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연구의 목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 연구의 목적"

Copied!
5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5)
(6)
(7)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의 구체적 특성 ··· 13

<표 2> 분석절차 ··· 14

<표 3> 측정도구 ··· 20

<표 4> 저학년 학생의 비만 판정치 ··· 21

<표 5>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21

<표 6>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 22

<표 7>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22

<표 8>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치 ··· 23

<표 9>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24

<표 10> 여자 학생의 비만판정치 ··· 25

<표 11> 여자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25

<표 12>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 26

<표 13>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26

<표 14>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 27

<표 15>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법간의 상관계수 ··· 28

<표 16>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 29

<표 17>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29

<표 18>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 30

<표 19>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30

<표 20> 남녀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치 ··· 31

<표 21> 남녀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 32

<표 22> BIA(Bio Impedance Analysis)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3

<표 23> 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4

(8)

<표 24> 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5

<표 25> 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6

<표 26> 일본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7

<표 27>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8

<표 28>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 39

<표 29> 각 비만판정법에 의한 비만인원 판정 결과 ··· 40

(9)

그 림 목 차

<그림 1> BIA에 의한 비만 판정 ··· 33

<그림 2> 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판정 ··· 34

<그림 3> 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 35

<그림 4> 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 36

<그림 5> 일본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 37

<그림 6>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판정 ··· 38

<그림 7>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판정 ··· 39

<그림 8> 각 비만판정법에 의한 비만인원 판정 ··· 40

(10)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비만은 WHO(세계 보건 기구)에서도 질병으로 규정할 만큼 커다란 사회문 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각종 연구들과 사회적 관심은 비만으로 야기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경고와 더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과거에는 비만과 관련해 성인병의 발병비율이 높다고 하여 연령대로 보면 성 인병이 많이 발생하는 중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이 있었으나, 음식문화 의 서구화와 더불어 비만 연령은 점점 내려가고 있으며 아동비만과 성인병연 령대의 하향추세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성인비만증의 1/3은 학동기와 청소년기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이 시기의 비만 과 성인 비만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과 컴퓨터 게임 등의 발달로 인해 초등학생 들이 운동장에서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것보다는 주로 실내에서 비활동적인 여가를 많이 보내기 때문에 이러한 아동비만의 추세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도 비만학생들을 대상으 로 식습관 지도나 운동지침에 대해 별도의 지침서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서울 시 교육청 평생교육체육과,2000). 그러나 비만의 판정방법이 키와 몸무게만 을 이용한 표준체중법으로 판정을 하기 때문에 신체 내에 있는 체지방을 측정 하는 도구로서는 타당성이 결여되어 정확한 정보전달이 어렵다.

즉, 비만인가 아닌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으로 학 생들을 지도한 다해도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이고 변화가 많기 때문에 동기를 부여해 주거나 형성평가를 해 줄 수 있는 정보는 기대할 수 없다.

비만 판정법은 표준체중에 의한 방법, 체격지수에 의한 방법, 피하지방후에 의한 방법, 체지방에 의한 방법 등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체지방양을

(11)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신체지붕법, 피부두께 측정법, 단층 측정법, 초음파 촬영 법, 도위 원소법, 기타 대사물 측정법 등 다양하나 이중에서 비교적 간단하여 널리 쓰이는 방법은 Skinfold Caliper를 이용하는 피부두께 측정법으로 체지 방 양을 산출하는 방법이다(강원도 교육청,1997).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은 일생을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 발육하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 건강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지도와 건강관리를 실시 함으로써 건전한 일생을 보낼 수 있는 기초를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한다는 것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신체발육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한다는 것은 현대사회의 청소년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오늘날 비만에 관한 문제는 성인에게만 한정되지 않고 어린이나 청 소년 심지어는 태아에게까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그 실태를 정 확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 생각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행 초등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생들의 비만도 판정은 표준체중법을 이용하여 표준 체중에 의한 과체중으로 학생들의 비만도를 판정하고 있다. 표준체중법을 이 용한 방법은 신장과 체중만을 이용한 체격검사일뿐 비만도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는 아니다. 비만은 종종 과체중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비만과 과체중 은 확실히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다. 비만이란 몸 안에 지방양이 정상범위를 초과하여 과체중의 원인이 되었을 경우(Gortmaker et al, 1987)를 말하며, 과체중은 신장과 연령에 비해 체중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뼈가 굵고 단단하거 나 근육이 잘 발달됨으로서 초래 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하게 비만과는 구분되 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은 체중에 비해 체내의 총 지방량이 과도하게 증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비만의 판정에 가장 적합한 지표는 체지방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의 예방 및 비만 아동의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 로 선행되어야 할 것은 타당한 평가방법의 선택으로 정확한 비만도 측정을 하

(12)

여야 함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 평가에 따른 타당성 있는 비만판정 평가 선택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만판정을 실시하여 판정 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BIA(Bio-electronic Impedance Analysis)에 의한 체지 방률을 준거로 판정법 간에 관계를 분석하여 타당성 있는 비만도 측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저‧고학년 급별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남여 성별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저‧고학년 성별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남여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5) 각 비만 판정법에 의한 남,여 전체 학생의 비만 판정은 어떠한가?

4. 용어의 정의

1) 체밀도(Body Density, BD)

물체의 밀도는 단위 부피(Volume)당 질량(Mass)으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체밀도는 인체의 단위 부피 당 질량으로 정의된다.

BD = Mass Volume

(13)

2) 체지방량(Fat Mass, FM)

체지방량이란 신체조직 속에 포함된 총 지방의 양을 의미하며, 체지방율로 나타낸다.

3) 체지방율(%Fat)

체지방율이란 총 체중에서 체지방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본 연구 에서는 Skinfold Caliper를 이용하여 계측부위중 견갑골하부 (Subscapulare), 상완삼두근(Triceps)의 2가지 피하지방후를 측정하여 Lohman(1984)의 체지방율 추정식에 대입하여 체지방율을 산출한다.

4) 표준체중 아동

1997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제정한 한국소아발육 표준치에 의해 키에 대한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실측체중이 표준체중보다 20% 미만인 체중의 아동 을 말한다(대한소아과학회지, 1997).

5) 경도 비만아동

1997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제정한 한국소아발육 표준치에 의해 키에 대한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실측체중이 표준체중보다 20% 이상 30% 미만인 체 중의 아동을 말한다(대한소아과학회지, 1997).

6) 중등도 비만아동

1997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제정한 한국소아발육 표준치에 의해 키에 대한

(14)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실측체중이 표준체중보다 30% 이상 50% 미만인 체중의 아동을 말한다(대한소아과학회지, 1997).

7) 고도 비만아동

1997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제정한 한국소아발육 표준치에 의해 키에 대한 표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실측체중이 표준체중보다 50% 이상인 체중의 아 동을 말한다(대한소아과학회지, 1997).

5.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K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 학생 115명으 로 한정하였다.

2) 체지방률 측정 방법은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으로 한정하였다.

3) Skinfolds를 이용한 체밀도 산출 공식은 Nagaminie and Suzuki(1964)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4) Skinfolds를 이용한 체지방율 산출 공식은 Lohman(1984)의 체지방 율 산출공식을 이용하였다.

5) 급별은 저학년(1∼3학년)과 고학년(4∼6학년)으로 급별을 나누었다.

(15)

Ⅱ. 이론적 배경

1. 비만의 정의

비만은 피하지방을 비롯한 체내 지방 권장량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운동선수의 경우 체지방보다 제지방(체지방을 제외한 근육, 뼈 등 을 말한다)량이 많기 때문에 신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중이 무거운 과체중 경향을 보인다. 그것은 동일한 양의 지방무게에 비해 근육조직을 포함하는 제 지방의 무게가 더 무겁기 때문이다.. 즉 비만은 지방조직에서 지방의 합성량이 분해 량을 초과하면서 지방세의 수가 많아지거나 비만 세포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나타나는 체지방량의 과잉 축적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비만은 체중이 나이, 성별, 골격형태 등을 고려한 바람직한 기준치보다 20% 이상 초과되어지거나(National Institude of Health, 1985), 건강을 위협하는 과다 체지방이 증가하기 시작할 때를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U.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8). 즉 과잉에 너지가 체지방으로 전환하여 피하조직 등에 침착됨으로서 일어나는 체중의 이 상증가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남자는 체지방이 몸무게의 20% 이상, 여자는 30% 이상인 경우를 가리켜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obesity)이란 피하에 존재하는 지방조직의 세포수가 이상적으로 증가 하였던지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져서 체중에 대한 체지방의 비율이 일정수준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즉 비만은 피하의 지방조직 뿐만 아니라 온몸의 조직 에 지방이 많이 침착되어 체중이 증가하는 것이다.

최근에 비만의 피해를 5D's라고 표시하는데 5D's란 용모손상 (disfigurement), 불편(discomrort), 질병(disease), 사망(death)의 첫자 를 의미한다.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 되므로 경계하고 있다.

(16)

2. 비만의 원인

비만증의 주요한 원인을 살펴보면 지나친 열량섭취, 내분비의 장애, 운동부 족, 유전적 요인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에너지 축적이 가장 직접적으로 관계 가 된다. 비만이 생기는 것은 장기간 섭취열량이 소비보다 많으므로 열량의 과 잉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에너지 과잉상태는 음식물의 과다 섭취와 운동량의 부족이 주요한 요인이다.

비만은 성인이 된 후에 비만이 되는 것보다 어릴 때부터 비만인 경우가 더 위험한 것이다. 성인에서는 지방세포 그 자체가 커져서 일어나지만, 어릴 때부 터는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비만이 초래되는 것으로, 이때 지방세포의 수 가 무려 3배나 증가된다. 이와 같이 어릴 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부모님들 은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비만은 유전의 영향을 많이 받아 부모가 모두 비만 일 겨우는 자녀 중에 80%가 비만이 되고, 부모 중에 한쪽이 비만일 경우는 자 녀 중에 50%가 비만이 된다고 한다.

비만자의 대부분은 식욕이 왕성하고 육류를 주로 좋아하며, 입맛이 너무 좋 은 것이 문제이다. 입맛이 있다는 것은 사실 건강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입맛이 좋다가 갑자기 떨어지게 되면, 이는 건강에 대한 적신호가 온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입맛이 좋다고 하여 입맛이 당기는 대로 절제를 하지 않는 다면 입맛이 없는 날이 빨리 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 뇌의 시상하부에서는 식욕을 조절하는 중추인 포만중추와 섭취중추가 있다. 고양이를 실험동물로 하여 포만중추를 손상시키면 고양이가 가장 좋아하 는 고기를 주어도 먹지 않고 결국 굶어서 죽는 것을 볼 수 있다.

비만자는 이들 식욕중추의 조절기능에 균형이 맞지 않아서 나타날지도 모른 다(건강과 운동, 1995).

(17)

1) 유전적 요인

비만 가족이라는 말이 있듯이 비만은 선천적인 소질이 있으며, 이러한 가족 은 열량의 과잉 섭취라는 후천적인 요인까지 겹치게 되면 비만 체격으로 발전 하기 쉽다. 양친이 비만이라면 자녀들의 80%는 비만이 되며, 한쪽 부모가 비 만이라면 자녀들의 40%가 비만, 체중이 정상인 부모도 태어난 자녀 가운데도 9%가 비만이라 한다(노영호, 2001).

2) 내분비 질환(대사장애)

1/1000정도의 작은 확률이지만, 비만은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대사장애 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RMR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갑상선 호르몬(thyroxine)의 부적절한 양은 다이어트 중 요오드 (iodine)의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RMR은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부족으로 30%∼50%로 감소할 수 있다. 만 약 칼로리 섭취와 소비가 적적히 조정되지 않는다면, 체중과다의 결과를 초래 하는 Positive한 에너지 균형이 발생한다.

성장호르몬, Epinephrine, Norepinephrine 및 여러 종류의 성호르몬들 은 RMR을 15%∼20%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호르몬들은 운동하는 동안 증가하며, 운동을 중지한 후에도 안정시 대사율의 증가에 관여하고 있다(김원 중 등, 1997).

3) 환경적 요인

(1) 식생활 양식

비만인의 식생활에 대한 조사 연구에서 하루 중 에너지의 섭취 양이 같은 경 우 하루에 한번씩 총 에너지를 섭취하는 경우와 5∼6회 나누어 섭취한 경우를

(18)

비교 한 바에 의하면, 한꺼번에 섭취한 전자에서 체중 증가가 높다는 보고가 있었다. 즉, 식사회수가 적고 한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이 비만과 직결된 다고 한다.

비만자의 경우 야간에 집중적으로 식사를 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이 밝혀졌 다. 이런 식생활을 야식 증후군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인의 식사 형태가 아침을 간단히 하고 저녁에 회식의 기회가 많아지는 시점에서 현대인의 식생활 패턴에 경종 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황규만, 1997).

(2) 운동부족

섭취량과 소화 흡수율에 대하여는 변화가 없고, 일상생활에 활동량(일의 양 이나 운동량)이 감소한다면 에너지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과잉되어 장기적 비 만을 초래한다. 1일 50g의 과잉 그것이 저장지방으로 축적된다면, 1개월에 체중은 약 150g 증가하고, 1년에 약 2kg 증가한다(조운승, 2001).

3. 비만과 관련된 질병

비만증은 고지혈증,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등의 대사이상과 고혈압이 동반되 며, 비만증이 호전되면 동반질환도 호전된다(이태희, 1995). 또한 비만은 고형 압, 당뇨병, 고지혈증 같은 성인병의 위험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비만의 정도가 심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한다(서효숙 등, 1993).

또한 비만의 후유증으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Pickwickian 증후군 등과 같은 심 각한 질환도 있으나, 보통 당뇨병, 지방간과 같은 대사성 질환을 흔히 일으킨다.

그리고 혈압 상승, 총 콜레스테롤의 증가, LDL(저밀도 지방단백질)콜레스테롤의 상승, HDL(고밀도 지방단백질) 콜레스테롤 감소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런 위

(19)

험한 요사가 오래 지속될 때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을 초래하게 된다. 성인은 물론 비만 아동도 성인과 비슷한 합병증이 나타나는데 이는 비만 아동의 경우 비만증 의 합병증으로 고지혈증 61.7%, 지방간 38.3%, 고혈압 7.4%, 그리고 당뇨병 이 0.4%로 나타났다는 연구 보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동환 등, 1992).

비만은 체지방이 조직에 축적되어 생기는 것으로, 영양이 부실하면 에너지로 바뀌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지방이 많게 되면 생리적 부담을 주게 되어 신체에 장 애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비만은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촉진제가 되며, 심장병, 간질환,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을 정상인 보다 15-40% 증가시킨다. 뚱뚱하 면 정상인보다 칼로리의 소모가 커 심장의 혈액공급에 부담을 주게 되어 심장병 에 걸리게 된다. 또 남은 지방대사 이상으로 동맥경화를 일으키게 되며 당뇨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몸이 뚱뚱하면 몸무게가 증가하여 뼈와 관가 증가하여 뼈와 관절에 부담을 주게 되어 골격에 이상이 생기며, 행동이 둔화됨에 따라 활동력이 제한되므로 운동부족이 되어 비만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여성 비만은 내분비 이상을 가져와 월경 불순, 성욕감퇴, 출산할 때의 합 병증 등 생리장애를 가져오며, 그밖에 피부습진, 땀을 많이 흘리게 되어 많은 고 통을 얻게 된다. 여성 비만은 호르몬 대사의 장애로 생리 불순을 가져와 분만 장 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4. 비만 판정법

체중변화는 건강상태와 질병상태를 반영해 보이는 척도가 되며, 또한 정상 체중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모든 생리기능이 정상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체중변 화는 질병의 진단과 판단에서 중요한 뜻을 갖는다. 비만 예방과 성인병을 치료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비만 상태를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체중을 측정할 때는 신장과 체중을 측정한 후 연령에 따른 표준체중에 비

(20)

해 몸무게가 얼마나 무거운지를 알아야 한다. 또한 비만의 판정법과 기준을 알 아야 효과적인 체중 조절을 할 수 있다.

비만을 판정하는 방법은 표준 체중에 의한 방법, 체격지수에 의한 방법, 피 하지방 후에 의한 방법, 체지방에 의한 방법 등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 며, 체지방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신체지붕법, 피부두께 측정법, 단층 측정 법, 초음파 촬영법, 도위 원소법, 기타 대사물 측정법 등 다양하나 이중에서 비교적 간단하여 널리 쓰이는 방법은 Skinfold Caliper를 이용하는 피부 두 께 측정법으로 체지방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강원도 교육청, 1997).

1) 표준몸무게에 의한 방법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여 표준체중을 구한다. 표준체중과 측정체중으로부터 비만도를 측정한다. 최초의 표준몸무게표는 미국의 생명보험회사에서 1912년 작성되었다. 그 이후로 Metropolitan 생명보험회사가 1942년, 1943년, 1960년, 1983년에 작성하였다. 일본에서도 1955년, 1972년 松林의 표준몸 무게표, 1962년, 1977년, 1982년, 1985년 箕輪의 표준몸무게표, 1985년, 1986년 명치생명 보험회사 표준몸무게표, 1971년, 1986년 후생성 표준몸무 게표를 작성하였다.

(1) 표준몸무게 간이 산출식은 대표적으로 Broca 지수, Katsura 지수, 일 본비만학회 지수가 있다.

(2) 비수의 판정은 : 비만도(%) = {(실측몸무게 - 표준몸무게) / 표준몸 무게} × 100로 나타낸다.

(3) 비만도에 의한 비수의 판정은 -20%이하 일 때 너무여윔, -10∼-20%

일 때 여윔, ±10%일 때 정상, +10∼+20%일 때 체중증가, +20%이상 일 때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

(21)

2) 형태지수에 의한 방법

(1) 형태지수에는 대표적으로 Rohrer Index(RI), Body Mass Index(BMI)가 있다.

(2) 지수에 의한 비수의 판정은 RI가 110이하일 때 저체중, 111-159일 때 정상, 160이상일 때 비만으로 판정하며 BMI가 20미만일 때 저체중, 20-24일 때 정상, 25-30일 때 경도비만, 30이상일 때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 다.

3) 피하지방두께에 의한 방법

北川(1989)는 長嶺(1972)이 제안한 피하지방두께에 의한 비만판정기준을 검토한 결과, 長嶺의 기준이 적절하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는 피 하지방두께에 의한 새로운 비만의 판정기준을 제안하였다. 北川이 제안한 새 로운 판정기준은 삼두근 피하지방두께와 어깨뼈아래부위 피하지방두께의 피하 지방두께의 합이 남자의 경우에는 30mm, 여자의 경우에는 38mm가 경도의 비만기준이다.

4) 체지방률에 의한 방법

체지방률이라는 것은 체중 중에서 체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며, 그 측 정법은 수중체중법, 초음파법 및 피하지방 두께법 등이 있다.

체지방률에 의한 비수의 판정은 남자는 15∼20%일 때 정상, 21∼25%일 때 과체중, 25%이상일 때 비만, 또 여자는 20∼25%일 때 정상, 26∼30%

일 때 과체중, 30%이상일 때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국민체력센터, 1998).

(22)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중산층 어린이가 다니는 K초등학교에서 1학년부터 6학년까지를 대상으로 무선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각 학년당 20명내외로 남학 생은 저학년 30명, 고학년 29명으로 총 59명을 표집 하였으며, 여학생은 저 학년 29명, 고학년 27명으로 총 56명으로 전체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의 구체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구체적 특성

구분 인원(명)

M±SD

연령(세) 신장(Cm) 체중(Kg) 견갑골하부 (mm)

상완삼두근 (mm)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저학년 30명 8±0.8 129.6±6.5 30.0±6.1 6.3±3.7 8.1±3.7 17.3±5.3 고학년 29명 11±0.8 147.5±9.7 49.4±14.5 17.5±8.0 14±6.8 20.7±8.0 전체 59명 9.5±1.7 138.4±12.2 39.5±14.7 9.8±7.1 11±6.1 19.0±6.9

저학년 29명 8±0.8 130.2±7.7 31.1±8.8 8.8±4.9 10.2±4.2 21.3±3.4 고학년 27명 11±0.8 147.9±7.5 43.4±7.6 11.5±4.6 12.3±3.7 22.0±3.8 전체 56명 9.4±1.7 138.7±11.7 37.3±10.0 10.1±4.9 11.3±4.1 21.6±3.6 전체 115명 9.5±1.7 138.5±7.6 38.3±12.7 10.0±6.1 11.1±5.2 20.3±5.7

(23)

2. 분석 절차

본 연구의 분석 절차는 <표 2> 와 같다.

<표 2> 분석 절차

1. 서울 K초등학교 각 학년별 총 115명 무선표집

2.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생체전기저항법)의 측정

3. Skinfolds caliper를 이용한 체지방율법의 측정

4. 표집된 피험자를 표준체중법으로 비만도 측정

5. 형태지수법을 이용한 비만도 측정

6. 각 측정치들의 통계분석을 통한 준거관련 타당도 검사

7. 초등학교에 가장 타당하고 적합한 대안적 비만판정 도구 제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집된 K초등학교 학년별로 각각 20명 내외 115명(남자 59명, 여자 5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준거점수를 얻기 위해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방법으로 점수를 구하였다. 그 다 음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Skin-fold caliper를 이용하여 Nagaminie and Suzuki(1964)가 제시한 부위(상완삼두근, 견갑골하부)를 반복측정하여 얻

(24)

은 평균치를 Lohman(1984)의 공식에 대입시켜 점수를 얻었다.

또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해 표준체중법으로 현행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Broca 지수 및 2가지 간이 산출식을 이용하여 점수를 얻었다. 한편, 체중과 신장을 이용해 형태지수법인 BMI와 RI를 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점수들을 준거점수와의 상관계수를 통해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사하였다.

3. 측정 방법

1)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BIA는 먼저 귀금속을 제거한 후 바닥에 편히 눕도록 하여 오른 손목과 오른 발목에 전극을 붙이고 미세한 전류를 흘려 보낸 후 성별과 신장, 체중 등을 입 력하여 나온 전기 저항 수치를 환산하여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총체수분량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BIA 측정시 검사 30분 이내에 소변을 볼 것, 검사 4시간 이내에 간식이나 음식의 섭취를 금할 것, 또한 검사 12시간 이내에 운동을 하 지 않은 상태에서 유의하여 측정한다.

2) Skinfold caliper를 이용한 측정방법

피하지방의 측정부위는 학자에 따라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신체밀 도 추정을 위한 측정부위 수에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측정부위라 할지라도 추 정공식에 차이가 있다. 피하지방검사에서 측정부위는 7부위까지 잴 수 있으나 3부위와 2부위 측정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부위 측정치와 7부위 측정치간의 상관계수는 매우 높으며(r≥.97), 각기 다른 3부위를 조합한 측정 치간에도 상관이 높다. 그러나 실제 측정과 관련하여 남자의 경우 복위와 여자 의 경우 대퇴 부위의 측정이 가장 어렵기 때문에 3부위를 재는 방법에서는 이

(25)

부위의 측정을 제외시킬 것을 제안하고 있다(Baumgartner와 Jackson, 1987).체지방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하지방검사는 검사에 익숙한 검사 자에 의해 수행될 때 높은 신뢰도를 보장받을 수 있다. 피하지방검사의 신뢰도 는 .917∼.989 수준이며, 측정오차는 체지방량의 기준을 1.0%범위 (Jackson, Pollock, & Graves,1986)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3명의 숙 련된 검사자로부터 얻은 객관도는 .99수준이며 측정오차는 체지방량을 기준 으로 볼 때 1.0%범위(Jackson, Pollock, & Graves,1986)이다.

이 연구에서는 체육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피하지방의 측정방 법과 측정도구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측정도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측정 도구는 피하지방 측정기 체지방계(KI-100)이다. 피하지방의 측정부위는 미 국체육학회(AAHPERD)가 신체구성비를 산출하기 위해 제안한 삼두근 (triceps)과 견갑골하부(subscapular)의 두 부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택하였 다. 두 부위가 선정된 배경에는 소요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고 부위특정상 측정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체지방량 수준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 이다(Baumgartner와 Jackson, 1987).

(1) 측정부위

① 견갑골하부(Subscapulare)

피험자는 팔을 늘어뜨리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측정자는 왼손 엄지로 어 깨뼈의 아래각을 촉진한다. 만약 어깨뼈 아래각의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 다면 피험자의 오른팔을 등위로 천천히 들어 올려야 한다. 주의할 점은 팔이 원상태로 돌아갈 때까지 어깨뼈 아래각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어야 된다. 피험자가 해부학적 자세를 취한 상태로 측면에서 측정한다.

② 상완삼두근(Triceps)

피험자는 해부학적자세를 취하고 측정자가 측면에서 봤을 때 어깨뼈끝과 팔

(26)

꿈치뼈의 중간의 세갈래근에서 가장 뒤쪽 부위를 측정한다.

(2) 피하지방 두께의 측정

피하지방 두께의 측정방법은 먼저 측정부위를 피부용 연필로 정확하게 표시 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측정부위를 표시한 다음 측정부위의 피부와 지방조직을 왼손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잡은 다음 수직으로 집어 올린다. 집어 올릴 때는 반드시 피부와 지방조직만이 충분하게 잡혀지도록 해야한다. 양손가 락으로 잡혀진 피부선은 신체표면으로부터 평행이 되도록 해야하고 측정이 완 전히 끝날 때까지 잡혀진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측정시간은 측정기로 피부를 집은 다음으로부터 약 2초 이내에 마 쳐야 한다. 측정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지방조직이 측정부위 밖으로 밀려나는등 유동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과소 측정치를 얻게 될 수도 있다(K. Norton 등.

1996).

(3) 신체밀도 및 체지방률 산출공식

① 신체밀도(BD) :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게 가장 많이 사용하는 Nagaminie and Suzuki(1964)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남자 - BD = 1.0879-0.00151X 여자 - BD = 1.0794-0.00142X (단, X=Triceps+Subscapulare)

② 체지방률(%FAT) : 본 연구에서는 사춘기 이전의 아동에게 적합한 Lohman(1984)의 공식을 이용하였다.

%FAT = (5.300/BD - 4.890) × 100

(27)

3) 표준체중법을 통한 비만측정방법

비만도(%)는 표준몸무게를 산출하는 산출식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데 현행 초등학교에서 표준몸무게를 산출하는 지수는 Broca Index이다. 따라서 Broca 지수 외에 다른 지수를 이용해서 표준몸무게를 산출해 비만도를 구해 보고 각각의 지수를 달리 이용했을 때 준거와 관련해 어떤 지수를 사용했을 때 가장 타당도가 높은지 알아보았다.

(1) 체중(Body Mass)

체중은 최소한의 옷(속옷이나 수영복)을 입고 측정한다. 측정 전에 저울의 값이 0임을 확인한다. 피험자의 양발에 체중을 고르게 분배시킨 후 어떠한 지 지도 없이 피험자를 저울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아동의 체중은 매일 1kg정도의 변화가 있으므로 식사 후 12시간이 지난 아 침 공복시에 가장 안정된 값을 측정한다.

(2) 신장(Stature)

목을 늘인 상태의 자세에서 신장을 측정 할 때 두발을 모으고 뒤꿈치, 엉덩 이, 등을 신장계에 밀착시킨다. 신체가 눈확과 이점이 동일한 수평면에 있는 상태(Frankfort Plane)에 있을 때 머리는 신장계에 밀착시키지 않아도 된 다.

측정자는 피험자의 꼭지돌기(Mastoid Process ; 유양돌기)에 손가락이 닿 도록 턱 사이에 손을 둔다. 그 후 피험자에게 깊은 호흡을 들여 마시도록 하고 눈확과 이점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꼭지돌기를 잡고 6∼7kg의 압력으로 부 드럽게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이 때 기록자는 바닥에서 발이 떨어지는가와 머 리 위치가 수평(Frankfort Plane)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한다. 측정치는 호흡

(28)

을 깊이 들여 마시는 마지막 시점에 읽는다.

(3) 3가지 표준몸무게 간이 산출식

① Broca 지수 : (키-100)

② Katsura 지수 : (키-100)×0.9

③ 일본비만학회 : 키(m)2×22

비만도(%) = {(실측몸무게-표준몸무게)/표준몸무게}×100

4) 형태지수에 의한 방법

이 방법은 이미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아래의 공식에 대입해 구하여 비만판 정을 하는 것이며, 이 공식을 통해 얻어진 값이 얼마나 비만도를 재는데 타당 한지 알아본다.

(1) Rohrer Index(RI) RI = {몸무게(kg)/키3(cm)}×107

(2) Body Mass Index(BMI) BMI = 몸무게(kg)/키2(cm)×104

5) 측정도구

측정도구는 국민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와 서울 K초등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사용할 것이며, 장비 및 측정용도는 <표 3>와 같다.

(29)

<표 3> 측정도구

측정 도구 측정 제품 회사명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GIF- 길우트레이닝

Skin Fold caliper KI-100 Japan, Mitutoyo

신장계 최신형 신장계 삼화계기

체중계 안드로 체중계 효천계기

4. 자료처리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Microsoft Excel 2000을 이용해 각 비만판정별 비 수의 값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각 비수의 값은 SPSSWIN 10.0 통계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저․고학년 급별, 저․고 학년 성별, 남여 전체 비 만판정간의 관계를 유의수준 .05에서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s γ)를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30)

Ⅳ. 결과 및 논의

1. 결 과

1) 저‧고학년 급별 상관관계

(1)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4 > 저학년 학생의 비만 판정치

구 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저학년 학생

M 19.3 9.1 -18.8 3.2 14.7 137.2 17.9

SD 4.8 4.6 13.1 14.6 16.3 18.6 2.9

< 표 5 >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683** .452** .452** .660** .683** .787**

2. 일본표준체중 - .573** .573** .945** 1.000** .792**

3. Broca표준체중 - 1.000** .797** .573** .425**

4. Katsura표준체중 - .797** .573** .425**

5. RI - .945** .685**

6. BMI - .729**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4>와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는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31)

r=.683,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52, BIA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52, BIA와 RI는 r=.660, BIA와 BMI는 r=.683, BIA와 피하지방후는 r=.787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 을 나타낸 항목이 피하지방후법, 일본표준체중, BMI순으로 나타났다.

(2)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6 >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고학년 학생

M 21.3 15.09 -4.14 -2.51 8.33 142.72 21.09

SD 6.2 8.85 18.35 17.06 18.96 32 4.04

< 표 7 >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639** .576** .576** .605** .639** .687**

2. 일본표준체중 - .936** .936** .956** 1.000** .915**

3. Broca표준체중 - 1.000** .995** .936** .849**

4. Katsura표준체중 - .995** .936** .849**

5. RI - .956** .876**

6. BMI - .915**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32)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6>과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는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39,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576, BIA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576, BIA와 RI는 r=.605, BIA와 BMI는 r=.639, BIA와 피하지방후는 r=.687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 을 나타낸 항목이 피하지방후법, 일본표준체중, BMI순으로 나타났다.

저‧고학년 급별 상관관계 결과 BIA와의 상관이 저‧고학년 모두 피하지방후 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고학년보다는 저학년이 좀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2) 남여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1)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8 >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남자 학생

M 19.0 12.87 -9.29 2.96 14.40 143.44 19.96

SD 6.8 9.51 19.74 15.89 17.65 23.46 4.34

(33)

< 표 9 >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740** .615** .615** .754** .740** .787**

2. 일본표준체중 - .683** .683** .933** 1.000** .956**

3. Broca표준체중 - 1.000** .868** .683** .670**

4. Katsura표준체중 - .868** .683** .670**

5. RI - .933** .901**

6. BMI - .956**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8>과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는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740,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15, BIA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15, BIA와 RI는 r=.754, BIA와 BMI는 r=.740, BIA와 피하지방후는 r=.787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자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항목이 피하지방후법, RI, 일본표준체중, BMI순으로 나타났다.

(2) 여자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34)

< 표 10 > 여자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여자 학생

M 21.6 11.14 -14.19 -2.22 8.65 136.18 18.88

SD 3.6 4.74 14.29 15.94 17.71 20.40 3.14

< 표 11 > 여자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693** .453** .453** .639** .693** .660**

2. 일본표준체중 - .556** .556** .873** 1.000** .691**

3. Broca표준체중 - 1.000** .870** .556** .395**

4. Katsura표준체중 - .870** .556** .395**

5. RI - .873** .594**

6. BMI - .691**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여자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10>과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는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93,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53, BIA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53, BIA와 RI는 r=.639, BIA와 BMI는 r=.693, BIA와 피하지방후는 r=.66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항목이 일본표준체중, BMI, 피하지방후법순으로 나타났다.

(35)

남여 성별에 따른 급별 상관관계 결과 BIA와의 상관이 남자는 피하지방후 법이 여자는 일본표준체중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저․고학년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1)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12 >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남자 저학년

학생

M 17.3 8.19 -19.66 2.72 14.13 136.28 17.68

SD 5.2 5.03 10.09 12.71 14.12 14.10 2.22

< 표 13 >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877** .543** .543** .883** .877** .865**

2. 일본표준체중 - .382** .382** .923** 1.000** .936**

3. Broca표준체중 - 1.000** .691** .382** .412**

4. Katsura표준체중 - .691** .382** .412**

5. RI - .923** .887**

6. BMI - .936**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36)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12>와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 수는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 는 r=.877,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543, BIA 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543, BIA와 RI는 r=.883, BIA와 BMI는 r=.877, BIA와 피하지방후는 r=.865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남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항목이 RI,일본표준체중, BMI순으로 나타났다.

(2)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14 >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여자 저학년

학생

M 21.3 10.09 -17.97 3.77 15.30 138.23 18.05

SD 3.4 3.94 15.49 16.37 18.19 22.35 3.41

(37)

< 표 15 >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699** .467** .467** .663** .699** .640**

2. 일본표준체중 - .675** .675** .954** 1.000** .635**

3. Broca표준체중 - 1.000** .856** .675** .468**

4. Katsura표준체중 - .856** .675** .468**

5. RI - .954** .605**

6. BMI - .635**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14>와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 수는 <표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 는 r=.699,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67, BIA 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67, BIA와 RI는 r=.663, BIA와 BMI는 r=.699, BIA와 피하지방후는 r=.640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여자 저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항목이 일본표준체중, BMI, RI순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학생 성별 상관관계 결과 BIA와의 상관이 남자 저학년 학생은 RI가 여자 저학년 학생은 일본표준체중과 BMI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38)

(3)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16 >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남자 고학년

학생

M 20.7 17.72 1.44 3.21 14.68 150.85 22.32

SD 7.8 10.57 21.47 18.61 20.68 28.39 4.72

< 표 17 >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711** .671** .671** .693** .711** .778**

2. 일본표준체중 - .950** .950** .962** 1.000** .941**

3. Broca표준체중 - 1.000** .997** .950** .896**

4. Katsura표준체중 - .997** .950** .896**

5. RI - .962** .910**

6. BMI - .941**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16>과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 수는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 는 r=.711,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71, BIA 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71, BIA와 RI는 r=.693, BIA와 BMI는 r=.711, BIA와 피하지방후는 r=.778로 나타났 다.

(39)

따라서 남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항목이 피하지방후법, 일본표준체중, BMI순으로 나타났다.

(4)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18 >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여자 고학년

학생

M 22.0 12.27 -10.13 -8.64 1.51 133.98 19.77

SD 3.7 5.22 11.57 12.61 14.01 17.80 2.55

< 표 19 >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724** .642** .642** .669** .724** .677**

2. 일본표준체중 - .884** .884** .923** 1.000** .768**

3. Broca표준체중 - 1.000** .993** .884** .658**

4. Katsura표준체중 - .993** .884** .658**

5. RI - .923** .715**

6. BMI - .768**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18>과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 수는 <표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 는 r=.724,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42, BIA

(40)

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42, BIA와 RI는 r=.669, BIA와 BMI는 r=.724, BIA와 피하지방후는 r=.677로 나타났 다.

따라서 여자 고학년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낸 항목이 일본표준체중, BMI, 피하지방후법순으로 나타났다.

고학년 학생 성별 상관관계 결과 BIA와의 상관이 남자 고학년 학생은 피하 지방후법이 여자 고학년 학생은 일본표준체중과 BMI가 가장 높은 상관을 나 타내었다.

4) 남여 전체 학생에 따른 상관관계

남여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 표 20 > 남녀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치

구분 BIA 피하

체지방율

일본 표준체중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RI BMI

남녀 전체 학생

M 20.3 12.03 -11.67 0.44 11.60 139.91 19.43

SD 5.6 7.62 17.47 16.12 16.12 22.32 22.32

(41)

< 표 21 > 남여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법간의 상관계수

변수 1 2 3 4 5 6 7

1. BIA - .660** .476** .476** .633** .660** .709**

2. 일본표준체중 - .631** .631** .909** 1.000** .878**

3. Broca표준체중 - 1.000** .870** .631** .559**

4. Katsura표준체중 - .870** .631** .559**

5. RI - .909** .789**

6. BMI - .878**

7. 피하지방후 -

*p < .05, **p < .01

남녀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치 <표 20>과 이에 따른 비만판정간의 상관계수 는 <표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BIA와 일본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660, BIA와 Broc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76, BIA와 Katsura표준체중 비만값간의 상관계수는 r=.476, BIA와 RI는 r=.633, BIA와 BMI는 r=.660, BIA와 피하지방후는 r=.709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여 전체 학생의 비만판정에 관한 상관계수는 BIA와 가장 높은 상 관을 나타낸 항목이 피하지방후법, 일본표준체중법, BMI순으로 나타났다.

남여 전체 학생 상관관계 결과 BIA와의 상관이 피하지방후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42)

5) 비만 판정

(1)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에 의한 비만판정

<표 22>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BIA 정상 과체중 비만 합

인원 88명 14명 13명 115명

% 77% 12% 11%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정상 과체중 비만

<그림1>BIA에 의한 비만 판정

초등학생의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를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2>와 <그림 1>과 같이 정상 88명(77%), 과체중 14명(12%), 비만 13명(11%)으로 나타났다.

(43)

(2) 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표 23> 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 판정결과

피하지방후 정상 과체중 비만 합

인원 100명 7명 8명 115명

% 87% 6% 7%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정상 과체중 비만

<그림2>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판정

초등학생의 피하지방후를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3>과 <그림 2>와 같 이 정상 100명(87%), 과체중 7명(6%), 비만 8명(7%)으로 나타났다.

(44)

(3) 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표 24> 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결과 Broca

표준체중법 너무여윔 여윔 정상 체중증가 비만 합

인원 11명 25명 54명 12명 13명 115명

% 10% 22% 47% 10% 11% 100%

0 10 20 30 40 50 60

너무여윔 여윔 정상 체중증가

<그림3>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초등학생의 Broca표준체중을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4>와 <그림 3>

과 같이 너무여윔 11명(10%), 여윔 25명(22%), 정상 54명(47%), 체중증 가 12명(10%), 비만 13명(11%)으로 나타났다.

(45)

(4) 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판정

<표 25> 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판정 결과 katsura

표준체중법 너무여윔 여윔 정상 체중증가 비만 합

인원 0명 10명 48명 22명 35명 115명

% 0% 9% 42% 19% 30% 100%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너무 여윔 여윔 정상 체중증가 비만

<그림4>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초등학생의 Katsura표준체중을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5>와 <그림 4>와 같이 너무여윔 0명(0%), 여윔 10명(9%), 정상 48명(42%), 체중증가 22명(19%), 비만 35명(30%)으로 나타났다.

(46)

(5) 일본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판정

<표 26> 일본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판정 결과

일본표준체중 너무여윔 여윔 정상 체중증가 비만 합

인원 48명 28명 23명 9명 7명 115명

% 42% 24% 20% 8% 6% 100%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너무 여윔 여윔 정상 체중증가 비만

<그림5>일본표준체중에 의한 비만판정

초등학생의 일본표준체중을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6>과 <그림 5>와 같이 너무여윔 48명(42%), 여윔 28명(24%), 정상 23명(20%), 체중증가 9명(8%), 비만7명 (6%)으로 나타났다.

(47)

(6)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 판정

<표 27>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 판정결과

RI 저체중 정상 비만 합

인원 3명 90명 22명 115명

% 3% 78% 19%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저체중 정상 비만

<그림6>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판정

초등학생의 RI(Roher Index)를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7>과 <그림 6>

과 같이 저체중 3명(3%), 정상 90명(78%), 비만 22명(19%)으로 나타났다.

(48)

(7)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 판정

<표 28>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 판정 결과

BMI 저체중 정상 경도비만 비만 합

인원 74명 25명 14명 2 115명

% 64% 22% 12% 2%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저체중 정상 경도비만 비만

<그림7>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판정

초등학생의 BMI(Body Mass Index)를 통한 비만 판정 결과는 <표 28>과

<그림 7>과 같이 저체중 74명(64%), 정상 25명(22%), 경도비만 14명 (12%), 비만 2명(2%)으로 나타났다.

(49)

(8) 각 비만판정법에 의한 비만인원 판정

<표 29> 각 비만판정법에 의한 비만인원 판정 결과

BIA

피하 지방후

Broca 표준체중

katsura 표준체중

일본

표준체중 RI BMI

인원 13명 8명 13명 35명 7명 22명 2명

% 11% 7% 11% 30% 6% 19% 2%

0 5 10 15 20 25 30 35

BIA 피하지방후 Broca katsura 일본표준 RI BMI

<그림8>각 비만 판정법에 의한 비만인원 판정

초등학생의 각 비만 판정법에 의한 비만인원 판정 결과 <표 29>와 <그림8>

과 같이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에 의한 비만자는 13명 (11%), 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자는 8명(7%), 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자는 13명(11%), 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자는 35명(30%), 일본비 만학회 표준체중에 의한 비만자는 7명(6%),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

(50)

자는 22명(19%),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자는 2명(2%)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Katsura표준체중과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판정법은 비만 자를 과대 추정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 만판정법은 비만자를 과소 추정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논 의

본 연구에서는 비만 판정법에 대해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를 준거로 대표적인 비만 판정법들과의 상관을 통해 타당성을 보았 다. 그 결과 저․고학년 연령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 의 상관 정도가 달리 나타났으며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한 비만 판정법 간에도 비만 인원을 서로 다르게 판정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초등학생 비만 판정의 연 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비만 판정법간의 상관성을 규명한 연구 는 희귀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산출된 상관성들과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웠 다.

저․고학년 급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 모 두 피하지방후법이 저학년은 r=.787, 고학년은 r=.687로 나타났는데 양정 옥(1997)의 %FAT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피하지방후 측정방법과 BIA법에 의한 측정방법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가 없이 나타났다고 한 것과 일 치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남녀 성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은 남자는 피하지방후법이 r=.787로 높은 상관을 나타낸 반면, 여자는 일본표준체중법 과, BMI가 r=.693으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Rolland와

(51)

Cachera(1982)등도 1-16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BMI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RI보다 남녀 공히 BMI가 좋다고 하였다. BMI가 성인에게 적용된 것은 일반 화 되었고, 아동에게도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할 때 일정한 연령과 성이 동일해야 이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저․고학년 성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은 남 자 저학년은 RI(Rohrer Index)가 r=.883, 여자 저학년은 일본표준체중과 BMI(Body Mass Index)가 r=.699, 남자 고학년은 피하지방후법이 r=.778, 여자 고학년은 일본표준체중법과 BMI가 r=.724로 가장 높은 상관 을 보였는데, 남자 저학년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RI(Rohrer Index)는 신장을 한변으로 하는 육방체 속에 체중이라고 하는 용적이 어느정도의 공간 을 차지하게 되는 것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김종택(1994)은 Rohrer지수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었던 것처럼 발육 발달, 체격, 건강 정도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신체충실지수로서 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 다고 보고했다. 나영일(1990) 또한 이는 단지 체격을 나타내는 지수로 사용 되어야 할 것이다 라고 보고했다. 이렇듯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초등학 생 특히 저학년을 대상으로한 RI(Rohrer Index)는 아직까지 발표된 봐가 없 어 연령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사료된다.

비만 판정법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BIA와 피하지방후법이 r=.709로, BIA와 일본비만학회지수를 이용한 표준체중법이 r=.660으로, BIA와 Broca지수를 이용한 표준체중법이 r=.476으로, BIA와 Katsua지수를 이용 한 표준체중법이 r=.476으로, BIA와 RI법이 r=.633으로, BIA와 BMI법 이 r=.660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 학생의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분 석 결과 피하지방후법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RI법, BMI법, 일본비만학회지수를 이용한 표준체중법은 보통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52)

으며, Broca, Katsura 지수를 이용한 표준체중법은 낮은 상관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피하지방후법을 이용한 비만 판정법은 r=.709로 가장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 학생의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은 피하지방후법이 r=.709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다수의 측정 부위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체지방의 평가는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한 김 등 (1991)의 연구와도 일치하고 있다.

체지방측정에 있어서 가장 타당하기로는 현재 체지방측정방법 중 가장 신뢰 성이나 객관성에서 타당한 수중체중법과 BIA(Bio-electronic Impedance Analysis)를 들 수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비용이나 시간 등 여 러 가지 여건에 어려움이 있다.

현행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체중법에 따른 비만판정법은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이 다른 비만판정법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표준체중법이 아이들의 정상치에 대한 통계학적인 비교에 불과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피하지방후법은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임으 로써 어떠한 측정도구 보다 높은 타당성을 보였다.

이에 BIA와 가장 상관이 높고 측정이나 실험의 편이성으로 볼 때 학교 현장 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피하지방후법이 널리 이용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피하지방후법으로 더욱 간편하고 정확하게 비만을 판정하려면 측정도 구(Skin-fold caliper)의 확보와 측정부위의 간소화, 그리고 측정자의 객관 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3)

Ⅴ. 결론 및 제언

1. 결 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비만도 평가에 따른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서울소재 K 초등학교 학년별 20명 내외 총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 항목은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 피하지방후법 표준체중과 실측 체중을 이용한 broca표준체중, katsura표준체중, 일본표준체중 신장과 체중 을 이용한 RI, BM등 대표적인 비만 판정법 6개 항목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준거 항목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 피하 지방후법, Broca표준체중, Katsura표준체중, 일본표준체중, RI, BMI간의 상관을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통해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분석한 구체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고학년 급별 상관관계 분석결과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이 저학년은 피하지방후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고학년도 피하지방후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남녀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결과 BIA(Bio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이 남자는 피하지방후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여 자는 일본표준체중법과 BMI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저․고학년 성별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결과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이 남자 저학년은 RI(Rohrer Index)가 가 장 높은 상관을 보였고, 여자 저학년은 일본표준체중과 BMI(Body Mass Index)가 가장 높은 상관을, 남자 고학년은 피하지방후법이 가장 높은 상관 을, 여자 고학년은 일본표준체중법과 BMI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넷째, 남녀 전체 학생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결과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이 피하지방후법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

(54)

다.

다섯째, 각 비만판정법에 의한 비만 판정은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에 의한 비만자 13명(11%), 피하지방후에 의한 비만자 8명(7%), Broc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자 13명(11%), Katsura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자 35명(30%), 일본비만학회 표준체중에 의한 비만자 7명(6%), RI(Roher Index)에 의한 비만자 22명(19%), BMI(Body Mass Index)에 의한 비만 자 2명(2%)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해 보면 초등학생의 비만 평가 항목으로는 피하지방후 법, 일본표준체중법과 BMI, RI, Broca표준체중법과 Katsura표준체중법 순 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사료된다.

2. 제 언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할 수 있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를 준거로 비만판정법간의 상관을 보았으나 이후 연구에서는 신뢰성 및 타당성이 가장 높은 수중체중평 량법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성별, 저․고학년별 비교를 지역간(대도시, 중소도시, 소도시, 농촌 등)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초등학생 중 일부인 115명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전집으로 활용 하기에는 한계가 느껴지는 봐 추후 광범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 된다.

(55)

참 고 문 헌

강윤주, 홍창호, 홍영진(1997). 서울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 (1979-1996)비만도 변화추이 및 비만아 증가양상, 한국영양학회 지, 30(7), 832-839.

강원도 교육청(1997). 비만 학생 지도 자료.

강재헌, 청소년 비만의 특징과 대책, 교육월보, 16(7), 48-51, 1997.

김은경, 이기열, 손태열(1990). 신체계측을 이용한 각종 체지방량 추정식 의 타당성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23(2), 93-107.

김원중․조정호(1997). 체력과 웰니스, 도서출판 홍경.

김종택(1994). 청소년의 신체충실지수에 관한 연구, 체육연구소논집 15(1), 21-32.

나영일(1990). 학교체육의 측정,평가에 있어 신체충실지수의 문제점에 관 한 고찰, 체육연구소논집 11(1), 43-50.

노영호(2001). 아동의 체지방량과 체력요인 기록간의 차이 분석, 서울교육 대학교 석사논문.

박철호, 유창제, 박형하, 김영준(1999). 체육측정평가. 세종출판사 서울특별시 교육청 평생교육체육과(2000). 학교 보건 관리 기준 부록.

서효숙, 이창희, 박혜순, 김철균(1993). 비만을 나타내는 몇가지 지수와 혈 압과의 상관관계, 가정의학지, 14, 7-12.

양정옥(1997). 체지방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 구소 논문집, 3

이동환, 이종국, 이철, 차성균, 최용, 황용승(1992). 고도 비만아의 합병증 에 관한 연구, 소아과학회, 34: 445-453.

이태희(1995). 비만의 운동요법, 대한비만학회지, 14(1), 1-3.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구기종목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우성의 다리에 근전도의 표면전극을 부착한 후 최대하지근력과 WAnT를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여 구기 종목 간

: 매뉴얼을 이용한 단순한 연구장비의 숙달이 아니라 그 자체를 연구의 한 단계로서 오실로스코프와 파형발생기를 이용하여 삼각함수의 합과 맥놀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G광역시 한 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또한 본 연구는 단면연구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본다면 대부분 의 연구들은 일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데 비해 본 연구는 여성독거 노인에서 가족 및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자가 일개 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체노인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신중을

본 연구는 미생물에 의한 자류철석과 티탄철석의 물성 변화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서 최적의 성장조건에서 배양한 미생물이 자류철석의 물성 변화에 미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 일반아동, 읽기장애위험군아동, 그리고 언어장애위험군아동 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과제를 실시하여 집단에 따른 읽기유창성 특성과

본 연구의 탄화반응과 금 속촉매표면에 침적된 타르의 분해 및 탄화입자의 마찰, 마모에 의한 비산유출을 조업조건에 따른 압력요동 특성치를 이용하여 틈내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