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 의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50-53)

본 연구에서는 비만 판정법에 대해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를 준거로 대표적인 비만 판정법들과의 상관을 통해 타당성을 보았 다. 그 결과 저․고학년 연령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 의 상관 정도가 달리 나타났으며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한 비만 판정법 간에도 비만 인원을 서로 다르게 판정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초등학생 비만 판정의 연 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비만 판정법간의 상관성을 규명한 연구 는 희귀하여 본 연구의 결과로 산출된 상관성들과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웠 다.

저․고학년 급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 모 두 피하지방후법이 저학년은 r=.787, 고학년은 r=.687로 나타났는데 양정 옥(1997)의 %FAT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피하지방후 측정방법과 BIA법에 의한 측정방법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가 없이 나타났다고 한 것과 일 치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남녀 성별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은 남자는 피하지방후법이 r=.787로 높은 상관을 나타낸 반면, 여자는 일본표준체중법 과, BMI가 r=.693으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Rolland와

Cachera(1982)등도 1-16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BMI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으며, Broca, Katsura 지수를 이용한 표준체중법은 낮은 상관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피하지방후법을 이용한 비만 판정법은 r=.709로 가장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 학생의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은 피하지방후법이 r=.709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다수의 측정 부위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체지방의 평가는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한 김 등 (1991)의 연구와도 일치하고 있다.

체지방측정에 있어서 가장 타당하기로는 현재 체지방측정방법 중 가장 신뢰 성이나 객관성에서 타당한 수중체중법과 BIA(Bio-electronic Impedance Analysis)를 들 수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비용이나 시간 등 여 러 가지 여건에 어려움이 있다.

현행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체중법에 따른 비만판정법은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의 상관이 다른 비만판정법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표준체중법이 아이들의 정상치에 대한 통계학적인 비교에 불과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피하지방후법은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임으 로써 어떠한 측정도구 보다 높은 타당성을 보였다.

이에 BIA와 가장 상관이 높고 측정이나 실험의 편이성으로 볼 때 학교 현장 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피하지방후법이 널리 이용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피하지방후법으로 더욱 간편하고 정확하게 비만을 판정하려면 측정도 구(Skin-fold caliper)의 확보와 측정부위의 간소화, 그리고 측정자의 객관 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문서에서 2. 연구의 목적 (페이지 50-5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