4%), 회사(귀사)활동 오후 4시~5시(14.4%), 쇼핑활동 오전 10시~11시 (17.6%), 기타활동 오전 10시~11시(16.4%)에 각각 가장 많은 활동들이 시작되며, 전체 활동유형은 오전 8시~9시(17.3%)에 가장 많은 활동들이 시작됨

구분  배웅 가정 회사

(출근) 학교 학원 업무 회사

(귀사) 쇼핑 기타  계

23시~6시 1.8 4.5 2.8 0.0 0.2 1.0 0.2 0.5 1.4 2.8 6시~07시 2.4 0.1 6.7 1.1 0.5 1.9 0.0 0.4 1.3 1.7 7시~8시 15.2 0.2 22.6 25.0 1.6 3.7 0.1 0.6 2.4 8.0 8시~9시 19.1 0.4 42.7 64.4 4.2 5.8 0.5 1.5 7.1 17.3 9시~10시 9.2 0.4 14.6 4.6 7.7 8.7 0.9 4.9 14.3 5.8 10시~11시 4.8 0.8 5.0 2.3 3.1 13.4 2.5 17.6 16.4 4.3 11시~12시 2.9 1.7 1.8 0.9 1.2 13.3 7.0 16.5 11.1 3.3 12시~13시 3.0 3.4 1.0 0.5 2.2 7.9 9.1 7.2 7.7 3.3 13시~14시 4.3 4.6 0.8 0.4 6.0 9.6 13.6 8.1 6.5 4.0 14시~15시 5.5 6.4 0.7 0.2 10.1 12.6 13.5 10.7 6.5 5.1 15시~16시 6.6 8.4 0.4 0.1 15.9 8.6 14.4 9.2 5.3 6.1 16시~17시 6.4 8.7 0.3 0.1 14.8 5.6 14.4 7.3 4.2 5.9 17시~18시 5.0 9.3 0.2 0.1 13.9 3.5 12.0 5.3 3.6 5.9 18시~19시 4.4 13.9 0.1 0.1 9.8 2.1 6.5 3.7 4.1 7.6 19시~20시 2.9 13.1 0.1 0.0 5.3 1.2 2.8 2.4 4.1 6.9 20시~23시 6.6 24.1 0.1 0.0 3.5 1.1 2.3 4.0 3.9 11.9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10> 활동유형별 활동시작 시간대 분포비(%)

○ 활동 유형별 활동 종료 시간대 분포는 배웅활동 오전 8시~9시(13.9%), 가정활동 오전 7시~8시(13.9%), 회사(출근)활동 오후 6시~7시(23.7%), 학교활동 오후 3시~4시(20.0%), 학원활동 오후 5시~6시(14.3%), 업무활동 오후 5시~6시 (13.1%), 회사(귀사)활동 오후 6시~7시(28.34%), 쇼핑활동 오후 3시~4시 (12.0%), 기타활동 오후 2시~3시(10.1%)에 각각 가장 많은 활동들이 종료되며, 전체 활동유형은 오전 7시~8시(12.8%)에 가장 많은 활동들이 종료됨

구분  배웅 가정 회사

(출근) 학교 학원 업무 회사

(귀사) 쇼핑 기타  계

23시~6시 2.2 4.3 2.1 0.7 2.7 1.9 2.8 0.9 2.3 3.0

6시~07시 1.2 10.8 0.1 0.0 0.0 0.2 0.0 0.1 0.5 5.0

7시~8시 9.5 27.4 0.3 0.0 0.1 0.5 0.0 0.2 0.6 12.8

8시~9시 13.9 24.9 0.7 0.2 0.2 0.9 0.0 0.4 1.3 11.9

9시~10시 8.2 9.1 1.5 0.1 0.3 1.8 0.1 1.1 2.4 4.9

10시~11시 4.7 5.0 2.0 0.2 0.7 3.5 0.2 3.6 5.0 3.5

11시~12시 3.1 2.3 1.8 0.6 2.0 5.9 0.4 8.6 7.7 2.8

12시~13시 3.9 1.7 1.7 8.5 2.6 5.9 0.8 10.4 9.2 3.7 13시~14시 4.6 2.3 2.2 9.7 3.2 8.0 1.8 11.6 9.9 4.4 14시~15시 5.8 2.3 2.2 18.9 6.0 8.2 2.2 11.4 10.1 5.7 15시~16시 6.6 2.5 2.6 20.0 8.8 8.8 2.7 12.0 9.8 6.2 16시~17시 7.8 2.2 5.7 15.3 12.9 9.9 4.7 11.7 9.5 6.3 17시~18시 7.3 1.8 18.6 8.2 14.3 13.1 16.2 9.6 8.2 7.8 18시~19시 6.2 1.4 23.7 3.5 12.0 12.4 28.3 6.4 5.8 7.7 19시~20시 4.7 1.0 14.5 2.2 10.0 7.8 18.3 4.3 4.5 5.0 20시~23시 10.2 0.8 20.2 11.8 24.1 11.0 21.6 7.7 13.2 9.1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11> 활동유형별 활동종료 시간대 분포비(%)

○ 활동 유형별 활동 지속시간 분포는 배웅활동 1시간 미만(56.9%), 가정활동 1시간 미만(42.4%), 회사(출근)활동 6~10시간(20.6%), 학교활동 6~7시간(19.7%), 학 원활동 1~2시(36.0%), 업무활동 1시간 미만(22.7%), 회사(귀사)활동 1시간 미만 (15.2%), 쇼핑활동 1시간 미만(36.0%), 기타활동 1~2시간(25.1%)에 각각 가장 많은 활동들이 지속되며, 전체 활동유형은 1~2시간(7.9%)에 가장 많은 활동들이 지속됨

구분  배웅 가정 회사

(출근) 학교 학원 업무 회사

(귀사) 쇼핑 기타  

1 시간 미만 56.9 42.4 1.9 0.3 12.6 22.7 15.2 36.0 21.1 7.5

1~2 시간 14.9 26.4 2.4 0.3 36.0 18.3 14.8 32.2 25.1 7.9 2~3 시간 7.6 14.0 2.2 0.6 21.7 13.2 15.0 15.7 17.2 5.1 3~4 시간 4.3 8.0 2.1 2.7 11.3 9.8 13.5 7.7 11.5 3.5 4~5 시간 3.5 4.1 2.2 10.2 6.8 7.7 13.6 3.5 7.6 3.4 5~6 시간 2.8 2.1 2.4 12.8 3.8 5.7 9.5 1.6 5.2 3.1 6~7 시간 2.1 1.3 2.6 19.7 2.1 5.0 7.2 1.0 3.6 3.6 7~8 시간 1.5 0.7 4.0 17.2 1.4 4.3 4.7 0.6 2.5 3.3 8~9 시간 1.1 0.5 9.3 12.4 1.1 3.7 2.8 0.4 1.8 3.6 9~10 시간 1.3 0.2 20.6 7.1 0.6 3.3 1.7 0.3 1.4 5.1 10~11 시간 0.9 0.1 18.8 3.7 0.4 2.5 0.9 0.2 0.9 4.2 11~12 시간 1.2 0.1 13.9 2.0 0.3 1.7 0.6 0.1 0.7 3.0 12~13 시간 1.2 0.1 9.7 2.1 0.4 1.2 0.2 0.4 0.6 2.2 13~14 시간 0.4 0.0 4.8 3.3 0.4 0.6 0.1 0.2 0.5 1.4 14 시간 이상 0.3 0.0 3.0 5.6 1.0 0.4 0.0 0.1 0.3 2.3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12> 활동유형별 활동 지속시간 분포비(%)

주) 가정활동은 모든 활동 완료 후 가정활동 제외되었음

○ 활동 유형별 활동을 위한 통행시간 분포는 배웅활동 15분 미만(37.3%), 가정활동 15분~30분(26.2%), 회사(출근)활동 30~45분(30.8%), 학교활동 15~30분 (36.3%), 학원활동 15분 미만(45.7%), 업무활동 30~45분(30.5%), 회사(귀사)활동 30~45분(30.0%), 쇼핑활동 15~30분(36.4%), 기타활동 15~30분(30.43%)에 각 각 가장 많은 통행시간이 분포되며, 전체 활동유형은 15~30분(27.4%)에 가장 많은 통행시간이 분포됨

구분  배웅 가정 회사

(출근) 학교 학원 업무 회사

(귀사) 쇼핑 기타  계

15 분 미만 37.3 22.5 12.6 37.3 45.7 14.2 16.9 25.8 25.6 23.9 15~30 분 36.0 26.2 20.3 36.3 32.9 22.5 23.8 36.4 30.4 27.4 30~45 분 17.4 25.6 30.8 13.5 14.8 30.5 30.0 26.4 24.5 24.5 45~60 분 3.0 5.9 9.8 2.8 2.2 8.2 8.3 3.4 4.8 5.9 60~75 분 3.8 11.2 16.3 4.7 2.6 13.6 12.4 4.6 7.9 10.4 75~90 분 0.7 2.3 3.6 1.3 0.5 2.6 2.4 0.9 1.7 2.2 90~105 분 0.7 3.6 4.3 2.1 0.6 4.2 3.2 1.2 2.4 3.2 105~120 분 0.2 0.6 0.7 0.5 0.1 0.7 0.6 0.2 0.5 0.5 120 분 이상 0.9 2.2 1.6 1.4 0.6 3.6 2.4 1.1 2.3 1.9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표 13> 활동유형별 활동을 위한 통행시간 분포비(%)

A P P E N D I X

부록2. ACTOR의 활동 스케줄링 모형의 추정결과

1) ACTOR의 활동 스케줄링 모형의 추정

○ 이 장에서는 개인의 일일 활동 스케줄링에 대한 모형 추정결과를 제시하며 각 활동 시점별로 활동의 횟수, 활동의 유형, 지속시간, 이용교통수단, 활동 위치 등에 대해 순차적으로 모형을 추정함

< 시간대별 활동 >

가정 출근 전 외부활동

(H-O)

출근 중 경유활동 (H-O-W)

외부업무 중 경유활동 (W-O-W)

퇴근 중 경유활동 (W-O-H)

가정 퇴근 후 외부활동

(H-O)

횟수 횟수 횟수 횟수 횟수

활동유형 활동유형 활동유형 활동유형 활동유형

지속시간 지속시간 지속시간 지속시간 지속시간

통행시간 통행시간 통행시간 통행시간 통행시간

교통수단 교통수단 교통수단 교통수단 교통수단

활동위치 활동위치 활동위치 활동위치 활동위치

주) H : Home (가정), W : Work (회사)

O : Others (출퇴근 활동 이외 외부 활동, 예를 들면 쇼핑, 업무, 학원 등)

<그림 1> ACTOR의 활동 스케줄링 단계별 모형 구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