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LS-SEM 분석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81)

4.4 PLS-SEM 분석

4.4.3 PLS-SEM 분석결과

1) 종합지역

본 연구에서는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을 도 출하고, 해당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종 합 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최종구조 방정식 모형은 그림 4.5와 같다.

그림 4.5 종합 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

(1) 측정모델 평가

본 연구에서는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측정모델 평가를 위해 각각 내적 일관성 신뢰도 평가와, 집중 타당도 평가, 판별 타당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 가결과, 종합지역에서는 ‘C1-언어장벽 및 문화적 이질성’, ’C2-종교 및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 ’En1-기후·날씨 관련 영향’ 리스크 요인들이 평가에 유의하지 않다고 도출되어 해당 리스크 요인들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먼저,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평가는 크론바흐 알파, D-H rho, 합성 신뢰도를 활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표 4.5와 같다. 먼저, 내적 일관성 신뢰도 평가 시, 가장 바람직한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합성신뢰도의 경우 모든잠재변수들이 수용범위인 0.6이상의 값을 가져 유의성을 확보하였으며, 크론바흐 알파 값과, D-H rho 역시 모든 잠재변수들이 각각의 수용기준인 0.6, 0.7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때문에, 종합지역 구조방정식 모형 내의 모 든 변수들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변수 크론바흐 알파( ) D-H rho( ) 합성신뢰도()

경제/재정 0.802 0.810 0.883

지역/환경 0.779 0.784 0.871

제도/법규 0.767 1.008 0.853

사업여건 0.841 0.855 0.886

정치/정책 0.698 0.752 0.826

표 4.5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 평가결과

다음으로 집중타당도 평가는 AVE 값과 외부적재치의 적합성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AVE(평균분산추출)의 경우 모든 잠재변수의 값이 수용기준인 0.

5 이상의 값을 가져 유의성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VE의 평가결과는 표 4.6 과 같다.

공사비

변동성 사회/문화 경제/재정 지역/환경 제도/법규 사업여건 정치/정책 1.000 1.000 0.716 0.693 0.665 0.609 0.615 표 4.6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AVE 기준 평가결과

외부적재치 적합성의 평가는 외부 적재치의 크기에 대한 평가와 외부 적재치의 유의성 평가로 구분된다. 외부 적재치의 크기는 모든 변수가 수용기준인 0.6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외부 적재치의 통계적 유의성의 또한 t-value 가 1.96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외부적재치는 적합하다고 판단된 다. 외부적재치의 크기와 통계적 유의성 결과는 각각 표 4.7, 4.8과 같다.

측정변수 경제/

재정

지역/

환경

제도/

법규

사업 여건

정치/

정책 E1 0.871

E2 0.804 E3 0.862

En2 0.804

En3 0.860

En4 0.832

L1 0.835

L2 0.641

L3 0.941

M1 0.765

M2 0.779

M3 0.785

M4 0.748

M5 0.822

P1 0.774

P2 0.703

P3 0.866

표 4.7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외부 적재치 평가결과

측정변수 표준화된 적재치 신뢰 구간

t-value p-value 2.5% 97.5%

E1 0.871 0.804 0.916 31.118 0.000 E2 0.804 0.688 0.878 16.988 0.000 E3 0.862 0.789 0.910 28.460 0.000 En2 0.804 0.678 0.883 15.079 0.000 En3 0.860 0.746 0.922 18.712 0.000 En4 0.832 0.751 0.890 23.774 0.000 L1 0.835 0.658 0.915 12.476 0.000 L2 0.641 0.237 0.841 4.180 0.000 L3 0.941 0.904 0.977 49.061 0.000 M1 0.765 0.647 0.853 14.477 0.000 M2 0.779 0.651 0.850 15.338 0.000 M3 0.785 0.642 0.869 12.852 0.000 M4 0.748 0.584 0.849 11.077 0.000 M5 0.822 0.754 0.877 25.599 0.000 P1 0.774 0.581 0.879 10.267 0.000 P2 0.703 0.391 0.876 5.681 0.000 P3 0.866 0.775 0.924 22.916 0.000 표 4.8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외부적채치 유의성 평가결과

마지막으로 종합 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판별 타당도 평가는 HTMT 기준, Fornell-Larcker의 기준과 교차적재치 기준에 의한 평가 순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 다. HTMT 기준에 의한 평가는 PLS-SEM 분석 시, 측정모델의 판별타당도 평가 에 가장 적합하다고 제시되고 있는 방법이다. HTMT 평가기준은 가장 보수적인 기준인 HTMT.85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HTMT.85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를 수행한 결과, 모든 값들의 HTMT비율이 0.85 미만인 것을 확인하여 유의성 을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TMT 기준에 의한 평가결과는 표 4.09와 같 다.

Fornell-Larcker 기준에 의한 평가는, 유의성 확보를 위해 표의 대각선에 기입된 각각의 AVE 제곱근 값(볼드체)이 대각선의 아래 값들과 비교하여 더 큰 값을 가 져야 한다. 확인 결과 대각선상의 모든 값이 아래의 값들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 으므로 유의성을 확보했다고 판단된다. Fornell-Larcker의 기준에 의한 평가결과는 표 4.10과 같다.

교차적재치 기준에 의한 평가는, 외부적재치와 교차적재치를 활용한다. 교차적재치 기준에 의한 평가 시, 유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잠재변수에 대한 측정변수의 외부적재치(볼트체)가 교차적재치를 초과해야 유의성을 확보했다고 판단한다. 교차 적재치 기준에 의한 평가를 수행한 결과, 모든 외부적재치가 교차적재치의 값을 초과 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타당한 값을 도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차적재치 기준에 의한 평가결과는 표 4.11과 같다.

종합 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판별 타당도 평가결과, HTMT평가 기준, Fornell -Larcker 평가 기준, 교차 적재치 평가 기준에서 모든 변수들이 유의한 값을 도출함 으로써 판별 타당도를 확보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공사비 변동성

사회/

문화

경제/

재정

지역/

환경

제도/

법규

사업 여건

정치/

정책 공사비

변동성

사회/문화 0.280

경제/재정 0.289 0.262

지역/환경 0.406 0.625 0.660

제도/법규 0.343 0.379 0.562 0.566

사업여건 0.353 0.395 0.766 0.808 0.741

정치/정책 0.165 0.257 0.608 0.393 0.688 0.581 표 4.09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HTMT 기준 평가결과

공사비 변동성

사회/

문화

경제/

재정

지역/

환경

제도/

법규

사업 여건

정치/

정책 공사비

변동성 1.000

사회/문화 0.280 1.000

경제/재정 0.251 0.231 0.846

지역/환경 0.360 0.567 0.512 0.832

제도/법규 0.287 0.392 0.453 0.452 0.815

사업여건 0.333 0.351 0.646 0.661 0.582 0.780

정치/정책 0.148 0.181 0.495 0.278 0.498 0.445 0.784 표 4.10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Fornell-Larcker 기준 평가결과

측정변수 경제/

재정

지역/

환경

제도/

법규

사업 여건

정치/

정책 E1 0.871 0.420 0.328 0.539 0.527 E2 0.804 0.456 0.391 0.523 0.245 E3 0.862 0.429 0.399 0.578 0.458 En2 0.495 0.804 0.404 0.609 0.347 En3 0.488 0.860 0.334 0.539 0.244 En4 0.341 0.832 0.334 0.509 0.124 L1 0.313 0.319 0.835 0.428 0.444 L2 0.329 0.301 0.641 0.494 0.308 L3 0.456 0.458 0.941 0.551 0.454 M1 0.547 0.519 0.420 0.765 0.395 M2 0.441 0.534 0.435 0.779 0.250 M3 0.464 0.481 0.422 0.785 0.434 M4 0.389 0.428 0.512 0.748 0.344 M5 0.620 0.587 0.493 0.822 0.316 P1 0.383 0.278 0.454 0.340 0.744 P2 0.234 0.201 0.431 0.328 0.703 P3 0.483 0.189 0.337 0.381 0.866 표 4.11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교차 적재치 기준 평가결과

(2) 구조모델 평가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구조모델 평가는 다중공선성 평가, 경로계 수의 유의성과 적합성, 결정계수() 평가, 효과크기() 평가, 예측적 적합도()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구조모델에 대 한 다중공선성 평가결과, 모든 값들이 수용기준인 5미만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함으로써 잠재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은 없다고 판단된다. 구조모델에 대한 다중공 선성 평가결과는 표 4.12와 같다.

공사비 변동성

사회/

문화

경제/

재정

지역/

환경

제도/

법규

사업 여건

정치/

정책 공사비

변동성

사회/문화 1.056

경제/재정 1.056 1.000 1.000

지역/환경 1.000

제도/법규 1.000

사업여건 정치/정책

표 4.12 종합지역 구조모델의 다중공선성 평가결과

다음으로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 및 크기를 도출하 였으며, 도출된 인과관계의 유의성과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평가는 신뢰 구간, t-value, p-value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평가결과는 각각 표4.13, 표4.14와 같 다.

평가결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신뢰구간 사이에 0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분석에 대한 유의성을 확보하였고, t-value와 p-value 역시 각각 수용기준인 1.96이 상, 0.05미만을 충족하여 경로계수의 유의성과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종합 지역 공 사비 변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잠재변수는 ‘지역/환경’ 리스크로 확인되었 으며, 잠재변수 간 인과관계가 가장 큰 변수는 ‘경제/재정’ 리스크와 ‘사업여건’ 리

스크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간접적인 관계를 통해 종합지역 공사비 변동성에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잠재변수는 ‘사회/문화’ 리스크로 확인되었으며, 잠재변수 간 에 간접적인 관계가 가장 큰 변수는 ‘제도/법규’ 리스크와 ‘지역/환경’ 리스크로 확 인되었다.

잠재 변수 표준화된

경로계수

신뢰 구간

t-value p-value 관계 2.5% 97.5%

지역/환경

-> 공사비 변동성 0.360 0.147 0.535 3.646 0.000 직접 사회/문화

-> 공사비 변동성 0.171 0.058 0.298 2.778 0.005 간접 경제/재정

-> 공사비 변동성 0.145 0.045 0.248 2.786 0.005 간접 제도/법규

-> 공사비 변동성 0.067 0.022 0.133 2.332 0.020 간접 표 4.13 종합지역 건설공사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리스크 분석결과

잠재 변수 표준화된

경로계수

신뢰 구간

t-value p-value 관계 2.5% 97.5%

사회/문화

-> 지역/환경 0.475 0.303 0.633 5.724 0.000 직접 경제/재정

-> 지역/환경 0.402 0.222 0.554 4.787 0.000 직접 경제/재정

-> 사업여건 0.646 0.539 0.760 11.269 0.000 직접 경제/재정

-> 정치/정책 0.495 0.339 0.660 6.033 0.000 직접 제도/법규

-> 사회/문화 0.392 0.259 0.542 5.410 0.000 직접 제도/법규

-> 지역/환경 0.186 0.103 0.297 3.730 0.000 간접 표 4.14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 간 관계분석 결과

마지막으로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해석하였다.

잠재변수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력은 중간 이상의 설명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설명력에 대한 기여 정도는 대부분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가진다는 것 을 확인하였다. 또한, 예측적 적합성 평가결과 모든 항목들이 0보다 큰 값을 가지 며, 모형에 대한 예측적 적합성을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지역 국가 리 스크 요인들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해석결과는 표 4.15와 같다.

평가방법 수용기준 평가결과

결정계수 ( )

높은 설명력

>0.26

중간 설명력 0.13<<0.26

낮은 설명력

<0.13

지역/환경 0.463 높음 사업여건 0.411 높음 정치/정책 0.236 중간 사회/문화 0.144 중간 공사비 변동성 0.120 낮음

효과크기 ( )

높은 효과크기

>0.35

중간 효과크기 0.15<<0.35 

낮은 효과크기

<0.15

경제/재정

->사업여건 0.716 높음 사회/문화

->지역/환경 0.406 높음 경제/재정

->정치/정책 0.324 중간 경제/재정

->지역/환경 0.292 중간 제도/법규

->사회/문화 0.182 중간 지역/환경

->공사비 변동성

0.149 낮음

예측적 적합도 ()

> 0

공사비 변동성 0.119

예측적 적합도 확보 사회/문화 0.140

지역/환경 0.315 사업여건 0.236 정치/정책 0.128 표 4.15 종합지역 국가 리스크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결과 해석

2) 기존 진출 지역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진출지역의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최종 구조방정식 모 형을 도출하였고, 해당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기존 진출 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의 최종구조 방정식 모형은 그림 4.6과 같다.

그림 4.6기존 진출지역 국가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81)

관련 문서