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kinfold caliper를 이용한 측정방법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24-27)

Ⅲ. 연구 방법

2) Skinfold caliper를 이용한 측정방법

피하지방의 측정부위는 학자에 따라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신체밀 도 추정을 위한 측정부위 수에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측정부위라 할지라도 추 정공식에 차이가 있다. 피하지방검사에서 측정부위는 7부위까지 잴 수 있으나 3부위와 2부위 측정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부위 측정치와 7부위 측정치간의 상관계수는 매우 높으며(r≥.97), 각기 다른 3부위를 조합한 측정 치간에도 상관이 높다. 그러나 실제 측정과 관련하여 남자의 경우 복위와 여자 의 경우 대퇴 부위의 측정이 가장 어렵기 때문에 3부위를 재는 방법에서는 이

부위의 측정을 제외시킬 것을 제안하고 있다(Baumgartner와 Jackson, 1987).체지방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하지방검사는 검사에 익숙한 검사 자에 의해 수행될 때 높은 신뢰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피하지방검사의 신뢰도 는 .917∼.989 수준이며, 측정오차는 체지방량의 기준을 1.0%범위 (Jackson, Pollock, & Graves,1986)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3명의 숙 련된 검사자로부터 얻은 객관도는 .99수준이며 측정오차는 체지방량을 기준 으로 볼 때 1.0%범위(Jackson, Pollock, & Graves,1986)이다.

이 연구에서는 체육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피하지방의 측정방 법과 측정도구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측정도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측정 도구는 피하지방 측정기 체지방계(KI-100)이다. 피하지방의 측정부위는 미 국체육학회(AAHPERD)가 신체구성비를 산출하기 위해 제안한 삼두근 (triceps)과 견갑골하부(subscapular)의 두 부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였 다. 두 부위가 선정된 배경에는 소요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고 부위특정상 측정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체지방량 수준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 이다(Baumgartner와 Jackson, 1987).

(1) 측정부위

① 견갑골하부(Subscapulare)

피험자는 팔을 늘어뜨리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측정자는 왼손 엄지로 어 깨뼈의 아래각을 촉진한다. 만약 어깨뼈 아래각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 다면 피험자의 오른팔을 등위로 천천히 들어 올려야 한다. 주의할 점은 팔이 원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어깨뼈 아래각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어야 된다. 피험자가 해부학적 자세를 취한 상태로 측면에서 측정한다.

② 상완삼두근(Triceps)

피험자는 해부학적자세를 취하고 측정자가 측면에서 봤을 때 어깨뼈끝과 팔

꿈치뼈의 중간의 세갈래근에서 가장 뒤쪽 부위를 측정한다.

(2) 피하지방 두께의 측정

피하지방 두께의 측정방법은 먼저 측정부위를 피부용 연필로 정확하게 표시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측정부위를 표시한 다음 측정부위의 피부와 지방조직을 왼손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은 다음 수직으로 집어 올린다. 집어 올릴 때는 반드시 피부와 지방조직만이 충분하게 잡혀지도록 해야한다. 양손가 락으로 잡혀진 피부선은 신체표면으로부터 평행이 되도록 해야하고 측정이 완 전히 끝날 때까지 잡혀진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측정시간은 측정기로 피부를 집은 다음으로부터 약 2초 이내에 마 쳐야 한다. 측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지방조직이 측정부위 밖으로 밀려나는등 유동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과소 측정치를 얻게 될 수도 있다(K. Norton 등.

1996).

(3) 신체밀도 및 체지방률 산출공식

① 신체밀도(BD) :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게 가장 많이 사용하는 Nagaminie and Suzuki(1964)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남자 - BD = 1.0879-0.00151X 여자 - BD = 1.0794-0.00142X (단, X=Triceps+Subscapulare)

② 체지방률(%FAT) :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게 적합한 Lohman(1984)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FAT = (5.300/BD - 4.890) × 100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24-2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