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 만성정신질환자의 자살생각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스트레스, 우 울, 운동 충동성, 자살시도경험이었다.

먼저 일반인구집단과 만성정신질환자의 자살생각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으 나, 본 연구에 사용된 SIS(suicide ideation scale)도구가 한국에서 처음 사용된 도구 라 비교가 불가능 하였다.

그리고 첫 번째로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임인순, 2004; 류현미, 2006; 김명원, 2011; 송영지, 2013) 와 같은 결과였다.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에서도 일반적인 요 인을 통제한 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는 설명력 29.4%를 가지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나(윤명숙과 이효선, 2012) 본 연구와 일치된 결과 를 보였으며, 청소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송은지, 2014) 에서도 스트레스는 모든 청소년층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와 같았다. 또한 노인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를 연구한 김 현순(2008)의 연구에서도 노인과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스트레스가 영향요인으로 나 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자살생각 이 함께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본 연구에서는 우울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정신질환자의 자살생각에 대해 연구한 유한영(2007), 한금선(2010)과 같은 결과였 다. 문지웅(2007)의 연구에서도 만성정신질환자의 자살생각에 우울이 53.0%의 설명 력을 가지는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남윤영(2003) 또한 조현병 환자의 자살 생각이 포함된 자살행동 예측요인으로 우울이 확인되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 다. 전석균의 연구에서도 일반적인 사항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신질환자의 자살생각 에서 우울은 설명력 69.4%를 가지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신민섭 등(1991)의

연구에서도 우울은 자살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 결과

아니라는 연구결과도 있고, 정신질환자의 자살 영향요인에는 ‘황폐화에 대한 두려 정신질환 증상을 측정하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등,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타당화를 마친 도구를 한국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정신질환자의 자살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첫째,

세 번째로 운동 충동성에 대한 의학 치료적 접근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조율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연구가 단면적(cross-sectional)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대상 자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자살생각)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하 지만 음주, 자살 시도력은 자살생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자살생각이 학력, 우울, 스트레스, 운동 충동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은 편이며, 이들 변수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면적 연구의 한계는 제한적이다.

둘째, 경기도 일부 지역 정신보건센터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대상을 임의표본 추 출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전체 만성정신질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는 것이다.

셋째, 연구대상자가 11개 지역의 정신보건센터에서 집단별로 수집되어 데이터의 독립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가도구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앞서 논의한 대로 정신 질환 증상 평가도구인 BPRS 척도의 한계와 정신질환 증상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 가용 도구가 부족하다는 점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생각되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있 는 도구를 이용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해 보기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우울, 운동 충동성과 자살시도경험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제한점에서 언급하였던 것처럼 본 연구가 우울, 스트레스, 운동 충동성과 자살생각의 관련성을 단면적으로 연구하여 시간적 선후관계가 확인되지 않아 스트레스, 우울, 운동 충동성이 자살생각의 원인인지 결 과인지는 단정 지을 수 없다. 하지만 만성정신질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자살생 각에 대한 대처가 매우 부족한 우리나라 실정에서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자 살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